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214B1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for high matching characteristics - Google Patents
bipolar junction transistor for high matching characteristic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0214B1 KR101300214B1 KR1020110052341A KR20110052341A KR101300214B1 KR 101300214 B1 KR101300214 B1 KR 101300214B1 KR 1020110052341 A KR1020110052341 A KR 1020110052341A KR 20110052341 A KR20110052341 A KR 20110052341A KR 101300214 B1 KR101300214 B1 KR 1013002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nction
- transistor
- well
- conductivity
- bipolar jun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0—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10D10/40—Vertical BJTs
- H10D10/421—Vertical BJTs having both emitter-base and base-collector junctions ending at the same surface of the bod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3—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source or drain reg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3—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sources, drains, anodes or cathodes
- H10D64/231—Emitter or collector electrodes for bipolar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07—Integrating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with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H10D8/00, H10D10/00 or H10D18/00, e.g. integrating IGFETs with BJTs
- H10D84/0109—Integrating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with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H10D8/00, H10D10/00 or H10D18/00, e.g. integrating IGFETs with BJTs the at least one component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being a MOS device
Landscapes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형태의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에서, 두 트랜지스터가 각각 서로 다른 에미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동일한 베이스와 콜렉터를 포함한다.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공통된 베이스와 콜렉터를 사용하며, 베이스는 각 에미터를 각각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콜렉터는 베이스를 둘러싸는 형태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In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of a type including two transistors, the two transistors each include a different emitter and include the same base and collector. The two transistors use a common base and a collector, and the base is formed around each emitter, and the collector is formed around the b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tructure of a transis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아날로그 회로에서 널리 사용되는 밴드갭 레퍼런스(Band-gap reference),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 고속도 신호 변환기(High speed A/D converter)는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쌍으로 구성되는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자간의 정밀한 정합(matching) 특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회로가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소자 간 정합 특성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Band-gap references, differential amplifiers, and high speed A / D converters, which are widely used in analog circuits, generally use two or more pairs of devices. If the precise matching (matching) characteristics between the devices are not secured, the circuit may cause malfunctions, so the matching between the devices is important.
BJT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에 비해 높은 전류 이득과 우수한 정합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 회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정합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두 소자의 특성이 이상적으로 같아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구체적으로 두 소자의 베이스, 콜렉터, 에미터의 각각의 넓이, 도핑 깊이와 농도 등이 모두 일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두 소자가 이상적으로 같을 수는 없다. It is used in analog circuits because of its high current gain and excellent matching characteristics compared to BJT 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The excellent matching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devices should ideally be equal. Specifically, the widths of the base, collector and emitter of the two devices, the doping depth and the concentration should all agree with each other. However, in reality, two devices can not be ideally the same.
가능한 정합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두 소자의 도핑 깊이 및 농도를 가능한 일치시키고 열점에 의한 데미지(damage)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두 소자간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 소자 내의 전류가 흐르는 경로의 길이가 짧고 폭이 좁아야 하며, DNW(deep N well)과 같이 저항의 변화가 큰 부분이 차지하는 부분이 적어야 한다.As a way to improve the matching properties possibl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evices should be as close as possible to match the doping depths and concentrations of the two devices as much as possible and to reduce the difference in damage caused by hot spots.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urrent flow path in each device should be short and narrow, and the portion of the large resistance change such as deep N well (DNW) should occupy les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보다 정합 특성이 개선되는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istor with improved matching characteristics.
위의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 접합;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 접합; 제2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접합 및 제2 접합을 각각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웰; 및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웰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 웰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junction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impurity; A second junction formed includ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A first well including a second conductive impurity and surrounding the first junction and the second junction; And a second well comprising a first conductive impurity and surrounding the first well.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 접합;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 접합; 제2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접합 및 제2 접합을 각각 둘러싸고 있으면서 제1 방향은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웰; 및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웰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 웰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includes: a first junction formed of conductive impurities; A second junction formed includ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A first well including an impurity of a second conductivity and having a first direction open while surrounding each of the first junction and the second junction; And a second well comprising a first conductive impurity and surrounding the first well.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합은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 기능하고, 상기 제2 접합은 제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 기능하며, 상기 제1 웰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기능하고, 상기 제2 웰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 기능한다. In this invention,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includes a first transistor and a second transistor, wherein the first junction functions as an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and the second junction functions as an emitter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the first well serves as a bas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and the second well serves as a collector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다 정합 특성이 개선된 트랜지스터가 제공됨으로써, 해당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아날로그의 회로의 오동작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에서, 두 소자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어 제조시에 불순물을 도핑하는 농도 및 깊이를 보다 일치시킬 수 있고 열점에 의한 데미지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각 소자 내의 전류가 흐르는 경로의 길이가 짧고 폭이 좁아지게 되어 정합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alfunction of the analog circuit using the transistor by providing the transistor with improved matching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evices is closer, so that the concentration and depth of doping impurities during manufacturing can be more matched, and the difference in damage due to hot spo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length of a path through which current flows in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is short and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 and the matching characteristic can be improved.
