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307B1 -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3307B1 KR101303307B1 KR1020130080112A KR20130080112A KR101303307B1 KR 101303307 B1 KR101303307 B1 KR 101303307B1 KR 1020130080112 A KR1020130080112 A KR 1020130080112A KR 20130080112 A KR20130080112 A KR 20130080112A KR 101303307 B1 KR101303307 B1 KR 1013033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coping
- concrete
- precast
- bri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코핑부, 프리캐스트 슬래브형 교량 상판 등 교량을 구성하는 요소를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하여 시공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은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것으로 강재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교각파일, 상기 교각파일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교각파일 상부에 조립되는 것으로 저면이 상기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코핑부 및 인접하는 코핑부 상부에 걸치도록 거치되는 슬래브로 구성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교각파일은 상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교각파일 상단의 결합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코핑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거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코핑부는 상기 교각파일 상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결합공이 코핑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코핑부, 프리캐스트 슬래브형 교량 상판 등 교량을 구성하는 요소를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하여 고품질의 교량을 생산할 수 있고, 작업성 확보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in which an element constituting the bridge, such as a precast coping part and a precast slab-shaped bridge deck, is manufactured by a precast member and constructed.
Prefabricated brid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pier piles are formed of steel or concrete, brackets coupled to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er piles, the bottom of the pier piles are supported by the brackets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consisting of a coping portion and a slab mounted to be mounted over the adjacent coping portion, the pier pil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bracket is a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pier pile I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racket body with a female thread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o be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mounting portion protruding out of the bracket body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coping portion, the coping portion is filled with the site concrete inside the pier pile is inserted Joining hole up and down coping part It is formed through the, the sla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tressed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bridge, such as a precast coping part and a precast slab-shaped bridge top plate, can be manufactured with a precast member to produce high-quality bridges, ensuring workability and shortening air.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코핑부, 프리캐스트 슬래브형 교량 상판 등 교량을 구성하는 요소를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하여 시공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in which an element constituting the bridge, such as a precast coping part and a precast slab-shaped bridge deck, is manufactured by a precast member and constructed.
조립식 교량은 교대, 교각, 거더, 바닥판과 같이 교량을 구성하는 각 구조 요소를 미리 제작하고 이를 현장에서 일괄 가설하여 완성시키는 교량으로,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하여 단기간에 작업이 가능하고, 도로법면 성토부, 하천 주변, 교통 혼잡 지역 등에서와 같이 현장 시공 여건이 곤란한 경우 현장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이점으로 인하여 그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A prefabricated bridge is a bridge that prefabricates and completes all structural elements of bridges such as shifts, bridges, girders, and bottom plates in advance, and can be completed in a field by using precast members. The application is increasing due to advantages such as minimizing on-site process in the case of difficult construction conditions such as in the fill part, river, and traffic congestion area.
조립식 교량은 교량의 신설, 기존 교량의 노후화에 따른 교체뿐만 아니라 기존 교량의 확장 등에 이용된다. 이중, 기존 교량을 확장시키는 예로는 종래 도시의 고가도로와 같은 자동차 전용도로 또는 시골이나 산간벽지의 교량 등 차량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교량에서 보행자나 자전거의 통행을 위하여 기존 교량의 측방에 설치하는 보도교 등을 들 수 있다.Prefabricated bridges are used to build new bridges, replace existing bridges, and expand existing bridges. Among these, examples of extending the existing bridges include footpaths installed on the side of existing bridges for pedestrians or bicyclists on bridges intended for vehicle movement, such as automobile-only roads such as overpasses of conventional cities or bridges in rural or mountain walls. Can be mentioned.
종래 조립식 교량의 하나로 교량의 하부구조는 교각을 이루는 교각파일의 상단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코핑부를 일체로 결합시켜 구축한 다음, 교량의 상부구조를 코핑부 위에 거치하여 보행자 전용 또는 자전거가 통행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소규모의 자전거 교량에 대한 기술이 있다(특허 제10-10341845호).As one of the prefabricated bridges, the substructure of the bridge is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coping part made of precast concrete integrally on the upper end of the bridge piling pile, and then mount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on the coping part to pass only for pedestrians or bicycles. There is a technique for a small bicycle bridge configured to suit the following (Patent No. 10-10341845).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코핑부 하부에 원통 형상의 본체가 구비된 결합부재가 매립되기 때문에, 코핑부를 교각파일 상단부에 조립할 때, 인접 교각파일의 상단 높이가 일치하지 않으면 코핑부에 기울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registered patent is embedded with a coupling member provided with a cylindrical body at the bottom of the coping portion, when assembling the coping portion to the upper end of the piling pile, if the top height of the adjacent piling pile does not match, there is a fear that the slope in the coping portion occurs there was.
