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1874B1 -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 Google Patents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874B1
KR101301874B1 KR1020120052351A KR20120052351A KR101301874B1 KR 101301874 B1 KR101301874 B1 KR 101301874B1 KR 1020120052351 A KR1020120052351 A KR 1020120052351A KR 20120052351 A KR20120052351 A KR 20120052351A KR 101301874 B1 KR101301874 B1 KR 101301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toilet
armrest
guide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진
Original Assignee
홍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진 filed Critical 홍순진
Priority to KR102012005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8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기본적으로 양변기 양측에 구비되어 팔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양변기 본체 후방으로 물내림을 위한 수조가 설치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본체 좌우측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암레스트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양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Toilet Stools With Armrest}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 양측에 구비되어 팔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 및 기타 편의장치를 구비하는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변기(혹은 좌변기)에는 앉아서 용변을 볼 때 팔을 올려놓거나 걸 수 있는 암레스트는 없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 생활의 수준이 향상되고 화장실 문화가 고급화되면서 사용자의 편리함이나 안전을 위해 암레스트(armrest)를 설치한 양변기가 공지되었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 장애인들의 경우 용변을 볼 때 잡을 수 있는 팔걸이가 필요하기 때문에 암레스트는 더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레스트는 단순히 양변기 양측에 고정되어 팔을 걸칠 수 있는 정도의 구조이었으나, 사용할 때는 내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 올려놓을 수 있도록 힌지 결합구조를 가지는 암레스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양변기용 암레스트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상기 팔걸이에 힘을 주면 회전하다 상기 고정핀에 걸려 정지하는데, 이때 힘을 더 주게 되면 상기 고정핀에 힘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상기 팔걸이는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외력(토크)을 주면 상기 고정핀에 집중적인 전단력이 작용해서 부러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핀이 파손되지 않더라도 상기 고정핀이 삽입된 홀더의 일측이 찢어져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몸이 불편한 사람일 경우 팔걸이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상기 회전슬라이드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초기 설정된 일정한 마찰력은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하다. 다시 말해, 일반 성인에 마찰력을 맞춰놓으면 어린이나 노약자가 상기 팔걸이를 올리거나 내릴 때 힘이 더 들어 매우 불편할 수 있다.
셋째, 상기 팔걸이를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상기 회전슬라이드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마찰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하여 상기 팔걸이가 외력이 없어도 회전하게 된다.
넷째, 사용할 때는 내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 올려놓을 수 있도록 힌지 결합구조를 가지는 암레스트는 실질적으로 높이 조절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회동에 의해 들어 올려지기는 하지만 편안하게 팔을 걸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 암레스트의 끝부분만이 점점 들리는 회동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높이 조절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한편, 특허문헌 항목에서 제시한 공지의 기술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사용할 때는 내리고 사용하지 않을 때 접어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나, 힌지축을 중심으로 암레스트를 평면상에서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는 구조의 암레스트도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암레스트 역시 불편한 사용자의 기립을 보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거나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손잡이를 강한 힘으로 누르면서 몸을 앞으로 기울일 때, 만약 암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벌어지게 되면 몸의 중심이 무너지면서 사용자가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특히, 전술한 종래의 암레스트 구조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평방향으로 벌리거나 오므리는 암레스트 구조는, 수직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이에 덧붙여, 암레스트의 구비 여부를 떠나서 종래의 양변기는 통상 물내림 버튼이나 레버가 등 뒤쪽 수조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을 내릴 때 몸을 돌리면서 팔을 뒤로 젖혀서 작동시켜야만 했다.
그런데 자신의 의지대로 뒤로 몸을 돌리거나 팔을 젖힐 수 없는 등 몸이 불편한 환자는 상기 종래의 양변기에서 용변을 본 후 자신이 스스로 물을 내리는 것조차 어렵게 수행하거나 남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양변기는 별도의 발 받침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불편함이 수반된다.
