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2405B1 -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405B1
KR101302405B1 KR1020110104941A KR20110104941A KR101302405B1 KR 101302405 B1 KR101302405 B1 KR 101302405B1 KR 1020110104941 A KR1020110104941 A KR 1020110104941A KR 20110104941 A KR20110104941 A KR 20110104941A KR 101302405 B1 KR101302405 B1 KR 101302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drive motor
battery
body frame
work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286A (ko
Inventor
이문일
양수현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4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4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1Arrangement i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로서, 다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로 된 배터리 팩이 보닛에 의해 보호되는 전륜 측 보닛공간에 배치되고, 기체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는 배터리 팩 하방에 배치되며, 구동모터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변속기는 구동모터 후방의 차체 프레임에 배치되고, 유압발생을 위한 유압발생기는 후륜 측에 근접한 운전석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Electric vehicle construction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경작(耕作)을 위해 주로 이용되는 농용 작업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Tractor)'라 불리우는 농용 작업차는 구조적으로 일반 자동차와 비슷하지만 강력한 엔진을 장착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여 경작용(耕作用)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경작의 용도로 활용을 위해 기체 후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 예를 들어, 복토 내지는 땅을 고르는 정지작업을 위한 로터리 장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계식 엔진을 장착하던 종래와는 달리 최근에는, 환경친화적 기술의 구현 및 에너지 고갈 등의 문제해결을 위해, 배기가스가 전혀 발생되지 않고 소음이 극히 적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구동식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계식과 전기구동식은 구동방식의 상이함으로 인해 이를 구성하는 구성품이 다르고 전반적인 차량 구조에 있어서도 다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기계식이던 종래의 농용 작업차를 전기구동식으로 전환하여 양산하기 위해서는, 전기구동식에 맞게 전체적으로 설계변경을 해야 하고, 전체적인 설계가 변경되면 그에 맞추어 전체적인 생산라인 또한 개축하거나 증축해야 하는 등 막대한 초기개발 투자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 기계식 작업차 구조를 크게 바꾸지 않으면서 전기구동식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구동식 구현을 위한 부품의 효율적 배치를 통해, 종래 기계식 농용 작업차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도 전기구동식으로의 전환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로서, 다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로 된 배터리 팩이 보닛에 의해 보호되는 전륜 측 보닛공간에 배치되고, 기체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는 상기 배터리 팩 하방에 배치되며, 구동모터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변속기는 상기 구동모터 후방의 차체 프레임에 배치되고, 유압발생을 위한 유압발생기는 후륜 측에 근접한 운전석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팩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구동모터 및 유압발생기 구동에 적합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배치함에 있어서는, 휀과 같은 냉각수단을 추가 장치하지 않고도 주행풍을 이용하여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인접하여 이 구동모터 보다 앞서는 위치의 기체 전방 측 차체 프레임 상에 상기 인버터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팩은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배터리 트레이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으며, 배터리 팩 제어 및 관리를 위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상기 배터리 팩과 하나의 모듈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기존 기계식 엔진 차량의 레이아웃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상기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은 기체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은 기체 길이방향을 따라 종(縱)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와 변속기를 동력전달 가능하게 장치함에 있어서도, 상기 두 구성요소(구동모터와 변속기)가 기체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팩과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인버터 사이의 보닛공간에는, 배터리 팩에 의한 전압을 외부기기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류 승압시키거나 다운시키는 DC 컨버터 및 부품들과 배터리 팩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메인 커넥터가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에 의하면, 전기구동식 구현을 위한 부품의 효율적 배치를 통해, 종래 기계식 농용 작업차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도 전기로 구동되는 방식의 농용 작업차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전기구동식 구현을 위한 종개 기계식 작업차의 설계변경 및 그에 따른 생산라인의 개축, 증축 등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기구동식 개발 및 양산에 따른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의 주요부 구조를 확대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개략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개략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의 주요부 구조를 확대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를 살펴보면, 차량 기동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한 배터리 팩(2)이 상향 여닫이 식 보닛에 의해 보호되는 전륜(1a) 측 보닛공간(10)(종래의 엔진룸)에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 팩(2)은 직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들로서 이루어지고 차체 프레임(4)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배터리 트레이(20)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된다.
