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926B1 - 당뇨환자용 즉석죽 및 그 제조 방법, 즉석죽용 프리믹스 - Google Patents
당뇨환자용 즉석죽 및 그 제조 방법, 즉석죽용 프리믹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1926B1 KR101301926B1 KR1020110127079A KR20110127079A KR101301926B1 KR 101301926 B1 KR101301926 B1 KR 101301926B1 KR 1020110127079 A KR1020110127079 A KR 1020110127079A KR 20110127079 A KR20110127079 A KR 20110127079A KR 101301926 B1 KR101301926 B1 KR 1013019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tant porridge
- oats
- diabetic patients
- brown rice
- barle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특히, 본 발명은 주재료 및 부재료에 대한 최적의 가공조건과 혼합비율을 제공함으로써, 원료의 가공 처리에 따른 영양성분, 기능성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향상시키고 즉석죽의 품질특성 및 관능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즉석죽의 품질특성 개선을 통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유색보리를 재료로 하는 식품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제품개발을 통한 기업의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국민건강 기여와 유색보리 생산농가의 소득증대 및 해당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의 이윤창출을 이룰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경쟁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방법에서 흑맥의 가공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방법에서 귀리의 가공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방법에서 현미의 가공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방법에서 버섯의 가공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6은 주재료(흑맥 및 귀리)의 볶음조건에 따른 원곡의 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주재료(흑맥 및 귀리)의 볶음조건에 따른 가루의 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주재료(흑맥 및 귀리)의 볶음조건에 따른 호화특성(A: 흑맥, B: 귀리)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주재료(흑맥 및 귀리)의 제분조건에 따른 가루의 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주재료(흑맥 및 귀리)의 제분조건에 따른 입도분석(A: 흑맥, B: 귀리)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현미 및 버섯의 종류 및 가공방법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즉석죽의 최종 재료 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즉석죽의 가루의 가수량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주재료(흑맥 및 귀리)와 즉석죽의 glucose 및 bile acid 유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흑맥, 귀리, 현미, 버섯의 가공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타락죽 형태의 보리죽(스로우 푸드)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보리죽 제조공정이고, B는 볶음보리죽가루이며, C는 보리죽 래시피이며, D는 보리죽이 완성된 형태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2형 당뇨모델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2형 당뇨모델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혈당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SD 흰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흰쥐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SD 흰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흰쥐의 혈당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2형 당뇨모델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 혈중 인슐린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 p<0.05))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2형 