따라서, 상술한 불편함 및 문제점들을 해소한 새로운 구조의 양변기가 제공될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93863호(2010. 11. 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16873호(2008. 03. 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38874호(2003. 05. 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74846호(2000. 09. 18)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양변기 양측에 구비되어 팔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을 통해 편안하게 팔을 올려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받침을 두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몸을 뒤로 돌리거나 팔을 뒤로 젖힐 필요없이 손쉽게 물을 내릴 수 있게 되는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변기 본체 후방으로 물내림을 위한 수조가 설치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본체 좌우측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암레스트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가 제공된다.
삭제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양변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정위치에 고정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 외측에 설치되며 그 상단에 암레스트가 결합되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의 승강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한편 가이드프레임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드 승강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승강 제어장치는, 슬라이드 외측으로 노출되는 누름편에 누름력이 작용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누름편과 연결된 걸림편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걸림턱을 벗어나도록 설치되는 스톱퍼와, 상기 누름편에 누름력이 작용할 때 압축력을 받으면서 탄성변형된 다음 누름력의 제거시 스톱퍼를 원위치시켜 걸림편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걸림턱에 걸려 슬라이드의 승강이 방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암레스트의 내측에는 물내림용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물내림용 레버와 수조의 버튼 사이에는 공지의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양변기는, 발 받침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 받침 장치는,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며 양변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맞닿게 되는 하부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에 내측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양변기 본체 하부 외측면의 프로파일측의 프로파일을 따라 곡선처리되며 발 받침을 직접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발받침지지프레임과, 상기 발받침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상기 발 받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 사용시 암레스트에 팔을 편하게 걸쳐 놓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가장 알맞은 높이로 조절한 상태에서 암레스트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이 한층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팔뿐만 아니라 발받침에 편하게 발을 올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편안하게 양변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물 내림시 몸을 뒤로 돌리거나 팔을 뒤로 젖힐 필요없이 간단한 손동작으로 손쉽게 물을 내릴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을 제공함으로써, 상체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 및 발받침은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때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용변을 본 후에 일어날 때 기립을 보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와 발받침, 간단한 물 내림 장치를 통해, 일반 양변기 사용자에게 일상에서의 편의성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게 되며, 특히 몸이 불편한 환자 및 노약자의 양변기 사용시 불편을 효과적으로 덜어주고 안전성을 높이게 됨으로써 삶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양변기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양변기의 평면도로서, 물내림 레버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덮개를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양변기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좌측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로서, 우측(앉았을 때 기준) 암레스트 높이조절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참고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또 다른 참고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또 다른 참고 사시도
도 9는 도 4의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양변기 본체(100) 후방으로 물내림을 위한 수조(110)가 설치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본체(100) 좌우측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암레스트(200)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양변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310)에 연결되어 정위치에 고정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턱(324)이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32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320) 외측에 설치되며 그 상단에 암레스트(200)가 결합되는 슬라이드(330)와, 상기 슬라이드(330)의 승강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한편 가이드프레임(320)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드 승강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승강 제어장치는, 슬라이드(330) 외측으로 노출되는 누름편(341)에 누름력이 작용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누름편(341)과 연결된 걸림편(342)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걸림턱(324)을 벗어나도록 설치되는 스톱퍼(340)와, 상기 누름편(341)에 누름력이 작용할 때 압축력을 받으면서 탄성변형된 다음 누름력의 제거시 스톱퍼(340)를 원위치시켜 걸림편(342)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걸림턱(324)에 걸려 슬라이드(330)의 승강이 방지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 등의 탄성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스톱퍼(340)는 일종의 막대(rod) 형태로서, 상단부에는 누름편(341)이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걸림편(3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0)는 정확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누름편(341)의 직후방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330)의 면상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10)과 가이드프레임(320)의 연결부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330)의 승강시의 간섭 현상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슬라이드(33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간섭회피용 안내장공(3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330) 면상에는 간섭회피용 안내장공(3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330)의 승강에 무관하게 지지프레임(310)과 가이드프레임(320)은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암레스트(200)의 내측에는 물내림용 레버(410)가 설치되고, 상기 물내림용 레버(410)와 수조(110)의 버튼(111) 사이에는 공지의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420)이 설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물내림용 레버(410)는 'ㄱ'자형태로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420)의 코어와이어(421)가 레버 당김부 반대편에 연결된다.
