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540B1 - Diagrid join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Diagrid join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8540B1 KR101298540B1 KR1020110085728A KR20110085728A KR101298540B1 KR 101298540 B1 KR101298540 B1 KR 101298540B1 KR 1020110085728 A KR1020110085728 A KR 1020110085728A KR 20110085728 A KR20110085728 A KR 20110085728A KR 101298540 B1 KR101298540 B1 KR 101298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e
- joint
- flange
- lower flange
- upper fl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새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를 구비한 가새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가 상호 간에 연계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가새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 또는 전달하도록 제공된 가새접합부 및 상기 가새부와 상기 가새접합부를 연계토록 제공되어, 상기 가새부가 상기 가새접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가새부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상기 가새접합부로 용이하게 분산토록 제공된 보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일모서리가 상기 가새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일 모서리가 상기 가새접합부에 고정되며, 상기 가새접합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이나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새부를 지지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는 상기 가새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을 이루면서, 상기 가새부재와 상기 가새접합부 사이에 동시에 접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e joint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he brace portion having one or more brace members and the one or more brace members ar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easily distribute or transfer the load applied to the brace portion. Provided with the brace joint and the brace portion and the brace joint portion provided so that the brace portion can be stably fixed to the brace joint,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provided to easily distribut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brace portion to the brace joint portion. Including, but the reinforcing portion, one edge is fixed to the brace member, the other edge is fixed to the brace joint, a plurality of provided on the one or both sides of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race joint provided to support the brace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being the brace memb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each other yirumyeonseo radial, it can be bonded between the bracing member and the brace joints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새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가새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보강부를 통해 방사형으로 분산시킴으로써, 가새부와 가새접합부의 접합부분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새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e joint structure, and in particular, by radially distributing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race through the reinforc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nsive stress is applied to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and the brace joint To a brace joint structure.
고층 건축물에서 저층부에서 고층부로 올라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일명 'Tapered 타입'의 초고층 건축물은, 전통적인 고층건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비정형성의 외관과 구조형식을 적용하는 비정형화된 고층 건축물의 시공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초고층 건축물의 비정형성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로서, 통상의 기둥-보로 구성되는 전통적인 구조 형식으로는 그 구현이 쉽지 않고 제약이 따른다.The high-rise building, known as the Tapered type, whose cross section decreases from the lower floor to the higher floor, is a feature of traditional high-rise buildings, but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the unstructured high-rise building that applies the irregular appearance and structural form The trend is prominent. As a structure for coping with the irregularity of such a high-rise building, the conventional structural form consisting of a column-beam is not easy to implement and has limitations.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비정형적인 건축물의 형상에 쉽게 대응하기 위하여, 통상의 기둥 대신에 초대형 가새부재(경사진 형태의 보 구조)를 이용하여 수직력과 수평력을 지지하는 구조 시스템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asily cope with the shape of such atypical buildings, structural systems that support vertical and horizontal forces by using super-large brace members (beveled beam structures) instead of ordinary columns have been applied.
이와 같이 초대형 (대각)가새로 구성된 구조 시스템을 통상 'Diagrid 구조'라 한다. 이와 같은 알려진 가새 구조 시스템의 건축물은 예를 들어, 영국 런던의 'Swiss Re', 미국 뉴욕의 'Hearst Tower', 중국의 'Twin Tower','CCTV 사옥' 또는 일본의 'Mode학원' 등의 많은 적용 사례가 있다.Such a structural system composed of extra-large (diagonal) braces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diagrid structure'. Many of these known brace-building systems include, for example, 'Swiss Re' in London, England, 'Hearst Tower' in New York, USA, 'Twin Tower' in China, 'CCTV Building' or 'Mode Institute' in Japan. There is an application case.
