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704B1 -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high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 Google Patents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high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2704B1 KR101302704B1 KR1020120036985A KR20120036985A KR101302704B1 KR 101302704 B1 KR101302704 B1 KR 101302704B1 KR 1020120036985 A KR1020120036985 A KR 1020120036985A KR 20120036985 A KR20120036985 A KR 20120036985A KR 101302704 B1 KR101302704 B1 KR 1013027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fluid
- orifice
- fluid pressure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압력 조절 밸브를 밸브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밸브부와 제2밸브부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압력 변화시 발생되는 맥동을 감소시키고, 각 밸브부에서 밸브시트와 포핏이 상호 면접촉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포핏의 마모성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는, 커먼레일과 상기 커먼레일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는 리턴라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먼레일 내부의 유체 압력을 제어하는 유체압력 조절 밸브에 있어서, 상기 커먼레일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리턴라인에 연결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보어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보어를 전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유체가 통과되도록 오리피스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밸브시트부와; 상기 보어의 전방공간에 구비되되, 전자제어신호에 의해 진퇴되며 상기 오리피스의 전단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와; 상기 보어의 후방공간에 구비되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오리피스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진퇴되며 상기 오리피스의 후단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h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has a double structure of the first valve part and the second valve part inside the valve housing to improve airtightness and press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which reduces pulsation generated at the time of change and improves durability by reducing the wearability of the poppet by configuring the valve seat and the poppet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 common rail and a return line through which the fluid inside the common rail is discharged, and th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controlling the fluid pressure in the common rail. A valve housing connected to a common rail and having an inlet for fluid flow and an outlet for fluid discharge to the return line, the valve housing having a bor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the outlet; A valve seat portion which divides the bore into two front and rear spaces, and an orifice penet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fluid passes therethrough; A first valve part provided in the front space of the bore and advancing by an electronic control signal to open and close the front end of the orifice; A second valve part provided in the rear space of the bore and elastically supported in a forward direction to retrea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orifice and to open and close the rear end of the orific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압력 조절 밸브를 밸브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밸브부와 제2밸브부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압력 변화시 발생되는 맥동을 감소시키고, 각 밸브부에서 밸브시트와 포핏이 상호 면접촉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포핏의 마모성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h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has a double structure of the first valve part and the second valve part inside the valve housing to improve airtightness and press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which reduces pulsation generated at the time of change and improves durability by reducing the wearability of the poppet by configuring the valve seat and the poppet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엔진은 실린더 속에서 공기와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As is well known, an automobile engine is a device that generates power by supplying air and fuel in a cylinder and burning it.
특히, 전자제어 디젤엔진의 경우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제어유닛)에 설정된 압력으로 인젝터를 통해 실린더 내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해서는 커먼레일에 축압된 유체(연료)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유체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ECU의 신호를 받아 상기 커먼레일 내의 유체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diesel engine, in order to inject fuel into a cylinder through an injector at a pressure set in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the fluid (fuel) pressure accumulated in the common rail must be kept constant.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refers to a device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ECU and controls the fluid pressure in the common rail to be kept constant.
상기 유체압력 조절 밸브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시동불량, 시동지연, 가속불량(출력부족), 엔진부조 등의 현상을 보이게 되므로 상기 유체압력 조절 밸브의 확실한 기밀성 및 내구성이 요구된다.When the performance of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is degraded, a phenomenon such as starting failure, start delay, acceleration failure (lack of output), engine overload, and the like is exhibited, so that the tightness and durability of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re required.