상기 물내림용 레버(410)에는 당기는 힘을 제거하였을 때 물내림용 레버가 원위치하도록 토션스프링(미도시)등 복귀력을 부여하는 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원위치하는 물내림용 레버(4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멈춤돌기(43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특히 상기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420)은 사용자와의 간섭 및 양변기 본체(100) 및 수조(110)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 예컨대, '∪'자 형태로 와이어링(wiring)된다. 즉, 상기 물내림용 레버(410)에서 직선형태로 바로 수조(110)의 버튼(111)에 연결되지 않고, 간섭을 피할 수 있는 '∪'자 같은 형태로 굴곡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양변기는, 발 받침 장치를 더 포함하는바, 상기 발 받침 장치는, 가이드프레임(320)에 결합되며 양변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맞닿게 되는 하부지지프레임(510)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510)에 내측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양변기 본체(100) 하부 외측면의 프로파일측의 프로파일을 따라 곡선처리되며 발 받침을 직접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발받침지지프레임(520)과, 상기 발받침지지프레임(520)에 연결되는 상기 발 받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 받침(500)은 상기 발받침지지프레임(52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양변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양변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양변기 본체(100)의 뚜껑을 젖히고,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이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 사용시 암레스트(200)에 팔을 편하게 걸쳐 놓을 수 있다.
이때, 암레스트(200)의 높이가 사용자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가장 알맞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암레스트 높이 조절 과정은 다음과 같다.
높이 조절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암레스트(200) 바로 아래쪽이자 슬라이드(330) 상부 측에 상기 슬라이드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누름편(341)을 누르게 된다.
이렇게 상기 누름편(341)이 눌러지면,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50)를 압축시키면서 누름편(341)을 구비한 스톱퍼(340)가 슬라이드(330)의 폭방향(수평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물러나게 되며, 이에 따라 누름편(341)과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342)도 가이드프레임(320)에 형성된 걸림턱(324)을 빠져나오게 된다.
즉, 일종의 막대(rod) 형상인 스톱퍼(340)의 누름편(341)이 눌러지기 전에는 상기 스톱퍼(340)의 걸림편(342)이 가이드프레임(320)의 걸림턱(324)에 걸려 있어 암레스트(200)가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나, 누름편(341)이 눌러져서 걸림편(342)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에 형성된 걸림턱(324)과의 간섭에서 벗어나게 되면, 암레스트(200)가 결합된 슬라이드(330)의 승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누름편(341)을 눌러서 슬라이드(330)의 승강이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슬라이드(330)를 올리거나 내려 암레스트(200)의 위치를 신체조건이나 기타 원하는 조건에 맞게 조정한 다음, 조정이 완료되면 누름편(341)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한다.
이렇게 되면, 누름편(341)은 직후방에 설치된 탄성부재(35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330)의 폭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톱퍼(340)의 걸림편(342)은 다시 새로이 조정된 위치에서의 또 다른 걸림턱 내측으로 진입하여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손쉽게 암레스트(200)의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높이 조절시, 슬라이드(330)는 가이드프레임(32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드(330) 면상에는 간섭회피용 안내장공(3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330)의 승강에 무관하게 지지프레임(310)과 가이드프레임(320)은 연결상태가 유지된다.
