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655B1 -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aline water or washing 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aline water or washing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0655B1 KR101300655B1 KR1020130008483A KR20130008483A KR101300655B1 KR 101300655 B1 KR101300655 B1 KR 101300655B1 KR 1020130008483 A KR1020130008483 A KR 1020130008483A KR 20130008483 A KR20130008483 A KR 20130008483A KR 101300655 B1 KR101300655 B1 KR 1013006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ne
- storage tank
- ozone
- water
- washing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title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ZPVPNZTYPUODG-UHFFFAOYSA-M sodium;chloride;dihydrate Chemical compound O.O.[Na+].[Cl-] XZPVPNZTYPUODG-UHFFFAOYSA-M 0.000 claims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0 defoa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574 pickled cabb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33 Raphanus sativus var ni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0 gener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절임용 염수 또는 세척수의 세균을 살균하여 재사용하여 배출수를 줄이고, 사용되는 소금의 양을 감소시키는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김치공장에서 사용된 염수 또는 세척수가 필터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저장되는 염수 저장탱크와,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염수 또는 세척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살균하는 오존 발생기와,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서 상기 오존으로 인해 살균된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를 순환시켜 김치 제조설비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와,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를 저장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 제거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for reducing the discharge water by sterilizing the bacteria of the pickling brine or wash water used in the kimchi manufacturing process, reducing the amount of salt used, A brine storage tank in which the wash water is filtered and stored with a foreign substance, an ozone generator installed in the brine storage tank to sterilize by supplying ozone to the brine or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brine storage tank, and the brine storage tank And a circulation pump for circulating the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ed by ozone and supplying it to a kimchi production facility, and a bubble removing device connected to the brine storage tank to remove bubbles generated when storing the brine or washing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절임용 염수 또는 세척수의 세균을 살균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to sterilize and reuse the bacteria of pickling brine or washing water used in the kimchi manufacturing process.
일반적으로, 김치와 같은 야채 절임식품류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야채를 이용하던 소금 혹은 소금물에서 절이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이 절임과정을 대량생산공정에서는 균일한 절임효과를 얻기 위하여 일정 농도로 조절된 소금물(염수)을 이용한다. 산업화된 김치제조공정은 선별과정, 절단과정, 절임과정, 세척과정, 탈수과정, 양념혼합과정, 포장과정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중 절임과정과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염수가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In general, pickled foods such as kimchi are prepared through a process of pickling in salt or salt water, basically using any vegetable. In the mass production process, this pickling process uses brine (salt) adjusted to a constant concentration to obtain a uniform pickling effect. The industrialized kimchi manufacturing process consists of screening, cutting, pickling, washing, dehydration, seasoning and packaging, and the contaminated brine from pickling and washing contaminates soil and water. It is the main cause.
절임과정에서 사용되는 염수의 농도는 4∼20%이며 염수의 양은 배추중량의 130%정도이다. 그리고 사용된 염수의 재사용회수는 통상 1∼4회정도에 머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김치의 일일생산량이 30만톤이상이므로 배추를 절이면서 발생하는 염수의 배출량은 일일 39 ∼ 156만톤에 이른다. 특히 영세한 김치제조공장의 경우 폐수처리가 미흡하다. 이러한 염수는 폐수처리를 제대로 하지않으면 미생물의 정상적인 성장에 악영향을 미쳐 토양 및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배추의 절임에 사용되는 소금은 계절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으나 평균 일일 소모량이 약 3내지 4만톤 정도로 많은 경비가 소모된다.The concentration of saline used in the pickling process is 4-20% and the amount of saline is about 130% of the cabbage weight. And the reuse of brine used is usually about 1 to 4 times. Currently, the daily production of kimchi produced in Korea is more than 300,000 tons, so the amount of salt water generated by pickling cabbage is 39 ~ 1.56 million tons per day. In particular, the small Kimchi manufacturing plant lacks wastewater treatment. Such saltwater adversely affects the normal growth of microorganisms if not properly treated with wastewater, causing soil and water pollution,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The salt used for pickling cabbage varies greatly with the season, but the average daily consumption is about 3 to 40,000 tons.