당뇨모델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췌도내 인슐린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2형 당뇨모델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췌도내 'Glucagon Like Peptide - 1'의 분비세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SD 흰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흰쥐의 췌도내 인슐린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SD 흰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흰쥐의 췌도내 'Glucagon Like Peptide - 1'의 분비세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2형 당뇨모델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 비장의 림프구 아집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p<0.05,** p<0.01))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2형 당뇨모델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흉선세포의 림프구 아집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p<0.05,** p<0.01))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비장의 림프구 아집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 p<0.05,** p<0.01))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흉선세포의 림프구 아집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p<0.05,** p<0.01))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혈중내 IL-2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혈중내 IL-4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혈중내 IL-γ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췌도내 인슐린 분비세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4는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췌도내 GPL-1 분비세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5는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췌도내 Gastrin 분비세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6은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췌도내 Ghrelin 분비세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7은 발명에 의해 제조된 즉석죽을 정상 생쥐에게 공급하고 해당 생쥐의 췌도내 Obestation 분비세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Temp. | Quantity of heat | Time (min) | ||
Black barley Type 1 | 1구간 | 70 | 50% | 6 |
2구간 | 38% | 1.5 | ||
Black barley Type 2 | 1구간 | 80 | 50% | 7 |
2구간 | 38% | 1.5 | ||
Black barley Type 3 | 1구간 | 90 | 50% | 8 |
2구간 | 38% | 1.5 | ||
Black barley Type 4 | 1구간 | 100 | 50% | 9 |
2구간 | 38% | 1.5 | ||
Oat Type 1 | 1구간 | 80 | 50% | 7 |
2구간 | 38% | 1.5 | ||
Oat Type 2 | 1구간 | 85 | 50% | 8 |
2구간 | 38% | 1.5 | ||
Oat Type 3 | 1구간 | 90 | 50% | 9 |
2구간 | 38% | 1.5 | ||
Oat Type 4 | 1구간 | 95 | 50% | 10 |
2구간 | 38% | 1.5 |
Sample | Moisture (%) |
Black barley control | 8.50±0.231) |
Black barley Type 1 | 6.32±0.12 |
Black barley Type 2 | 4.95±0.20 |
Black barley Type 3 | 3.21±0.17 |
Black barley Type 4 | 2.00±0.12 |
Oat control | 7.64±0.15 |
Oat Type 1 | 5.67±0.02 |
Oat Type 2 | 4.58±0.06 |
Oat Type 3 | 3.07±0.24 |
Oat Type 4 | 1.69±0.45 |
Sample | Dietary fiber (%) | ||
IDF2 ) | SDF3) | TDF4) | |
Black barley control | 10.17±0.861) | 3.72±0.55 | 13.90 |
Black barley Type 1 | 10.29±0.40 | 3.20±1.24 | 13.50 |
Black barley Type 2 | 10.77±0.55 | 3.48±0.41 | 14.25 |
Black barley Type 3 | 11.69±0.69 | 3.60±0.22 | 15.29 |
