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825B1 -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adjustable filtration using the media - Google Patents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adjustable filtration using the medi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0825B1 KR101300825B1 KR1020130027862A KR20130027862A KR101300825B1 KR 101300825 B1 KR101300825 B1 KR 101300825B1 KR 1020130027862 A KR1020130027862 A KR 1020130027862A KR 20130027862 A KR20130027862 A KR 20130027862A KR 101300825 B1 KR101300825 B1 KR 1013008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ration
- chamber
- media
- water treatment
- we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6 high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44—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 B01D29/48—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of spirally or helically wound bo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공정과 역세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여재를 이송시켜 역세공정을 수행한 후 다시 여과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처리용 여재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위사(12)와 경사(12)로 이루어지는데, 경사(14)는 위사(12)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L)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위사(12)에 결합되므로써, 역세공정시 경사(14) 사이에서 위사(12)가 유동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역세 공정시 여재(10)로부터 오염물의 분리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역세 공정을 통해 장기간 동안 안정적인 여과효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에 자동으로 감아서 여층두께를 조절하여 여과공정을 진행하고, 공극의 막힘에 따라 역세공정을 진행하게 되므로, 여과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유입수의 수질이 변동되는 경우 또는 서로 다른 환경의 수처리 시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same for performing the filtration process after performing the backwashing process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filtration process and backwashing process or by transferring the filter medium. Water treatment media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weft yarn 12 and a warp 12, the warp yarns 14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ft yarn 12 is the weft yarn 12 ), The weft 12 is flowable between the warps 14 during the backwash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separation effect of the contaminants from the filter medium 10 during the backwash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filtration effect for a long time through an effective backwashing process. In addition, the filtration process is carried out by automatically winding the chamber 32 of the filtration unit 30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filtrate, and the backwashing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lockage of the pores, so that the quality of the influent water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filtration degree. It can respond effectively to fluctuating cases or to 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different environme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용 여재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여과공정과 역세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여재를 이송시켜 역세공정을 수행한 후 다시 여과공정을 수행하는 여과장치에서 역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여과공정의 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수처리용 여재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a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 a filtration apparatus which performs the filtration process again after performing the backwashing process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backwashing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um for water treatment and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same, in which backwashing is effectively performed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process is stably maintained.
산업사회의 발전과 함께 도시지역의 확대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환경문제 중에서 물 오염문제는 인류의 장래를 위협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이 강화되고, 생물학적 또는 물리화학적 고도처리시설이 확충되고 있으며, 특히 하폐수의 고도처리시설에서 최종 방류수의 수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여과장치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Among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expansion of urban areas, water pollution problem is emerging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can threaten the future of manki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taminant emission standards are being strengthened, and biological or physicochemical advanced treatment facilities are being expanded.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filtration devices are pro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nal effluent in advanced waste treatment facilities. It is used.
이에 대해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37111호 "가변형 여과장치"를 통해 종래기술에 따른 여과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 has proposed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problem of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roug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37111 "variable filtr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가변형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proposed by the inventor through the prior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가변형 여과장치(100)는 여과조(110), 여과포(120), 여과 유니트(130), 권취 유니트(140) 및 (보조) 세척 유니트(1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 the
이때, 여과 유니트(130)는 내부의 여과 수로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여과홀이 둘레로 형성되어 여과조(110)의 캐비티(cavity)내에 위치되는 챔버(132)를 구비하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챔버(13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권취 유니트(140)는 여과조(110)의 캐비티내에서 여과 유니트(130)의 챔버(132)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롤러를 갖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롤러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여과조(110)내에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가변형 여과장치(100)는 여과 유니트(130)의 챔버(132)에 감기는 여과포(120)의 감김 회수를 조절하여 여층두께를 변화시키므로써, 여과조(110)의 캐비티내에 수용되는 유입수가 여과포(120)에 의해 여과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축(134)을 통해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또한, 이와 같은 가변형 여과장치(100)는 여과 공정을 진행하다가 오염물질이 여과공극을 막음으로서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경우, 여과포(120)를 권취 유니트(140) 방향으로 감으면서 세척 유니트(150)를 사용하여 여과포(120)를 세척하도록 하므로써, 오염물로 인해 여과포(120)의 공극이 막혀서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가변형 여과장치(100)는 