특히, 두 소자의 에미터와 콜렉터가 공통으로 형성됨에 따라, NPN타입의 소자의 경우에는 딥 N 웰(Deep N well)과 저항의 변화가 큰 부분이 차지하는 부분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정합 특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전체 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 비용절감 효과도 볼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emitter and the collector of the two elements are formed in common, in the case of the NPN type device, the deep N well and the portion where the large change in resistance is occupied can be reduced,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planar area of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can be reduced, the manufacturing cost can also be reduced.
도 1은 일반적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bipolar junction transistor.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tran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bipolar junction transistor.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에미터(E1, E2)를 중심으로 베이스(B1, B2), 콜렉터(C1, C2)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면서 에미터, 베이스, 콜렉터가 각각 도넛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베이스(B1, B2)가 에미터(E1, E2)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구현되고, 콜렉터(C1, C2)가 베이스(B1, B2)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 In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the bases B1 and B2 and the collectors C1 and C2 are sequentially formed around the emitters E1 and E2, and the emitters, the base, and the collectors each have a donut shape. Thus, the bases B1 and B2 are implemented to surround the emitters E1 and E2, and the collectors C1 and C2 are configured to surround the bases B1 and B2.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두 개의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도 1에서와 같이 하나의 쌍으로 구현되며, NPN 타입이나 PNP 타입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Two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having such a structure are implemented in one pair as shown in FIG. 1, and are the same in the case of an NPN type or a PNP type.
본 발명의 실시 예에는 정합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다음과 같은 구조로 형성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matching characteristics, a pair of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are formed with the following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제1 트랜지스터(T1)와 제2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istor T1 and a second transistor T2.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이며, 에미터, 베이스, 콜렉터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따라, 제1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E1)와 제2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E2)만 서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베이스(B)와 콜렉터(C)는 서로 통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B) 및 콜렉터(C)는 제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B) 및 콜렉터(C)와 동일하다.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1 and T2 are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and include an emitter, a base, and a collector, 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itter E1 of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emitter E2 of the second transistor T2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base B and the collector C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base B and the collector C of the first transistor T1 are the same as the base B and the collector C of the second transistor T2.
구체적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E1)와 제2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E2)가 각각 위치되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공통 베이스(B)가 두 개의 에미터(E1, E2)를 각각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 T2)의 공통 콜렉터(C)가 공통 베이스(B)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emitter E1 of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emitter E2 of the second transistor T2 are positioned, respectively, and the common base B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is positioned. ) Is formed to surround two emitters E1 and E2, and the common collector C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 and T2 surrounds the common base B.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NPN 타입의 경우에 해당하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PNP 타입의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corresponding to the case of NPN type,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of PNP type.
