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215B1 - Battery Pack Having Insert Type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Having Insert Type Battery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5215B1 KR101305215B1 KR1020110001182A KR20110001182A KR101305215B1 KR 101305215 B1 KR101305215 B1 KR 101305215B1 KR 1020110001182 A KR1020110001182 A KR 1020110001182A KR 20110001182 A KR20110001182 A KR 20110001182A KR 101305215 B1 KR101305215 B1 KR 1013052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battery pack
- rack
- module
- rear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45—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external coating on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로 이루어진 단위셀이 둘 이상의 개수로 적층된 구조의 단위셀 배열체를 육면체 형상의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고 있고, 상기 단위셀들의 검출 온도 또는 전압을 제어부로 송부하기 위한 접속부가 모듈 케이스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들(battery modules); 및 상기 전지모듈들이 삽입 방식으로 각각 장착될 수 있는 구획들을 가진 격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 장착 과정에서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결합될 수 있는 내부 커넥터가 후면 벽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커넥터와 전기적 연결된 상태로 후면 벽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랙(rack);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nit cell arra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unit cell consisting of a battery cell or a unit module is stacked in a number of two or more is mounted in a hexahedral module case, and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temperature or voltage of the unit cells to a controller. Battery modules (battery modules) that the connection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module case; And a lattice structure having compartments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can be mounted in an inserting manner, and an internal connector to which a connection part of the battery module is coupled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rear wall in the insertion and mounting process. A rack including an external connector formed at the rear of the rear wall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rear wall; It provide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로 이루어진 단위셀이 둘 이상의 개수로 적층된 구조의 단위셀 배열체를 육면체 형상의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고 있고, 상기 단위셀들의 검출 온도 또는 전압을 제어부로 송부하기 위한 접속부가 모듈 케이스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들; 및 상기 전지모듈들이 삽입 방식으로 각각 장착될 수 있는 구획들을 가진 격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 장착 과정에서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결합될 수 있는 내부 커넥터가 후면 벽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커넥터와 전기적 연결된 상태로 후면 벽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랙;으로 구성된 구조의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having a nove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 unit cell arrangemen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unit cells consisting of battery cells or unit modules are stacked in a hexagonal module case. Battery modules having a connection part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temperature or voltage of the unit cells to a controller; And a lattice structure having compartments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can be mounted in an inserting manner, and an internal connector to which a connection part of the battery module is coupled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rear wall in the insertion and mounting process. It relates to a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consisting of; rack including an external connector formed in the rear of the rear wall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의 동력원과, 유휴 전력을 저장하여 필요한 시점에 사용하는 전력 저장장치의 단위셀로도 주목받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is a power source of the electric vehicle (EV),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d idle power that is proposed as a solution to solve the air pollution of conventional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that use fossil fuel. Attention has also been drawn to the unit cell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o be stored and used at the required time.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전력 저장장치,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팩이 사용된다.Small and mobile devices use one or two or three battery cells per device, whereas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power storage devices and automobiles require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do.
중대형 전지팩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팩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Since the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weight, a prismatic battery, a pouch-type battery, and the like, which can be charged with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and have a small weight to capacity, are mainly used as battery cells of a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In particular, a pouch-shaped battery using an aluminum laminate sheet or the like as an exterior member has recentl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small weight,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shape deformation.
중대형 전지팩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 및 병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하고 외력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In order for a medium-large battery pack to provide the output and capacity required by a given device or device, it is necessary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and in parallel and maintain a stable structure against external force.
이와 관련하여, 고전압 고전류의 전력 저장용 전지팩을 구성하기 위해, 여러 개의 전지모듈들을 층별로 적층하는 구조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지모듈들은 각 층별로 기계적 체결을 위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 구조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regard, in order to configure a battery pack for power storage of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battery modules are stacked in layers is generally used. However, these battery modul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is very complicated and the process time is long because a fixed structure must be formed using a separate tool for mechanical fastening for each layer.
