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0623B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623B1
KR101300623B1 KR1020110067138A KR20110067138A KR101300623B1 KR 101300623 B1 KR101300623 B1 KR 101300623B1 KR 1020110067138 A KR1020110067138 A KR 1020110067138A KR 20110067138 A KR20110067138 A KR 20110067138A KR 101300623 B1 KR101300623 B1 KR 10130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ng cylinder
cylind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630A (ko
Inventor
고득출
Original Assignee
고득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득출 filed Critical 고득출
Priority to KR1020110067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6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62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16L15/0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with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가공기계를 현장까지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일일이 파이프의 연결 끝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해야 하는 수고로움을 해소하여 파이프 연결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 연결 작업을 위한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파이프 연결 끝단부에 나사가공기계로 수나사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파이프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파이프 외부로 노출되는 수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통체; 상기 연결통체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단은 상기 파이프의 안둘레면을 향하도록 되고 하단은 연결통체 내부로 노출된 고정핀; 상기 연결통체보다 긴 원통형상부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통체 내부에 삽입되고 원통형상부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고정핀의 하단이 삽입되는 오목홈부가 형성된 고정통체; 및 상기 연결통체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안둘레면에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체결소켓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PIPE COUPLER}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연결 끝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좁은 공간에서의 파이프 연결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이나 스테인리스스틸 파이프 등을 연결할 때에는, 나사가공기계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연결 끝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수나사부에 연결을 위한 배관 부속품, 예를 들면, 각종 엘보,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니플 등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이 배관 부속품을 통해 다른 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에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나사가공기계는 소형으로 제작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배관설비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파이프에 수나사부를 형성하면서 배관시공을 하고 있다.
그러나, 파이프 연결작업을 위해서는 나사가공기계를 항시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일일이 파이프의 연결 끝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해야 하므로 파이프 연결 작업이 신속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이미 시공되어 있는 배관의 보수 작업이나 배관라인 변경을 위해 파이프 중간을 절단한 후, 다시 연결하고자 할 때, 그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나사가공기계로 수나사부를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파이프의 연결 끝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드레샤조인트(100)를 사용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클램프(200)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감싸 연결하고 있지만, 드레샤조인트(100)나 클램프(200)는 파이프와 나사결합되는 것이 아니므로 그 연결구성이 견고하지 못하고, 또한 파이프를 감싸 고정하는 구성이므로 그 외경 치수가 커서 역시 작업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나사가공기계를 현장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일일이 파이프의 연결 끝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해야 하는 수고로움을 해소하여 파이프 연결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 연결 작업을 위한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파이프 연결 끝단부에 나사가공기계로 수나사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파이프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파이프 외부로 노출되는 수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통체; 상기 연결통체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단은 상기 파이프의 안둘레면을 향하도록 되고 하단은 연결통체 내부로 노출된 고정핀; 상기 연결통체보다 긴 원통형상부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통체 내부에 삽입되고 원통형상부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고정핀의 하단이 삽입되는 오목홈부가 형성된 고정통체; 및 상기 연결통체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안둘레면에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체결소켓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통체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은 연결통체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 파이프 연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소켓의 바깥둘레면에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는 육각형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소켓의 일측면에 파이프와 체결소켓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을 설치한 파이프 연결구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 연결구의 연결통체를 파이프의 연결 끝단부 내에 끼운 후, 연결통체 내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통체를 타격하여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고정핀이 파이프와 고정통체 사이에서 강하게 압착되어 파이프에 연결통체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파이프를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연결구의 체결소켓에 의해서는, 파이프의 연결 끝단부에 나사가공기계로 수나사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파이프 연결 작업시의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특히 파이프 연결구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이미 시공된 배관라인의 보수공사나 배관 변경시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 매우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에서 고정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연결통체의 주요부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를 파이프에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에 배관 부속품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드레샤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주요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는, 파이프(P)의 연결 끝단부 내에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연결통체(20), 고정핀(24,25) 및 고정통체(10)와, 배관 부속품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소켓(30)을 구비한다.
