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960B1 - A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A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4960B1 KR101304960B1 KR1020120137695A KR20120137695A KR101304960B1 KR 101304960 B1 KR101304960 B1 KR 101304960B1 KR 1020120137695 A KR1020120137695 A KR 1020120137695A KR 20120137695 A KR20120137695 A KR 20120137695A KR 101304960 B1 KR101304960 B1 KR 1013049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assembly
- cooking vessel
- main body
- coo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되는 음식을 조리하게 되는 냄비나 후라이팬 등의 조리용기에 원터치로 탈,부착되어 가열된 조리용기의 이동이나 조리시 또는 식탁에서의 사용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탈부착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탈,부착하게 됨으로써 식탁에서의 공간활용이나 용기를 보관할 경우에 손잡이를 제거한 상태에서 용기를 겹쳐서 보관토록 함으로써 많은 용기를 보관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과 사용자에게 사용시 안정감을 부여하면서 조작의 정확성을 유도함은 물론 손잡이와 조리용기 상의 유격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안정감을 부여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손잡이에 절첩되어지는 레버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레버의 임의적이 조작에 의하여 조리용기의 걸림부에 탈부착토록 하고, 탈부착될 경우에 작동판에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탄성부재가 걸림부와 긴밀하게 밀착토록 함으로서 작동조작의 안정성과 결합시 좌우유동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and attached to a cooking vessel such as a pan or a frying pan for cooking a heated food with a single touch, and the handle for a detachable cooking vessel so as to make use of the space when the heated cooking vessel is moved or used during cooking or at the table. It is about.
In particular, by removing and attaching the handles for cooking vessels, when storing the containers at the table or storing the containers, the containers can be stored by stacking the containers with the handles removed so that many containers can be stored and the user can utilize the efficient space. In addition to inducing a sense of stability in use while inducing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as well as to remove the play on the handle and cooking vessel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To this end, a lever that is folded on the handle is mounted so that the user can attach and detach it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by an arbitrary operation of the lever.In case of detachment, the elastic member is attached to the operation plate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The close contact prevents left and right flow when combined with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되는 음식을 조리하게 되는 냄비나 후라이팬 등의 조리용기에 원터치로 탈,부착되어 가열된 조리용기의 이동이나 조리시 또는 식탁에서의 사용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탈,부착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and attached to a cooking vessel such as a pan or a frying pan for cooking a heated food with one touch, so that the cooking vessel can be removed and attached to utilize a space when the heated cooking vessel is moved or used during cooking or at a table. It is about a dragon handle.
특히 이러한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사용자에게 사용시 안정감을 부여하면서 조작의 정확성을 유도함은 물론 손잡이와 조리용기 상의 유격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안정감을 부여토록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handle of the cooking vessel gives a sense of stability to the user while inducing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as well as to remove the play on the handle and the cooking vessel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일반적으로 조리용기의 상단에는 일측이나 양측에 손잡이가 구비되어져 이동을 용이토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의 문제점은 손잡이로 인하여 조리공간이나 식탁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와 주방 싱크대에 조리용기를 보관할 경우에도 손잡이로인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면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라는 것이고, 또한 조리시 가열열에 의하여 손잡이가 가열됨으로 손잡이의 손상이 발생되고, 따라서 이러한 손상방지를 위한 고가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서 원가도 상승된다라는 것이고 이러한 손잡이로 인하여 포장상태에서의 전체적인 부피도 커지게 됨으로 물류비도 상승된다라는 것이다.In general, the top of the cooking vessel is provided with handles on one side or both sides to facilitate movement. The problem of this is that the handle takes up a lot of space in the cooking space or the dining table and even when the cooking vessel is stored in the kitchen sink. Due to this, it takes up a lot of space and cannot use the space efficiently. Also, when the handle is heated by heating heat during cooking, damage to the handle occurs. Therefore, cost is increased by using expensive materials to prevent such damage. This handle increases the overall volume in the packaging, thereby increasing the logistics cost.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조리용기에 손잡이를 형성치 아니하고, 조리용기의 상단테두리를 집어서 조리용기를 이동토록 하는 탈,부착용 손잡이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에서 불안감을 조성하게 되며 또한 부주의에 의하여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된다라는 것이다.Therefore,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handle for removing or attaching a handle to move the cooking container by picking the upper edge of the cooking container without forming a handle on the cooking container has been proposed. Is caused by the problem of deviation.