또한, 결합부재와 교각파일 상단의 일체를 위하여 결합부재의 본체 내외 측에 다수의 수직판을 구비하여야 하는 등 결합부재의 제작이 불편하였다.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to manufacture a coupling member, such as a plurality of vertical plates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for the integration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top of the piling pile.
한편, 하천 주변이나 산악 지역 등과 같이 종래 지형을 따라 조립식 교량을 설치할 경우, 해당 지형의 기울기가 급변하기 때문에 코핑부 상부에 안치되는 인접 슬래브 사이에 각도가 완만하지 못하고, 소정 크기 이상의 유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fabricated bridges are installed along the conventional terrain, such as around rivers or mountainous areas, the slope of the terrain changes rapidly, so that angles are not smooth between adjacent slabs plac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ping portion, and there are gap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ere was a downs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코핑부, 프리캐스트 슬래브형 교량 상판 등 교량을 구성하는 요소를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하여, 좁은 공간에서 소규모로 진행되는 교량 등의 시공에 있어서 시공성 확보 및 현장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bridge, such as the precast coping portion, the precast slab-shaped bridge top plate with a precast member, to ensure the constructability in the construction of bridges and the like proceeding in a small space in small And to provide a prefabricated bridge to reduce the field work time.
본 발명은 지형의 기울기가 급변하는 지역에서 코핑부 상부에 안치되는 인접 슬래브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ridge that can minimize the play between the adjacent slabs placed on the top of the coping portion in the area where the slope of the terrain changes rapidly.
본 발명은 교각파일 상단부에 코핑부를 조립할 때, 인접 교각파일 상단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어 코핑부 및 교량 상판 슬래브의 수평면 확보가 가능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that can ensure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ping portion and the bridge top slab can be matched to the height of the adjacent pier pile when assembling the coping portion in the upper end of the piling pile.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교각파일과 코핑부의 구조적 결합력을 확보하여 모멘트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that can facilitate the moment transfer by securing the structural coupling force of the piling pile and the coping portion with a simple structur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것으로 강재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교각파일, 상기 교각파일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교각파일 상부에 조립되는 것으로 저면이 상기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코핑부 및 인접하는 코핑부 상부에 걸치도록 거치되는 슬래브로 구성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교각파일은 상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교각파일 상단의 결합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코핑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거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코핑부는 상기 교각파일 상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결합공이 코핑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be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to each other pier pile is formed of steel or concrete,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er pile, to be assembled on the pier pile The prefabricated bridge is composed of a slab is mount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supported by the coping portion and the adjacent coping portion supported by the bracket, the pier pil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bracket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racket body with a female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ier pile and a mounting portion for protruding the bracket body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coping portion, the cop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pier pile The concrete inside the scene The ball bond to be formed by co Wars pingbu through the top and bottom, the slab is to provide a modular precast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tressed concr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교각파일은 콘크리트 파일이고, 상기 결합부는 교각파일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결합부 본체; 및 상기 결합부 본체 내부에 결합되어 교각파일 상단 콘크리트 내부에 정착되는 정착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r pile is a concrete pile, and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er pile to form a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body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ixing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body and fixed in the pier pile upper concrete. It provides a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교각파일 상단에는 정착철근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ar protrudes to the top of the pier pil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교각파일 상단 중앙에는 일정 깊이의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코핑부는 상면 결합공 주변에 일정 깊이의 단턱부가 형성되어, 90도로 절곡된 정착철근이 절곡된 일측은 단턱부 상에 거치되고, 절곡된 타측은 결합공을 관통하여 중공 내로 삽입되며, 상기 단턱부, 결합공, 중공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각파일과 코핑부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piling pile, and the coping portion has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round the upper coupling hole, and one side of the fixing reinforcing bar bent at 90 degrees is bent. The other side, which is mounted on the stepped part and is ben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through the coupling hole, and the pier pile and the coping part are integrated by pouring the field concrete into the stepped part, the coupling hole and the hollow inside. Provide a bridg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공 내주면에는 현장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한 정착철물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prefabricated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steel for integration with the concrete in the field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hol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중공 내부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한 정착철물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prefabricated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steel for the integration with the in-place pour concrete is coupled to the hollow interio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프리캐스트 코핑부, 프리캐스트 슬래브형 교량 상판 등 교량을 구성하는 요소를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하여 교량의 고품질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 소규모로 진행되는 교량 등의 시공에 있어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현장 작업시간을 줄여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First, high-quality construction of the bridge is possible by fabricati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bridge, such as the precast coping part and the precast slab-shaped bridge deck, with a precast memb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work in the construction of small bridges and the like proceeding in a small spac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ir by reducing the field work time.