염수에 배추나 무우등이 절이고 나면 염수내에는 이들 야채에서 추출된 여러가지 유기질, 무기질 성분과 함께 각종 미생물, 야채 표면에 있던 흙이나 기타 오염물질이 뒤섞여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 염수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어 그대로 폐수처리를 거쳐 배출되어지고 있다.After salting Chinese cabbage or radish, the brine is mixed with various 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extracted from these vegetables, along with various microorganisms, soils and other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vegetables. Therefore, this brine can no longer be used and is discharged through wastewater treatment.
대량생산공정에서 통상 일일 배출되는 폐염수의 양은 수십에서 수백톤에 이르는 엄청난 양을 이루며, 이 폐수를 처리하는 비용과 자원의 낭비는 막대한 것이다.In the mass production process, the amount of wastewater discharged daily is enormous, ranging from tens to hundreds of tonnes, and the waste and cost of treating this wastewater is enormous.
염수를 재활용하는 기술로 한국특허 제10-37542호는 절임배추세척조, 세척수의 부유물을 걸르는 3단금속처리조, 세척수를 재차 여과하는 3단정수처리조, 필터, 살균처리장치로 구성되어있다. 3단정수처리조는 금속망, 모래, 활성탄의 다단으로 구성하며, 살균처리장치는 오존 혹은 염소처리장치로 구성된다. 이상의 한국특허의 경우 부유물의 거름과 정수처리 그리고 필터처리라는 일반적인 공정을 거치도록 하면서 가장 핵심이 되는 오존처리 혹은 염소처리에 대하여 그 오존 처리농도와 시간등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다. 즉, 배추의 형태나 산지 오염도등에 따라 너무나 다양한 미생물들과 오염물이 배출되며 이러한 배출에 따른 오존에 의한 능동적인 공급량의 가변적 변화가 없이 획일화된 공정을 거치므로 사실상 1,2회 처리후에는 오염이 심각하여 사용못하고 있다. 더나아가서 오존의 공급이 시스템과 분리되어져 통합적인 제어로 가장 최적의 살균, 탈색처리가 어려운 것이다. 특히 활성탄이라는 고가의 필터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성이 거의 없어 사실상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As a technology to recycle the brine, Korean Patent No. 10-37542 consists of a pickled cabbage washing tank, a three-stage metal treatment tank to filter the floating water, and a three-stage water treatment tank to filter the wash water again, a filter, and a sterilization treatment device. The three-stage water treatment tank consists of multiple stages of metal net, sand, and activated carbon, and the sterilization unit is composed of ozone or chlorine treatment unit.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the ozone treatment or chlorine treatment, which is the core, while undergoing the general processes of manure, water purification and filter treatment of suspended solids, lack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zone concentration and time. That is, too many microorganisms and contaminants are discharged according to the type of cabbage and the pollution level of the cabbage, and since they go through a uniform process without changing the active supply amount by ozone according to these discharges, they are actually polluted after 1, 2 times. This is serious and can't be used. Furthermore, the supply of ozone is separated from the system, making integrated control difficult for optimal sterilization and discoloration. In particular, the use of expensive filter material called activated carbon has virtually no economic feasibility.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668278호가 있다.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No. 10-0668278.
본 발명은 김치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절임용 염수(소금물) 또는 세척수의 세균을 살균하여 재사용하여 배출수를 줄이고, 사용되는 소금의 양을 감소시키는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to reduce the discharged water by reducing the amount of salt used by sterilizing the bacteria of the pickling brine (salt) or washing water used in the kimchi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는, 김치공장에서 사용된 염수 또는 세척수가 필터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저장되는 염수 저장탱크와,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염수 또는 세척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살균하는 오존 발생기와,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서 상기 오존으로 인해 살균된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를 순환시켜 김치 제조설비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와,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를 저장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 제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rine storage tank is stored in the brine or wash water used in the kimchi factory is filtered in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the brine storage tank is installed in the brine An ozone generator for supplying ozone to the brine or wash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for sterilization, a circulation pump for circulating the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ed by the ozone in the brine storage tank and supplying it to a kimchi manufacturing facility, and the brine storage tank Connected to may include a bubble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the bubbles generated when storing the brine or wash water.