한편, 전지모듈은 다수의 전지셀들이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일부 전지셀들이 과전압, 과전류 또는 과발열 되는 경우에는 전지모듈의 안전성과 작동효율이 크게 문제되므로, 이를 검출하여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압센서 등을 전지셀들에 연결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하고 있는 바, 이러한 검출수단의 장착 내지 연결은 전지모듈의 조립과정을 매우 번잡하게 하고 이를 위한 다수의 배선으로 인해 단락 및 작업자의 감전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attery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mbined, when some battery cells are overvoltage, overcurrent, or overheating, the safety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are greatly detrimental. need. Therefore, by connecting a voltage sensor or the like to the battery cells to check and control the operation state in real time or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installation or connection of such a detection means makes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very complicated and many Wiring also poses a risk of short circuits and electric shock to workers.
구체적으로, 전력 저장용 전지팩에서는 검출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들을 형성하고, 각각의 전지모듈에 별도의 고전압 와이어 하네스를 연결하여 전지팩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룬다. Specifically, in the battery pack for power storage to form a battery module is equipped with a detection means, and to connect a separate high voltage wire harness to each battery module to achiev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pack.
그러나, 전지셀 불량 등의 이유로 전지모듈을 교체해야 할 경우, 전력 저장용 전지팩은 고전압 및 고전류 사양이므로, 전류를 차단하더라도 잔류 전류에 의한 위험성이 존재하며, 전지모듈의 교체에 큰 어려움이 있다. However, when the battery module needs to be replaced due to a defective battery cell, the battery pack for power storage has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specifications, so there is a risk of residual current even when the current is blocked, and there is a great difficulty in replacing the battery module. .
따라서, 전지모듈의 장착이 용이하고 전지모듈의 교체 시 안전성이 향상된 특정 구조의 전지팩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battery pack of a specific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the battery module and improved safety when replacing th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모듈들을 랙에 삽입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소망하는 전력 용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전지팩을 구성하고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 전지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battery module in the rack by inserting the method to configure the battery pack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power capacity variable and to provide a battery pack structure with improved mainten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지모듈들을 랙에 삽입하는 공정만으로 전기적 연결 구조를 안전하게 구현하는 전지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structure for safely implemen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nly by inserting battery modules into a rac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로 이루어진 단위셀이 둘 이상의 개수로 적층된 구조의 단위셀 배열체를 육면체 형상의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고 있고, 상기 단위셀들의 검출 온도 또는 전압을 제어부로 송부하기 위한 접속부가 모듈 케이스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들(battery modules); 및A unit cell arra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unit cells consisting of battery cells or unit modules are stacked in a hexagonal module case, and a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temperature or voltage of the unit cells to the controller is a module. Battery modules mounted to the rear of the case; And
상기 전지모듈들이 삽입 방식으로 각각 장착될 수 있는 구획들을 가진 격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 장착 과정에서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결합될 수 있는 내부 커넥터가 후면 벽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커넥터와 전기적 연결된 상태로 후면 벽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랙(rack); The battery modules have a lattice structure with compartments that can be mounted in an insertion manner, and an internal connector to which a connection part of a battery module can be coupled is formed in front of a rear wall in an insertion and mounting process. A rack including an external connector formed at the rear of the rear wall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상기 전지모듈을 랙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랙의 내부 커넥터에 자동으로 결합되면서 외부 커넥터로 연결되므로, 외부로부터 전지모듈의 검출 온도 또는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or while the battery module is automatically coupled to the internal connector of the rack, just by inserting the battery module into the rack, so that the detected temperature or voltage of the battery module from the outsid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detecting the can be easily implemented.
본 발명에서는 온도 또는 전압의 검출 정보를 제어부로 송부하는 수단으로서, 전지모듈의 접속부와 랙의 내부 커넥터를 정의하고 있는 바, 상기 용어의 표현들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형상은 검출 정보의 전달을 위해 접속부와 커넥터가 결합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속부가 돌출 구조의 수(male) 체결 구조를 가지고 그에 대응하여 내부 커넥터가 만입 구조의 암(female) 체결 구조를 가지는 조합과, 접속부가 만입 구조의 암 체결 구조를 가지고 그에 대응하여 내부 커넥터가 돌출 구조의 수 체결 구조를 가지는 조합이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형상들은 용어의 표현에 관계없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end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temperature or voltage to the control unit, the connection part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internal connector of the rack are defined. Despite the expressions of the above terms, their shapes do not transfer the detection information. The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 combination in which the connector has a male fastening structure of the protruding structure and correspondingly the internal connector has a female fastening structure of the indentation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has a female fastening structure of the indentation structure correspondingly. All combinations in which the internal connector has a male fastening structure of the projecting structure are possible. Accordingly, these shap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expression of the term.