Black barley Type 4 | 11.67±0.64 | 3.33±2.87 | 15.00 |
Oat control | 13.23±0.24 | 4.16±1.54 | 17.39 |
Oat Type 1 | 14.23±0.23 | 2.30±0.98 | 16.53 |
Oat Type 2 | 15.63±0.55 | 2.71±0.65 | 18.34 |
Oat Type 3 | 16.58±0.21 | 2.53±0.87 | 19.11 |
Oat Type 4 | 10.23±0.26 | 2.09±0.04 | 12.32 |
Sample | β-glucans (%) | amylose (%) |
Black barley control | 5.14±0.141) | 9.41±0.05 |
Black barley Type 1 | 5.12±0.04 | 9.63±0.00 |
Black barley Type 2 | 5.45±0.06 | 10.98±0.03 |
Black barley Type 3 | 5.65±0.05 | 11.54±0.05 |
Black barley Type 4 | 5.24±0.20 | 12.30±0.08 |
Oat control | 5.12±0.04 | 3.02±0.03 |
Oat Type 1 | 5.27±0.20 | 5.41±0.08 |
Oat Type 2 | 5.26±0.10 | 7.29±0.05 |
Oat Type 3 | 5.60±0.04 | 9.12±0.08 |
Oat Type 4 | 5.40±0.02 | 9.81±0.13 |
sample | L | a | b |
Black barley control | 29.84±1.201) | 2.77±0.15 | 8.66±0.72 |
Black barley Type 1 | 33.85±2.09 | 3.49±0.26 | 10.13±0.64 |
Black barley Type 2 | 30.79±1.51 | 3.87±0.35 | 10.08±0.84 |
Black barley Type 3 | 29.95±1.12 | 2.69±0.23 | 8.32±0.05 |
Black barley Type 4 | 27.83±0.69 | 2.51±0.08 | 8.22±0.27 |
Oat control | 46.40±2.35 | 3.39±0.42 | 14.63±0.52 |
Oat Type 1 | 47.01±0.64 | 3.18±0.02 | 17.45±0.10 |
Oat Type 2 | 45.01±0.31 | 5.10±0.15 | 18.40±0.34 |
Oat Type 3 | 42.55±0.07 | 5.70±0.73 | 17.87±0.56 |
Oat Type 4 | 38.71±1.30 | 8.05±0.51 | 16.99±0.61 |
sample | L | a | b |
Black barley control | 74.53±0.751) | -1.09±0.07 | 6.62±0.19 |
Black barley Type 1 | 68.93±0.73 | 0.43±0.12 | 10.10±0.09 |
Black barley Type 2 | 66.28±0.28 | 1.28±0.06 | 12.14±0.06 |
Black barley Type 3 | 63.77±0.05 | 2.09±0.03 | 13.96±0.01 |
Black barley Type 4 | 57.21±0.32 | 3.40±0.00 | 15.87±0.06 |
Oat control | 72.70±0.21 | 0.04±0.06 | 12.25±0.05 |
Oat Type 1 | 72.61±0.11 | 0.00±0.00 | 12.59±0.00 |
Oat Type 2 | 71.18±0.23 | 0.71±0.04 | 15.10±0.05 |
Oat Type 3 | 69.09±0.49 | 1.43±0.08 | 16.57±0.02 |
Oat Type 4 | 66.85±0.42 | 2.59±0.03 | 17.79±0.01 |
|
점도 (RVU) | 호화개시 온도(℃) |
||||
최고점도 | 최저점도 | 최종점도 | 강하점도 | 치반점도 | ||
Black barley control | 292.63±5.131 ) | 156.79±2.96 | 347.05±3.62 | 135.84±2.17 | 190.25±0.67 | 66.91±2.75 |
Black barley Type 1 | 251.88±0.38 | 175.21±1.29 | 327.34±0.41 | 76.67±0.92 | 152.13±1.71 | 65.75±1.60 |
Black barley Type 2 | 133.80±2.12 | 99.34±1.09 | 206.71±0.54 | 34.46±1.04 | 107.38±1.63 | 64.10±3.25 |
Black barley Type 3 | 51.25±0.50 | 45.59±0.09 | 117.63±0.71 | 5.67±0.41 | 72.04±0.79 | 67.71±1.15 |
Black barley Type 4 | 17.17±0.41 | 11.25±0.33 | 32.80±0.62 | 5.92±0.08 | 21.54±0.29 | 67.71±3.55 |
Oat control | 315.38±2.04 | 187.04±0.96 | 435.17±7.00 | 128.33±3.00 | 248.13±7.95 | 84.55±3.15 |
Oat Type 1 | 301.09±4.17 | 239.71±0.38 | 413.92±3.34 | 61.38±3.80 | 174.21±2.96 | 82.58±1.98 |
Oat Type 2 | 208.59±2.67 | 186.96±2.71 | 410.42±5.34 | 21.63±0.05 | 223.46±2.63 | 88.98±0.48 |
Oat Type 3 | 146.00±0.42 | 132.46±0.63 | 327.84±1.41 | 13.54±0.21 | 195.38±0.79 | 90.15±0.70 |
Oat Type 4 | 102.71±0.88 | 98.92±0.83 | 261.50±2.58 | 3.79±0.04 | 162.58±1.75 | 89.30±0.05 |
sample | L | a | b |