즉, 스톱퍼(340)의 걸림편(342)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324)을 구비한 가이드프레임(320)은 어딘가에 고정되고 지지되어야 하는 반면, 상기 슬라이드(330)는 가이드프레임(320)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하여 승강하여야 하는데,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이 양변기 본체(100)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310)에 연결되어 정위치에 고정되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20)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330)의 승강을 위해서는 지지프레임(310)과 가이드프레임(320)의 연결부와 슬라이드(330)와의 간섭회피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슬라이드(330)의 면상에 상기 지지프레임(310)과 가이드프레임(320)의 연결부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330)의 승강시의 간섭 현상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슬라이드(33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간섭회피용 안내장공(33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간섭을 회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암레스트(200)의 높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므로 어떠한 사용자라도 별다른 신체 조건에 따른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양변기는 암레스트(200)와 더불어 발을 편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발 받침(500)이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더욱 편안하게 양변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발 받침(500)은 양변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맞닿게 되는 하부지지프레임(510)에 내측으로 연결되게 설치된 발받침지지프레임(520)에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양변기는 물 내림시 몸을 뒤로 돌리거나 팔을 뒤로 젖힐 필요없이 간단한 손동작으로 손쉽게 물을 내릴 수 있게 되어, 상체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암레스트(200)의 내측에는 물내림용 레버(410)가 설치되고, 상기 물내림용 레버(410)와 수조(110)의 버튼(111) 사이에는 공지의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42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내림시 사용자는 암레스트(200) 외측을 통해 물내림용 레버(410)에 손가락을 걸어 당기기만 하면 물내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물내림용 레버(410)는 'ㄱ'자형태로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420)의 코어와이어(421)가 레버 당김부 반대편에 연결된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420)은, 물내림용 레버(410)에서 직선형태로 수조(110)의 버튼(111)에 연결되지 않고, '∪'자 형태로 와이어링되어, 양변기 본체(100) 및 수조(110)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암레스트(200)와 발 받침(500), 간단한 물 내림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양변기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일어날 때 기립을 보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일반 사용자에게는 일상에서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몸이 불편한 환자 및 노약자의 양변기 사용시 불편을 덜어주고 안전성을 높이게 됨으로써 삶의 질을 한층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물내림용 레버(410)를 당겼을 때 물이 내려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420)의 특성상 물내림용 레버를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물 내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구조로 인해 양변기 사용시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을 통해 편안하게 팔을 올려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 받침(500)에 편하게 발을 올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물 내림시 몸을 뒤로 돌리거나 팔을 뒤로 젖힐 필요없이 간단한 동작으로 손쉽게 물을 내릴 수 있게 되는 양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변기는 기존의 양변기에 암레스트와 그 높이조절장치, 발 받침 등을 간단히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개선된 구조로 인해 성능 및 내구성, 시공성이 향상되는 등의 장점이 있으므로, 일반 가정을 포함하여 병원 및 호텔 등 각종 시설의 화장실에 사용되는 양변기 시공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의료, 복지 등을 고려한 건축 및 설비 분야에 있어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100:양변기 본체 110:수조
111:수조의 버튼 200:암레스트
310:지지프레임 320:가이드프레임
324:걸림턱
330:슬라이드 331:간섭회피용 안내장공
340:스톱퍼 341:누름편
342:걸림편 350:탄성부재
410:물내림용 레버 420:푸시-풀 컨트롤 케이블
421:코어와이어 430:멈춤돌기
500:발 받침 510:하부지지프레임
520:발받침지지프레임

Claims (7)

  1. 양변기 본체 후방으로 물내림을 위한 수조가 설치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본체 좌우측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암레스트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높이조절수단이 구성되되;
    상기 암레스트 높이조절수단은 양변기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정위치에 고정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 외측에 설치되며 그 상단에 암레스트가 결합되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의 면상에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의 연결부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의 승강시의 간섭 현상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간섭회피용 안내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의 승강 가능 여부를 제어하면서 가이드프레임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드 승강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승강 제어장치는 슬라이드 외측으로 노출되는 누름편에 누름력이 작용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누름편과 연결된 걸림편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걸림턱을 벗어나도록 설치되는 스톱퍼와, 상기 누름편에 누름력이 작용할 때 압축력을 받으면서 탄성변형된 다음 누름력의 제거시 스톱퍼를 원위치시켜 걸림편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걸림턱에 걸려 슬라이드의 승강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며 양변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맞닿게 되는 하부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에 내측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양변기 본체 하부 외측면의 프로파일측의 프로파일을 따라 곡선처리되며 발 받침을 직접적으로 지지하게 연결되는 발받침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발 받침 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에는 물내림용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물내림용 레버와 수조의 버튼 사이에는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이 설치되되;