따라서 최근에는 조리용기의 상단에 손잡이의 걸림을 위한 걸림부를 형성토록 한 후 손잡이가 걸림부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토록 함으로서 사용시의 안정감을 부여하였던 것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upper end of the cooking vessel was formed to catch the handle for locking the handle to be detachable to the locking portion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in use.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걸림부에 손잡이가 걸림토록 하기 위하여는 일정한 유격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유격에 의하여 이동시 조리용기가 좌우로 유동이 발생되어 불안정하다라는 것이고 탈착을 위하여 조작버튼을 구비할 경우에 이러한 조작버튼의 조작이 정밀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리가 용이치 아니하거나 또는 원터치로 결합될 경우에 결합이 용이치 않게 된다라는 것이다.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is is that a certain play must be formed in order for the handle to be caught in the catch, and the cook container is unstable due to flow left and right when moving by this play. I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is not precise, the separation is not easy, or when combined with one-touch is not easy to combine.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리용기에 손잡이를 탈,부착토록 함으로서 식탁에서 사용하거나 싱크대에 보관할 경우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갖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ense of stability to the user while efficiently using the space when used at the table or stored in the sink b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handle to the cooking vessel by the user's operation on the handle.
또한 이러한 조작시 손잡이의 좌우 유동을 방지토록 함으로서 불안정한 결합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flow of the handle during this operation to eliminate the unstable coupling.
이를 위하여 손잡이에 절첩되어지는 레버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레버의 임의적이 조작에 의하여 조리용기의 걸림부에 탈,부착토록 하고, 탈,부착될 경우에 작동판에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탄성부재가 걸림부와 긴밀하게 밀착토록 함으로서 작동조작의 안정성과 결합시 좌우유동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To this end, a lever that is folded on the handle is mounted so that the user can detach and attach the cooking portion to the cooking vessel by arbitrary manipulation of the lever.In case of detachment and attachment, the elastic member is caught by attaching an elastic member to the operation plate. The close contact with the part prevents the flow of left and right when combined with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가 사용자의 임의적인 조작에 의하여 조리용기에서 탈,부착됨으로써 식탁에 놓일 경우나 싱크대에 보관할 경우 효율적인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동시에 부착시에는 조리용기의 걸림부에 결합되는 작동판이 조리용기의 걸림부의 외주면과도 긴밀하게 밀착됨으로 탈,부착시 갖게 되는 유격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조리용기의 이동시 좌우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to the user while being provided with the advantage that the handle can be utilized by the user's arbitrarily operated by the user's discretionary and attached to the cooking table when placed on the table or stored in the sink, while utilizing the efficient space. At the time, the operation plate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thereby preventing the left and right flow during movement of the cooking vessel by removing the clearance that is attached and detached.
도1a 와 도1b는 본 발명의 편수손잡이와 양수손잡이의 일실시예의 조립구조도.
도2a 와 도2b는 본 발명의 손잡이에 형성된 절첩레버의 조작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손잡이 본체에 절첩레버가 결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절첩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판이 작동되는 상태도.
도5a 내지 도5b는 본 발명의 작동판의 또 다른 구조에 의한 손잡이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조립도.
도6a 내지 도6b는 본 발명의 작동판의 또 다른 구조에 의하여 손잡이가 조리용기의 걸림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걸림부에 형성된 상태도.
도8은 종래의 조리용기의 걸림부에 탈착토록 되는 손잡이의 작동상태도.
도9는 종래의 조리용기의 상단테두리에 집게형식으로 탈착되는 손잡이의 작동상태도.Figure 1a and Figure 1b is an assembly structure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single-handed handle and the positiv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and Figure 2b is a state of operation of the folding lever formed on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lding lever coupled to the handl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plate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olding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b are assembled views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according to another structure of the opera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b is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low is prevent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by another structure of the opera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formed o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ok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handle to be detachable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cooking vessel.