Black barley rollmill 1 | 39.22±1.011) | 2.24±0.15 | 14.65±0.04 |
Black barley rollmill 2 | 57.45±0.41 | 2.12±0.08 | 14.21±0.45 |
Black barley rollmill 3 | 63.77±0.05 | 2.09±0.03 | 13.96±0.01 |
Oat rollmill 1 | 52.45±0.01 | 2.81±0.04 | 18.45±0.03 |
Oat rollmill 2 | 58.57±0.03 | 2.75±0.01 | 18.01±0.04 |
Oat rollmill 3 | 66.85±0.42 | 2.59±0.03 | 17.79±0.01 |
sample | WSI (%) | WAI (g/g) |
Black barley rollmill 1 | 1.44±0.131) | 3.31±0.00 |
Black barley rollmill 2 | 1.55±0.15 | 3.34±0.04 |
Black barley rollmill 3 | 1.65±0.14 | 3.36±0.01 |
Oat rollmill 1 | 1.54±0.17 | 3.34±0.01 |
Oat rollmill 2 | 1.66±0.16 | 3.36±0.03 |
Oat rollmill 3 | 1.77±0.16 | 3.39±0.00 |
품 목 | 색 및 외관 | 고소한 향 | 부드러운 정도 | 전반적 기호도 |
Black barley rollmill 1 | 3.00±1.001) | 7.00±0.00 | 2.50±1.25 | 3.00±0.00 |
Black barley rollmill 2 | 4.12±0.40 | 7.50±1.00 | 3.00±1.00 | 5.05±1.05 |
Black barley rollmill 3 | 7.12±0.80 | 7.00±0.00 | 6.50±1.00 | 7.00±0.00 |
Oat rollmill 1 | 3.50±1.451) | 6.00±0.00 | 2.00±0.00 | 3.50±1.00 |
Oat rollmill 2 | 3.00±1.50 | 6.00±0.00 | 3.51±1.55 | 5.00±0.00 |
Oat rollmill 3 | 7.06±1.60 | 6.00±0.00 | 6.00±0.00 | 7.45±1.42 |
종류 | 가공방법 | 비고 | |
현미 |
멥쌀현미 |
세척증자 제분 볶음 세척증자 볶음 제분 |
A B |
찹쌀현미 |
세척증자 제분 볶음 세척증자 볶음 제분 |
C D |
|
버섯 |
목이버섯 |
세척건조 제분 세척증자 건조 제분 |
E F |
표고버섯 |
세척건조 제분 세척증자 건조 제분 |
G H |
품 목 | A | B | C | D |
흑맥 | 65 | 65 | 65 | 65 |
귀리 | 20 | 20 | 20 | 20 |
멥쌀현미 A | 15 | |||
멥쌀현미 B | 15 | |||
찹쌀현미 C | 15 | |||
찹쌀현미 D | 15 |
품 목 | 색 및 외관 | 고소한 향 | 부드러운 정도 | 전반적 기호도 |
A | 5.50±0.921) | 6.50±0.73 | 5.35±0.73 | 5.30±0.90 |
B | 5.54±0.85 | 7.01±0.24 | 7.05±0.86 | 7.30±0.71 |
C | 5.24±0.95 | 6.75±0.92 | 6.68±0.77 | 5.35±1.01 |
D | 5.45±0.92 | 6.95±0.75 | 6.81±0.75 | 6.65±1.01 |
품 목 | E | F | G | H |
흑맥 | 61 | 61 | 61 | 61 |
귀리 | 20 | 20 | 20 | 20 |
멥쌀현미 | 15 | 15 | 15 | 15 |
목이버섯 E | 4 | |||
목이버섯 F | 4 | |||
표고버섯 G | 4 | |||
표고버섯 H | 4 |
품 목 | 색 및 외관 | 고소한 향 | 부드러운 정도 | 전반적 기호도 |
E | 5.00±0.001) | 7.52±0.54 | 7.00±0.04 | 7.32±0.42 |
F | 5.21±0.24 | 7.51±0.34 | 7.30±0.46 | 8.21±0.91 |
G | 5.22±0.27 | 7.00±0.00 | 7.04±0.24 | 7.35±0.41 |
H | 5.00±0.00 | 7.45±0.45 | 7.24±0.25 | 7.65±0.61 |
품 목 | 가공방법 | 배합비 (%) |
흑맥 | 세척건조볶음제분 | 61 |
귀리 | 세척증자냉각볶음제분 | 20 |
멥쌀현미 | 세척증자냉각볶음제분 | 15 |
목이버섯 | 세척증자냉각건조제분 | 4 |
pH | 퍼짐성 (cm) | amylose (%) | 도 (mPaㆍs) | |
4배 | 6.43±0.021) | 6.45±0.42 | 0.18±0.00 | 5,847.54±84.65 |
5배 | 6.59±0.01 | 7.21±0.45 | 0.16±0.00 | 6,245.45±54.75 |
6배 | 6.64±0.01 | 9.42±0.15 | 0.14±0.00 | 3,476.91±75.85 |
7배 | 6.78±0.02 | 10.42±0.45 | 0.11±0.00 | 1,098.65±73.58 |
품 목 | 색 및 외관 | 고소한 향 | 부드러운 정도 | 전반적 기호도 |
4배 | 6.24±1.101) | 7.51±1.54 | 4.07±1.56 | 5.00±0.00 |
5배 | 7.88±0.54 | 8.45±0.35 | 7.65±1.26 | 7.54±1.56 |
6배 | 4.68±1.02 | 5.00±1.10 | 4.65±1.24 | 2.45±2.42 |
7배 | 3.21±0.65 | 3.11±1.25 | 3.05±1.25 | 2.65±1.62 |
Samples (dry basis %) |
Moisture | Crude protein | Crude fat | Crude ash | Carbohydrates |
Black barley | 3.21±0.171) | 10.21±0.42 | 1.70±0.01 | 0.82±0.04 | 84.06 |
Oat | 3.07±0.24 | 13.65±0.02 | 5.42±0.65 | 3.21±0.06 | 74.65 |
Barley gruel | 3.10±0.10 | 12.69±0.04 | 3.10±0.20 | 4.10±0.21 | 77.01 |