그리고, 이와 같은 가새를 이용한 'Diagrid' 구조 시스템은, 기존 형식에 비해 강재 물량이 20% 정도 저감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비정형성을 가지는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경제적인 강구조 시스템으로서 근래 관심이 집중되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 'Diagrid' structural system using such braces has been reported to reduce steel volume by about 20% compared to the existing type, and the trend of attention is recently focused as an economical steel structural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with irregularities. to be.
그러나,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알려진 종래의 가새 접합은, 단순한 판(플레이트) 접합을 통하여 가새부재들이 접합되기 때문에, 시공도 어렵고 그 시공기간도 긴 문제가 있었다.However, although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known conventional brace joints, because brace members are joined through a simple plate (plate) joi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also lo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새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들을 분리하여 현장으로 운송한 후,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들이 가새접합부에 경사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용접결합되도록 하여, 가새의 시공의 단순화, 이로 인해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가새 접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fter separating one or more brace members constituting the brace to be transported to the site, so that one or more brace members are stably welded inclined to the brace joint. Thus, to simplify the construction of the brace, thereby providing a brace joint structure tha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또한, 본 발명은 가새접합부를 통해 초고층 건축물의 경사진 보에 해당하는 가새부재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새 접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e joint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brac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beam of the high-rise building through the brace joint.
아울러, 본 발명은 가새부와 가새접합부를 연계하는 보강부를 구비하여, 가새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보강부를 통해 방사형으로 분산시킴으로써, 가새부와 가새접합부의 접합부분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새 접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ortion connecting the brace portion and the brace joint portion, by radially distributing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e portion,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junction of the brace portion and the brace joint por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ce joint structure that can prevent losing.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를 구비한 가새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가 상호 간에 연계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가새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 또는 전달하도록 제공된 가새접합부; 및 상기 가새부와 상기 가새접합부를 연계토록 제공되어, 상기 가새부가 상기 가새접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가새부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상기 가새접합부로 용이하게 분산토록 제공된 보강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일모서리가 상기 가새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일 모서리가 상기 가새접합부에 고정되며, 상기 가새접합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이나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새부를 지지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는 상기 가새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을 이루면서, 상기 가새부재와 상기 가새접합부 사이에 동시에 접합되는 가새 접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새접합부는 상면에 가새부재가 고정되는 타원형 형상을 가진 상부플랜지; 하면에 가새부재가 고정되는 타원형 형상을 가진 하부플랜지;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계토록 제공된 웨브; 및 상부플랜지의 상면 및 하부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가새부재를 구획토록 제공된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race portion having one or more brace members, and the one or more brace members ar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acilitate the load applied to the brace portion Bracing portions provided to disperse or deliver; And a reinforcement part provided to link the brace part and the brace joint part so that the brace part is stably fixed to the brace joint part and to easily distribute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brace part to the brace joint part. Including, but the reinforcement, one edge is fixed to the brace member, the other edge is fixed to the brace joint, disposed on any one or both sides of the top or bottom of the brace joint provided to support the brac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wherei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re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ce member to provide a brace joint structure that is simultaneously bonded between the brace member and the brace joint portion. do.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e joint portion has an upper flange having an elliptical shape is fixed to the brace member on the upper surface; A lower flange having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a brace member is fixed to a lower surface thereof; A web provided to link the upper and lower flange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flanges are positioned side by side; And a joining member provided to protrude vertically out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so as to partition the brace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새부는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가 접합부재를 매개로 하여, 브이자(V) 형상을 이루도록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에 연계되거나, 엑스자(X) 형상을 이루도록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에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or the lower flange to form a V-shape (V) shape, the upper flange and the X-shape (X) shape by one or more brace members through the join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be linked to the lower fl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새부재는, 상기 가새접합부에 접합되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접합부재에 동시에 접합되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직각으로 절단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e member, one end portion to be bonded to the brace joint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cut at right angles so as to be disposed obliquely bonded to the upper flange or the lower flange and the bonding member at the same tim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가새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들을 분리하여 현장으로 운송한 후,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들이 가새접합부에 경사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용접결합되도록 하여, 가새의 시공의 단순화, 이로 인해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one or more brace members constituting the brace to be transported to the site, one or more brace members are stably welded to the brace joint inclined state,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of the brace,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You can.