Figure 9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handle detachable in the form of tongs on the upper edge of the conventional cooking vessel.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잡이(10)는 용기(100)의 일측에만 손잡이(10)가 형성되는 편수용기와 양측으로 손잡이(10)가 형성된 양수용기에 모두 적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손잡이(10)의 작동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10a)의 상면에 노출되어 임의적인 조작이 가능한 절첩레버(20)가 형성되고, 상기 절첩레버(20)의 임의적인 조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판(30)과 상기 작동판(30)이 손잡이(10) 내부에 수용되어 작동토록 유도하는 스프링(40)과 상기 작동판(30)과 스프링(40)이 손잡이(10) 내부에 수용토록 되는 손잡이 본체(10a)와 결합되는 조립체(10b)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1 and 2, the
이때 절첩레버(20)는 손잡이(10)가 조리용기(100)의 걸림부(110)에 결합되어져 조리용기(100)를 이동토록 할 경우에 발생되는 하중에 견딜 수 있으면서 외면을 깔끔하게 하기 위하여 절첩레버(20)는 손잡이 본체(10a)의 이면에서 끼움되어져 절첩레버(20)의 회동축(21)이 걸림되어지면서 회동토록 손잡이 본체(10a)에 일체로 회동홈(11)을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서 많은 하중에 의하여도 절첩레버(20)의 회동축(21)과 손잡이 본체(10a)의 회동홈(11)과의 결합력을 우수하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이물질이 끼임되지 않토록 함으로서 외관을 깔끔하게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절첩레버(20)를 손잡이 본체(10a)와의 조립시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절첩레버(20)의 상면 즉 회동축(21)이 형성된 상면은 만곡면(22)으로 형성하고 하면에 형성되는 누름돌부(23)는 일측면으로 경사면(23a)으로 형성토록 하고 손잡이 본체(10a)에는 절첩레버(20)가 끼임되어지도록 개구부(12)를 형성하여 누름돌부(23)의 경사면(23a)과 밀착되는 부분에는 경사면(12a)을 형성하여 절첩레버(20)를 개구부(12)에 끼임토록 한 후 가압토록 하면 경사면(23a,12a)에 의하여 슬라이드 되면서 끼임이 용이하게 되고, 이와 같이 끼임된 상태에서는 절첩레버(20)의 상면에 형성된 만곡면(22)이 손잡이 본체(10a)의 개구부(12) 상면의 경계선(12b)보다 만곡면(22)의 만곡각의 중앙의 상측이 걸림되면서 끼임토록 되어 절첩레버(20)가 개구부(12)를 통하여 손잡이 본체(10a)에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회동축(21)이 회동홈(11)에 긴밀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회동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assemble the
또한 누름돌부(23)는 손잡이 본체(10a)의 상면에 위치된 절첩레버(20)가 하강한 상태 즉 손잡이 본체(10)의 상면과 동일 수평면을 형성할 경우에는 직립토록 되면서 작동판(30)을 가압토록 함으로서 취급시 걸림이 없이 용이함은 물론 안전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또한 누름돌부(23)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판(30)은 작동판(30)의 후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부(31)가 내입되어지게 힌지홈(13)이 형성된 조립체(10b)에 내입되어 조립체(10b)를 손잡이 본체(10a)와 조립토록 함으로서 조립되는 것이고, 이때 작동판(30)의 반복작동을 위하여 스프링(40)이 조립체(10b)와 작동판(30)의 사이에 위치토록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때 조립체(10b)에는 스프링(40)의 고정을 위한 홈부(14)가 형성되어져 스프링(40)이 홈부(14)에 내입된 상태에서 작동판(30)을 가압함으로 정확한 작동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이때 작동판(30)이 조립체(10b)에 장착된 스프링(40)에 의하여 탄력지지되기 위하여 스프링(40)이 조립체(10b)보다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작동판(30)의 유동방지를 위하여 손잡이 본체(10a)에는 작동판(30)이 수용되어질 수 있는 수용부(15)를 형성함으로서 수용부(15)에 수용된 작동판(30)을 절첩레버(20)의 누름돌부(23)로 정확하게 누름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t this time, since the
또한 이때 손잡이 본체(10a)에 형성된 수용부(15)에 수용되어진 작동판(30)의 돌출된 힌지부(31)가 조립체(10b)에서만 내입되어 회동될 경우에 부정확한 회동이 될 수 있어 돌출된 힌지부(31)의 양측으로 회동축(32)을 돌출되게 형성한 후 상기 힌지축(32)이 안착될 수 있도록 회동축홈(16)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또한 조립체(10b)가 조립된 상태에서 조리용기(100)의 이동을 위하여 들어올릴 경우에 조리용기(100)의 모든 하중이 조립체(10b)에 의하여 받쳐지게 됨으로 이러한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조립체(10b)가 손잡이 본체(10a)에 결합될 경우에 손잡이 본체(10a)에는 결합축(17)을 돌출토록 하고, 조립체에는 돌출된 결합축(17)이 내입될 수 있도록 내입홈(18)이 형성토록 함으로서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힘의 방향이 직하방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이러한 결합축(17)과 내입홈(18)에 의하여 하중에 의하여도 조립체(10b)가 손잡이 본체(10a)와 조립된 부분에 하중이 전달되지 않토록 함으로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축(17)에는 나사홈(17a)이 형성됨으로 조립체의 내입홈(18)의 관통홀(18a)을 통하여 나사로 조입결합토록 함으로서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도5a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판(30)에는 걸림후크(33)의 외측으로 소정 또는 길게 연장되게 보조날개(34)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날개(34)에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된 탄성요소(35)를 장착함으로서 조리용기(100)의 걸림부(110)와 탈착을 위하여 형성된 유격이 탄성요소(35)로 보상토록 됨으로서 좌,우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A and 5B, an