구체적으로, 상기 염수 저장탱크와 상기 순환 펌프 간에는 상기 거품 제거장치에서 제거되지 못한 거품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거름필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such as bubbles which are not removed by the defoamer, may be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brine storage tank and the circulation pump.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는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오존으로 살균되는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의 수위가 설정되는 수위 이상 저장되면 상기 순환 펌프를 통해 순환 또는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배출 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brine storage tank is installed with a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is stored above the water level of the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ed by ozone is se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or the discharge pump connected to the brine storage tank. Can be.
상기 거품 제거장치는,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거품이 설정된 수위 이상 저장되면 개방되어 상기 거품을 배출시키는 거품 배출밸브와, 상기 거품 배출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거품이 저장되는 거품 저장통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bble removing device may include a bubble discharge valve connected to the brine storage tank and opened when the bubble is stored above a predetermined level to discharge the bubble, and a bubble storage container connected to the bubble discharge valve to store the bubble. Can be.
상기 염수 저장탱크의 염수 또는 세척수에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용해시키는 오존 용해기가 상기 오존 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오존 용해기에서 오존이 용해된 염수 또는 세척수가 염수 저장탱크의 내부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ozone dissolver for dissolving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in the brine or wash water of the brine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ozone generator, and the brine or wash water in which ozone is dissolved in the ozone dissolver is supplied 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brine storage tank.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nozzle to make.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는 상기 순환 펌프를 통해 다수 순환되어 사용된 염수 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 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 펌프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는 배출수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배출수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살균 장치를 통해 살균되어 배출될 수 있다.The brine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ump to discharge the brine or washing water used to circulate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to the outside, the brine or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ump is stored in the discharge water storage tank discharged water The steriliz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can be sterilized and discharged.
상기 염수 저장탱크의 외측에는 상기 염수 저장탱크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창이 형성될 수 있다.
An inspection window may be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brine storage tank to check the inside of the brine storage tank.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염수 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염수 저장탱크에 오존을 주입하여 오존을 통해 염수 또는 세척수를 살균 소독하여 염수 저장중 미생물에 의한 염수의 부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오존을 처리하여 발생하는 거품중에 존재하는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거품제거기를 이용 제거하여 염수가 일정수준의 오염도에서 더 이상의 오염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cay of the brine by the microorganisms during the storage of the brine by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the brine or washing water through ozone by injecting ozone into the brine storage tank in which the brine or washing water is stored. By removing the contaminants such as organic matter present in the foam generated by the treatment using a defoam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further contamination of the brine at a certain level of contamination.
그리고, 일정기간마다 거름필터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므로 염수를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염수 또는 세척수를 다수회 사용하여 배출되는 배출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사용되는 소금의 양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And, by periodically removing contaminants by using a fil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 is an advantage to clean the brine clean,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discharged by using a large number of brine or washing water, There is an advantage in reducing the amount of salt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김치공장의 김치 제조설비(1)에서 사용된 염수(소금물) 또는 세척수가 필터링되어 저장되는 염수 저장탱크(10)와, 상기 염수 저장탱크(10)에 저장되는 염수 또는 세척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살균하는 오존 발생기(20)와, 염수 또는 세척수를 순환시켜 김치 제조설비(1)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30)와, 염수 저장탱크(10) 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 제거장치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a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ne storage tank (10) in which the brine (salt) or washing water used in the kimchi production facility (1) of the kimchi factory is filtered and stored. And an
상기 염수 저장탱크(10)는 김치공장에서 김치를 생산할 때 사용되는 절임용 염수와 염수를 세척한 세척수가 필터(2)를 통해 필터링 되어 저장되며, 염수 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외측에 점검창이 형성된다.The brine storage tank (10) is stored in the brine for pickling brine and the brine used to produce kimchi in the kimchi factory is filtered and filtered through the filter (2), so that the brine or the wash water is stored outside An inspection window is formed.