여과포(120)의 감김 회수를 조절므로써, 종래기술과 달리 여층두께의 변화를 통해 여과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해야 할 유입수의 수질 변동에 용이하게 대응하도록 하고, 여과정도를 향상시키면서 여과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그러나, 이와 같은 본 발명자가 제안한 선출원에 따른 기술은 여과정도를 조절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효과적인 역세를 통해 장기간의 운영에도 안정적인 여과효율을 유지하는데 있어서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선출원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여과포(120)는 그 구조의 특성상 가로의 섬유사(122; 위사)와 세로의 섬유사(124; 경사)를 엮어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세척 효과를 높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예컨대, 통상 세척 유니트(150)는 물 또는 공기(이하, '세척수'라 한다)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위사(122)와 경사(124)의 직조구조에 의해 세척수가 여과포(120)로 분사될 때 오염물이 여과포(120)에 가압되어 공극을 막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However, although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a feature of controlling the degree of filtr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difficulty in maintaining stable filtration efficiency even in long-term operation through effective backwashing.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여과공정과 역세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여재를 이송시켜 역세공정을 수행한 후 다시 여과공정을 수행하는 여과장치에서 역세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여과공정의 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처리용 여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backwashing is effectively performed in the filtration apparatus which performs the filtration process again after performing the backwashing process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backwashing process or transferring the filter mediu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media for water treatment, which can be achieved to ensure that the efficiency of the filtration process is stably maintained.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37111호 "가변형 여과장치"를 통해 제안한 바 있는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여층두께의 조절과 여과공극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효과적인 역세를 통해 장기간의 운영에도 안정적인 여과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처리용 여재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develops the technology proposed by the inventor throug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37111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filtration thickness and the control of the filter pores and effecti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using a new type of water treatment media that can maintain stable filtration efficiency even after long-term operation through backwashin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역세공정을 통해 여재를 세척한 후, 상기 여재를 사용하여 다시 여과공정을 수행하는 여과장치를 위한 수처리용 여재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는 위사(12) 및; 상기 위사(12)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위사(12)와 엮이어 고정되는 경사(14)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14)는 상기 위사(12)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L)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위사(12)에 결합되므로써, 상기 역세공정시 상기 경사(14) 사이에서 상기 위사(12)가 유동가능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lter medium for water treatment for the filtration device to perform the filtration process again using the filter after washing the filter medium through a backwashing process, the longitudinal
이와 같은 수처리용 여재에서 상기 경사(14)는 한 위치에서 정해진 개수의 섬유사가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In such a water treatment media, the inclined 14 may be arranged in a row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fiber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유입수가 수용되는 캐비티(21)를 형성하는 여과조(22)와; 내부의 여과 수로(31)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여과홀(33)이 둘레로 형성되는 챔버(32)를 갖고, 상기 챔버(32)가 상기 여과조(22)의 캐비티(21)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챔버(3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조(22)에 설치되는 여과 유니트(30)와; 상기 여과조(22)의 캐비티(21)내에서 상기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롤러(52)를 갖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롤러(5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조(22)에 설치되는 권취 유니트(50)와; 일단이 상기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52)에 정해진 길이로 감긴 상태에서 상기 챔버(32)와 롤러(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32)에 감기고 풀리는 여재(10) 및; 상기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상기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 사이에서 상기 여재(10)와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척수가 상기 여재(10)로 분사되도록 하는 세척 유니트(70)를 포함하되; 상기 여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는 위사(12) 및, 상기 위사(12)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위사(12)와 엮이어 고정되는 경사(14)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14)는 상기 위사(12)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L)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위사(12)에 결합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에 의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14)가 설치되므로, 여재(10)의 품질이 일정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역세 공정시 위사(12)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역세 공정시 여재(10)로부터 오염물의 분리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역세 공정을 통해 장기간 동안 안정적인 여과효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는 이와 같은 여재(10)를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에 자동으로 감아서 여층두께를 조절하여 여과공정을 진행하고, 공극의 막힘에 따라 역세공정을 진행하게 되므로, 여과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유입수의 수질이 변동되는 경우 또는 서로 다른 환경의 수처리 시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lter medium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도 1은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가변형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에 주로 적용한 여과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역세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proposed by the inventor through the prior applica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of the filter cloth mainly applied to the variable filter device according to FIG.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media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ckwashing action of the water treatment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treatment mediu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using a water treatment mediu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media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위사(12)와 경사(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역세공정을 통해 세척한 후, 이를 사용하여 다시 여과공정을 수행하는 여과장치를 위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역세를 통해 여재를 세척한 후, 그 여재를 사용하여 여과공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어떠한 형태의 여과장치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3 and 4, the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위사(12)와 경사(12)로 이루어지는데, 위사(12)는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고, 경사(14)는 위사(12)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위사(12)와 엮이어 고정된다. 