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542B1 - Truss structure for tunnel - Google Patents
Truss structure for tun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8542B1 KR101298542B1 KR1020120039155A KR20120039155A KR101298542B1 KR 101298542 B1 KR101298542 B1 KR 101298542B1 KR 1020120039155 A KR1020120039155 A KR 1020120039155A KR 20120039155 A KR20120039155 A KR 20120039155A KR 101298542 B1 KR101298542 B1 KR 1012985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ss
- tunnel
- truss structure
- hydraulic jack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4—Staff transport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6—Equipment transport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은,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트러스부재와, 상기 수평 트러스부재에 수직으로 연결된 수직 트러스부재를 포함하는 트러스구조체 및,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의 하단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트러스구조체를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시에 상기 트러스구조체와 터널과의 접촉으로 인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터널에 수직방향이 되도록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에 결합되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과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터널의 내부와 구름접촉하도록 상기 유압잭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구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유압잭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구비한 탄성고무로 제공되며, 상기 유압잭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끼움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수단이 유연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uss structure for a tunnel.
The tunnel truss structure includes a truss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truss member installed inside the tunnel, a vertical truss member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truss member, and a truss structure provided at the bottom or side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A moving part including a shock absorbing member which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and absorbs and cushions vibrations and shocks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truss structure and the tunnel at the time of movement,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perpendicular to the tunnel; A hydraulic jack coupled to the vertical truss member,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hydraulic jack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second cloud means provided at an end of the hydraulic jack so as to make a rolling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tunnel. Is provided as an elastic rubber having a fitting groove to which the hydraulic jack is fitted, the Apjaek may be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means to be flexibly deformed by being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so th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in the vertical truss memb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내부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동 및 길이조절이 용이한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truss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nnel truss structure that is easy to move and adjust the length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work inside the tunnel.
터널은 흙이나 바위를 파서 지표면 아래에 만든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수평이며 가능 모양의 긴 통로를 말한다. A tunnel is a space created by digging earth or rock under the earth's surface.
터널과 같이 길이가 긴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양생 및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현상이나 기후변화 및 진동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Long concrete structures such as tunnels can cause partial cracks due to shrinkage, climatic changes and vibration caused by the curing and drying process.
그리고 이러한 균열이 구조물의 여러 곳에 발생된 후 장기간이 경과하면 균열부위를 통해 각종 이물질 또는 지하수, 빗물이 침투되어 균열이 급속도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에 매립된 철근이 부식이 심화되어 구조물의 내구성 및 내구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터널과 같은 구조물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균열보수공사를 진행하여야 한다. When a long period of time is elapsed after such cracks are generated in various places of the structure, various foreign substances, groundwater, and rainwater penetrate through the cracks and the cracks can rapidly proceed. Accordingly, Which may shorten the durability and durability life. Therefore, crack repair work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maintenance of structures such as tunnels.
또한, 터널의 유지, 관리를 위하여 상기 균열에 대한 보수공사 외에도 터널의 정기점검, 정밀 안전진단, 보수보강 공사 및 내벽청소, 타일공사, 표면 보수 등의 공사가 정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o the repair work for the cracks, regular maintenance of the tunnels, precise safety diagnosis,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work, interior wall cleaning, tile work, and surface repair work should be carried out regularly in order to maintain and manage the tunnels.
종래는 이러한 터널 구조물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하여 접이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비계가 부착된 차량을 이용하여 가설공사를 수행한다. Conventionally, for the maintenance and repair work of such a tunnel structure, a construction work is carried out using a vehicle having a ladder scaffold which is adjustable in height by folding.
그러나, 종래 차량을 이용한 가설공사는 주간 및 야간에 작업시에 터널을 통과하는 사람과 차량을 전면 통제해야 하므로 국가 기간 시설물인 터널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물류유통 및 인적이동에 있어서 공공업무의 공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using the vehicle requires total control over the people and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tunnel at the time of day and night, the use of the tunnel, which is a national infrastructure, is restricted, There is a problem that arises.