그리고,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12)이 외주연에 형성되고, 오존과 반응되어 살균처리된 염수 또는 세척수가 순환 펌프(30)를 통해 김치 제조설비(1)에 재공급되는 순환 배관(31)이 외주연에 형성되며, 다수회 순환되어 상기 염수 저장탱크(10)에 저장되는 염수 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 펌프(51)와 연결되는 배출 배관(52)이 외주연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염수 저장탱크(10)에는 순환 배관(31)과 연결되어 염수 저장탱크(10)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저장되면 살균된 염수 또는 세척수를 순환 펌프(30)를 통해 순환시키는 수위감지장치(11)가 설치된다.The
상기 순환 배관(31)에는 순환 펌프(30)가 연결되어 수위감지장치(11)에서 설정되는 수위 이상으로 염수 저장탱크(10)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순환 펌프(30)가 작동되어 살균된 염수 또는 세척수를 김치 제조설비(1)로 공급하게 된다.The circulation pump 30 is connected to the
상기 염수 저장탱크(10)의 외부에는 오존 발생기(20)가 설치되어 염수 저장탱크(10) 내부로 오존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오존 발생기(20)에서 발생된 오존이 오존 용해기(25)로 유입되고, 염수 저장탱크 내의 염수가 오존 용해기(25)로 주입되어 오존 용해기(25) 내부에서 염수에 오존이 용해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오존 용해기(25)에서 염수에 오존이 용해되면 염수 저장탱크(10)로 오존이 용해된 염수를 주입하게 된다.An
상기 이렇게 공급되는 오존이 용해된 염수는 염수 저장탱크(1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된 공급노즐을 통해 염수 저장탱크 내부로 공급하며, 이로 인해 상기 염수 저장탱크(10) 내부에서 오존이 용해된 염수를 교반시킬 수 있게 된다.The brine in which the ozone is dissolved is supplied is supplied into the brine storage tank through a supply nozzl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rine storage tank (10), and thus the brine in which ozone is dissolved in the brine storage tank (10) It becomes possible to stir.
상기 공급노즐(21)은 염수 저장탱크(10)의 바닥에 직선으로 다수 설치되거나, 원형으로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염수 저장탱크(10)의 외측 상측에는 염수 또는 세척수를 오존과 반응시켜 살균할 때 발생되는 거품을 배출시키는 거품 제거장치(40)가 설치된다.An outer upper side of the
이러한 상기 염수 저장탱크(10)에서 염수 또는 세척수를 오존과 반응 시킬때 거품이 발생되는 이유는 오존이 염수 또는 세척수와 반응을 일으켜 살균하는 과정에서 오존이 분해되어 산소가 다량 발생되며, 이때 발생되는 산소가 염수 또는 세척수의 상측으로 부유되는데 이 부유되는 산소가 염수 또는 세척수 내의 이물질과 함께 부유되어 거품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bubbles are generated when the brine or wash water reacts with ozone in the
상기 거품 제거장치(40)는 염수 저장탱크(10)의 상측에 연결되는 거품이 배출되는 거품 배관(41)에 설치되어 거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되어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거품 배출밸브(42)와, 거품 배출밸브(42)를 통해 배출되는 거품이 저장되는 거품 저장통(43)을 포함한다.The
상기 거품 제거장치(40)의 거품 배출밸브(42)는 염수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되는 염수 또는 세척수의 저장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유하는 거품이 점차 상승되어 거품 배관(41)을 통해 거품 배출밸브(42)로 유동되면, 거품 배출밸브(42)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거품을 거품 저장통(43)으로 배출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거품 배출밸브(42)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거품 저장통(43)은 거품 배출밸브(42)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거품을 저장하였다가 일정양 이상 저장되면 거품 배출밸브(42)의 작동으로 외부로 배출된다.The
이렇게 상기 거품 제거장치(40)를 통해 거품이 제거된 염수 저장통(10) 내부의 염수 또는 세척수는 순환펌프(30)를 통해 순환될 때 배출되지 않은 거품이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거름필터(13)가 염수 저장탱크(10)와 순환펌프(30) 간에 설치된다.Thus, the brine or washing water in the
상기 거름필터(13)는 부직포 필터 또는 마이크로 필터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염수 저장탱크(10)에 형성된 배출 배관(52)을 통해 다수회 사용된 염수 또는 세척수가 배출될 때 별도의 배출수 저장탱크(50)로 배출되어 살균장치(54)를 통해 살균된 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n, when the brine or washing water used a plurality of times through the