이때, 경사(14)는 위사(12)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L)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위사(12)에 결합되므로써, 역세공정시 경사(14) 사이에서 위사(12)가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경사(1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과 함께 여재(10)의 기본 크기와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제조를 편리하게 하고, 운송 및 보관의 편의를 제공하며, 설치의 편의를 도모한다. 예컨대, 여재(10)가 위사(12)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정한 크기(폭)와 형태의 유지가 어려워 제조, 운송 및 보관이 어렵고, 설치시 평평한 형태로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에서 위사(12)와 경사(14)의 소재는 이미 이 분야에서 여과장치의 여재로 적용하는 다양한 소재의 섬유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material of the
한편,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위사(12)의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길이 방향은 여재(10)의 양단 사이의 방향이 된다. 즉, 도 7 및 도 8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여과장치(20)에서 양단은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에 각각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챔버(32)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의 역세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ckwashing action of the water treatment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여재 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14)가 종래 직조구조와 달리 위사(12)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역세시 세척 유니트(150)의 노즐(152)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위사(12)의 유동{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된다}에 의해 반대측으로 흐르도록 하므로써, 오염물이 여재(10)로부터 효과적으로 탈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media f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 3 내지 도 8에서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여과장치로부터 통상 이 분야의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6 to 8, an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FIGS. 3 to 8. Meanwhile,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nstructions, the operations and the effects thereof, which are easily understood from related arts in the art, from the filtration apparatus proposed by the inventors in each application in each drawing are briefly or omitted, and p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Shown in the center.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dia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위사(12)와 경사(14)를 구비하여 역세공정을 통해 세척한 후, 이를 사용하여 다시 여과공정을 수행하는 여과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filter medium for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위사(12)와 경사(12)로 이루어지는데, 위사(12)는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고, 경사(14)는 위사(12)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위사(12)와 엮이어 고정된다. 이때, 경사(14)는 위사(12)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L)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위사(12)에 결합되므로써, 역세공정시 경사(14) 사이에서 위사(12)가 유동가능하도록 한다.
The
특히, 본 실시예에서 경사(14)는 한 위치에서 정해진 개수의 섬유사가 연이어 배치되도록 하므로써, 위사(12)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사(14)를 이루는 섬유사의 개수는 제한된 수{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로 설정하여 가능한 면적이 넓게 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경사(14) 사이의 간격(L)은 1cm 내지 20cm 정도로 하여 간격이 너무 짧아서 발생되는 오염물의 잔류를 방지하고, 간격이 너무 길어서 발생되는 위사(12)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때, 본 실시예에서 위사(12)와 경사(14)에 사용된 섬유사는 PP(Polypropylene) 재질의 모세관 구조를 갖는 프로펠린사(aty사)를 적용하였는데, 이와 같은 위사(12)와 경사(14)를 위한 섬유사는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ber yarn used for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10)는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자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37111호 "가변형 여과장치"를 통해 제안한 여과장치에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 filter medium for 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preferably applied to the filtration device proposed by the inventor throug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37111 "variable filtration device". Can b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variable filtration device using a water treatment mediu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20)는 전술한 여재(10)를 사용하고, 여과수를 형성하기 위한 챔버(32)에 여재(10)가 감기는 회수의 조절을 통해 여과조건(두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7 and 8,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20)는 여재(10), 여과조(22), 여과 유니트(30), 권취 유니트(50), 세척 유니트(70)를 구비하여,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에 감기는 여재(10)를 조절하므로써, 여과조(22)의 캐비티(21)내에 수용되는 유입수가 여재(10)에 의해 여과되고, 챔버(32)의 여과 수로(31)로 수용된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The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실시예에서 여과조(22)는 유입수가 수용되는 캐비티(21)를 형성한다. 여과 유니트(30)는 내부의 여과 수로(31)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여과홀(33)이 둘레로 형성되는 챔버(32)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여과 유니트(30)는 챔버(32)가 여과조(22)의 캐비티(21)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여과 유니트(30)는 여과조(22)의 외측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챔버(3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여과조(22)에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여과 유니트(30)에는 회동축(36)이 설치되어 이 회동축(36)이 챔버(32)의 일측에 결합되어 여과조(22)의 외측으로 연장되므로써 캐비티(21) 외측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와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다. 그리고, 회동축(36)의 반대측에서 챔버(32)의 타측에 결합되어 여과조(22)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챔버(32)의 여과 수로(31)와 연통되어 여과수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축(34)을 갖는다. 물론, 이와 같은 회동축(36)과 배출축(34)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통해 챔버(32)를 회전시키고,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는 이 분야에서 알려진 다른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권취 유니트(50)는 여과조(22)의 캐비티(21)내에서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롤러(52)를 갖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롤러(52)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여과조(22)에 설치된다. 그리고, 권취 유니트(50)는 롤러(52)의 일측에 결합되어 여과조(22)의 외측으로 연장되므로써, 캐비티(21) 외측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와 접속되는 회동축(56)을 갖는다.