둘째, 코핑부 내부에 코핑부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공을 위치시켜, 결합공을 중심으로 코핑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형의 기울기가 급변하는 지역에서 코핑부 및 코핑부 상부에 안치되는 인접 슬래브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인접 슬래브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Second, by placing a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coping portion inside the cop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coping portion around the coupling hole. Therefore, the angle between the coping part and the adjacent slab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ping part may be adjusted in an area where the slope of the terrain changes rapidly, thereby minimizing play between the adjacent slabs.
셋째, 브라켓과 교각파일 상단부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교각파일 상단부에 결합하는 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 교각파일 상단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어 코핑부 및 교량 상판의 수평면 확보가 가능하다. Third, by screwing the bracket and the upper end of the piling pi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racke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ing pi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tch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adjacent piling pile to secure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ping portion and the bridge deck.
넷째, 정착부, 정착철근, 정착철물 등을 매개로 하여 교각파일과 코핑부의 구조적 결합력을 확보함으로써, 모멘트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코핑부와 브라켓을 간단한 구조를 지닌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여 부재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현장 조립이 편리하다.
Fourth, by securing the structural coupling force of the piling pile and the coping unit through the fixing unit, the fixing reinforcing bar, the fixing steel, etc., it is easy to transfer moments, and the coping unit and the bracket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members having a simple structure.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members and easy to assemble on site.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교각파일과 브라켓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브라켓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교각파일의 결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교각파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단계별 시공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슬래브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ier pile and the bracket of the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bra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piling pi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bridg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ling pi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bridge.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ep-by-step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bridge.
11 is a diagram showing a slab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교각파일(10)과 브라켓(2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브라켓(2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본 발명은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것으로 강재 또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교각파일(10), 상기 교각파일(10)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20), 상기 교각파일(10) 상부에 조립되는 것으로 저면이 상기 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되는 코핑부(30) 및 인접하는 코핑부(30) 상부에 걸치도록 거치되는 슬래브(40)로 구성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buil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each other to be assembled on the
상기 교각파일(10)은 상부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부분으로, 말뚝형 기초를 이용할 수 있다. The
상기 코핑부(30)는 교각파일(10) 상부에 위치되어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교각파일(10)로 전달하는 부분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구성한다. The coping
그리고 슬래브(40)는 인접 코핑부(30) 상부에 거치되는 부분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구성할 수 있다.
And the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교각파일(10)은 상단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결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20)은 교각파일(10) 상단의 결합부(11)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211)이 형성된 원통형의 브라켓 본체(21) 및 상기 브라켓 본체(21) 외측으로 돌출되어 코핑부(30)의 저면을 지지하는 거치부(22)로 구성된다. As can be seen in Figures 1 to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교각파일(10)의 결합부(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1)을 따라 브라켓 본체(21)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211)이 회전함으로써, 교각파일(10)과 브라켓(20)이 나사 결합한다.The
이때,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라켓(2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브라켓(20)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되는 코핑부(30)와 코핑부(30) 상부에 거치되는 슬래브(40) 상면의 높이 또한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height of the
상기 브라켓(20)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각파일(10)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브라켓 본체(21)와 브라켓 본체(21) 외측으로 돌출 위치되어 코핑부(30) 저면을 지지하는 거치부(22)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거치부(22) 하부에는 거치부(22)를 보강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두 측면이 각각 거치부(22) 저면 및 브라켓 본체(21) 외측에 결합하는 보강리브(23)를 위치시킬 수 있다.
In the lower part of the
그리고 상기 코핑부(30)는 교각파일(10) 상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50)가 채워지는 결합공(31)이 코핑부(30)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4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코핑부(30)에는 코핑부(30)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공(3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31)에는 상기 교각파일(10) 상단이 삽입된다. That is, the
따라서 상기 결합공(31)을 기준으로 수평면 상에서 코핑부(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인접 슬래브(40) 사이의 유격을 줄일 수 있도록 코핑부(30)를 회전시켜 놓은 다음 코핑부(30) 상부에 슬래브(40)를 위치킨다.Therefore, the
이로써, 상부 하중이 코핑부(30)의 일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가능한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며, 구조적 부담 없이 지형의 기울기가 급변하는 지역에서도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교량을 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pper load may be distributed as evenly as possible without being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도 5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코핑부(30) 저면은 교각파일(10) 상단부에 결합된 브라켓(20)의 거치부(22)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코핑부(30)의 결합공(31)에는 상단부에 브라켓(20)이 결합된 교각파일(10)의 상단이 소정 높이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31)은 코핑부(30)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후에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 채워진다. As can be see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the bottom of the coping
그리고 상기 슬래브(4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통상적으로 슬래브(40) 하부에는 인장력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인장력을 PS 강선(60) 등 긴장재의 긴장을 통한 압축력을 도입하여 상쇄시키도록 슬래브(40)에 프리스트레스를 미리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로 제작한다.