이렇게 상기 염수 저장탱크(10)에서 다수회 사용된 염수 또는 배출수를 외부로 배출할때 살균하는 방법은 염수 저장탱크(10)에 형성되는 배출 배관(52)을 통해 염수 또는 배출수가 배출되면 배출수 밸브(53)의 개방으로 배출 펌프(51)를 통해 배출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된다. 이때, 염수 또는 세척수의 배출수가 배출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되는 이유는 살균장치(54)를 통해 살균을 한뒤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The sterilization method when discharging the brine or discharged water used many times in the
상기 배출수 밸브(53)는 배출 펌프(51)와 연동되어 배출수 밸브(53)의 개방을 통해 배출 펌프(51)가 작동되어 염수 또는 세척수가 배출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되고, 염수 저장탱크(10)에서 염수 또는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배출수 밸브(53)를 닫아 배출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킨다.The
이렇게 상기 배출수 저장탱크(50)에 배출되는 염수 또는 세척수가 저장되면 살균장치(54)를 통해 살균을 한 뒤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When the brine or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이때, 상기 살균장치(54)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20)를 사용할 수 있고,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분해하여 살균하는 전기분해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김치공장에서 사용한 절임용 염수와 절인 배추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정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for purifying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pickled brine and pickled cabbage used in the kimchi factory.
필터(2)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염수 또는 세척수가 염수 저장탱크(10)에 저장되면, 오존 발생기(20)에서 발생된 오존을 통해 염수 또는 세척수가 살균되고, 살균된 염수 또는 세척수가 순환 펌프(30)를 통해 김치 제조설비(1)로 다시 공급된다.When the brine or washing water in which foreign matter is filtered through the
이때 상기 염수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염수 또는 세척수의 상측에는 살균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이 부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거품을 거품 제거장치를 통해 배출시킨다.At this time, bubbles generated in the sterilization process are flo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ine or washing water stored in the
상기 거품 제거장치(40)를 통해 배출되는 거품은 산소를 다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거품을 분해하여 산소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되는 거품의 이물질이 따로 배출될 수 있도록 거품 제거장치(40)의 거품이 거품 저장통(43)에 저장되어 거품 배출밸브(42)의 작동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Since the bubbles discharged through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염수 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염수 저장탱크에 오존을 주입하여 오존을 통해 염수 또는 세척수를 살균 소독하여 염수 또는 세척수를 다수회 사용하여 배출되는 배출수의 양을 감소시키며, 사용되는 소금의 양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jecting ozone into the brine storage tank in which the brine or wash water is stored to sterilize the brine or washing water through ozone to reduce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discharged by using the brine or washing water multiple times, salt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reducing the amount of.
상기와 같은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Such brine or wash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anner of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the embodiments.