Moreover, the winding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여과장치(20)는 여재(10)의 역세를 위한 세척 유니트(7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세척 유니트(70)는 여과 유니트(30)의 챔버(32)와 권취 유니트(50)의 롤러(52) 사이에서 여재(10)와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척수가 여재(10)로 분사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용 여재 및 그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the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10 : (수처리용) 여재
12 : 위사 14 : 경사
20 : (수처리용 여재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
21 : 캐비티 22 : 여과조
30 : 여과 유니트 32 : 챔버
50 : 권취 유니트 52 : 롤러
70 : 세척 유니트10: (for water treatment) media
12: weft 14: warp
20: variable filtration apparatus (using water treatment medium)
21: cavity 22: filtration tank
30: filtration unit 32: chamber
50: winding unit 52: roller
70: cleaning unit
Claims (2)
내부의 여과 수로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여과홀이 둘레로 형성되는 챔버를 갖고, 상기 챔버가 상기 여과조의 캐비티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되,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챔버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조에 설치되는 여과 유니트와;
상기 여과조의 캐비티내에서 상기 여과 유니트의 챔버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롤러를 갖고,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롤러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여과조에 설치되는 권취 유니트와;
일단이 상기 여과 유니트의 챔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 유니트의 롤러에 결합되며, 상기 롤러에 정해진 길이로 감긴 상태에서 상기 챔버와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에 감기고 풀리는 여재 및;
상기 여과 유니트의 챔버와 상기 권취 유니트의 롤러 사이에서 상기 여재와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척수가 상기 여재로 분사되도록 하는 세척 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여재는,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는 위사와, 상기 위사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위사와 엮이어 고정되는 경사를 구비하고, 상기 여재로 분사되는 역세척수에 의하여 상기 위사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경사는 상기 위사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한 위치에서 복수개의 섬유사가 연이어 배치되어 상기 위사에 결합되며,
여과공정 후 역세시 상기 세척 유니트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상기 위사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여재의 오염물과 함께 상기 여재를 관통하여 흐르는 방식으로, 상기 여재의 오염물이 탈리되어 세척이 이루어지고,
세척된 여재를 사용하여 여과공정이 다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재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
A filtration tank forming a cavity for receiving influent water;
It has a chamber formed around the filtration hole to allow the inner filtration channel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 chamber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cavity of the filtration tank, the filtration tank so that the chamber can be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A filtration unit installed at;
A winding unit having a roller disposed in the cavity of the filtration tank so as to correspond to the chamber of the filtration unit, the winding unit being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such that the roller is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A filter medium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hamber of the filtration unit,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roller of the winding unit, and wound and unwound in the chamber by rotation of the chamber and the roller in a state of being wound on the roller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washing unit installed between the chamber of the filtration unit and the roller of the winding unit to approach the filter medium so that the backwash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injected into the filter medium;
The media has a weft yarn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slope disposed across the weft yarn and intertwined with the weft yarn to be fixed, and the flow of the weft yarn by the backwash water injected into the media material The inclined is coupled to the weft yarns are arranged in succession arranged a plurality of fiber yarns at a position spa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ft yarns,
When the wash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nozzle of the washing unit during the backwashing after the filtration process flows through the filter media along with the contaminants of the media by the flow of the weft, the contaminants of the media are detached and washed.
Variable filtering device using the filter medium for 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again using the washed filter medium.