상기 유체압력 조절 밸브의 일예로 공개특허 제2002-0058160호(2002.07.12 공개)에는 "축압식 연료분사시스템의 압력제어밸브"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압력 조절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th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58160 (published on Jul. 12, 2002) discloses a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under the name of “pressure control valve of a pneumatic fuel injec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개특허 제2002-0058160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압력 조절 밸브(10')는 코일(19')을 삽입할 수 있는 환상홈(21')과, 밸브바디(15')를 삽입할 수 있는 내부구멍(22')과, 중앙에 접동구멍(23')을 구비한 솔레노이드 바디(11')와; 솔레노이드 바디(11')의 후측에 스프링(17')으로 탄설되어 코일(19')에 전류인가시 솔레노이드 바디(11')와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아마추어(12')와; 아마추어(12')와 솔레노이드 바디(11')의 접동구멍(23')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일단에 볼밸브(14')가 설치된 피스톤(13')과; 볼밸브(14')가 착좌되어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밸브시트부(24')와, 내부에 오리피스(25')가 형성되어 솔레노이드 바디(11')의 내부구멍(22')에 삽입고정되는 밸브바디(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fluid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압력 조절 밸브(10')는 밸브바디(15')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피스톤(13')이 한 개로 구성되어 상기 피스톤(13')의 선단에 설치된 볼밸브(14')의 마모시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압력 변화시 한 개로 구성된 피스톤(13')의 급격한 개폐 및 그로 인한 유체의 급격한 흐름으로 인해 맥동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one piston 13' which can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15 ', and is provided with a ball valv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piston 13'.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when the wear of (14 '),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lsation is largely generated due to the rapid opening and closing of the piston 13' consisting of a single pressure change and the sudden flow of the fluid.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압력 조절 밸브(10')는 피스톤(13')의 선단에 볼밸(14')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밸브시트부(24')와 접촉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볼밸브(14')의 특성상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볼밸브(14')의 마모로 인해 기밀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ball ball 14' is general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piston 13 ', and the ball seat having a small contact area with the valve seat 24' is formed. Due to the nature of the valve 14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tightness is rapidly lowered due to wear of the ball valve 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압력 조절 밸브를 밸브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밸브부와 제2밸브부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압력 변화시 발생되는 맥동을 감소시키고, 각 밸브부에서 밸브시트와 포핏이 상호 면접촉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포핏의 마모성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irtightness by configuring th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in a double structure of the first valve portion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in the valve housing At the same time, it reduces the pulsation generated when the pressure changes, and the valve seat and the poppe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each valve part, thereby reducing the wearability of the poppet, thereby provid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는, 커먼레일과 상기 커먼레일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는 리턴라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먼레일 내부의 유체 압력을 제어하는 유체압력 조절 밸브에 있어서, 상기 커먼레일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리턴라인에 연결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보어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보어를 전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유체가 통과되도록 오리피스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밸브시트부와; 상기 보어의 전방공간에 구비되되, 전자제어신호에 의해 진퇴되며 상기 오리피스의 전단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와; 상기 보어의 후방공간에 구비되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오리피스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진퇴되며 상기 오리피스의 후단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 common rail and a return line through which the fluid inside the common rail is discharged and controls a fluid pressure inside the common rail. A pressure regulating valve, comprising: a valve housing having an inlet connected to the common rail and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return line to discharge the fluid, and having a bor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the outlet; A valve seat portion which divides the bore into two front and rear spaces, and an orifice penet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fluid passes therethrough; A first valve part provided in the front space of the bore and advancing by an electronic control signal to open and close the front end of the orifice; A second valve part provided in the rear space of the bore and elastically supported in a forward direction to retrea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orifice and to open and close the rear end of the orific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밸브시트부는, 후방면에 상기 오리피스로부터 후방으로 개구된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전협후광형상의 제2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는, 선단에 상기 제2테이퍼면과 면접촉되는 원추형의 제2포핏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seat portion has a second tapered surface having a fully narrow back light shape in which a diameter opened rearward from the orifice gradually increases on a rear surface thereof. The two-valve por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ical second poppet surfac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tapered surface at its ti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밸브시트부는, 전방면에 전방에서 상기 오리피스로 개구된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전광후협형상의 제1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오리피스의 전단부를 밀폐하도록 유체의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력작용면이 형성된 제1밸브스템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밸브스템의 선단에 상기 제1테이퍼면과 면접촉되는 원추형의 제1포핏면이 형성되며, 전자제어신호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밸브스템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오리피스의 전단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1밸브스템을 감싸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seat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tapered surface having an all-light rear narrow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pened from the front to the orifice gradually decreases. The first valve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valve stem which is moved backwar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the pressure action surface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to seal the front end of the orifice, A conical first poppet surfac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tapered surface is formed at the tip of the valve stem, and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by an electronic control signal to move the first valve stem forward to open the front end of the orific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noid surrounding the first valve stem to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는 개폐 밸브가 2중 구조의 면접촉 타입으로 구성되어 기밀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유체압력 조절 밸브의 불량시 발생되는 시동불량, 시동지연, 가속불량(출력부족), 엔진부조 등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n-off valve configured as a double-faced surface contact type to improve airtightness and durability, resulting in poor starting of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phenomena such as starting delay, poor acceleration (lack of output), engine failu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체압력 조절 밸브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는 밸브하우징(10)과, 밸브시트부(20)와, 제1밸브부(30)와, 제2밸브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통상 전자제어 디젤엔진에서의 연료는 연료탱크(C)로부터 연료 저압라인을 통해 저압펌프, 연료휠터, 고압펌프를 순차적으로 거쳐 연료 고압라인을 통해 커먼레일(A)에 축압 저장된다.In general, the fuel in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diesel engine is stored in the common rail (A) through the high pressure line of fuel through the low pressure pump, the fuel filter, and the high pressure pump sequentially through the low pressure line of the fuel tank (C).