또한, 랙의 내부 커넥터와 외부 커넥터는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고, 상호 조립 방식의 구조일 수도 있다. 후자의 예로서, 내부 커넥터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 커넥터는 관통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암수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onnector and the outer connector of the rack may be an integrated structure, or may be a structure of mutual assembly. As the latter example, the inner connector is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and the outer connector is formed in a through structure, and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male and female fastening structures.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랙의 후면 벽에는, 전지모듈의 삽입 장착 과정에서,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내부 커넥터에 결합하는 과정을 완충할 수 있는 장착 가이드 부재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내부 커넥터의 결합시 충격을 완화하면서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rear wall of the rack further includes a mounting guide member for buffer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to the internal connector in the insertion and mounting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the connection portion and When the internal connector is coupled,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coupling while alleviating the impact.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장착 가이드 부재는 후면 벽에 결합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전지모듈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 specific example, the mounting guide member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main body coupled to the rear wall and a compression spring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ward the battery module.
따라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전지모듈이 랙에 삽입될 때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내부 커넥터와 접속부가 안전하게 결합되는 것을 돕는다.Thus, the compression spring buffers shock when the battery module is inserted into the rack, thereby helping to securely couple the internal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전지팩의 불량 등의 이유로 급작스러운 전력공급의 중단 및 단선이 행해지는 경우, 서서히 삽입되는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제어부의 회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udden power interruption and disconnection are performed for reasons such as a defective battery pack, it is possible to prevent affecting the circuit of the controller by the compression spring gradually inserted.
상기 장착 가이드 부재는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내부 커넥터에 결합하는 과정을 완충할 수 있는 위치라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장착 가이드 부재들이 내부 커넥터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mounting guide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uffer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ion part of the battery module to the internal connector. Preferably, the mounting guide memb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guide members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internal connector. .
상기 외부 커넥터에는 전지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하니스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or may be coupled to a wire harnes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pack.
상기 구조에서, 외부 커넥터는 와이어 하니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후면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the external connector may protrude from the back wall to facilitate coupling of the wire harness.
한편, 상기 제어부는 바람직하게는 전지모듈들의 작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may preferably b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module.
본 발명의 전지팩에서, 랙은 전지모듈들이 삽입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구획들을 종방향(높이방향)으로 1열 또는 그 이상 가진 격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횡방향(폭방향)으로도 둘 이상의 전지모듈들이 삽입방식으로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ck consists of a lattice structure having one or more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can be mounted in an inserting manner, and preferab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dth direction). In addition,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battery modules are mounted in an inserting manner.
상기 삽입방식은, 예를 들어, 전지모듈의 하부에 슬라이딩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랙에서 전지모듈의 하부에 대응하는 면에 슬라이딩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method may be achieved by, for example, a sliding groove or a protrusion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and a sliding protrusion or groove formed in a surface of the rack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랙은, In one preferred example, the rack is
(a) 랙의 하단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a) a base plate forming the bottom of the rack;
(b)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각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좌측 수직 프레임들과 한 쌍의 우측 수직 프레임들;(b) a pair of left vertical frames and a pair of right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extending upward from the rectangular corners of the base plate;
(c) 구획을 형성하는 높이 단위로,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좌측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우측 수평 프레임들; 및(c) left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left vertical frames and right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right vertical frames in height units forming a partition; And
(d) 동일 구획에서 좌측 수평 프레임과 우측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획에 장착되는 전지모듈들을 지지하는 구획 프레임들; (d) compartment frames supporting battery modules mounted in the compartment by connecting the left horizontal frame and the right horizontal frame in the same compartment;
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comprising a.
