KR101305468B1 -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5468B1 KR101305468B1 KR1020110130370A KR20110130370A KR101305468B1 KR 101305468 B1 KR101305468 B1 KR 101305468B1 KR 1020110130370 A KR1020110130370 A KR 1020110130370A KR 20110130370 A KR20110130370 A KR 20110130370A KR 101305468 B1 KR101305468 B1 KR 1013054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wire
- fet
- integrated chip
- conductive reg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35—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48145—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1—Disposition the connectors being bonded to at least one common bonding area, e.g. daisy chain
- H01L2224/49111—Disposition the connectors being bonded to at least one common bonding area, e.g. daisy chain the connectors connecting two common bonding areas, e.g. Litz or braid wir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경우와 도 2의 경우의 동작온도에 따른 충전 및 방전시의 과전류 차단 범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120 : 프로텍션 IC n1 : 제1노드
n2 : 제2노드
Claims (11)
- 삭제
- 삭제
-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에 있어서:
칩 적층을 위한 칩 영역과 상기 칩 영역의 가장자리 부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을 구비하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칩 영역에 배치되며, 공통드레인구조의 제1FET 및 제2FET를 내장한 듀얼 FET칩과 ;
상기 듀얼 FET칩의 상부면에 적층 배치되어, 배터리의 방전시에 과방전상태를 감지하고, 과방전시에 상기 제1FET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방전동작을 정지시키고, 배터리의 충전시에 과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과충전상태시에 상기 제2FET를 제어하여 충전동작을 정지시키는 프로텍션(protection) IC와;
상기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 중 선택된 두 개의 도전형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어, 과전류가 유입되는 상태를 상기 프로텍션(protection) IC에서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션트저항(Shunt Resistor)을 구비하되,
상기 프로텍션(protection) IC는, 배터리 셀의 제1단자(B+)와 연결되며 충전전압 또는 방전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인가와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인가단자(VDD), 배터리 셀의 제2단자(B-)와 연결되며 접지되는 기준단자(VSS), 충방전 및 과전류의 유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시단자(V-), 과방전 상태에서 상기 제1FET를 오프시키기 위한 방전차단신호 출력단자(DO), 과충전 상태에서 제2FET를 오프시키기 위한 충전차단신호 출력단자(C0)단자, 및 과전류가 유입되는 상태를 상기 감시단자(V-)보다 더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한 과전류감지단자(Rsense)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은 제1도전형 영역 내지 제6도전형 영역들을 포함하여 배치되되,
제1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감시단자(V-)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1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2도전형 영역은 상기 제2FET의 소오스단자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2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3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전압인가단자(VDD)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3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4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기준단자(VSS)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4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5도전형 영역은 상기 제1FET의 소오스단자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5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6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과전류감지단자(Rsense)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6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션트저항은 상기 제4도전형 영역과 상기 제6도전형 영역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 삭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방전차단신호 출력단자(DO)는, 상기 제1FET의 게이트 단자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충전차단신호 출력단자(CO)는, 상기 제2FET의 게이트 단자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 삭제
-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에 있어서:
칩 적층을 위한 칩 영역과 상기 칩 영역의 가장자리 부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을 구비하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칩 영역에 배치되며, 공통드레인구조의 제1FET 및 제2FET를 내장한 듀얼 FET칩과 ;
상기 듀얼 FET칩의 상부면에 적층 배치되어, 배터리의 방전시에 과방전상태를 감지하고, 과방전시에 상기 제1FET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방전동작을 정지시키고, 배터리의 충전시에 과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과충전상태시에 상기 제2FET를 제어하여 충전동작을 정지시키는 프로텍션(protection) IC와;
상기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 중 선택된 두 개의 도전형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어, 과전류가 유입되는 상태를 상기 프로텍션(protection) IC에서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션트저항(Shunt Resistor)을 구비하되,
상기 프로텍션(protection) IC는, 배터리 셀의 제1단자(B+)와 연결되며 충전전압 또는 방전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인가와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인가단자(VDD), 배터리 셀의 제2단자(B-)와 연결되며 접지되는 기준단자(VSS), 충방전 및 과전류의 유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시단자(V-), 과방전 상태에서 상기 제1FET를 오프시키기 위한 방전차단신호 출력단자(DO), 과충전 상태에서 제2FET를 오프시키기 위한 충전차단신호 출력단자(C0)단자, 및 과전류가 유입되는 상태를 상기 감시단자(V-)보다 더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한 과전류감지단자(Rsense)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은 제1도전형 영역 내지 제5도전형 영역들을 포함하여 배치되되,