전자제어 디젤엔진의 경우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D)에 설정된 압력으로 인젝터를 통해 실린더 내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먼레일(A)에 축압된 유체(연료)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상기 전자제어유닛(D)의 신호를 받아 상기 커먼레일(A) 내의 유체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커먼레일(A)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유체압력 조절 밸브('압력 레귤레이터'라고도 한다)가 장착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diesel engine, in order to inject fuel into a cylinder through an injector at a pressure set in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D), the fluid (fuel) pressure accumulated in the common rail A is constant.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tant fluid pressure in the common rail A in response to the signa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 the common rail A has a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pressure regulato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called).
한편, 상기 유체압력 조절 밸브를 통해 상기 커먼레일(A) 내의 연료압력이 조절된 후 리턴되는 연료는 연료 리턴라인(B))을 통해 상기 연료탱크(C)로 회수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el returned after the fuel pressure in the common rail (A) is adjusted through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has a structure that is recovered to the fuel tank (C) through the fuel return line (B).
상기 밸브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의 외형을 형성하고 다른 구성요소들(20, 30, 40)을 내부에 수용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커먼레일(A)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상기 리턴라인(B)에 연결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11) 및 상기 배출구(12)와 연통되는 보어(13)가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보어(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밸브시트부(20)에 의해 전방공간(13a)과 후방공간(13b)으로 구획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밸브시트부(20)는 상기 보어(13)를 전후 2개의 공간(13a, 13b)으로 구획하는 구성으로 중앙에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오리피스(21)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밸브시트부(20)는 전방면에 전방에서 상기 오리피스(21)로 개구된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전광후협형상의 제1테이퍼면(23)이 형성되어 제1밸브부(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21)의 전단부가 개폐되고, 후방면에 상기 오리피스(21)로부터 후방으로 개구된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전협후광형상의 제2테이퍼면(24)이 형성되어 제2밸브부(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21)의 후단부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밸브부(30)는 상기 보어(13)의 전방공간(13a)에 구비되어 전자제어유닛(D)의 전자제어신호에 의해 진퇴되며 상기 오리피스(21)의 전단부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제1밸브스템(31)과, 제1포핏면(32)과, 제1스프링(33)과, 솔레노이드(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제1밸브스템(31)은 상기 제1밸브부(30)가 상기 보어(13)의 전방공간(13a)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30)가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오리피스(21)의 전단부를 밀폐하도록 유체의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력작용면(311)이 형성된다.The
즉, 상기 압력작용면(311)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제1밸브부(30)는 상시 상기 오리피스(21)의 전단부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상기 오리피스(21)의 보다 확실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제1포핏면(32)은 상기 제1밸브스템(31)의 선단에 상기 제1테이퍼면(23)에 대응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테이퍼면(23)과 면접촉되는 구성이다.The
즉, 상기 제1포핏면(32)이 원추형으로 상기 제1테이퍼면(23)과 면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기술의 볼밸브 타입에서 발생되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볼밸브의 마모에 의한 기밀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상기 제1스프링(33)은 상기 제1밸브부(30)가 상기 오리피스(21)의 전단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밸브부(30)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밸브스템(31)에 형성된 압력작용면(311)의 구성으로 상기 제1밸브부(30)가 유압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밸브부(30)가 상기 제1스프링(33)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도 상시 상기 오리피스(21)의 전단부를 밀폐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밸브부(30)가 보다 확실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솔레노이드(34)는 전자제어유닛(D)의 전자제어신호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밸브스템(31)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오리피스(21)의 전단부를 개방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제1밸브스템(31)을 감싸도록 구성된다.The
즉, 상기 솔레노이드(34)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밸브스템(31)을 끌어 당겨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인 것이다.That is, the