먼저, NPN타입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살펴보면, 베이스로 기능하는 P-웰(well)(10), 에미터로 기능하는 제1 및 제2 N+ 접합(21,22), 그리고 콜렉터로 기능하는 딥 N-웰(30)을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NPN type, the P-
P-웰(10)은 P형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트랜지스터(T1)와 제2 트랜지스터(T2)의 공통 베이스(B)로 기능한다. The P-
제1 및 제2 N+ 접합(21,22)은 N형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제1 N+ 접합(21)은 제1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E1)로 기능하며, 제2 N+접합(22)은 제2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E2)로 기능한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공통 베이스(B)가 두 개의 에미터(E, E2)를 각각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N+ 접합(21)과 제2 N+ 접합(22)이 P-웰(10) 상에 형성되면서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N +
딥 N-웰(30)은 N형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트랜지스터(T1)와 제2 트랜지스터(T2)의 공통 콜렉터(C)로 기능한다. 이러한 딥 N-웰(30)은 P-웰(10)의 하부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The deep 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트랜지스터(T1)는 P-웰(10), 제1 N+접합(21), 그리고 딥 N-웰(30)을 포함하며, 제2 트랜지스터(T2)는 P-웰(10), 제2 N+접합(22), 그리고 딥 N-웰(30)을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first transistor T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
이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T1)와 제2 트랜지스터(T2)가 하나의 P-웰(10)을 공통 베이스로 하고 P-웰(10)의 하부에 형성된 딥 N-웰(30)을 공통 콜렉터로 하면서, P-웰(10)에 형성된 제1 N+접합(21) 및 제2 N+접합(22)들을 각각 개별적인 에미터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평면적이 감소된다. 또한 동일한 베이스와 콜렉터를 사용함에 따라, 분리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제조시에 접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불순물의 도핑 농도 및 깊이의 차이가 적어지게 된다. 또한 저항의 변화가 큰 딥 N-웰의 또한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경로의 길이가 짧아지고 폭이 좁아지게 되어, 정합 특성이 향상된다. As such,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second transistor T2 have one P-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가 PNP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로 기능하는 N-웰(well)(11), 에미터로 기능하는 제1 및 제2 P+ 접합(21,22), 그리고 콜렉터로 기능하는 제3 P+ 접합(31, 32)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1 트랜지스터(T1)는 N-웰(11), 제1 P접합(21), 그리고 제3 P+ 접합(31)을 포함하며, 제2 트랜지스터(T2)는 N-웰(11), 제2 P+접합(22), 그리고 제3 P+ 접합(32)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공통 콜렉터(C)를 형성하는 제3 P+ 접합(31,32)를 형성하기 위한 딥 P웰을 제거한 형태로 구현된 것이며, 이에 따라 평면적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Meanwhile, even when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PNP type, as shown in FIG. First and second P +
그 결과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효과가 발생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정합 특성이 향상된다. As a result, the effects as described above occur, so that the matching characteristics of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NPN 또는 PNP 타입의 트랜지스터에서, 베이스로 기능하는 P-웰 또는 N-웰(10)을 제1 웰이라고 명명하고, 콜렉터로 기능하는 딥 N-웰 및 제3 P+ 접합을 제2 웰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에미터로 기능하는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N+ 접합 또는 제1 P+ 접합을 제1 접합이라고 명명하고, 제2 트랜지스터의 제2 N+ 접합 또는 제2 P+ 접합을 제2 접합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PN or PNP type transistor, the P-well or N-well 10 serving as a base is named as the first well, and the deep N- which functions as a collector. Wells and third P + junctions may be termed second wells. The first N + junction or the first P + junction of the first transistor serving as the emitter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junction, and the second N + junction or the second P + junction of the second transistor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junction.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도 제1 트랜지스터(T1)와 제2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first transistor T1 and a second transistor T2.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도 위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에미터(E), 베이스(B), 콜렉터(C)를 포함하며, 제1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E1)와 제2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E2)만 서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에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의 공통 베이스(B)의 형태가 제1 실시 예와 다르게 형성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21)와 제2 트랜지스터(T2)의 에미터(E2)가 각각 위치되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공통 베이스(B)가 두 개의 에미터(E, E2)를 둘러싸고 있지만 제1 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의 공통 콜렉터(C)가 공통 베이스(B)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1 and T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 the emitter E, the base B, and the collector C, as in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emitter E1 of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emitter E2 of the second transistor T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common base B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1 and T2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여기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공통 베이스(B)는 두 개의 에미터(E, E2)를 각각 둘러싸고 있으면서 제1 방향(여기서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에미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마치 공통 베이스(B)는 'ㄷ' 자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common base B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surrounds two emitters E and E2, respectively,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emitters face each other). By forming the open form, the common base B may have a 'c' shap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NPN 타입의 경우에 해당하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며, 도 7는 PNP 타입의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corresponding to the case of NPN type,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of PNP type.