Typically, a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교각파일(10)의 결합부(1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교각파일(10)은 콘크리트 파일이고, 상기 결합부(11)는 교각파일(10)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원통형의 결합부 본체(110); 및 상기 결합부 본체(110) 내부에 결합되어 교각파일(10) 상단 콘크리트 내부에 정착되는 정착부(11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ing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재질의 교각파일(10) 상단 외주면에 원통형의 결합부 본체(110)와 결합부 본체(110) 내부에 결합되는 정착부(112)로 구성되는 결합부(11)를 위치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브라켓(20)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산(111)은 결합부 본체(110) 외주면에 형성되며, 결합부 본체(110) 내부에 다수 개의 정착부(112)가 결합한다. At this time, the
상기 정착부(112)의 실시예로 결합부 본체(110) 내부에 다수 개의 스터드 볼트를 용접 결합할 수 있으며, 정착부(112)는 교각파일(10) 상단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결합부 본체(110)와 결합부 본체(110) 내부 콘크리트 사이의 결합력을 확보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ixing
도 5는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bridge.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교각파일(10) 상단에는 정착철근(12)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5,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즉, 상기 정착철근(12)은 하단이 교각파일(10) 내부에 위치되고 상단이 교각파일(10) 상부로 노출되며, 교각파일(10) 상부로 노출된 정착철근(12) 부분은 후에 코핑부(30)의 결합공(31)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함께 교각파일(10)과 코핑부(30)를 일체화시킨다.
That is, the
또한, 도 5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공(31) 내주면에는 현장 콘크리트(50)와의 일체화를 위한 정착철물(34)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s 5 and 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에서 상기 정착철물(34)로는 결합공(31) 내주면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스터드 볼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로써, 브라켓(20)의 결합공(31) 내부에 타설되는 현장 콘크리트(50)와 브라켓(20)을 일체화할 수 있다.
Here, the fixing
도 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교각파일(1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도 6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교각파일(10) 상단 중앙에는 일정 깊이의 중공(13)이 형성되고, 상기 코핑부(30)는 상면 결합공(31) 주변에 일정 깊이의 단턱부(32)가 형성되어, 90도로 절곡된 정착철근(33)이 절곡된 일측은 단턱부(32) 상에 거치되고, 절곡된 타측은 결합공(31)을 관통하여 중공(13) 내로 삽입되며, 상기 단턱부(32), 결합공(31), 중공(13)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50)를 타설하여 교각파일(10)과 코핑부(30)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to 7, a hollow 13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piling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정착철근(33)의 상단이 90도로 절곡되어 코핑부(30) 상면 결합공(31) 주변이 형성된 단턱부(32)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정착철근(33)의 정착길이가 증가하여 브라켓(20)과 결합공(31) 내부의 현장 콘크리트(50)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comparison with the embodiment of FIG. 5, 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정착철근(33)의 하단은 교각파일(10) 상단 중앙에 형성된 중공(13)에 위치된 다음, 현장 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 교각파일(10)과 현장 콘크리트(50)를 일체화한다. And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이때, 상기 중공(13) 내부에는 현장 콘크리트(50)와의 일체화를 위한 정착철물(14)이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상기 정착철물(14)로는 결합공(31) 내주면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스터드 볼트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정착철물(14)은 브라켓(20)의 결합공(31) 내부에 타설되는 현장 콘크리트(50)와 교각파일(10)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The fixing
도 8은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단계별 시공 과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ep-by-step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8의 (a)에서와 같이 상단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결합부(11)가 구비된 교각파일(10)을 설치하고, 도 8의 (b)에서와 같이 교각파일(10)의 결합부(11)에 브라켓(20)을 나사 결합한다.In order to construct the prefabricated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8 (a), a piling
이때, 상기 브라켓(20)은 브라켓 본체(21)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211)을 교각파일(10)의 결합부(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1)을 따라 회전 이동시키면서 브라켓(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도 8의 (c)에서와 같이 브라켓(20) 상면에 코핑부(30)를 거치한다.Next, the coping
특히, 도 10에서와 같이 하나의 교각파일(10) 상부에 각각 하나의 코핑부(30)가 위치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경우에는 코핑부(30)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공(31)을 기준으로 코핑부(30)를 수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수평면 상에서 코핑부(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in which one coping
그리고 도 8의 (d)에서와 같이, 코핑부(30) 상부에 슬래브(40)를 거치시켜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시공을 완료한다.Then, as shown in (d) of FIG. 8, the construction of the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is completed by mounting the
즉, 본 발명에서는 코핑부(30) 및 슬래브(40)로 공장 제작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함으로써, 이들을 현장 거치 조립 후 일체화하는 과정만으로 교량의 상부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품질을 획득할 수 있으며,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강재에 비하여 경제적인 시공을 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actory-made precast concrete as the coping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abricated bridge.