Samples (dry basis %) |
Dietary fiber | β-glucan | amylose | ||
IDF | SDF | TDF | |||
Black barley | 11.69±0.691) | 3.60±0.22 | 15.29 | 5.65±0.05 | 11.54±0.05 |
Oat | 16.58±0.21 | 2.53±0.87 | 19.11 | 5.60±0.04 | 9.12±0.08 |
Barley gruel | 11.79±0.08 | 3.94±0.04 | 15.73 | 5.72±0.00 | 13.42±0.07 |
Samples | Glucose retardation index (%) | ||
Dialysis for 0.5 hr | Dialysis for 1 hr | Dialysis for 2 hr | |
Black barley | 5.57±0.361) | 8.13±0.00 | 0.68±0.14 |
Oat | 6.29±0.72 | 9.84±0.43 | 2.51±0.07 |
Barley gruel | 8.63±0.54 | 10.05±1.28 | 2.78±1.15 |
Samples | Glucose retardation index (%) | ||
Dialysis for 1 hr | Dialysis for 2 hr | Dialysis for 4 hr | |
Black barley | 4.30±0.001) | 4.41±0.37 | 1.05±0.12 |
Oat | 5.73±1.43 | 4.59±0.18 | 1.11±0.06 |
Barley gruel | 7.16±0.00 | 5.51±0.37 | 1.35±0.06 |
품 목 | 배합비 (%) | 가수량 |
흑맥 | 61 | 5배 |
귀리 | 20 | |
멥쌀현미 | 15 | |
목이버섯 | 4 |
항목 | 결과 |
Carbohydrates (%) | 63.76 |
Crude protein (%) | 12.69 |
Crude fat (%) | 3.10 |
Dietary fiber (%) | 15.73 |
Saccharides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l actose) (mg/g) |
6.76 |
Total | 102.04 |
Ingredient | Basal diet(AIN76)(g) | experimental diet (10% BG)(g) |
Casein | 200 | 187.3 |
Sucrose | 500 | 431.5 |
Corn starch | 150 | 150.0 |
Cellulose | 50 | 34.3 |
Corn oil | 50 | 46.9 |
Barley gruel | 0 | 100 |
AIN-76 Mineral mix1 ) | 35 | 35 |
Vitamin mix | 10 | 10 |
DL-methionine | 3 | 3 |
choline bitartrate | 2 | 2 |
Total | 1000 | 1000 |
Insulin Conc.(ng/㎖) | |
CON | 7.9±0.5 |
10% BG | 12.8±1.1* |
Cell Type Treat |
Splenocytes(%) | Thymocytes(%) | |||
B cells |
T cells | TH |
TC |
||
TH | TC | ||||
대조군(CON) |
44.3±0.3 | 30.3±1.3 | 12.3±0.3 | 10.8±0.0 | |
20.2±0.7 | 15.7±0.4 | ||||
실험군(10% BG) |
43.7±1.6 | 29.3±0.8 | 14.3±0.2** | 12.6±0.4* | |
16.1±0.7 | 14.4±0.7 |
Cell Type Treat |
Splenocytes(%) | Thymocytes(%) | |||
B cells |
T cells | TH |
TC |
||
TH | TC | ||||
대조군(CON) |
44.3±0.3 |
30.3±1.3 |
12.3±0.3 |
10.8±0.0 |
|
20.2±0.7 | 15.7±0.4 | ||||
실험군(10% BG) |
43.7±1.6 |
29.3±0.8 |
14.3±0.2 |
12.6±0.4 |
|
16.1±0.7 | 14.4±0.7 |
Lymphokines(pg/) Treat |
IL-21) |
IL-42) |
IFN-3) |
CON | 0.7± 0.2 |
47.2±0.4 | 39.8±0.5 |
10% BG | 1.2±0.1* | 46.9±0.3 | 40.4±0.6 |
Claims (12)
- 주재료가공조건에 따라 주재료인 흑맥 및 귀리를 가루 형태로 가공하는 주재료 가공단계;
부재료가공조건에 따라 부재료인 현미 및 버섯을 가루 형태로 가공하는 부재료 가공단계;
배합비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된 주재료 및 부재료를 배합하는 배합단계; 및
설정가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주재료 및 부재료의 배합물에 물을 첨가하는 가수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재료 가공단계에서, 상기 흑맥의 가공은 흑맥을 세척하는 세척공정, 세척된 흑맥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건조된 흑맥을 열 및 원적외선으로 가열하여 볶아주는 볶음공정, 볶아진 흑맥을 제분하는 제분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귀리의 가공은 귀리를 세척하는 세척공정, 세척된 귀리를 증자하는 증자공정, 증자된 귀리를 상온에서 냉각하는 냉각공정, 냉각된 귀리를 볶아주는 볶음공정, 볶아진 귀리를 제분하는 제분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흑맥의 건조공정은 세척된 흑맥을 50~70℃의 건조온도로 10~30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상기 흑맥의 볶음공정은 제1 및 제2 구간으로 구분되어 진행되며, 제1구간에서는 흑맥을 70~100℃의 온도로 가열하고, 제2구간에서는 