또한, 터널의 정기적인 공사의 빈도수와 신규터널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하면, 터널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 및 시공효율 측면에서 향상된 터널유지관리를 위한 가설공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regular construction of tunnels and the trend of increasing new tunnels, temporary construction systems are needed for improved tunnel maintenance in terms of work and construction efficiency for tunnel maintenance and repair.
특히, 실시간 사람 및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면서 작업도 용이하게 하도록 터널 내부에서 이동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설공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a temporary construction system capable of moving and adjusting the length in a tunnel to facilitate real-time traffic of people and vehicles, and to facilitate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터널 내부의 가설공사 작업시에 터널 내부를 이동하면서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보수공사를 용이하게 하며, 가설구조물을 이동시킬 때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여 구조물의 마모와 파손을 방지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aspect is to facilitate the repair work of the part that needs to be repaired while moving the inside of the tunnel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inside the tunnel, and move the temporary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tunnel truss structure that absorbs and cushions the impact when the shock is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다양한 폭의 터널에도 대응하여 사용가능하며 구조물을 정지시킨 상태에서의 작업량을 늘리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 truss structure that can be used to correspond to a tunnel of various widths and to increase the amount of work in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is stopp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트러스부재와, 상기 수평 트러스부재에 수직으로 연결된 수직 트러스부재를 포함하는 트러스구조체; 및,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의 하단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트러스구조체를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시에 상기 트러스구조체와 터널과의 접촉으로 인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터널에 수직방향이 되도록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에 결합되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과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터널의 내부와 구름접촉하도록 상기 유압잭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구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유압잭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구비한 탄성고무로 제공되며, 상기 유압잭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끼움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수단이 유연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을 제공한다.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truss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truss member installed inside the tunnel, and a vertical truss member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truss member; And a buffer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r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to move the truss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and to absorb and cushion the vibration and shock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truss structure and the tunnel during movement. And a moving part;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ncludes: a hydraulic jack coupled to the vertical truss member to be perpendicular to the tunnel;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hydraulic jack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the inside of the tunnel. And a second clouding mean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ydraulic jack so as to make a rolling contact,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s provided as an elastic rubber having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hydraulic jack is fitted, and the hydraulic jack is fixed to the vertical truss member. Tunnel truss for tunnel is provided so that the connection means can be flexibly deformed by being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so as to space apart Provide the creation.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구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preferably, the moving part may include fixing mean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first cloud means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means.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수단은,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웨브를 구비한 H형강;과,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의 하단부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상부강관;과,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름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강관;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xing means, an H-shaped steel having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and an upper steel pip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detachably fitted with a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a lower steel pip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lange and to which the first cloud means is detachably fitted.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제2구름수단은, 내부에 영구적인 자성을 갖는 자석층을 구비하여 상기 유압잭의 단부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어 구름운동하는 스틸볼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 rolling means may be a steel ball having a magnet layer having permanent magnetism therein, which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hydraulic jack by a magnetic force to roll.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유압잭과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수단이 변형되면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압잭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hydraulic jack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elastic support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ydraulic jack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when the connecting means is deformed.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트러스구조체는, 복수의 단위트러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시공되며, 상기 이웃하는 단위트러스 중 어느 하나의 단위트러스의 일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위트러스의 일단부에 중첩되도록 끼워져 조립되되, 상기 복수의 단위트러스가 중첩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트러스구조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truss structure is a plurality of unit trusses are sequentially connected and constructed, the one end of any one unit truss of the neighboring unit truss is assembled to be fitted so as to overlap one end of the other unit truss, It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unit trusses overlap.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단위트러스 간의 하중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상기 단위트러스의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preferably, an end portion of the unit truss that is fitted to smoothly flow the loa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trusses may be formed in a curve.