도 9는 한 쌍의 교각파일(10) 상부에 하나의 코핑부(30)가 위치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실시예이고, 도 10은 하나의 교각파일(10) 상부에 각각 하나의 코핑부(30)가 위치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실시예이다. FIG. 9 is an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bridge in which on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20)의 교각파일(10) 외주면을 따른 회전수를 조절하면서 브라켓(20)과 교각파일(10)을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되는 코핑부(30)와 코핑부(30) 상부에 거치되는 슬래브(40) 상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도 9 내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 교각파일(10) 상부에 위치되는 코핑부(30) 및 슬래브(40) 상면이 수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9 to 10,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또한, 하나의 교각파일(10) 상부에 각각 하나의 코핑부(30)가 위치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경우에는 코핑부(30) 상하를 관통하는 결합공(31)을 기준으로 코핑부(30)를 수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수평면 상에서 코핑부(3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코핑부(30)가 상부 하중을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in which one coping
도 11은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의 슬래브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ab coupling relationship of a prefabricated bridge.
일반적으로 각 슬래브(40)의 하부에 슈(70)를 각각 설치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슈(7)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슈(70)에 인접하는 슬래브(40) 두 개를 동시에 설치한다.In general, one
이 때, 인접하는 슬래브(40)의 연결을 위해 일측 슬래브(40) 단부에는 ㄱ형상의 걸림구(80)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측 슬래브(40)의 단부 상부면에는 상기 걸림구(80)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홈(81)이 형성되어, 걸림구(80)를 걸림홈(81)에 삽입하여 슬래브(40)를 상호 연결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connect the
10: 교각파일 11: 결합부
110: 결합부 본체 111: 나사산
112: 정착부 12: 정착철근
13: 중공 14: 정착철물
20: 브라켓 21: 브라켓 본체
211: 암나사산 22: 거치부
23: 보강리브 30: 코핑부
31: 결합공 32: 단턱부
33: 정착철근 34: 정착철물
40: 슬래브 50: 현장 콘크리트
60: PS 강선 70: 슈
80: 걸림구 81: 걸림홈10: pier pile 11: coupling part
110: coupling unit body 111: thread
112: fixing unit 12: fixing bar
13: hollow 14: fixture
20: bracket 21: bracket body
211: female thread 22: holder
23: reinforcing rib 30: coping part
31: coupling hole 32: stepped portion
33: fixing steel 34: fixing steel
40: slab 50: concrete on site
60: PS liner 70: Shoe
80: locking hole 81: locking groove
Claims (6)
상기 교각파일(10)은 상단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결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20)은 교각파일(10) 상단의 결합부(11)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211)이 형성된 원통형의 브라켓 본체(21) 및 상기 브라켓 본체(21) 외측으로 돌출되어 코핑부(30)의 저면을 지지하는 거치부(22)로 구성되고,
상기 코핑부(30)는 상기 교각파일(10) 상단이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50)가 채워지는 결합공(31)이 코핑부(30)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40)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The pier pile (10) formed of steel or concrete to be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the bracket 20 is coupled to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er pile (10), the bottom surface is assembled to the pier pile (10) Regarding the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composed of the coping portion 30 supported by the bracket 20 and the slab 40 is mounted so as to span the upper portion of the adjacent coping portion 30,
The piling pile 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11 is formed with a thread 111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bracket 20 protrudes outward from the cylindrical bracket body 21 and the bracket body 21 having a female thread 211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1 at the top of the piling pile 10. Consists of the mounting portion 22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coping portion 30,
The coping part 30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coping part 30, the coupling hole 31 is filled with the on-site concrete 50 is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piling pile 10,
Prefabricated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ab 40 is prestressed concrete.
상기 교각파일(10)은 콘크리트 파일이고,
상기 결합부(11)는 교각파일(10)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원통형의 결합부 본체(110); 및
상기 결합부 본체(110) 내부에 결합되어 교각파일(10) 상단 콘크리트 내부에 정착되는 정착부(11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piling pile 10 is a concrete pile,
The coupling portion 11 is coupled to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ing pile 10, the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body 110 is formed with a thread 11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fixing unit 112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body 110 and fixed in the concrete of the upper piling pile 10; Prefabricated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교각파일(10) 상단에는 정착철근(12)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ing reinforcement (12) protrudes to the top of the pier pile (10).