제1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감시단자(V-)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1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2도전형 영역은 상기 제2FET의 소오스단자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2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3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전압인가단자(VDD)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3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4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기준단자(VSS)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4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5도전형 영역은 상기 제1FET의 소오스단자 및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과전류감지단자(Rsense)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5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션트저항은 상기 제4도전형 영역과 상기 제5도전형 영역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5도전형 영역은,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6외부연결단자를 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에 있어서:
칩 적층을 위한 칩 영역과 상기 칩 영역의 가장자리 부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을 구비하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칩 영역에 배치되며, 공통드레인구조의 제1FET 및 제2FET를 내장한 듀얼 FET칩과 ;
상기 듀얼 FET칩의 상부면에 적층 배치되어, 배터리의 방전시에 과방전상태를 감지하고, 과방전시에 상기 제1FET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방전동작을 정지시키고, 배터리의 충전시에 과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과충전상태시에 상기 제2FET를 제어하여 충전동작을 정지시키는 프로텍션(protection) IC와;
상기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 중 선택된 두 개의 도전형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어, 과전류가 유입되는 상태를 상기 프로텍션(protection) IC에서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션트저항(Shunt Resistor)을 구비하되,
상기 프로텍션(protection) IC는, 배터리 셀의 제1단자(B+)와 연결되며 충전전압 또는 방전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인가와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인가단자(VDD), 배터리 셀의 제2단자(B-)와 연결되며 접지되는 기준단자(VSS), 충방전 및 과전류의 유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시단자(V-), 과방전 상태에서 상기 제1FET를 오프시키기 위한 방전차단신호 출력단자(DO), 과충전 상태에서 제2FET를 오프시키기 위한 충전차단신호 출력단자(C0)단자, 및 과전류가 유입되는 상태를 상기 감시단자(V-)보다 더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한 과전류감지단자(Rsense)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은 제1도전형 영역 내지 제5도전형 영역들을 포함하여 배치되되,
제1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감시단자(V-)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1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2도전형 영역은 상기 제2FET의 소오스단자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2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3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전압인가단자(VDD)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3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4도전형 영역은 상기 제1FET의 소오스단자 및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과전류감지단자(Rsense)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5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기준단자(VSS)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4 내지 제6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션트저항은 상기 제4도전형 영역과 상기 제5도전형 영역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에 있어서:
칩 적층을 위한 칩 영역과 상기 칩 영역의 가장자리 부위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을 구비하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칩 영역에 배치되며, 공통드레인구조의 제1FET 및 제2FET를 내장한 듀얼 FET칩과 ;
상기 듀얼 FET칩의 상부면에 적층 배치되어, 배터리의 방전시에 과방전상태를 감지하고, 과방전시에 상기 제1FET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방전동작을 정지시키고, 배터리의 충전시에 과충전상태를 감지하고, 과충전상태시에 상기 제2FET를 제어하여 충전동작을 정지시키는 프로텍션(protection) IC와;
상기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 중 선택된 두 개의 도전형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어, 과전류가 유입되는 상태를 상기 프로텍션(protection) IC에서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션트저항(Shunt Resistor)을 구비하되,
상기 프로텍션(protection) IC는, 배터리 셀의 제1단자(B+)와 연결되며 충전전압 또는 방전전압이 인가되는 전압인가와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인가단자(VDD), 배터리 셀의 제2단자(B-)와 연결되며 접지되는 기준단자(VSS), 충방전 및 과전류의 유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시단자(V-), 과방전 상태에서 상기 제1FET를 오프시키기 위한 방전차단신호 출력단자(DO), 과충전 상태에서 제2FET를 오프시키기 위한 충전차단신호 출력단자(C0)단자, 및 과전류가 유입되는 상태를 상기 감시단자(V-)보다 더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한 과전류감지단자(Rsense)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형 영역들은 제1도전형 영역 내지 제6도전형 영역들을 포함하여 배치되되,