바람직하게, 상기 단위트러스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길이조절홀;과, 상기 길이조절홀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볼트체결됨으로써 상기 중첩되는 복수의 단위트러스를 결합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unit truss is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to couple the plurality of overlapping unit trusses by bolting through at least one of the length adjusting holes It may include a pi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을 이용하면, 터널 내부의 가설공사 작업시에 터널 내부를 이동하면서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보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트러스구조체를 이동시킬 때 터널 내부 구조에 의해서 상기 트러스구조체가 받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할 수 있어 상기 트러스구조체의 마모와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y using the tunnel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repair work of the part that needs to be repaired while moving the inside of the tunnel during the temporary construction work inside the tunnel, and to move the truss structure Whe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unnel can absorb and cushion the impact received by the trus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wear and damage of the truss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의 길이와 폭이 조절되므로, 다양한 폭의 터널에도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물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길이를 늘려 정지상태에서의 작업량을 늘릴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ngth and width of the tunnel truss structure is adjusted, it can be used to correspond to tunnels of various widths, and increase the length of work in the stationary state by increasing the length in the state of stopping the structure.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이 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C"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nnel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unnel.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ss structure for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ion “B” of FIG. 2.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portion “C”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truss structure for tunnel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explai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은 터널의 건축한계선 영역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의 차량이동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터널 내부를 이동하거나 길이가 조절되면서 용이하게 터널의 유지보수를 위한 가설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unnel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limit line area of the tunnel construction work for easy maintenance of the tunnel while moving 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unnel without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side the tunnel Is based on being able to perform.
이때, 상기 건축한계선은 차량의 운전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도로 등에 일정한 공간을 만들고 그 한계 영역 내에는 구조물이 들어설 수 없도록 하는 제한선을 말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한계영역에 가설공사를 위한 상기 트러스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building limit line refers to a limiting line for creating a certain space on a road or the lik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to prevent the structure from entering within the limiting area. To install the truss structure f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1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터널(10)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트러스부재(210)와, 상기 수평 트러스부재(210)에 수직으로 연결된 수직 트러스부재(230)를 포함하는 트러스구조체(200)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의 하단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를 터널(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시에 상기 트러스구조체(200)와 터널(10)과의 접촉으로 인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는 완충부재(310)를 구비하는 이동부(300)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 수평 트러스부재(210)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로 구성된 트러스구조체(200)는 상기 건축한계선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러스구조체(200)가 단층트러스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는 상기 건축한계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면 입체트러스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또한, 상기 수평 트러스부재(210)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에는 작업발판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수평 트러스부재(210)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는 직각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터널 작업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각 트러스부재는 용접접합이 아닌 핀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수평 트러스부재(210) 및 수직 트러스부재(230)의 조립 및 해체 공정은 터널 외부의 주변의 공터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완전히 조립되어 터널의 작업이 필요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조립 및 해체 작업으로 인하여 차량이 일시적으로 통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process of the