상기 교각파일(10) 상단 중앙에는 일정 깊이의 중공(13)이 형성되고,
상기 코핑부(30)는 상면 결합공(31) 주변에 일정 깊이의 단턱부(32)가 형성되어, 90도로 절곡된 정착철근(33)이 절곡된 일측은 단턱부(32) 상에 거치되고, 절곡된 타측은 결합공(31)을 관통하여 중공(13) 내로 삽입되며,
상기 단턱부(32), 결합공(31), 중공(13)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50)를 타설하여 교각파일(10)과 코핑부(30)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low 13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iling pile 10,
The coping part 30 has a stepped portion 32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around the upper coupling hole 31, and one side of the fixing bar 33 bent at 90 degrees is mounted on the stepped portion 32. , The other side of the ben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3 through the coupling hole 31,
Precast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er pile (10) and the coping unit (30) is integrated by pouring the concrete (50) in the stepped portion (32), coupling hole (31), hollow (13).
상기 중공(13) 내부에는 현장 콘크리트(50)와의 일체화를 위한 정착철물(14)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5. The method of claim 4,
Prefabricated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13 is coupled to the fixing hardware 14 for integration with the field concrete (50).
상기 결합공(31) 내주면에는 현장 콘크리트(50)와의 일체화를 위한 정착철물(34)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Prefabricated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hole 34 for the integration with the field concrete 50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3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0112A KR101303307B1 (en) | 2013-07-09 | 2013-07-09 |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0112A KR101303307B1 (en) | 2013-07-09 | 2013-07-09 |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3307B1 true KR101303307B1 (en) | 2013-09-03 |
Family
ID=4945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01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3307B1 (en) | 2013-07-09 | 2013-07-09 |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3307B1 (en) |
Cited B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9086B1 (en) * | 2014-11-24 | 2015-05-12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Bridg using t-girder with pile supporting apparatus and bridg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560253B1 (en) | 2015-03-19 | 2015-10-14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Precast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 and precast coping |
KR101574542B1 (en) | 2015-09-21 | 2015-12-04 | 주식회사 케이알테크 | P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ready made coping |
KR20150145750A (en) * | 2014-06-19 | 2015-12-31 | 한국도로공사 | Precast type integral imbutment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e thereof |
KR101581320B1 (en) * | 2015-06-10 | 2015-12-31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Precast coping structure for bridge using precast deck |
KR101605395B1 (en) | 2015-09-24 | 2016-03-23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Rrecast slab girder for rapid construction and fishing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KR101803830B1 (en) * | 2015-06-15 | 2017-12-04 | (주)지아이건설 | Coping connecting apparatus and a p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CN107916602A (en) * | 2017-10-26 | 2018-04-17 |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prefabricated pier, plate fast joint structure |
CN108342937A (en) * | 2018-03-14 | 2018-07-31 |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prefabricated pier, the floated tubular Crossing brace connection structure of plate |
KR101964678B1 (en) * | 2018-07-31 | 2019-04-02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Combination structure of pile and copping and gird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
CN110158475A (en) * | 2019-05-21 | 2019-08-23 | 北京工业大学 | A kind of prefabricated assembled bridge sub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0629664A (en) * | 2019-10-24 | 2019-12-31 |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A prefabricated assembled UHPC lattice bridge pier colum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1172900A (en) * | 2020-03-09 | 2020-05-19 | 临沂大学 | An anti-overturning reinforcement device for single-column pier bridges based on high-performance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
CN111287074A (en) * | 2020-03-25 | 2020-06-16 | 深圳市市政工程总公司 | Internal connection structure of hollow bridge pier column and bearing platform |
KR102160679B1 (en) * | 2020-03-25 | 2020-09-28 | (주)네오테크 |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60684B1 (en) * | 2020-03-25 | 2020-09-28 | (주)네오테크 |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62125B1 (en) * | 2019-12-17 | 2020-10-06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Pile and Coping for Bridge Construction |
KR102185768B1 (en) * | 2020-06-04 | 2020-12-02 | 포엠 주식회사 | Coping joint absorbing erro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same, prefabricated bridge constructed thereby |
KR102209709B1 (en) * | 2020-06-05 | 2021-01-29 | 포엠 주식회사 | Prefabricated bridge with pocket type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3062224A (en) * | 2021-03-26 | 2021-07-02 | 襄阳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 Prefabricated bridge bent cap position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
DE102020112453A1 (en) | 2020-05-07 | 2021-11-11 | Max Bögl Stiftung & Co. Kg |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utment and abutment |
CN114016380A (en) * | 2021-11-15 | 2022-02-08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Prefabricated assembled concrete trest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4319081A (en) * | 2022-01-17 | 2022-04-12 | 宁波市高等级公路建设管理中心 | Prefabricated UHPC bent cap structure of quick installation |
CN114319080A (en) * | 2022-01-17 | 2022-04-12 | 宁波市高等级公路建设管理中心 | High strength bent cap structure based on UHPC shell |