1 : 김치 제조설비 2 : 필터
10 : 염수 저장탱크 11 : 수위감지장치
12 : 유입 배관
20 : 오존 발생기 21 : 공급노즐
30 : 순환 펌프 31 : 순환 배관
40 : 거품제거장치 41 : 거품 배관
42 : 거품 배출밸브 43 : 거품 저장통
50 : 배출수 저장탱크 51 : 배출 펌프
52 : 배출 배관 53 : 배출수 밸브
54 : 살균장치1: Kimchi manufacturing facility 2: Filter
10: salt water storage tank 11: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12: inflow pipe
20: ozone generator 21: supply nozzle
30: circulation pump 31: circulation pipe
40: bubble removing device 41: bubble piping
42: foam discharge valve 43: foam reservoir
50: discharge water storage tank 51: discharge pump
52: discharge pipe 53: discharge water valve
54: sterilizer
Claims (7)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염수 또는 세척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살균하는 오존 발생기;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서 상기 오존으로 인해 살균된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를 순환시켜 김치 제조설비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 및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를 저장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 제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염수 저장탱크와 상기 순환 펌프 간에는 상기 거품 제거장치에서 제거되지 못한 거품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거름필터가 더 설치되고,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는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오존으로 살균되는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의 수위가 설정되는 수위 이상 저장되면 상기 순환 펌프를 통해 순환 또는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배출 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거품 제거장치는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거품이 설정된 수위 이상 저장되면 개방되어 상기 거품을 배출시키는 거품 배출밸브; 및
상기 거품 배출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거품이 저장되는 거품 저장통;을 포함하며,
상기 염수 저장탱크의 염수 또는 세척수에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용해시키는 오존 용해기가 상기 오존 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오존 용해기에서 오존이 용해된 염수 또는 세척수가 염수 저장탱크의 내부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염수 저장탱크에는 상기 순환 펌프를 통해 다수 순환되어 사용된 염수 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 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 펌프를 통해 배출된 상기 염수 또는 세척수는 배출수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배출수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살균 장치를 통해 살균되어 배출되는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
Brine storage tank in which the brine or wash water used in the Kimchi factory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 is filtered through a filter;
An ozone generator installed in the brine storage tank and supplying ozone to the brine or washing water stored in the brine storage tank for sterilization;
A circulation pump for circulating the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ed by the ozone in the brine storage tank and supplying it to a kimchi manufacturing facility; And
And a bubble removing device connected to the brine storage tank to remove bubbles generated when storing the brine or washing water.
Between the brine storage tank and the circulation pump is further provided with a manure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such as bubbles that are not removed from the bubble removing device,
The brine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is stored above the level of the brine or washing water level is sterilized by ozon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or the discharge pump connected to the brine storage tank. ,
The foam remov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brine storage tank is opened when the foam is stored above the set water level bubbles discharge valve for discharging the foam; And
And a foam storage container connected to the foam discharge valve to store the foam.
An ozone dissolver for dissolving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in the brine or wash water of the brine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ozone generator, and the brine or wash water in which ozone is dissolved in the ozone dissolver is supplied 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brine storage tank. Further comprising a supply nozzle,
The brine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ump to discharge the brine or washing water used to circulate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to the outside, the brine or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ump is stored in the discharge water storage tank discharged water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that is sterilized and discharged through a sterilization device installed in a storage tank.