한편,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의 하단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를 터널(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이에 따라, 상기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100)은 터널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보수공사를 하기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는 건축한계영역에 설치되므로, 터널(10) 내부의 차량이동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트러스구조체(2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한편, 완충부재(310)는,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를 이동시킬 때, 상기 트러스구조체(200)와 터널(10)과의 접촉으로 인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도록 상기 이동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완충부재(310)는,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의 하단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트러스구조체(200)가 터널(10)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터널(10) 바닥면이나 터널(10) 측면의 굴곡에 의해서 상기 트러스구조체(2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특히, 상기 트러스구조체(200)가 터널(10)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터널(10) 내측면의 벽체과 접촉되어 받는 충격을 완화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ile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100)을 이용하면, 터널(10) 내부의 가설공사 작업시에 터널(10) 내부를 이동하면서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보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트러스구조체(200)를 이동시킬 때 터널 내부 구조에 의해서 상기 트러스구조체(200)가 받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할 수 있어 상기 트러스구조체(200)의 마모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using the
한편, 상기 이동부(300)는, 구체적으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수단(330)과, 상기 고정수단(33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구름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이때, 상기 고정수단(330)은 상기 트러스부재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구름수단(340)을 설치할 수 있다면 재질과 형상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름수단(340)은 상기 터널 바닥에 구름 접촉함으로써 상기 트러스 구조물(100)을 이동시키는 바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형태와 재질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예를 들어 상기 고정수단(330)은,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부플랜지(332), 하부플랜지 및 웨브를 구비한 H형강(331)과, 상기 상부플랜지(332)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의 하단부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상부강관(333)과,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름수단(340)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강관(3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xing means 330,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a) and (b), the H-
이에 따라, 상기 H형강(331)의 상부플랜지(332)와 하부플랜지에 의해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와 상기 제1구름수단(340)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강관(333)과 상기 하부강관(335)에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와 상기 제1구름수단(34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트러스 구조물(100)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완충부재(310)는, 상기 터널(10)에 수직방향이 되도록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에 결합되는 유압잭(311)과, 상기 유압잭(311)과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313)과, 상기 터널(10)의 내부와 구름접촉하도록 상기 유압잭(31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구름수단(3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완충부재(31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수직트러스부재와 상기 터널(10)의 측면 내부 벽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에 연결수단(313)을 매개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터널(10) 내부 측면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유압잭(311)의 단부에는 제2구름수단(315)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러스구조체(200)가 이동할 때, 상기 터널(10)의 내부 측면에 의해 마모 내지 파손되지 않으면서 트러스구조체(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a second cloud means 315 may be mounted at the end of the
다만, 상기 제2구름수단(315)은, 상기 터널 내부 벽체와 구름 접촉함으로써 상기 트러스 구조물(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면 형태와 재질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second cloud means 315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in form and material as long as the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상기 제2구름수단(315)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에 영구적인 자성을 갖는 자석층(316)을 구비하여 상기 유압잭(311)의 단부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어 구름운동하는 스틸볼일 수 있다. For example, preferably, the second cloud means 315 is provided with a
즉, 상기 스틸볼은 내부에 자석층(316)을 코팅처리하고 표면에 금속 코팅층(317)을 구비하여 스틸볼의 표면이 자성을 갖도록 구성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틸볼은 별도의 고정수단(330)없이 상기 유압잭(311)의 단부에 부착되어 여러 방향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다. That is, the steel ball may be configured to coat the
또한, 상기 유압잭(311)의 단부에는 상기 스틸볼의 구름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스틸볼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구형태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스틸볼은 터널의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이나 경사방향으로도 구름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널의 벽체나 바닥면의 다양한 장애물과 굴곡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el ball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inclined direction as well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obstacles and curvatures of the wall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tunnel.