따라서, 상기 랙은 전지모듈들을 하나씩 삽입하거나, 또는 전지모듈들을 구획별로 동시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지모듈 별로 냉각을 수행하거나, 또는 전지모듈들을 2개 이상 조합하여 층별 냉각이 가능한 구조로 확장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rack may insert the battery modules one by one or insert the battery modules at the same time for each section. In addition, cooling may be performed for each battery modul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may be expanded to a structure that enables cooling by floors.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방향들은, 전지팩의 정면(도 6의 A)에서 전지팩을 투시한 상태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 '상', '하' 등으로 설정하여 표현한다.For reference, the direction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ased on the state of seeing the battery pack from the front of the battery pack (A of FIG. 6), 'before', 'after', 'left', 'right', 'upper', Set it to 'ha' and so on.
하나의 예에서,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들과 우측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는 각각 측벽이 장착되어 있어서, 전지모듈들이 랙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side walls are mounted between the left vertical frames and the right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to prevent the battery modules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rack.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구획 프레임은 전방의 좌측 수평 프레임과 전방의 우측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방 프레임, 및 후방의 좌측 수평 프레임과 후방의 우측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는 후방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partition frame may include a front frame connecting the front left horizontal frame and the front right horizontal frame, and a rear frame connecting the rear left horizontal frame and the rear right horizontal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의 높이는 전지모듈의 높이와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전체적인 전지팩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compartment has a size that matches the height of the battery module, so that the size of the overall battery pack can be compactly configured.
한편, 상기 후면 벽의 외면에는 전기절연성 커버가 추가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어서, 전지팩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wall may be additionally equipped with a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afety of the battery pack.
상기 전지셀은 한정된 공간에서 높은 적층률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판상형 전지셀이며, 예를 들어,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The battery cell is preferably a plate-shaped battery cell so as to provide a high lamination rate in a limited space, for example, a pouch type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 a battery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It may be a battery cell.
구체적으로는, 전지셀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로서, 전체적으로 폭 대비 두께가 얇은 대략 직육면체 구조인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셀은 일반적으로 파우치형의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지케이스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외부 피복층; 수분, 공기 등에 대해 차단성을 발휘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차단층; 및 열융착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내부 실란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battery cell is a pouch type battery cell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cathode / separation membrane / cathode structure is sealed inside the battery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nd has a plate-shaped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having a thin thickness to width. Such a pouch-shaped battery cell is generally composed of a battery case of a pouch type, and the battery case is composed of an outer coating layer made of a polymer resin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 barrier layer made of a metal material exhibiting barrier properties against moisture, air, and the like; And an inner sealant layer composed of a polymer resin that can be thermally fused, are laminated in this order.
상기 전지셀은 전지모듈 및 전지팩의 구성시 고전압 및 고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차전지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체적당 에너지 저장량이 크고 소형화하기 쉬운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The battery cel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providing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when the battery module and the battery pack are configured. Preferably, the battery cell ma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large amount of energy storage per volume and easy to be miniaturiz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지셀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는 전지셀의 상단 또는 하단에 함께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Preferably,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may be a structure form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battery cell together.
상기 전지팩은 바람직하게는 전력 저장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저장장치는 예를 들어 전철 차량에 탑재되는 전력 저장 장치, 전철 분야의 지상 설치용 전력 저장 장치,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충전 장치, 무정전 전원장치,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전력 저장 장치 등을 들 수 있다.The battery pack may be preferably used as a power source of a power storage device. The power storage device may be, for example, a power storage device mounted on a train vehicle, a ground storage power storage device in an electric field,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s,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and power storage devices for smart grid syste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고전압 및 고전류를 필요로 하는 전력 저장 장치 분야에서 전지모듈을 랙에 삽입할 때,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랙의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지모듈의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하여 조립 공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ttery module is inserted into the rack in the field of power storage that requires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the connection of the battery modu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rack, It is easy to combine and replace the battery module can be improved assembly processability.