상기 경사는 상기 위사의 길이 방향으로 1~20cm 정도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재를 사용한 가변형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variable filter device using a media for water treatment,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at intervals of about 1 ~ 20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f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7862A KR101300825B1 (en) | 2013-03-15 | 2013-03-15 |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adjustable filtration using the medi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7862A KR101300825B1 (en) | 2013-03-15 | 2013-03-15 |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adjustable filtration using the media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5042A Division KR20120033496A (en) | 2010-09-30 | 2010-09-30 |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adjustable filtration using the medi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1003A KR20130041003A (en) | 2013-04-24 |
KR101300825B1 true KR101300825B1 (en) | 2013-08-29 |
Family
ID=4844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7862A Active KR101300825B1 (en) | 2013-03-15 | 2013-03-15 |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adjustable filtration using the medi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082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89213A (en) * | 2020-05-27 | 2020-08-28 | 金华天晟合纤科技有限公司 | Sewage treatment device in non-woven fabric produ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39928B (en) * | 2015-07-01 | 2017-10-11 | Dyson Technology Ltd | A separating apparatus |
KR101641888B1 (en) * | 2015-11-13 | 2016-07-22 | 최종현 | Filtration devices |
CN117138426B (en) * | 2023-10-23 | 2024-01-26 | 天津金耀盛景玻璃有限公司 | Waste recycling device for glass produ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56292A (en) * | 1992-04-16 | 1993-10-26 | Cagle William S | Screen for filtering undesirable particles from a liquid |
WO2001007090A1 (en) | 1999-07-21 | 2001-02-0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icroorganism filter and method for removing microorganism from water |
US20090130128A1 (en) | 2007-08-17 | 2009-05-21 | Alberte Randall S | Antiinfective Proanthocyanidin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KR100937111B1 (en) * | 2009-08-27 | 2010-01-15 | 주식회사 조은환경 | Adjustable filtration |
-
2013
- 2013-03-15 KR KR1020130027862A patent/KR1013008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56292A (en) * | 1992-04-16 | 1993-10-26 | Cagle William S | Screen for filtering undesirable particles from a liquid |
WO2001007090A1 (en) | 1999-07-21 | 2001-02-0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icroorganism filter and method for removing microorganism from water |
US20090130128A1 (en) | 2007-08-17 | 2009-05-21 | Alberte Randall S | Antiinfective Proanthocyanidin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KR100937111B1 (en) * | 2009-08-27 | 2010-01-15 | 주식회사 조은환경 | Adjustable filtra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89213A (en) * | 2020-05-27 | 2020-08-28 | 金华天晟合纤科技有限公司 | Sewage treatment device in non-woven fabric produ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1003A (en) | 2013-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0825B1 (en) |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adjustable filtration using the media | |
KR100937111B1 (en) | Adjustable filtration | |
EP2889070B1 (en) | Hybrid type fiber filtering apparatus | |
US7416665B2 (en) | Pore size controllable filter | |
DK167537B1 (en) | PROCEDURE FOR REDUCING THE PERMEABILITY OF AN INDUSTRIAL TEXTILE AND INDUSTRIAL TEXTILE CONTAINING A CONTINUOUS LAYER OF A FLEXIBLE OPEN CELLS | |
CA2721391C (en) | Filter compound material,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flat filter elements made of the filter compound material | |
CA3081791C (en) | Backwash shoe method and apparatus that increases effective surface area of cloth filter media | |
MX2008013176A (en) | Knitted support for tubular membranes. | |
WO2008066340A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membrane using tubular support | |
KR20120033496A (en) |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adjustable filtration using the media | |
US20180178147A1 (en) | Filter panel with structures support grid and drum filter with said filter panel | |
KR101382125B1 (en) | Adjustable filtration for maintaining tension of filter media | |
KR101059410B1 (en) | Screen Filtration Device | |
KR20110056634A (en) | Variable filter system with adjustable thickness | |
KR101581183B1 (en) | Fabric filter | |
CN119968228A (en) | Synthetic monofilament open mesh filter fabric with asymmetric construction for liquid/solid filtration with low load loss and regeneration promoting capability | |
KR102534889B1 (en) | Rotational drive type pore controllable fiber filtration device | |
KR20020063332A (en) | Filter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 |
JP3640594B2 (en) | Filter cloth for filter press | |
KR101714321B1 (en) | A pore controllable twisting fiber filer | |
KR100946916B1 (en) | Adjustable filtration for high capacity water treatment facility | |
KR20140147337A (en) | Fiber filter comprising extensible strainer | |
KR20110006504A (en) | Reel type filter manufacturing method for water purifier | |
KR101168374B1 (en) | Water filtration equipment possible filtering and back washing | |
KR100873896B1 (en) | Fiber Yarn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