CN114875948A (en) * | 2022-06-01 | 2022-08-09 |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 | Connecting structure of concrete precast pile and pile foundation bearing platform |
KR102457766B1 (en) * | 2022-02-17 | 2022-10-20 | (주)주신 | Connection device for error correction of bridges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evice |
KR102518313B1 (en) * | 2022-12-07 | 2023-04-05 | 주식회사 세진이씨에스 |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Deck Rod Having Configuration For Securing Ease Of On-Site Assembly Using Precast And Configuration For Height Adjustment To Prevent Height Errors |
KR102521105B1 (en) * | 2022-12-15 | 2023-04-12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Connected Structure of Column and Precast Cop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20230082089A (en) * | 2021-12-01 | 2023-06-08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Junction connector of the rc post and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2568950B1 (en) | 2023-03-28 | 2023-08-23 |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 Prefabricated Coping Structure using a Steel-Box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7758601A (en) * | 2024-02-21 | 2024-03-26 |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 A kind of prefabricated bridge pier without cap for high-intensity area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799003B1 (en) * | 2024-12-06 | 2025-04-23 | (주)효성 | Prefabricated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384816A1 (en) * | 2001-04-10 | 2004-01-28 | Arkady Alekseevich Kornatsky | Method and installation for building a highway and a highway |
US20050056199A1 (en) | 2003-09-17 | 2005-03-17 | Norrie Kim L. | Tethered sectional pier system |
WO2007145477A1 (en) | 2006-06-15 | 2007-12-21 | 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 Precast concrete segment hav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steel duct,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
-
2013
- 2013-07-09 KR KR1020130080112A patent/KR10130330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384816A1 (en) * | 2001-04-10 | 2004-01-28 | Arkady Alekseevich Kornatsky | Method and installation for building a highway and a highway |
US20050056199A1 (en) | 2003-09-17 | 2005-03-17 | Norrie Kim L. | Tethered sectional pier system |
WO2007145477A1 (en) | 2006-06-15 | 2007-12-21 | Daew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 Precast concrete segment hav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steel duct,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
Cited By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5750A (en) * | 2014-06-19 | 2015-12-31 | 한국도로공사 | Precast type integral imbutment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e thereof |
KR101645511B1 (en) * | 2014-06-19 | 2016-08-05 | 한국도로공사 | Precast type integral imbutment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e thereof |
KR101519086B1 (en) * | 2014-11-24 | 2015-05-12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Bridg using t-girder with pile supporting apparatus and bridge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KR101560253B1 (en) | 2015-03-19 | 2015-10-14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Precast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 and precast coping |
KR101581320B1 (en) * | 2015-06-10 | 2015-12-31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Precast coping structure for bridge using precast deck |
KR101803830B1 (en) * | 2015-06-15 | 2017-12-04 | (주)지아이건설 | Coping connecting apparatus and a p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KR101574542B1 (en) | 2015-09-21 | 2015-12-04 | 주식회사 케이알테크 | P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ready made coping |
KR101605395B1 (en) | 2015-09-24 | 2016-03-23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Rrecast slab girder for rapid construction and fishing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CN107916602A (en) * | 2017-10-26 | 2018-04-17 |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prefabricated pier, plate fast joint structure |
CN108342937A (en) * | 2018-03-14 | 2018-07-31 |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prefabricated pier, the floated tubular Crossing brace connection structure of plate |
CN108342937B (en) * | 2018-03-14 | 2024-03-01 |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 Prefabricated pier and plate suspension type cylindrical shear support connection structure |
KR101964678B1 (en) * | 2018-07-31 | 2019-04-02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Combination structure of pile and copping and gird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
CN110158475A (en) * | 2019-05-21 | 2019-08-23 | 北京工业大学 | A kind of prefabricated assembled bridge sub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0629664A (en) * | 2019-10-24 | 2019-12-31 |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 A prefabricated assembled UHPC lattice bridge pier colum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162125B1 (en) * | 2019-12-17 | 2020-10-06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Pile and Coping for Bridge Construction |
CN111172900A (en) * | 2020-03-09 | 2020-05-19 | 临沂大学 | An anti-overturning reinforcement device for single-column pier bridges based on high-performance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
CN111287074A (en) * | 2020-03-25 | 2020-06-16 | 深圳市市政工程总公司 | Internal connection structure of hollow bridge pier column and bearing platform |
KR102160679B1 (en) * | 2020-03-25 | 2020-09-28 | (주)네오테크 |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160684B1 (en) * | 2020-03-25 | 2020-09-28 | (주)네오테크 |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DE102020112453A1 (en) | 2020-05-07 | 2021-11-11 | Max Bögl Stiftung & Co. Kg |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utment and abutment |