위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NPN 타입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베이스로 기능하는 P-웰(well)(10'), 에미터로 기능하는 제1 및 제2 N+ 접합(21,22), 그리고 콜렉터로 기능하는 딥 N-웰(30)을 포함한다. 즉, 제1 트랜지스터(T1)는 P-웰(10'), 제1 N+접합(21), 그리고 딥 N-웰(30)을 포함하며, 제2 트랜지스터(T2)는 P-웰(10'), 제2 N+접합(22), 그리고 딥 N-웰(30)을 포함한다. As in the first embodiment above,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NPN type has a P-well 10 'serving as a base and a first and first serving as an emitter. 2 N +
그러나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공통 베이스(B)가 에미터(E, E2)들을 둘러싸고 있으면서 제1 방향은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일부 단면에서는, 제1 N+ 접합(21)과 제2 N+ 접합(22)이 P-웰(10') 상에 형성되면서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에미터로 기능하는 제1 N+ 접합(21)과 콜렉터로 기능하는 딥 N-웰(30) 사이 그리고, 에미터로 기능하는 제2 N+ 접합(22)과 콜렉터로 기능하는 딥 N-웰(30) 사이에 P-웰(10') 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제1 실시 예에서는 공통 베이스(B)가 에미터(E, E2)들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제1 N+ 접합(21)과 딥 N-웰(30) 사이 그리고, 제2 N+ 접합(22)과 딥 N-웰(30) 사이에 P-웰(10)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제2 실시 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 N+ 접합(21)과 딥 N-웰(30) 사이 그리고, 제2 N+ 접합(22)과 딥 N-웰(30) 사이에 P-웰(1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as the common base B surrounds the emitters E and E2 and the first direction is open, as shown in FIG. 6, a part of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is shown. In the cross section, the first N +
그 결과, 제1 실시 예에 비하여,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 T2)의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전류가 흐르는 경로의 길이가 보다 짧아지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가 동일한 베이스와 콜렉터를 사용함에 따라, 분리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제조시에 접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불순물의 도핑 농도 및 깊이의 차이가 적어지게 된다. 또한 저항의 변화가 큰 딥 N-웰의 또한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전류가 흐르는 경로의 길이가 짧아지고 폭이 좁아지게 되어 정합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가 가까워지게 되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정합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As a result,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emitters and the collector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 and T2 is closer, so that the length of the path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becomes shorter. Of course, even in this case, as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use the same base and collect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oping concentration and the depth of impurities used to form a junction during manufacturing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separated ones. In addition, the size of the deep N-well, which has a large change in resistance, is also reduced, resulting in a shorter path and a narrower path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thereby improving matching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emitter and the collector is close, so that the matching characteristics of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가 PNP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도 7에서와 같이, 베이스로 기능하는 N-웰(well)(11'), 에미터로 기능하는 제1 및 제2 P+ 접합(21,22), 그리고 콜렉터로 기능하는 제3 P+ 접합(31, 32)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1 트랜지스터(T1)는 N-웰(11'), 제1 P접합(21), 그리고 제3 P+ 접합(31)을 포함하며, 제2 트랜지스터(T2)는 N-웰(11'), 제2 P+접합(22), 그리고 제3 P+ 접합(32)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공통 콜렉터(C)를 형성하는 제3 P+ 접합(31,32)를 형성하기 위한 딥 P웰을 제거한 형태로 구현된 것이며, 이에 따라 평면적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도 7에서와 같이, 제1 N+ 접합(21)과 제3 P+ 접합(31) 사이 그리고, 제2 N+ 접합(22)과 제3 P+ 접합(32) 사이에 N-웰(11')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Meanwhile, even when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PNP type, as shown in FIG. 7, the N-well 11 ′ serving as a base serves as an emitter. First and second P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12)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1 접합;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 접합;
제2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접합 및 제2 접합을 각각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웰; 및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웰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 웰
을 포함하고,
상기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합은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 기능하고, 상기 제2 접합은 제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 기능하며,
상기 제1 웰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기능하고,
상기 제2 웰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 기능하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In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 first junction comprising an impurity of a first conductivity;
A second junction formed includ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A first well including a second conductive impurity and surrounding the first junction and the second junction; And
A second well compris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and enclosing the first well
/ RTI >
Wherein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includes a first transistor and a second transistor,
The first junction serves as an emitter of a first transistor, the second junction serves as an emitter of a second transistor,
The first well serves as a bas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And the second well functions as a collector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상기 제1 도전성은 N형이며, 상기 제2 도전성은 P형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first conductivity is N-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is P-type.
상기 제2 웰은 상기 제1 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웰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second well is formed under the first well and surrounds the first well.