흑맥을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적외선만을 인가하여 뜸을 들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간에서는 45~55%의 원적외선을 인가하고, 제2구간에서 28~48%의 원적외선만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귀리의 증자공정은 20~40분 동안 증자되고, 상기 귀리의 냉각공정은 상온에서 30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냉각되며, 상기 귀리의 볶음공정은 제1 및 제2 구간으로 구분되어 진행되고, 제1구간에서는 귀리를 80~98℃의 온도로 가열하고, 제2구간에서는 귀리를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적외선만을 인가하여 뜸을 들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구간에서는 45~55%의 원적외선을 인가하고, 제2구간에서 28~48%의 원적외선만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 가공단계에서, 상기 현미의 가공단계는 현미를 세척하는 세척공정, 세척된 현미를 증자하는 증자공정, 증자된 현미를 상온에서 냉각하는 냉각공정, 냉각된 현미를 볶아주는 볶음공정, 볶아진 현미를 제분하는 제분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섯의 가공단계는 버섯을 세척하는 세척공정, 세척된 버섯을 증자하는 증자공정, 증자된 버섯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건조된 버섯을 제분하는 제분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현미는 멥쌀현미이고, 상기 버섯은 목이버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물의 배합비는 흑맥 51% 내지 74% 중량분, 귀리 15% 내지 30% 중량분, 현미 10% 내지 25% 중량분 및 버섯 1% 내지 12% 중량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은 흑맥 61% 중량분, 귀리 20% 중량분, 멥쌀현미 15% 중량분 및 목이버섯 4% 중량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수단계의 설정된 가수량은 배합물의 중량비에 대하여 4배 내지 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 방법.
- 청구항 1 내지 8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된 당뇨환자용 즉석죽.
- 보리를 볶음처리한 후에 제분처리함으로써 보리 가루를 형성하는 보리 가루 형성단계; 및
상기 보리 가루에 물, 우유 및 견과류를 첨가하는 가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방법. - 보리를 볶음처리한 후에 제분처리함으로써 보리 가루를 형성하는 보리 가루 형성단계; 및
상기 보리 가루에 물, 우유 및 고구마가루를 첨가하는 가수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환자용 즉석죽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7079A KR101301926B1 (ko) | 2011-11-30 | 2011-11-30 | 당뇨환자용 즉석죽 및 그 제조 방법, 즉석죽용 프리믹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7079A KR101301926B1 (ko) | 2011-11-30 | 2011-11-30 | 당뇨환자용 즉석죽 및 그 제조 방법, 즉석죽용 프리믹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0814A KR20130060814A (ko) | 2013-06-10 |
KR101301926B1 true KR101301926B1 (ko) | 2013-09-10 |
Family
ID=4885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70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1926B1 (ko) | 2011-11-30 | 2011-11-30 | 당뇨환자용 즉석죽 및 그 제조 방법, 즉석죽용 프리믹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192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896B1 (ko) * | 2013-12-12 | 2015-08-27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귀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귀리 된장 |
KR20200047242A (ko) | 2018-10-25 | 2020-05-07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 니파야자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 기능을 갖는 죽의 제조방법 |
KR20240146171A (ko) | 2023-03-28 | 2024-10-08 |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임계 수 처리 해조류 추출물이 첨가된 식후 혈당 조절용 즉석밥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54545A (ja) * | 1995-12-05 | 1997-06-17 | Hakubaku:Kk | 大麦粉または大麦を利用したスープ、粥、雑炊、 リゾットの製造法 |