여기서, 상기 유압잭(311)의 단부에 구비된 반구형태의 홈과 상기 스틸볼의 표면에는 스틸볼의 구름운동으로 인한 마찰로 표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모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hemispherical groove provided at the end of the
한편, 상기 연결수단(313)은 상기 유압잭(311)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314)을 구비한 탄성고무로 제공되며, 상기 유압잭(311)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끼움홈(314)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수단(313)이 유연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ans 31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rubber having a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313)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에 끼움결합 등으로 고정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313)에 구비된 끼움홈(314)에는 상기 유압잭(311)의 단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수단(313)을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에 장착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the connecting means 313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이때, 상기 연결수단(313)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314)은 수직 트러스부재(230)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상기 유압잭(311)의 단부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에 밀착되지 않고 소정간격(t)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압잭(311)의 단부가 상기 끼움홈(314)의 60% 내지 70%정도만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ans 313 may be rubber having an elastic force, and the
이에 따라, 상기 연결수단(313)은 상기 고무재질과 상기 유압잭(311)과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 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유연하게 탄성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잭(311)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연결수단(313)을 접점으로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와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변형되어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를 상기 터널(10) 내벽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nection means 313 may be flexibly elastically deformed due to the gap between the rubber material and the
이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310)는, 상기 유압잭(311) 뿐만아니라 상기 탄성재질의 연결수단(313)에 의해서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를 이동시킬 때 터널(10)과의 접촉으로 인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완충부재(310)는, 상기 유압잭(311)과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수단(313)이 변형되면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압잭(311)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3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탄성지지수단(318)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313) 주위의 수직 트러스부재(230)와 상기 유압잭(311)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잭(311)이 상기 트러스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elastic support means 318 is connected to the
이때, 상기 탄성지지수단(318)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 복원력을 가진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하나의 유압잭(311)에 2개 내지 4개 정도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이 4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수단(313)의 상,하,좌,우에 결합되므로 상기 유압잭(3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astic support means 318 may be a spring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as shown in the embodiment, the spring may be coupled to about 2 to 4 to the one
다만, 상기 탄성지지수단(318)의 재질과 개수는 도시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압잭(311)을 안정적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However, the material and the number of the elastic support means 318 is not limited to the case show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f the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의 변형에 의해 상기 유압잭(311)의 연결각도가 변하면 상기 탄성지지수단(318)에 의해 상기 유압잭(311)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완충부재(310)가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angle of the
한편,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단위트러스(201)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시공되며, 상기 이웃하는 단위트러스(201) 중 어느 하나의 단위트러스(201a)의 일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위트러스(201b)의 일단부에 중첩되도록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는, 상기 복수의 단위트러스(201)가 중첩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트러스구조체(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다만,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길이조절부(250)가 상기 수평 트러스부재(210)에만 구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길이조절부(250)는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230)에도 구비되어 수직 트러스부재(230)의 길이 또한 조절할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이와 같이 상기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10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터널(10) 내부의 폭이 가변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하나의 트러스 구조물(100)을 이용하여 다양한 규모의 터널의 보수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터널의 긴 경우에 트러스 구조물(100)을 멈춘 후 정지상태에서 보수작업이 가능한 길이를 늘림으로써 작업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As the length of the
이때, 상기 단위트러스(201)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복수의 단위트러스(201) 간의 하중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상기 단위트러스(201a)의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종래 단위트러스(201)를 구성하는 강관의 단부가 곡선처리가 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에 이웃하는 단위트러스(201a)의 연결부위의 강관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마모됨으로써 상기 트러스구조체(200)를 재사용할수록 끼움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트러스(201a)의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단위트러스(201)의 단부에서 하중의 내력이 유선형으로 이동하여 연결되는 단부에서의 응력이 완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general case in which the end of the steel pipe constituting the
한편, 상기 단위트러스(201)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길이조절홀(203)과, 상기 길이조절홀(203)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볼트체결됨으로써 상기 중첩되는 복수의 단위트러스(201)를 결합 고정하는 고정핀(2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에 따라, 상기 트러스구조체(200)가 필요한 길이로 되도록 상기 이웃하는 단위트러스(201)를 중첩하고, 이웃하는 단위트러스(201) 중 어느 하나의 단위트러스(201a)와 다른 하나의 단위트러스(201b)의 길이조절홀(203)의 위치를 맞춘 후 상기 길이조절홀(203)을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핀(204)을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neighboring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204)의 양단부에는 나사산(204a)이 형성되고, 볼트가 관통된 후 상기 단위트러스(201)의 양단의 고정핀(204)에 볼트(205)와 와셔(206)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러스구조체(200)의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5, a