보닛공간(10)에 배터리 팩(2)을 배치함에 있어서는, 종래 기계식 엔진 작업차의 레이아웃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팩(2)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이 기체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종(縱) 배치를 이루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팩(2)의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를 위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22)가 배터리 팩(2)에 하나의 모듈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기체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는 보닛공간(10)에 배치된 상기 배터리 팩(2) 하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체 폭방향 중앙에 구동모터(3)가 배치됨으로써 그 출력축(30)이 기체 중심선(C)에 일치하면서 기체의 길이방향을 향해 배치되며, 이러한 구동모터(3) 후방의 차체 프레임(4)에는 구동모터(3) 출력을 주행에 적합한 속도로 증감시키는 변속기(5)가 탑재되어 구동모터(3)와 직결된다.
구동모터(3) 후방에 상기 변속기(5)가 배치됨에 있어서도, 상기 두 구성요소(구동모터(3)와 변속기(5))가 기체 길이방향을 따라 직결되어 직렬로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계식 엔진 작업차의 차체 프레임(4)을 폭방향으로 늘이지 않고도 변속기(5)가 장치될 수 있도록 하고, 조향장치 및 작업차에 부가 장착되는 작업기 등을 구동시킴에 있어 필요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기(6)가 후륜(1b) 측에 근접한 운전석 하방에 배치된다.
배터리 팩(2)에서 제공되는 직류전류이며 상기 구동모터(3) 및 유압발생기(6)는 교류전류로서 구동된다. 따라서 전기구동식의 경우 배터리 팩(2)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를 구동모터(3) 및 유압발생기(6) 구동에 적합한 교류로 변환시켜주는 인버터(7)가 반드시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닛에 의해 보호되는 보닛공간(10)으로 구동모터(3) 보다 앞서는 위치의 기체 최전방 측 차체 프레임(4) 상에 인버터(7)를 배치하고 있다.
구동모터(3) 보다 앞서는 위치의 기체 최전방 측에 인버터(7)를 배치하게 되면, 기체 주행 중 주행풍을 이용한 효과적 냉각이 구현될 수 있어, 휀과 같은 별도의 냉각수단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 단순화에 따른 비용절감 및 차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면부호 8과 9는 각각, 배터리 팩(2)에 의한 전압을 외부기기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류 승압시키거나 다운시키는 DC 컨버터 및 부품들과 배터리 팩(2)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메인 커넥터를 가리키는 것으로, 제한된 공간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도면의 도시와 같이 상기 DC 컨버터와 메인 커넥터는 배터리 팩(2)과 차체 프레임(4)에 설치되는 상기한 인버터(7) 사이의 여유공간에 배치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에 따르면, 전기구동식 구현을 위한 부품의 효율적 배치를 통해, 종래 기계식 농용 작업차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도 전기로 구동되는 방식의 농용 작업차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전기구동식 구현을 위한 설계 변경, 생산라인의 개축 또는 증축 등에 의한 초기개발 투자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는 경제적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a, 1b : 전륜, 후륜 2 : 배터리 팩
3 : 구동모터 4 : 차체 프레임
5 : 변속기 6 : 유압발생기
7 : 인버터 8 : DC 컨버터
9 : 메인 커넥터 10 : 보닛공간
20 : 배터리 트레이 22 : BMS
C: 기체 중심선

Claims (6)

  1.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로서,
    기체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로 된 배터리 팩이 보닛에 의해 보호되는 전륜 측 보닛공간에 배치되고, 기체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는 상기 배터리 팩 하방에 배치되며, 구동모터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변속기는 상기 구동모터 후방의 차체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변속기는 기체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며, 유압발생을 위한 유압발생기가 후륜 측에 근접한 운전석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팩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구동모터 및 유압발생기 구동에 적합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가 상기 구동모터에 인접하여 이 구동모터보다 앞서는 위치의 기체 최전방 측 차체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팩과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인버터 사이의 보닛공간에 DC 컨버터 및 배터리 팩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메인 커넥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배터리 트레이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며, 배터리 팩 제어 및 관리를 위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상기 배터리 팩과 하나의 모듈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104941A 2011-10-14 2011-10-14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30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941A KR101302405B1 (ko) 2011-10-14 2011-10-14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941A KR101302405B1 (ko) 2011-10-14 2011-10-14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286A KR20130040286A (ko) 2013-04-24