먼저 연결통체(20)는, 금속으로 제작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P)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파이프(P) 외부로 노출되는 수나사부(26)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21)에는 내부로 통하는 관통구멍(22,2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24,25)은, 상기 연결통체(20)의 관통구멍(22,23)에 삽입되는 것으로,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상단은 파이프(P)의 안둘레면을 향하고 하단은 연결통체(20)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통체(20)에 형성된 관통구멍(22,23)과 이 관통구멍(22,23)에 삽입되는 고정핀(24,25)은 연결통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를 들면, 1열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하여도 좋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2열의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등간격으로 각각 4개를 설치하되, 1열과 다른 1열에 배치된 고정핀(24,25)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함으로써 연결통체(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고정통체(10)는, 금속으로 제작되고, 상기 연결통체(20)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상부(11)로 형성되며, 연결통체(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원통형상부(11)의 일단이 연결통체(2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통체(20)에 삽입되는 부분의 원통형상부(11) 바깥둘레면에는 상기 고정핀(24,25)의 하단이 삽입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오목홈부(12,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핀(24,25)의 하단도 상기 오목홈부(12,13)에 대응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소켓(30)은, 금속으로 제작되고, 상기 연결통체(20)의 수나사부(26)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2)가 안둘레면에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는 배관 부속품과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부(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소켓(30)의 바깥둘레면에는 체결소켓(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육각형상부(31)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소켓(30)의 일측면에는 패킹자리홈부(33)을 형성하여 패킹(40)을 설치함으로써 파이프(P)와 체결소켓(30) 사이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구의 작용을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통체(20)의 관통구멍(22,23)에 고정핀(24,25)을 삽입하고, 연결통체(20) 내부로 고정통체(10)의 원통형상부(11)를 삽입하여 고정통체(10)의 오목홈부(12,13)에 고정핀(24,25)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한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통체(20)를 파이프(P) 내부로 삽입하면 연결통체(20)의 수나사부(26)에 의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연결통체(20)로부터 노출된 고정통체(10)의 일단을 타격하여 고정통체(10)를 연결통체(20)에 대하여 이동시키게 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통체(10)가 파이프(P) 내부로 더욱 삽입되면서 오목홈부(12,13)가 고정핀(24,25)을 파이프(P)의 안둘레면쪽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로써 고정핀(24,25)의 상단은 파이프(P)의 안둘레면에 밀착되고, 고정핀(24,25)의 하단은 고정통체(10)의 바깥둘레면에 밀착되어 고정핀(24,25)이 파이프(P)와 고정통체(10) 사이에서 압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연결통체(20)는 파이프(P)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고정핀(24,25)은 복수개가 연결통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 것이므로, 연결통체(20)를 견고하고 균일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통체(10), 연결통체(20), 고정핀(24,25)을 파이프(P)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이나, 파이프(P)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할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4,25)의 밀착력에 의해 고정핀(24,25)의 상단이 파이프(P)의 안둘레면을 약간 파고들 수도 있다.
이어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통체(20)의 노출된 수나사부(26)에 체결소켓(30)의 암나사부(32)를 체결하게 되면, 연결통체(20)에 체결소켓(30)이 고정됨과 동시에, 패킹(40)에 의해 파이프(P)와 체결소켓(30) 사이의 수밀이 유지되며, 체결소켓(30)에는 배관 부속품을 연결할 수 있고, 이 배관 부속품을 통해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가 설치된 다른 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소켓(30)의 수나사부(34)를 이용하게 되면, 엘보우(L)나 유니버셜조인트(U)와 같이 암나사부를 가지는 배관 부속품을 연결하여 다른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할 수 있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소켓(30)의 암나사부(32)를 이용하게 되면, 니플(N)과 같이 수나사부를 가지는 배관 부속품을 연결하여 다른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통체(20)을 먼저 파이프(P)에 고정한 후, 체결소켓(30)을 연결통체(20)에 체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체결소켓(30)을 먼저 연결통체(20)에 체결한 후, 연결통체(20)를 파이프(P)에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에 의하면, 파이프(P)의 연결 끝단부에 나사가공기계로 수나사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신속하고 간단하게 암나사부(32) 및 수나사부(34)를 가지는 체결소켓(30)을 설치할 수 있어 배관 시공 현장까지 나사가공기계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됨은 물론, 일일이 파이프(P)의 연결 끝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해야 하는 수고를 없앨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는 파이프(P)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이므로 외경을 최대한 작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파이프(P) 연결 작업을 위한 공간이 매우 협소한 장소에서 파이프(P) 연결 끝단부에 나사가공기계로 수나사부를 형성할 수 없거나, 외경이 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드레샤조인트(100)나 클램프(200)를 사용할 수 없는 파이프 연결작업에서 매우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감싸 고정하는 형태의 드레샤조인트(100)나 클램프(200)에 비하여 파이프(P)를 더욱 견고하게 연결하면서도 수밀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고정통체 11 : 원통형상부