다만, 상기 고정핀(204)을 고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핀(204)을 상기 길이조절홀(203)에 끼움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However, the method of fixing the fix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을 이용하면, 터널 내부의 가설공사 작업시에 터널 내부를 이동하면서 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보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트러스구조체를 이동시킬 때 터널 내부 구조에 의해서 상기 트러스구조체가 받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할 수 있어 상기 트러스구조체의 마모와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y using the tunnel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repair work of the part that needs to be repaired while moving the inside of the tunnel during the temporary construction work inside the tunnel, and to move the truss structure Whe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unnel can absorb and cushion the impact received by the trus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wear and damage of the truss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의 길이와 폭이 조절되므로, 다양한 폭의 터널에도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물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길이를 늘려 정지상태에서의 작업량을 늘릴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ngth and width of the tunnel truss structure is adjusted, it can be used to correspond to tunnels of various widths, and increase the length of work in the stationary state by increasing the length in the state of stopping the structure. Can be.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100 :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200 : 트러스구조체
210 : 수평 트러스부재 230 : 수직 트러스부재
250 : 길이조절부 300 : 이동부
310 : 완충부재 313 : 연결수단
314 : 끼움홈 315 : 제2구름수단
316 : 자석층 318 : 탄성지지수단
330 : 고정수단 340 : 제1구름수단100: truss structure for tunnel 200: truss structure
210: horizontal truss member 230: vertical truss member
250: length adjusting part 300: moving part
310: buffer member 313: connecting means
314: fitting groove 315: second cloud means
316: magnet layer 318: elastic support means
330: fixing means 340: first cloud means
Claims (10)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의 하단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트러스구조체를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시에 상기 트러스구조체와 터널과의 접촉으로 인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터널에 수직방향이 되도록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에 결합되는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과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터널의 내부와 구름접촉하도록 상기 유압잭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구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유압잭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구비한 탄성고무로 제공되며, 상기 유압잭은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끼움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결수단이 유연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A truss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truss member installed inside the tunnel and a vertical truss member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truss member; And
A moving part provided at the bottom or side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to move the truss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and having a shock absorbing member to absorb and cushion the vibration and shock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truss structure and the tunnel during movement. Includ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includes: a hydraulic jack coupled to the vertical truss member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tunnel;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hydraulic jack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an end of the hydraulic jack to make a cloud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tunnel. It includes; second cloud means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elastic rubber having a fitting groove to which the hydraulic jack is fitted, the hydraulic jack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truss memb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connecting means can be flexibly deformed. Tunnel truss structure provided.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구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unit
Fixing mean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First cloud means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means;
Tunnel truss structure comprising a.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웨브를 구비한 H형강;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의 하단부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상부강관; 및,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름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강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3.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 H-beam having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An upper steel pip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fitted with a detachabl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A lower steel pip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and fitted with a detachable first cloud means;
Tunnel truss structure comprising a.
상기 제2구름수단은, 내부에 영구적인 자성을 갖는 자석층을 구비하여 상기 유압잭의 단부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어 구름운동하는 스틸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loud means is provided with a magnet layer having a permanent magnet therein, the truss structure for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ball attached to the end of the hydraulic jack by a magnetic force rolling motion.
상기 유압잭과 상기 수직 트러스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수단이 변형되면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압잭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2. The cushion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support means connected to the hydraulic jack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hydraulic jack so a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when the connecting means is deformed.
복수의 단위트러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시공되며, 상기 이웃하는 단위트러스 중 어느 하나의 단위트러스의 일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위트러스의 일단부에 중첩되도록 끼워져 조립되되,
상기 복수의 단위트러스가 중첩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트러스구조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The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5 and 7, wherein the truss structure is
A plurality of unit trusses are sequentially connected and constructed, one end of one unit truss of the neighboring unit truss is assembled to be fitted so as to overlap one end of the other unit truss,
And a lengt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length of the plurality of unit trusses.