도 1은 단위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부위를 확대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지팩의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constituting a unit module;
Fig. 2 is an exploded schematic view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module of FIG. 3;
FIG. 5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a part of FIG. 4; FIG.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단위모듈을 구성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전지셀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분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one exemplary battery cell constituting the uni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schematic view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셀(200)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0)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가 그것의 양극 및 음극 탭들(220, 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단자(222, 2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pouch-shaped
전지케이스(100)는 전극조립체(21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142)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140)와 그러한 본체(140)에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덮개(150)로 이루어져 있다.The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의 구조를 가진 전극조립체(210)는 다수의 양극 탭들(220)과 다수의 음극 탭들(230)이 각각 융착되어 전극단자(222, 232)에 함께 결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40)의 잉여부(144)와 덮개 (150)가 열융착기에 의해 열융착될 때 그러한 열융착기와 전극단자(222, 232)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극단자(222, 232)와 전지케이스(100)와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극단자(222, 232)의 상하면에 절연필름(240)이 부착된다. The
케이스 본체(140)와 덮개(150)는 외측 수지층(110), 차단성 금속층(120) 및 내측 수지층(130)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측 수지층(130)은 케이스 본체(140)의 외면과 덮개(150)의 외면에 가해지는 열융착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열과 압력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The
전해액이 함침된 전극조립체(210)를 수납부(142)에 안착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140)의 잉여부(144)와 덮개(150)의 접촉부위를 열융착시키면 실링부가 형성된다.The sealing part is formed by heat-sealing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전지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4의 일부 부위를 확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attery module of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FIG. 4.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팩(900)은 12개의 전지모듈들(600)이 4층 구조로 이루어진 랙(700)에 삽입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전지모듈들(600)은 단위모듈로 이루어진 단위셀(도시하지 않음) 8개가 측면으로 배열된 구조의 단위셀 배열체(560)가 모듈 케이스(500) 내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또한, 단위셀들의 검출 온도 또는 전압을 BMS(810)로 송부하기 위한 접속부(도시하지 않음)가 모듈 케이스(500)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접속부가 내부 커넥터(520)에 삽입 결합된 상태라서 별도로 표현되어 있지 않다. In addition, a connect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temperature or voltage of the unit cells to the
랙(700)은 전지모듈들(600)이 삽입 방식으로 각각 장착될 수 있는 구획들을 높이방향으로 각각 4열을 가진 격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또한, 랙(700)의 후면 벽(790)에는 내부 커넥터(520), 외부 커넥터(530) 및 장착 가이드 부재(54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후면 벽(790)의 전방에는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결합될 수 있는 내부 커넥터(520)가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후면 벽(790)의 후방에 내부 커넥터(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커넥터(530)가 관통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모듈(600)이 랙(700)에 삽입될 때 전지모듈의 접속부와 랙(700)의 내부 커넥터(520)가 결합되면서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반대로, 전지모듈(600)이 랙(700)으로부터 이탈될 때, 전지모듈의 접속부와 랙(700)의 내부 커넥터(520)가 분리되면서 단전이 이루어지므로, 정비 등을 목적으로 전지모듈(600)을 분리할 때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In front of the
장착 가이드 부재(540)는 후면 벽에 결합되어 있는 본체(541)와, 본체(541)로부터 전지모듈(6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542)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 커넥터(52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The mounting
따라서, 전지모듈(600)의 삽입 장착 과정에서,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내부 커넥터(520)에 결합하는 과정을 완충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완충 작용은 전지모듈의 접속부와 내부 커넥터(520)의 급격한 결합시 또는 단선시 BMS(810)에 촉발될 수 있는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in the insertion and mounting process of the