12,13 : 오목홈부 20 : 연결통체
21 : 삽입부 22,23 : 관통구멍
24,25 : 고정핀 26 : 수나사부
30 : 체결소켓 31 : 육각형상부
32 : 암나사부 34 : 수나사부
40 : 패킹 P : 파이프

Claims (3)

  1.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파이프 외부로 노출되는 수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연결통체;
    상기 연결통체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단은 상기 파이프의 안둘레면을 향하도록 되고 하단은 연결통체 내부로 노출된 고정핀;
    상기 연결통체보다 긴 원통형상부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연결통체로부터 노출되도록 연결통체 내부에 삽입되고 원통형상부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고정핀의 하단이 삽입되는 오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통체로부터 노출된 일단을 타격하여 오목홈부를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핀을 파이프의 안둘레면에 밀착시켜 연결통체가 파이프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통체; 및
    상기 연결통체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안둘레면에 형성되고 바깥둘레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체결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체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은 연결통체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등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소켓의 바깥둘레면에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는 육각형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소켓의 일측면에 파이프와 체결소켓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1020110067138A 2011-07-07 2011-07-07 파이프 연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30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138A KR101300623B1 (ko) 2011-07-07 2011-07-07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138A KR101300623B1 (ko) 2011-07-07 2011-07-07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30A KR20130005630A (ko) 2013-01-16
KR101300623B1 true KR101300623B1 (ko) 2013-08-28

Family

ID=4783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1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0623B1 (ko) 2011-07-07 2011-07-07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6541A (zh) * 2018-10-26 2019-01-18 无锡溥汇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正反螺纹式管路连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096U (ko) * 1999-04-02 2000-11-06 오승일 파이프 연결장치
JP2005140304A (ja) 2003-11-10 2005-06-02 Onda Seisakusho:Kk インコア
JP2010019290A (ja) 2008-07-08 2010-01-28 Ck Metals Co Ltd 管継手
JP2010023219A (ja) 2008-07-24 2010-02-04 Tabuchi Corp 管継手用コアの装着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096U (ko) * 1999-04-02 2000-11-06 오승일 파이프 연결장치
JP2005140304A (ja) 2003-11-10 2005-06-02 Onda Seisakusho:Kk インコア
JP2010019290A (ja) 2008-07-08 2010-01-28 Ck Metals Co Ltd 管継手
JP2010023219A (ja) 2008-07-24 2010-02-04 Tabuchi Corp 管継手用コアの装着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30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324B1 (ko) 스프링클러 어댑터 및 파이프 플러그
KR101901387B1 (ko) 배관용 커플링
KR101266144B1 (ko)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KR100941883B1 (ko) 배관연결구
CN106795986A (zh) 软管管道及软管管道的制造方法
KR101300623B1 (ko) 파이프 연결구
TW201934918A (zh) 流體機器的連接構造
US11143348B2 (en) Gas pipe joint
KR100765881B1 (ko) 급수관 연결구
JP6343131B2 (ja) 継手
JP6979425B2 (ja) 抜け防止コネクタ
KR101459878B1 (ko) 가스 주름관 연결장치
KR101881210B1 (ko) 파이프 연결용 탑 조인트 링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20130104108A (ko) 파이프 압착연결구
KR101053127B1 (ko) 금속 파이프용 이음구
TWM530891U (zh) 鏈扣裝置
KR101942774B1 (ko) 난방용 분배기 원터치 연결구
JP5875182B2 (ja) ホース用の継手機構
KR101624228B1 (ko) 호스형 연결구
KR200254112Y1 (ko) 스프링클러용 주름관 연결장치
KR800000605B1 (ko) 배관 연결기
JP4381725B2 (ja) 管継手ユニット
JP5917198B2 (ja) 伸縮可撓式継手とこれを用いたサドル付分水栓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7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