제1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감시단자(V-)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1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2도전형 영역은 상기 제2FET의 소오스단자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2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3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전압인가단자(VDD)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3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4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기준단자(VSS)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4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5도전형 영역은 상기 제1FET의 소오스단자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5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제6도전형 영역은 상기 프로텍션 IC의 상기 과전류감지단자(Rsense)와 와이어 또는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통합칩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통합칩의 제6외부연결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션트저항은 상기 제4도전형 영역과 상기 제5도전형 영역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리드프레임(Leadframe),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및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0370A KR101305468B1 (ko) | 2011-12-07 | 2011-12-07 |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0370A KR101305468B1 (ko) | 2011-12-07 | 2011-12-07 |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804A KR20130063804A (ko) | 2013-06-17 |
KR101305468B1 true KR101305468B1 (ko) | 2013-09-06 |
Family
ID=4886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03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5468B1 (ko) | 2011-12-07 | 2011-12-07 |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546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78573A1 (ko) * | 2014-05-22 | 2015-11-26 |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 와이어를 이용한 션트저항을 갖는 배터리 보호 ic 장치 |
RU2638912C2 (ru) * | 2014-12-25 | 2017-12-18 | Сяоми Инк. | Прибор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8227A (ko) * | 2013-07-11 | 2015-01-22 |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 싱글 mosfet을 이용한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위한 프로텍션 ic 시스템 |
KR101873814B1 (ko) | 2013-12-19 | 2018-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텐츠 추천 방법 |
KR20160035110A (ko) * | 2014-09-22 | 2016-03-31 | 주식회사 지니틱스 | 배터리 보호 장치의 충방전 mosfet의 온-저항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KR102259644B1 (ko) | 2018-07-25 | 2021-06-02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기내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배양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68159A (ja) * | 2003-12-02 | 2005-06-23 | Ricoh Co Ltd | 過電流保護回路と充電式電池パック |
KR101054890B1 (ko) * | 2010-05-24 | 2011-08-05 |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 배터리 보호회로의 본딩패드 배치구조 |
-
2011
- 2011-12-07 KR KR1020110130370A patent/KR10130546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68159A (ja) * | 2003-12-02 | 2005-06-23 | Ricoh Co Ltd | 過電流保護回路と充電式電池パック |
KR101054890B1 (ko) * | 2010-05-24 | 2011-08-05 |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 배터리 보호회로의 본딩패드 배치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78573A1 (ko) * | 2014-05-22 | 2015-11-26 |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 와이어를 이용한 션트저항을 갖는 배터리 보호 ic 장치 |
KR20150134650A (ko) * | 2014-05-22 | 2015-12-02 |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 와이어를 이용한 션트저항을 갖는 배터리 보호 ic 장치 |
KR101594783B1 (ko) * | 2014-05-22 | 2016-02-18 |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 와이어를 이용한 션트저항을 갖는 배터리 보호 ic 장치 |
RU2638912C2 (ru) * | 2014-12-25 | 2017-12-18 | Сяоми Инк. | Прибор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804A (ko) | 2013-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9109B1 (ko) |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지모듈 | |
KR101305468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 |
KR101054888B1 (ko) |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배치구조 | |
KR101266509B1 (ko) | 플립칩을 이용한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지 모듈 | |
KR101070840B1 (ko) |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징구조 | |
KR101594783B1 (ko) | 와이어를 이용한 션트저항을 갖는 배터리 보호 ic 장치 | |
KR101274227B1 (ko) |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징 배치구조 | |
KR101749248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0726590B1 (ko) | 하이브리드칩형 배터리 보호회로모듈 | |
KR101288059B1 (ko) | 배터리 보호회로의 패키지 모듈 | |
KR101054890B1 (ko) | 배터리 보호회로의 본딩패드 배치구조 | |
KR101746762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1749247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1170117B1 (ko) | 배터리 보호회로의 통합칩 구조 | |
KR101749246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1731415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1771154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2220900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 |
KR101763070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장치 | |
KR101830282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20180085480A (ko) |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 | |
KR101474742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패키지와 이를 이용한 어셈블리 및 배터리 팩 | |
KR101651273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및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 | |
KR101529552B1 (ko) | 전지 보호 모듈 패키지에 실장된 수동소자 값 측정방법 | |
KR101764322B1 (ko) |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