KR20100031400A (ko) * | 2008-09-12 | 2010-03-22 | 최기홍 | 즉석 죽 제조용 곡물 퍼핑 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
KR20110096417A (ko) * | 2010-02-22 | 2011-08-30 | 한국식품연구원 | 타락죽의 제조방법 |
-
2011
- 2011-11-30 KR KR1020110127079A patent/KR10130192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54545A (ja) * | 1995-12-05 | 1997-06-17 | Hakubaku:Kk | 大麦粉または大麦を利用したスープ、粥、雑炊、 リゾットの製造法 |
KR20100031400A (ko) * | 2008-09-12 | 2010-03-22 | 최기홍 | 즉석 죽 제조용 곡물 퍼핑 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
KR20110096417A (ko) * | 2010-02-22 | 2011-08-30 | 한국식품연구원 | 타락죽의 제조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896B1 (ko) * | 2013-12-12 | 2015-08-27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귀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귀리 된장 |
KR20200047242A (ko) | 2018-10-25 | 2020-05-07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 니파야자 추출물을 이용한 항당뇨 기능을 갖는 죽의 제조방법 |
KR20240146171A (ko) | 2023-03-28 | 2024-10-08 |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임계 수 처리 해조류 추출물이 첨가된 식후 혈당 조절용 즉석밥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0814A (ko) | 2013-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umar et al. | Nutritional contents and medicinal properties of wheat: a review | |
Baniwal et al. | Cereals: Functional constituents and its health benefits | |
CN1024108C (zh) | 一种降糖食品的制备方法 | |
Schenker | An overview of the role of rice in the UK diet | |
Omoregie et al. | Glycemic indices and glycemic load of some Nigerian foods | |
CN108391692A (zh) | 一种高纤维豆酥糕点的制作方法 | |
CN105145843A (zh) | 一种高纤燕麦乳饮料及其生产方法 | |
CN109892537B (zh) | 高抗性淀粉大米的加工和食用方法 | |
CN113712148A (zh) | 一种低gi黑青稞杂粮速食米饭及其制备方法 | |
KR101301926B1 (ko) | 당뇨환자용 즉석죽 및 그 제조 방법, 즉석죽용 프리믹스 | |
CN102550956B (zh) | 一种粗粮炒面保健食品 | |
Virginia et al. | Development of nutritious snacks by incorporation of amaranth seeds, watermelon seeds and their flour | |
CN101766281A (zh) | 一种具有良好口感的抗性淀粉米线 | |
TWI488584B (zh) | 降低碳水化合物類食物之血糖反應的產品 | |
Gull et al. | RETRACTED ARTICLE: Nutritional, technological, and medical approach of finger millet (Eleusine coracana) | |
CN109601574A (zh) | 提高饱腹感的低血糖生成指数全糙米蛋糕及其制备方法 | |
KR20070103851A (ko) | 어닐링(annealing)에 의한 곡류의 소화율 억제방법 | |
Shiekuma et al. | Effect of Sorghum-tigernut Ibyer (A Traditional Gruel) on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of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 |
Nurrohima et al. | Nutritional and Organoleptic Value in the Formula Enteral of Growol and Germinated Mung Bean Flour as an Alternative Enteral Type 2 Diabetes Mellitus. | |
CN113907108A (zh) | 一种低糖低脂黑木耳藜麦营养发酵饼干及其制备方法 | |
Assefa et al. | Glycemic index of some traditional Ethiopian foods | |
KR20180002951A (ko) | 현미를 이용한 누룽지 | |
CN110973192A (zh) | 一种亚麻籽粗粮桃酥及其制备方法 | |
NL2034665B1 (en) | High-nutrition rs2 high-resistant starch nood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Maharani et al. | The review of snack bar from chia-mocaf as an antidiabetic fo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