상기 염수 저장탱크의 외측에는 상기 염수 저장탱크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창이 형성되는 염수 또는 세척수 살균 정화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rine or washing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rine storage tank check window to check the inside of the brine storage ta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8483A KR101300655B1 (en) | 2013-01-25 | 2013-01-25 |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aline water or washing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8483A KR101300655B1 (en) | 2013-01-25 | 2013-01-25 |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aline water or washing 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0655B1 true KR101300655B1 (en) | 2013-08-28 |
Family
ID=4922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84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0655B1 (en) | 2013-01-25 | 2013-01-25 |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aline water or washing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065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2862A (en) * | 2018-01-31 | 2019-08-08 | 한국식품연구원 | Salting sterilization system and process thereof |
KR20190092863A (en) * | 2018-01-31 | 2019-08-08 | 한국식품연구원 | Kimchi Inoculating system and process thereof |
KR102731594B1 (en) * | 2024-03-27 | 2024-11-19 | 한국식품연구원 | Recycling system of salt water using OH radica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3777Y1 (en) * | 2002-11-12 | 2003-02-11 | 성국경 | A clean water and sterilization device of the seawater |
KR200359884Y1 (en) * | 2004-01-12 | 2004-08-21 | 홍채형 | Cold water ozonize treatment system |
KR100668278B1 (en) | 2004-05-31 | 2007-01-15 | (주)라이스코리아 | Pickled Wastewater Recycling Equipment |
KR100933933B1 (en) * | 2008-10-02 | 2009-12-24 | (주)푸른솔 | Regeneration system of pickled saline |
-
2013
- 2013-01-25 KR KR1020130008483A patent/KR10130065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3777Y1 (en) * | 2002-11-12 | 2003-02-11 | 성국경 | A clean water and sterilization device of the seawater |
KR200359884Y1 (en) * | 2004-01-12 | 2004-08-21 | 홍채형 | Cold water ozonize treatment system |
KR100668278B1 (en) | 2004-05-31 | 2007-01-15 | (주)라이스코리아 | Pickled Wastewater Recycling Equipment |
KR100933933B1 (en) * | 2008-10-02 | 2009-12-24 | (주)푸른솔 | Regeneration system of pickled salin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2862A (en) * | 2018-01-31 | 2019-08-08 | 한국식품연구원 | Salting sterilization system and process thereof |
KR20190092863A (en) * | 2018-01-31 | 2019-08-08 | 한국식품연구원 | Kimchi Inoculating system and process thereof |
KR102047171B1 (en) | 2018-01-31 | 2019-11-20 | 한국식품연구원 | Kimchi Inoculating system and process thereof |
KR102047170B1 (en) | 2018-01-31 | 2019-11-20 | 한국식품연구원 | Salting sterilization system and process thereof |
KR102731594B1 (en) * | 2024-03-27 | 2024-11-19 | 한국식품연구원 | Recycling system of salt water using OH radic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4806B1 (en) |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Maximizing Treatment Efficiency | |
KR101551856B1 (en) | Recirculating rearing system | |
KR102120093B1 (en) | Salinity water and temperature automatic adjustment device Integrated salt water circulation, filtration system | |
AU201537240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foods and/or containers by means of a process liquid | |
JP2008206448A (en) | Sanitizable hydroponics apparatus and hydroponics method | |
WO2007084481A2 (en) | Food processing effluent refurbishing system and method | |
KR101782735B1 (en) | The device for circulating and filtering of sea fish water tank for exhibition | |
KR101300655B1 (en) | Apparatus fo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saline water or washing water | |
KR20190016426A (en) | Deodorizing device clean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of closed type compost fermenter | |
EP3914560A1 (en) |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CZ2012682A3 (en) | Disinfecting and/or sterilizing device and method of washing, disinfection and/or sterilization | |
JP2002177969A (en) | Automatic dissolved oxygen control method of pressurized tank system water having sterilizing means | |
US20220073395A1 (en) |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garment finishing, jeans and denim industry | |
KR20100020563A (en) | Water cleaning apparatus | |
JP200518514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and sterilizing vegetable | |
KR102189633B1 (en) | Culture device | |
KR102525924B1 (en) | Recycling system of salt water | |
KR102829277B1 (en) | Recycling System of Waste Salt Water | |
KR101775845B1 (en) | Sterilizing method of waste nutrient solution using uv lamp | |
KR101842368B1 (en) | Salting wastewater releas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alting wastewater | |
KR200431050Y1 (en) | Aquarium Wastewater Purifier | |
KR100828143B1 (en) | Appeal cleaner using microbial materials | |
KR102300497B1 (en) | Salt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 |
KR102804429B1 (en) | Drainage sterilization and nutrient solution control supply system for hydroponics | |
JPH09155386A (en) | Circula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