상기 복수의 단위트러스 간의 하중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상기 단위트러스의 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9. The method of claim 8,
Tunnel truss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unit truss is fitted in a curve to smoothly flow the loa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truss.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길이조절홀; 및,
상기 길이조절홀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볼트체결됨으로써 상기 중첩되는 복수의 단위트러스를 결합 고정하는 고정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nit truss is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forme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xing pin for coupling and fixing the plurality of overlapping unit trusses by bolting through at least one of the length adjusting holes;
Tunnel truss structure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9155A KR101298542B1 (en) | 2012-04-16 | 2012-04-16 | Truss structure for tun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9155A KR101298542B1 (en) | 2012-04-16 | 2012-04-16 | Truss structure for tunn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8542B1 true KR101298542B1 (en) | 2013-08-22 |
Family
ID=4922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9155A KR101298542B1 (en) | 2012-04-16 | 2012-04-16 | Truss structure for tun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854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9969B1 (en) * | 2019-06-25 | 2020-05-12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A work bogie for tunnel work |
CN114776327A (en) * | 2022-03-28 | 2022-07-22 |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A truss device for lining a trolle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1452A (en) * | 1992-09-02 | 1994-03-22 | Toshiba Corp | Simple free-running type high place working truck |
KR20060005424A (en) * | 2004-07-12 | 2006-01-18 | 전용호 | Soundproof wall tunnel public work cart |
JP2007210375A (en) * | 2006-02-08 | 2007-08-23 | Nec Access Technica Ltd | Ball caster |
KR20080103809A (en) * | 2007-05-25 | 2008-11-28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Customized machometer |
-
2012
- 2012-04-16 KR KR1020120039155A patent/KR10129854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1452A (en) * | 1992-09-02 | 1994-03-22 | Toshiba Corp | Simple free-running type high place working truck |
KR20060005424A (en) * | 2004-07-12 | 2006-01-18 | 전용호 | Soundproof wall tunnel public work cart |
JP2007210375A (en) * | 2006-02-08 | 2007-08-23 | Nec Access Technica Ltd | Ball caster |
KR20080103809A (en) * | 2007-05-25 | 2008-11-28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Customized machomet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9969B1 (en) * | 2019-06-25 | 2020-05-12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A work bogie for tunnel work |
CN114776327A (en) * | 2022-03-28 | 2022-07-22 |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A truss device for lining a trolley |
CN114776327B (en) * | 2022-03-28 | 2025-02-07 |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A truss device for lining trolle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5820B1 (en) |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s absorbing longtidudinal displacement and live load impact | |
KR101762148B1 (en) | Bridge using precast psc deck typ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633431B1 (en) | Expandable bridge sidewal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110396919B (en) | Assembled steel structure-concrete combin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5839516B (en) | A kind of bridge lateral anti-fall girder apparatu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104005338A (en) | Three-directional temporary tower and girder consolidation structure of large-span cable-stayed bridge | |
KR101305347B1 (en) | Pedestrian bridge for expanding road | |
CN210856839U (en) | Expansion joint template structure for concrete pavement | |
KR101298542B1 (en) | Truss structure for tunnel | |
KR101126083B1 (en) | A lining board support structure of truss temporary bridge | |
CN212983571U (en) | Large-displacement bridge expansion joint | |
KR101787321B1 (en) | Prestressed bridge with abuttment | |
CN205711703U (en) | A kind of bridge lateral anti-fall girder apparatus | |
KR20070115813A (en) |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of Existing Bridge | |
KR20160117923A (en) | Slab track structure of steel-fram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rc) for railwa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JP6374353B2 (en) | How to build a bridge | |
CN108049263B (en) | Beam column structure track system for air railway | |
KR102027094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Bridges Using Precast Concrete Deck | |
CN203766764U (en) | Subway platform reinforcing device | |
JP5043879B2 (en) | How to install width expansion materials for road bridges | |
JP6360769B2 (en) | Widening method of existing road bridge | |
KR101519112B1 (en) | Reinforcement column and a tunnel for subway utilizing the same | |
KR100809065B1 (en) |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of Existing Bridge | |
KR100809064B1 (en) |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of Existing Bridge | |
KR200461507Y1 (en) | Movable carriage using corrugated multi plat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