상기 제2밸브부(40)는 상기 보어(13)의 후방공간(13b)에 구비되어 유압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진퇴되며 상기 오리피스(21)의 후단부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제2밸브스템(41)과, 제2포핏면(42)과, 제2스프링(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제2밸브스템(41)은 상기 제2밸브부(40)가 상기 보어(13)의 후방공간(13b)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후단부에 스프링장착홈(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링(43)이 장착됨으로써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The
상기 제2포핏면(42)은 상기 제2밸브스템(41)의 선단에 상기 제2테이퍼면(24)에 대응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테이퍼면(24)과 면접촉되는 구성이다.The
즉, 상기 제1포핏면(3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포핏면(42)이 원추형으로 상기 제2테이퍼면(24)과 면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기술의 볼밸브 타입에서 발생되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볼밸브의 마모에 의한 기밀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That is, like the
상기 제2스프링(43)은 상기 제2밸브부(40)가 상기 오리피스(21)의 후단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밸브부(40)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구성이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state of use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상태는 도 2의 초기 상태에서 전자제어유닛(D)의 전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34)가 작동하여 상기 제1밸브부(30)를 개방시켰으나 상기 오리피스(21)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2스프링(43)의 탄성력을 넘어서지 못하여 상기 제2밸브부(40)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21)의 후단부가 밀폐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In the state of FIG. 3,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는 상기 제1밸브부(30) 및 상기 제2밸브부(40)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커먼레일(A)의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전자제어유닛(D)의 전자제어신호, 유압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복합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오리피스(21)로 유체가 급격하게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맥동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of the
한편, 도 4의 상태는 전자제어유닛(D)의 전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34)가 작동하여 상기 제1밸브부(30)를 개방시키고, 상기 오리피스(21)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밸브부(40)가 개방되어 결국 유체가 상기 커먼레일(A) 로부터 상기 오리피스(21)를 통과하여 상기 리턴라인(B)을 통해 연료탱크(C)로 회수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ate of Figure 4 is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for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the embodiments which have been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커먼레일
B 리턴라인
C 연료탱크
D 전자제어유닛(ECU)
10 밸브하우징
11 유입구
12 배출구
13 보어
20 밸브시트부
21 오리피스
23 제1테이퍼면
24 제2테이퍼면
30 제1밸브부
31 제1밸브스템
32 제1포핏면
33 제1스프링
34 솔레노이드
40 제2밸브부
41 제2밸브스템
42 제2포핏면
43 제2스프링A common rail
B return line
C fuel tank
D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0 valve housing
11 inlet
12 outlet
13 bore
20 Valve seat
21 orifice
23 1st taper surface
24 2nd taper surface
30 1st valve part
31 1st valve stem
32 Poppet Face
33 1st Spring
34 solenoid
40 2nd valve part
41 Second valve stem
42 2nd Poppet Side
43 2nd spring
Claims (3)
상기 커먼레일에 연결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리턴라인에 연결되어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보어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보어를 전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유체가 통과되도록 오리피스가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밸브시트부와;
상기 보어의 전방공간에 구비되되, 전자제어신호에 의해 진퇴되며 상기 오리피스의 전단부를 개폐하는 제1밸브부와;
상기 보어의 후방공간에 구비되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오리피스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진퇴되며 상기 오리피스의 후단부를 개폐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In th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is installed between the common rail and the return line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common rail is discharged to control the fluid pressure in the common rail,
A valve housing connected to the common rail and having an inlet connected to the fluid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return line to discharge the fluid, and having a bor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the outlet;
A valve seat portion which divides the bore into two front and rear spaces, and an orifice penet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o that the fluid passes therethrough;
A first valve part provided in the front space of the bore and advancing by an electronic control signal to open and close the front end of the orifice;
A second valve part provided in the rear space of the bore and elastically supported in a forward direction to retrea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orifice and to open and close the rear end of the orifice;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comprising a.