상기 제1 도전성은 P형이며, 상기 제2 도전성은 N형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d wherein the first conductivity is P-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is N-type.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제2 접합;
제2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접합 및 제2 접합을 각각 둘러싸고 있으면서 제1 방향은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웰; 및
제1 도전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웰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 웰
을 포함하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A first junction comprising an impurity of a first conductivity;
A second junction formed includ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A first well including an impurity of a second conductivity and having a first direction open while surrounding each of the first junction and the second junction; And
A second well comprising impurities of a first conductivity and enclosing the first well
And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상기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는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합은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 기능하고, 상기 제2 접합은 제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 기능하며,
상기 제1 웰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기능하고,
상기 제2 웰은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 기능하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Wherein the bipolar junction transistor includes a first transistor and a second transistor,
The first junction serves as an emitter of a first transistor, the second junction serves as an emitter of a second transistor,
The first well serves as a bas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he second well functions as a collector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Bipolar junction transistor.
상기 제1 도전성은 N형이며, 상기 제2 도전성은 P형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Wherein the first conductivity is N-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is P-type.
상기 제2 웰은 상기 제1 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웰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nd the second well is formed under the first well and surrounds the first well.
상기 제1 도전성은 P형이며, 상기 제2 도전성은 N형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nd wherein the first conductivity is P-type and the second conductivity is N-type.
상기 제1 방향은 제1 접합 및 제2 접합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인,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11.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0
And wherein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junction and the second junction face each other.
상기 제1 웰은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d the first well has a U-sh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15182 | 2011-02-21 | ||
KR1020110015182 | 2011-02-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5769A KR20120095769A (en) | 2012-08-29 |
KR101300214B1 true KR101300214B1 (en) | 2013-08-26 |
Family
ID=4688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2341A Active KR101300214B1 (en) | 2011-02-21 | 2011-05-31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for high matching characteristic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021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86856A4 (en) * | 2021-10-28 | 2024-10-16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FIN JUNCTION BIPOLAR TRANSISTOR AND PREPA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10001646B1 (en) * | 1974-04-15 | 1981-10-27 | 모리다 아끼오 | Semiconductor device |
KR19990056720A (en) * | 1997-12-29 | 1999-07-15 | 김영환 | Semiconductor powe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020089335A (en) * | 2000-01-31 | 2002-11-29 |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 Bipolar transistor |
KR100925128B1 (en) * | 2008-03-27 | 2009-11-04 |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 Integrated Bipolar Transistor Implemented by CMOS Manufacturing Process and Electronic Circuit Using the Same |
-
2011
- 2011-05-31 KR KR1020110052341A patent/KR1013002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10001646B1 (en) * | 1974-04-15 | 1981-10-27 | 모리다 아끼오 | Semiconductor device |
KR19990056720A (en) * | 1997-12-29 | 1999-07-15 | 김영환 | Semiconductor powe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020089335A (en) * | 2000-01-31 | 2002-11-29 |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아게 | Bipolar transistor |
KR100925128B1 (en) * | 2008-03-27 | 2009-11-04 |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 Integrated Bipolar Transistor Implemented by CMOS Manufacturing Process and Electronic Circuit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5769A (en) | 2012-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4764B1 (en)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ased on CMOS technology | |
US9997510B2 (en) | Semiconductor device layout structure | |
US9685443B2 (en) | Compact guard ring structure for CMOS integrated circuits | |
KR102254766B1 (en) | Lateral bipolar junction transistor having high current driving capability | |
US20160079228A1 (en) | Esd protection circuit with plural avalanche diodes | |
US9691874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structure | |
US10192863B2 (en) | Series connected ESD protection circuit | |
JP4530823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TWI677073B (en)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layout structure | |
CN103378139B (en) | Semiconductor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US9263429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300214B1 (en)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for high matching characteristics | |
US20080224266A1 (en) | Lateral bipolar transistor | |
KR101288084B1 (en)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for very high matching characteristics | |
US9455338B1 (en) | Methods for fabricating PNP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
KR101277776B1 (en)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for high matching characteristics | |
US20130328170A1 (en) | Semiconductor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TWI441330B (en) | Bipolar junction crystal device | |
JP4197660B2 (en) | MOS transistor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the same | |
TWI447906B (en) |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2315256B (en)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device | |
KR101519548B1 (en)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for improving matching characteristics | |
CN108269788B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a plurality of transistors | |
KR20140104930A (en) | bipolar junction transistor for high matching characteristics | |
TW201630195A (en) | Semiconductor device layou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5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