KR101302405B1 true KR101302405B1 (ko) 2013-09-02

Family

ID=4844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9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2405B1 (ko) 2011-10-14 2011-10-14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1847A1 (ja) * 2019-06-24 2020-12-30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KR102420682B1 (ko) 2021-12-06 2022-07-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구동 트랙터의 플랫폼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24020B2 (ja) * 2020-10-05 2024-07-29 株式会社クボタ 電動トラクタ
EP4227192A4 (en) * 2020-10-05 2025-04-02 Kubota Corporation ELECTRIC TRACTOR
JP2024047248A (ja) * 2022-09-26 2024-04-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24094123A (ja) * 2022-12-27 2024-07-09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775U (ja) * 1992-02-14 1993-08-31 三菱農機株式会社 電動農用トラクタ
JP2002354611A (ja) * 2001-05-28 2002-12-06 Iseki & Co Ltd 電動モータ駆動式作業車両
JP2003136970A (ja) * 2001-10-30 2003-05-14 Iseki & Co Ltd 電動式動力農機
KR20040005051A (ko) * 2002-07-08 2004-01-16 배영진 풍력과 전기력을 이용한 자동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775U (ja) * 1992-02-14 1993-08-31 三菱農機株式会社 電動農用トラクタ
JP2002354611A (ja) * 2001-05-28 2002-12-06 Iseki & Co Ltd 電動モータ駆動式作業車両
JP2003136970A (ja) * 2001-10-30 2003-05-14 Iseki & Co Ltd 電動式動力農機
KR20040005051A (ko) * 2002-07-08 2004-01-16 배영진 풍력과 전기력을 이용한 자동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1847A1 (ja) * 2019-06-24 2020-12-30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JP2021000955A (ja) * 2019-06-24 2021-01-07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JP7323349B2 (ja) 2019-06-24 2023-08-08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EP3988366A4 (en) * 2019-06-24 2023-08-30 Kubota Corporation ELECTRIC COMMERCIAL VEHICLE
JP2023156352A (ja) * 2019-06-24 2023-10-24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US12157360B2 (en) 2019-06-24 2024-12-03 Kubota Corpration Electric work vehicle
JP7662718B2 (ja) 2019-06-24 2025-04-15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
KR102420682B1 (ko) 2021-12-06 2022-07-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구동 트랙터의 플랫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286A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407B1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KR101302405B1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KR102166694B1 (ko) 전기 차량
KR101302404B1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US8616310B2 (en) Apparatus for farming, gardening and landscaping
KR102353924B1 (ko) 수소연료전지 트랙터
EP2781394B1 (en) Electric automobile
RU2010139747A (ru) Гибрид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US9016415B2 (en) Cooling device for hybrid vehicle
US20130112491A1 (en) Rear protection structure for vehicle
EP1985487A3 (en) Riding lawn mower
JP2018184035A (ja) 作業車
KR20170058164A (ko) 경전용 전기 작업차
CN203327541U (zh) 一种自走式玉米联合收获机
KR101304221B1 (ko) 웨이트 겸용 비상주행용 보조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트랙터
JP5879054B2 (ja) ハイブリッド車用駆動装置
JP2008247166A5 (ko)
JP2011005905A (ja) ハイブリッド式コンバイン
JP2014205367A (ja) ハイブリッド作業車の動力制御装置
JP2015168380A (ja) 電動車両
KR101241072B1 (ko)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KR20130073317A (ko)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CN202022208U (zh) 一种自发电轨道机车
KR20130073316A (ko)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JP7515451B2 (ja) 電動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