    상기 물내림용 레버는 'ㄱ'자형태로서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의 코어와이어가 당김부 반대편에 연결되며, 상기 푸시-풀 컨트롤 케이블은 양변기 본체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 형태로 와이어링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7. 삭제
KR1020120052351A 2012-05-17 2012-05-17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Active KR10130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351A KR101301874B1 (ko) 2012-05-17 2012-05-17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351A KR101301874B1 (ko) 2012-05-17 2012-05-17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874B1 true KR101301874B1 (ko) 2013-08-29

Family

ID=4922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351A Active KR101301874B1 (ko) 2012-05-17 2012-05-17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8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1188A (zh) * 2014-01-02 2014-04-09 福州市台江区振斌高效电磁聚能科技研究所 隐型水箱坐便器
KR20160145346A (ko) 2015-06-10 2016-12-20 이종영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
KR102022608B1 (ko) 2019-05-28 2019-09-18 (주)링크옵틱스 좌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KR102022607B1 (ko) 2018-06-27 2019-09-18 (주)링크옵틱스 긴급호출신호 송출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좌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KR20210017705A (ko) * 2019-08-09 2021-02-17 동오정밀 주식회사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화장실 보조 기구장치
CN116649821A (zh) * 2023-07-10 2023-08-29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自适应如厕辅助装置以及该装置的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93A (ko) * 1998-08-11 1999-05-25 임순길 팔걸이가 구비된 등받이형 좌변기
JP2006087461A (ja) * 2004-09-21 2006-04-06 Combi Corp 椅子型便器の肘掛け昇降機構
JP2011078459A (ja) * 2009-10-03 2011-04-21 Kyoritsu Kogyo Kk 便器用手摺
KR20120001395U (ko) * 2010-08-19 2012-02-29 (주)엠씨텍 배변 지지대 부착형 변기용 안전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93A (ko) * 1998-08-11 1999-05-25 임순길 팔걸이가 구비된 등받이형 좌변기
JP2006087461A (ja) * 2004-09-21 2006-04-06 Combi Corp 椅子型便器の肘掛け昇降機構
JP2011078459A (ja) * 2009-10-03 2011-04-21 Kyoritsu Kogyo Kk 便器用手摺
KR20120001395U (ko) * 2010-08-19 2012-02-29 (주)엠씨텍 배변 지지대 부착형 변기용 안전손잡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1188A (zh) * 2014-01-02 2014-04-09 福州市台江区振斌高效电磁聚能科技研究所 隐型水箱坐便器
KR20160145346A (ko) 2015-06-10 2016-12-20 이종영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
KR102022607B1 (ko) 2018-06-27 2019-09-18 (주)링크옵틱스 긴급호출신호 송출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좌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KR102022608B1 (ko) 2019-05-28 2019-09-18 (주)링크옵틱스 좌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KR20210017705A (ko) * 2019-08-09 2021-02-17 동오정밀 주식회사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화장실 보조 기구장치
KR102223841B1 (ko) * 2019-08-09 2021-03-08 동오정밀 주식회사 지체부자유자를 위한 화장실 보조 기구장치
CN116649821A (zh) * 2023-07-10 2023-08-29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自适应如厕辅助装置以及该装置的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874B1 (ko)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JP3910624B1 (ja) 車椅子のフットプレート操作装置
KR200478004Y1 (ko) 목욕의자
KR101067983B1 (ko) 거동불편자의 목욕과 이동을 돕기 위한 목욕의자
KR20210096580A (ko) 환자용 전동식 리프트
JP2016517713A (ja) 動作不自由者用の風呂椅子
KR20100081395A (ko) 착석 및 기립 보조기구
KR102128494B1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KR100843484B1 (ko) 보행 보조기
CN109497881A (zh) 电动增高坐便助起器
KR20130007300U (ko)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US20060284462A1 (en) Medical chair
JP2017042503A (ja) 便器用手摺
KR101588698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CN210961755U (zh) 助力坐便装置
KR101953467B1 (ko) 배변 자세 교정용 변기 조립체
KR100821965B1 (ko) 세면대 승강장치
JP5759189B2 (ja) ペーパーホルダー
CN216456327U (zh) 一种儿科输液专用护理椅
JP6241926B2 (ja) 車椅子固定装置
JP3819545B2 (ja) 椅子型簡易トイレ
JP2018064682A (ja) 折りたたみ式介護用車いす
JP7084599B2 (ja) 着座起立補助装置および着座起立補助機能を有する椅子
KR102816887B1 (ko) 환자용 리프트
KR200419385Y1 (ko) 장애인용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