따라서 유격을 보상토록 되는 탄성요소(35)를 장착함으로서 손잡이(10)의 절첩레버(20)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판(30)이 작동되어 조리용기(100)의 걸림부(110)에 작동판(30)이 걸림되어져 이동될 경우에 상기 보조날개(34)에 장착된 탄성요소(35)에 의하여 걸림부(110)가 균일하게 가압되어짐으로 손잡이(10)를 조리용기(100)에 결합할 경우에 상기 탄성요소(35)의 가압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고 작동판(30)의 걸림후크(33)에 의하여 걸림부(110)의 걸림홈(111)에 걸림토록 되면서 후방으로 빠짐도 방지되어지는 것이다.Therefore, by mounting the
10a,10b: 손잡이본체, 조립체 11: 회동홈
12: 개구부 13: 힌지홈
14: 홈부 15: 수용부
16: 회동축홈 17: 결합축
18: 내입홈
20: 절첩레버 21: 회동축
22: 만곡면 23: 누름돌부
30: 작동판 31: 힌지부
32: 힌지축 33: 걸림후크
34: 보조날개 35: 탄성요소
40: 스프링
100: 조리용기 110: 걸림부
111: 걸림홈10a, 10b: handle body, assembly 11: rotating groove
12: opening 13: hinge groove
14: groove 15: receiving portion
16: pivot shaft 17: coupling shaft
18: Inner groove
20: Folding lever 21: Rotating shaft
22: curved surface 23: push stone
30: operation plate 31: hinge portion
32: hinge shaft 33: hook hook
34: auxiliary wing 35: elastic element
40: spring
100: cooking container 110: hook
111: hanging groove
Claims (10)
상기 누름돌부(23)에 의하여 작동되는 작동판(30)은 작동판(30)의 후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부(31)가 내입되어지게 힌지홈(13)이 형성된 조립체(10b)에 내입되어 조립체(10b)를 손잡이 본체(10a)와 조립토록 되는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The assembly 10b is assemb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main body 10a and the handle main body 10a by fixing means, and the rotating shaft 21 is formed at both sides in the interior where the handle main body 10a and the assembly 10b are assemble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while the folding lever 20 having the pressing protrusions 23 formed on the lower surface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2 ope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10 so that the opening 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The rotating shaft 21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olding lever 20 is engaged with the pivoting groove 11 formed therein, and the operation plate 30 operated by the spring 40 to the lower side to which the folding lever 20 is coupled. ) Is combined to expose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10a) by the arbitrary manipulation of the folding lever 20 is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23 presses the operating plate 30, the operating plate 30 is cooking vessel 100 In the handle to be detached, attached to the locking portion 110 of the),
The operating plate 30 actuat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3 is embedded in the assembly 10b in which the hinge groove 13 is formed so that the hinge portion 31 protruded at the rear end of the operating plate 30 is inserted therein. A detachable handle for a cooking vessel to assemble the assembly 10b with the handle main body 10a.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695A KR101304960B1 (en) | 2012-11-30 | 2012-11-30 | A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CN201310091636.7A CN103211509B (en) | 2012-11-30 | 2013-03-21 | For the auxiliary handle of cooking utensi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695A KR101304960B1 (en) | 2012-11-30 | 2012-11-30 | A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4960B1 true KR101304960B1 (en) | 2013-09-06 |
Family
ID=4880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7695A KR101304960B1 (en) | 2012-11-30 | 2012-11-30 | A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4960B1 (en) |
CN (1) | CN103211509B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51650A (en) * | 2013-12-23 | 2014-03-26 | 夏云美 | Lifting handle of noodle machine |