외부 커넥터(530)에는 전지팩(900)의 작동을 제어하는 BMS(810)에 연결되는 와이어 하니스(550)가 결합되어 있으며, 와이어 하니스(5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면 벽(79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The
한편, 후면 벽(790)의 외면에는 전기절연성 커버(800)가 추가로 장착된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ically insulating
도 6에는 도 1 전지팩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팩(900)은 3개의 전지모듈들(600)이 4층 구조로 이루어진 랙(700)에 삽입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 6 together with FIG. 1, the
랙(700)은 랙(700)의 하단을 형성하는 1개의 베이스 플레이트(710), 한 쌍의 좌측 수직 프레임들(730)과 우측 수직 프레임들(720), 4개의 좌측 수평 프레임들(750)과 우측 수평 프레임들(740), 4쌍의 구획 프레임들(760), 및 한 쌍의 측벽들(770)로 이루어져 있다.The
좌측 수직 프레임들(730)과 우측 수직 프레임들(720)은 베이스 플레이트(710)의 사각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있고, 좌측 수평 프레임들(750)과 우측 수평 프레임들(740)은 구획을 형성하는 높이(H) 단위로 각각 좌측 수직 프레임들(730)과 우측 수직 프레임들(720)을 연결하고 있다.The left
또한, 구획 프레임들(760)은 동일 구획에서 좌측 수평 프레임(750)과 우측 수평 프레임(740)을 연결하여 구획에 장착되는 전지모듈들(600)을 지지하고, 측벽(770)이 좌측 수직 프레임들(730)과 우측 수직 프레임들(720)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ompartment frames 760 connect the left
구획 프레임(760)은 전방의 좌측 수평 프레임(750)과 전방의 우측 수평 프레임(740)을 연결하는 전방 프레임(764), 및 후방의 좌측 수평 프레임(750)과 후방의 우측 수평 프레임(740)을 연결하는 후방 프레임(762)으로 이루어져 있고, 구획의 높이(H)는 전지모듈(600)의 높이(h)와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지팩(900)의 최상단에는 제어부재인 BMS(810)가 장착되어 있다.The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laims (18)
상기 전지모듈들이 삽입 방식으로 각각 장착될 수 있는 구획들을 가진 격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 장착 과정에서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결합될 수 있는 내부 커넥터가 후면 벽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커넥터와 전기적 연결된 상태로 후면 벽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랙(rack);
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랙의 후면 벽에는, 전지모듈의 삽입 장착 과정에서,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내부 커넥터에 결합하는 과정을 완충할 수 있는 장착 가이드 부재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가이드 부재는 후면 벽에 결합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전지모듈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A unit cell arra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unit cells consisting of battery cells or unit modules are stacked in a hexagonal module case, and a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temperature or voltage of the unit cells to the controller is a module. Battery modules mounted to the rear of the case; And
The battery modules have a lattice structure with compartments that can be mounted in an insertion manner, and an internal connector to which a connection part of a battery module can be coupled is formed in front of a rear wall in an insertion and mounting process. A rack including an external connector formed at the rear of the rear wall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And,
The rear wall of the rack further includes a mounting guide member for buffer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ion of the battery module to the internal connector in the insertion and mounting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The mounting guide member i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ucture including a main body coupled to the rear wall, and a compression spring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ward the battery module.
(a) 랙의 하단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b)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각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좌측 수직 프레임들과 한 쌍의 우측 수직 프레임들;
(c) 구획을 형성하는 높이 단위로,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좌측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우측 수평 프레임들; 및
(d) 동일 구획에서 좌측 수평 프레임과 우측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획에 장착되는 전지모듈들을 지지하는 구획 프레임들;
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ack,
(a) a base plate forming the bottom of the rack;
(b) a pair of left vertical frames and a pair of right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extending upward from the rectangular corners of the base plate;
(c) left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left vertical frames and right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right vertical frames in height units forming a partition; And
(d) compartment frames supporting battery modules mounted in the compartment by connecting the left horizontal frame and the right horizontal frame in the same compartment;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ucture comprising a.