상기 밸브시트부는, 후방면에 상기 오리피스로부터 후방으로 개구된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전협후광형상의 제2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부는, 선단에 상기 제2테이퍼면과 면접촉되는 원추형의 제2포핏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The method of claim 1,
The valve seat portion has a second tapered surface of a total narrow back light shape in which a diameter opened rearward from the orifice gradually increases on a rear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valve portion has a conical second poppet surfac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tapered surface at a front end thereof.
상기 밸브시트부는, 전방면에 전방에서 상기 오리피스로 개구된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전광후협형상의 제1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오리피스의 전단부를 밀폐하도록 유체의 흐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력작용면이 형성된 제1밸브스템이 구비되고, 상기 제1밸브스템의 선단에 상기 제1테이퍼면과 면접촉되는 원추형의 제1포핏면이 형성되며, 전자제어신호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밸브스템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오리피스의 전단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1밸브스템을 감싸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고압용 유체압력 조절 밸브.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alve seat portion has a front tapered first taper surface having an all-optical narrow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pened from the front to the orifice gradually decreases.
The first valve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valve stem which is moved backwar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and the pressure action surface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to seal the front end of the orifice, A conical first poppet surfac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tapered surfac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valve stem, and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by an electronic control signal to move the first valve stem to the front.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regulating valv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noid surrounding the first valve stem is provided to op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6985A KR101302704B1 (en) | 2012-04-09 | 2012-04-09 |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high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6985A KR101302704B1 (en) | 2012-04-09 | 2012-04-09 |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high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2704B1 true KR101302704B1 (en) | 2013-09-03 |
Family
ID=4945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69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2704B1 (en) | 2012-04-09 | 2012-04-09 |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high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270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8160A (en) * | 2000-12-29 | 2002-07-12 | 박상록 | Pressure control valve of compressible fuel injection system |
KR20090036348A (en) * | 2007-10-09 | 2009-04-14 | 광신기계공업 주식회사 | High Pressure Check Valve |
JP2010048259A (en) | 2009-11-30 | 2010-03-04 | Toyota Motor Corp | High pressure fuel supply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2012
- 2012-04-09 KR KR1020120036985A patent/KR10130270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8160A (en) * | 2000-12-29 | 2002-07-12 | 박상록 | Pressure control valve of compressible fuel injection system |
KR20090036348A (en) * | 2007-10-09 | 2009-04-14 | 광신기계공업 주식회사 | High Pressure Check Valve |
JP2010048259A (en) | 2009-11-30 | 2010-03-04 | Toyota Motor Corp | High pressure fuel supply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55938B2 (en) |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791798B2 (en) | Fuel injection device | |
CN102066740B (en) | Fuel injector with improved valve control | |
US9169813B2 (en) | Fuel injection valve | |
JP4146229B2 (en) |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CN101278121A (en) | Fuel injection system including a flow control valve separate from a fuel injector | |
JP4113223B2 (en) | Switching valve with pressure regulator for fuel injector with intensifier | |
KR101149336B1 (en) | Solenoid valve | |
JP4483828B2 (en) | Fuel injection valve | |
JP2006144698A (en) |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20050145221A1 (en) | Fuel injector with piezoelectric actuator and method of use | |
KR101302704B1 (en) | Fluid pressure control valve for high pressure using electric control | |
JP4107277B2 (en) |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20160034407A (en) | Control valve for a fuel injector | |
JP4682979B2 (en) | Fuel injection valve | |
JP2008304017A (en) | Three-way selector valve and fuel injection device using the same | |
JP4869342B2 (en) | Fuel injector | |
US6526943B2 (en) | Control valve for hydraulically oil activated fuel injector | |
JP2018003789A (en) | Fuel injection valve and common rail injection system | |
JP2005320904A (en) | Fuel injection valve | |
KR20030017634A (en) | Fuel injection device | |
JP4506744B2 (en) | Three-way switching valve and injector provided with the same | |
US20020092920A1 (en) | Oil activated fuel injector control with delay plunger | |
JP4218630B2 (en) |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CN107795421B (en) | Fuel injector for eng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