KR102185768B1 (en) * | 2020-06-04 | 2020-12-02 | 포엠 주식회사 | Coping joint absorbing errors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bridge using the same, prefabricated bridge constructed thereby |
KR102209709B1 (en) * | 2020-06-05 | 2021-01-29 | 포엠 주식회사 | Prefabricated bridge with pocket type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3062224A (en) * | 2021-03-26 | 2021-07-02 | 襄阳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 Prefabricated bridge bent cap position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
CN114016380A (en) * | 2021-11-15 | 2022-02-08 |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Prefabricated assembled concrete trest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30082089A (en) * | 2021-12-01 | 2023-06-08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Junction connector of the rc post and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2558424B1 (en) * | 2021-12-01 | 2023-07-24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Junction connector of the rc post and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4319080B (en) * | 2022-01-17 | 2024-06-04 | 宁波市高等级公路建设管理中心 | High strength bent cap structure based on UHPC shell |
CN114319080A (en) * | 2022-01-17 | 2022-04-12 | 宁波市高等级公路建设管理中心 | High strength bent cap structure based on UHPC shell |
CN114319081B (en) * | 2022-01-17 | 2024-01-02 | 宁波市高等级公路建设管理中心 | Prefabricated UHPC bent cap structure of quick installation |
CN114319081A (en) * | 2022-01-17 | 2022-04-12 | 宁波市高等级公路建设管理中心 | Prefabricated UHPC bent cap structure of quick installation |
KR102457766B1 (en) * | 2022-02-17 | 2022-10-20 | (주)주신 | Connection device for error correction of bridges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evice |
CN114875948A (en) * | 2022-06-01 | 2022-08-09 |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 | Connecting structure of concrete precast pile and pile foundation bearing platform |
KR102518313B1 (en) * | 2022-12-07 | 2023-04-05 | 주식회사 세진이씨에스 |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Deck Rod Having Configuration For Securing Ease Of On-Site Assembly Using Precast And Configuration For Height Adjustment To Prevent Height Errors |
KR102521105B1 (en) * | 2022-12-15 | 2023-04-12 | 에스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Connected Structure of Column and Precast Cop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568950B1 (en) | 2023-03-28 | 2023-08-23 |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 Prefabricated Coping Structure using a Steel-Box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7758601A (en) * | 2024-02-21 | 2024-03-26 |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 A kind of prefabricated bridge pier without cap for high-intensity area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7758601B (en) * | 2024-02-21 | 2024-06-07 |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 Assembled pier without bearing platform for high-intensity areas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2799003B1 (en) * | 2024-12-06 | 2025-04-23 | (주)효성 | Prefabricated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3307B1 (en) | Prefabricated precast bridge | |
KR101045805B1 (en) | Prefabricated bridge using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ing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055672B1 (en) | Prefabricated internal hollow hollow pier pier using corrugated steel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 |
RU2550124C2 (en) | Wind power plant and segment of wind power plant tower | |
KR101560253B1 (en) | Precast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 and precast coping | |
KR101263557B1 (en) | Prefabricated hollow-segment type pier | |
KR101688968B1 (en) | Method and Structure for Composite of Pile and Girder, Pier using such Composi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588593B1 (en) |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KR20110103000A (en) | Steel composite hollow precast pier joint structure using concrete filling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339946B1 (en) | Precast bridge post | |
JP2008223370A (en) | Rigid structure of corner | |
KR20130109298A (en) | Joint structure of pc column with non-sleeve | |
JP2004092078A (en) |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127923B1 (en) | Pylon of cable-stayed bridge having composite combin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US20100139183A1 (en) | Concrete panel | |
CN105714934B (en) | Assembled concrete filled steel tube Special-Shaped Column king post joint attachment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108867218B (en) | Precast slab reinforced foam concrete lightweight embankmen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200994B1 (en) | Earth retaining system and construction using separate type pedestal and wale bearing supporter | |
EA017909B1 (en) | Large diameter pillar construction method by layer-built and frame construction method adapting the same | |
KR101217437B1 (en) | Blocks for constructing structure and block integrating device and a rainwater undercurrent tank constructed for using it | |
JP2011089390A (en) | Rigid connection structure of corner section | |
KR101772938B1 (en) | Precast foundation structure buried support of road facilit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20110038270A (en) | Girder for bridge deck using AC bea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5207078B2 (en) | Construction method for seismic control columns | |
KR101778040B1 (en) | Earthquake Exterior Composite Reinforc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S17-X000 |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208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829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