상기 전지모듈들이 삽입 방식으로 각각 장착될 수 있는 구획들을 가진 격자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 장착 과정에서 전지모듈의 접속부가 결합될 수 있는 내부 커넥터가 후면 벽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커넥터와 전기적 연결된 상태로 후면 벽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랙(rack);
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랙은,
(a) 랙의 하단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b)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각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좌측 수직 프레임들과 한 쌍의 우측 수직 프레임들;
(c) 구획을 형성하는 높이 단위로, 상기 좌측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좌측 수평 프레임들과, 상기 우측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우측 수평 프레임들; 및
(d) 동일 구획에서 좌측 수평 프레임과 우측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획에 장착되는 전지모듈들을 지지하는 구획 프레임들;
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A unit cell arra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unit cells consisting of battery cells or unit modules are stacked in a hexagonal module case, and a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temperature or voltage of the unit cells to the controller is a module. Battery modules mounted to the rear of the case; And
The battery modules have a lattice structure having compartments that can be mounted in an inserting manner, and an internal connector to which a connection part of a battery module can be coupled is formed in front of a rear wall in an insertion and mounting process, and A rack including an external connector formed at the rear of the rear wall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And,
The rack is
(a) a base plate forming the bottom of the rack;
(b) a pair of left vertical frames and a pair of right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extending upward from the rectangular corners of the base plate;
(c) left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left vertical frames and right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right vertical frames in height units forming a partition; And
(d) compartment frames supporting battery modules mounted in the compartment by connecting the left horizontal frame and the right horizontal frame in the same compartment;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ucture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1182A KR101305215B1 (en) | 2011-01-06 | 2011-01-06 | Battery Pack Having Insert Type Battery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1182A KR101305215B1 (en) | 2011-01-06 | 2011-01-06 | Battery Pack Having Insert Type Battery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9858A KR20120079858A (en) | 2012-07-16 |
KR101305215B1 true KR101305215B1 (en) | 2013-09-12 |
Family
ID=4671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1182A KR101305215B1 (en) | 2011-01-06 | 2011-01-06 | Battery Pack Having Insert Type Battery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521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9000B1 (en) * | 2016-08-17 | 2018-09-14 | 주식회사 메가테크 | Rack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 |
DE102017119466B4 (en) | 2017-08-25 | 2022-06-09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Device for storing electrical energy for a motor vehicle |
US10698445B1 (en) * | 2018-12-14 | 2020-06-30 | Dell Products L.P. |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ulti-cell cantilevered batter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17821A (en) * | 2000-10-04 | 2002-04-19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Storage battery housing cabinet and connecting method of storage battery housing |
JP2006351311A (en) * | 2005-06-15 | 2006-12-28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Backup power supply system |
JP2008243526A (en) * | 2007-03-27 | 2008-10-09 | Hitachi Vehicle Energy Ltd | Battery module |
KR20100081942A (en) * | 2009-01-06 | 2010-07-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odule of noble structure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
-
2011
- 2011-01-06 KR KR1020110001182A patent/KR10130521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17821A (en) * | 2000-10-04 | 2002-04-19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Storage battery housing cabinet and connecting method of storage battery housing |
JP2006351311A (en) * | 2005-06-15 | 2006-12-28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Backup power supply system |
JP2008243526A (en) * | 2007-03-27 | 2008-10-09 | Hitachi Vehicle Energy Ltd | Battery module |
KR20100081942A (en) * | 2009-01-06 | 2010-07-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odule of noble structure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9858A (en) | 2012-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31499B2 (en)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 |
KR102382382B1 (en) | Battery Module Having Heat-Shrinkable Tube | |
KR101276186B1 (en) |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
KR101281811B1 (en) |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tructure Stability | |
KR101217564B1 (en) |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
KR100863729B1 (en) | Battery module interface | |
KR101053208B1 (en)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welding reliability and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s including the same | |
US10950904B2 (en) | Battery system and electrically driven vehicle equipped with battery system | |
KR101326182B1 (en) | Battery Module Based upon Unit Module Having External Covering Member and Cartridge | |
JP2018006314A (en) | Battery submodule carrier, battery submodule, battery system, and vehicle | |
KR101305218B1 (en) | Battery Module Having Fixing Member and Coupling Member,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 |
KR20140060633A (en) |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
KR20120053589A (en)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 |
KR101799565B1 (en) |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 |
KR102055852B1 (en) | Pouch-type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odified leads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 |
KR101736377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150129624A (en) | Battery Pack Including Spacer | |
KR20120055156A (en) | Battery module having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 |
KR20130116446A (en) | External input and output cab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employed with the same | |
KR101305215B1 (en) | Battery Pack Having Insert Type Battery Module | |
KR20140039349A (en) |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 |
KR20140019951A (en) | Battery module with bus-bar for changing position of output terminal | |
KR101671483B1 (en) | Battery Module having Cartridge Stacking Structure with Coolant Flow Channel | |
KR100904375B1 (en) | Fuse-mounted battery cartridges and battery modules containing them | |
KR101859684B1 (en) |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