KR101619137B1 (en) | 2014-04-16 | 2016-05-11 | 김미경 |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9364B1 (en) * | 2013-10-02 | 2014-05-27 | 문제구 | Cooking pot with a rocking instrunenta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0937U (en) * | 2009-04-29 | 2010-11-08 | (주) 한국실리콘 | A handleof cooking device |
KR20110007035U (en) * | 2010-01-07 | 2011-07-13 | 강보선 | Cooking handle enabling attachment and separateness |
KR20120021866A (en) * | 2010-08-18 | 2012-03-09 | 김대영 |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cooking vessel and detachable handles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13516B1 (en) * | 2000-09-04 | 2002-12-27 | Dja Dodane Jean Et Associes | REMOVABLE DEVICE FOR SEIZING, LIFTING, HANDLING AND POURING COOKING UTENSILS WITH TWO HANDLES |
FR2835170B1 (en) * | 2002-01-29 | 2004-04-16 | Dja Dodane Jean Et Associes | REMOVABLE HANDLE FOR COOKING UTENSILS |
US6694868B1 (en) * | 2003-05-01 | 2004-02-24 | Ming-Tsun Hung | Detachable pan handle structure |
CN2638627Y (en) * | 2003-09-10 | 2004-09-08 | 南海家能现代厨具有限公司 | Hingle capable of quickly dismounted |
CN201571921U (en) * | 2009-12-28 | 2010-09-08 | 卢少平 | Double-lug pot with dismountable handle |
CN202234970U (en) * | 2011-09-20 | 2012-05-30 | 王勇 | Detachable handle cover |
CN202234727U (en) * | 2011-09-20 | 2012-05-30 | 王勇 | Pot with detachable handle sheath |
CN202234729U (en) * | 2011-09-20 | 2012-05-30 | 王勇 | Pot with detachable handle and ear protectors |
-
2012
- 2012-11-30 KR KR1020120137695A patent/KR10130496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3-21 CN CN201310091636.7A patent/CN103211509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0937U (en) * | 2009-04-29 | 2010-11-08 | (주) 한국실리콘 | A handleof cooking device |
KR20110007035U (en) * | 2010-01-07 | 2011-07-13 | 강보선 | Cooking handle enabling attachment and separateness |
KR20120021866A (en) * | 2010-08-18 | 2012-03-09 | 김대영 |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cooking vessel and detachable handl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51650A (en) * | 2013-12-23 | 2014-03-26 | 夏云美 | Lifting handle of noodle machine |
KR101619137B1 (en) | 2014-04-16 | 2016-05-11 | 김미경 |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211509A (en) | 2013-07-24 |
CN103211509B (en) | 2016-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16092B2 (en) | Countertop appliance having detachable base | |
JP5576876B2 (en) | Cookware release system | |
KR101140459B1 (en) | Kitchenware with a detachable handle | |
US10772469B2 (en) | Removable cookware handle | |
KR101037656B1 (en)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 | |
KR101304960B1 (en) | A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
KR101312368B1 (en) | A Handle coupling equipment for Cooking Vessels | |
CN102309249B (en) | Culinary article with folding gripping element | |
EP3108784B1 (en) | Detachable handle | |
US8667893B2 (en) | Side door switching mechanism for a toaster | |
JP6033964B2 (en)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containers | |
EP3009055A1 (en) | Two-handed attachable-and-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 |
KR200323762Y1 (en) | Handle of cooking pan | |
KR20110011200U (en) | cook pot | |
JP3129264U (en) | pot | |
KR20150064336A (en) | 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 |
KR20130006887U (en) | Cookware handle | |
KR101403653B1 (en) | A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
KR101202930B1 (en) | A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 |
KR100927708B1 (en) | Cooking utensils | |
KR200457146Y1 (en) |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 | |
KR101244391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cooking vessel and detachable handles | |
EP3505027B1 (en) | An adjustable detachable handle for pans | |
JP5750232B2 (en) | Water faucet | |
KR20100003255U (en) | Cooking utensils with separate hand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