또한, 본 발명은 가새접합부를 통해 초고층 건축물의 경사진 보에 해당하는 가새부재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brac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beam of the high-rise building through the brace joint.
아울러, 본 발명은 가새부와 가새접합부를 연계하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가새부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통해 방사형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가새부와 가새접합부의 연결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connecting the brace and the brace joint, it is possible to radially distribut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e brace, through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brace and brace joint Concentration of stress can be prevent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새 접합 구조의 결합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절취된, 가새 접합 구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B-B선을 따라 절취된, 가새 접합 구조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nded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ce joint structure,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FIG. 3 schematically shows a plan view of the brace joint structure, cut along the line BB in FIG. 1.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새 접합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brace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새 접합 구조(100)는 가새부(110), 가새접합부(120) 및 보강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br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새부(110)는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111, 112, 113, 1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새부재는 건축부재(미도시)와 건축부재 사이에 대각선으로 빗댄 부재를 말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새부(110)는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111, 112, 113, 114)가 접합부재(125)를 매개로 하여, 브이자(V) 형상을 이루도록 상부플랜지(121) 또는 하부플랜지(123)에 용접결합되거나, 엑스자(X) 형상을 이루도록 상부플랜지(121) 및 하부플랜지(123)에 용접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새부(110)를 이루는 가새부재의 개수를 4개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임의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가새부재의 개수는 가새부(110)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가변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number of the brace members constituting the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새 접합 구조(100)에서는 가새부(110)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111, 112, 113, 114)의 개수에 대해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것에 의해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Thus, in the brace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에 대해 제 1 내지 제 4 가새부재(111, 112, 113, 114)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owe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e or more brace members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first to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가새부재(111, 112, 113, 114)는 내부가 중공된 원형강관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원형강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1, the first to
여기서, 제 1 내지 제 4 가새부재(111, 112, 113, 114)는 후술할 가새접합부(120)에 접합되는 부분이 가새접합부(120)와 밀접하게 접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접합부재(125)에 접하는 일 종단이 상부플랜지(121) 또는 하부플랜지(123)에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하는 단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to fourth brace members (111, 112, 113, 114) is a joining member (so as to have a shap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가새부재(111, 112, 113, 114)는 접합부재(125)에 접하는 일 종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t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새접합부(120)는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111, 112, 113, 114)가 상호 간에 연계되도록 제공되어, 가새부(110)에 가해지는 하중(F)을 용이하게 분산 또는 전달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새접합부(120)는 상부플랜지(121), 하부플랜지(123), 웨브(122)와 접합부재(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는 타원형의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e
그리고,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는 웨브(122)에 의해 연계된다. 여기서, 웨브(122)는 평평한 판형상을 가진다. 웨브(122)는 상부플랜지(121)가 하부플랜지(123)에 대해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를 연계한다.
The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합부재(125)는 상부플랜지(121)의 상면 및 하부플랜지(123)의 하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가새부재를 구획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and 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합부재(125)는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에 연계되어,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111, 112, 113, 114)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합부재(125)는 상부플랜지(121) 및 하부플랜지(123)와 같이 타원형 형상을 가진 평평한 플레이트의 일종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접합부재(125)의 형상이 반드시 타원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합부재(125)는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의 중심에서, 웨브(122)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듯이, 상기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합부재(125)는 상기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의 접합부분에서 용접결합방식으로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에 결합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새 접합 구조(100)에서, 상부플랜지(121)에는 접합부재(125)의 일측면에 제 1 가새부재(111)가 위치되고, 접합부재(125)의 타측면에 제 2 가새부재(112)가 위치된다. 그리고, 하부플랜지(123)에는 접합부재(125)의 일측면에 제 3 가새부재(113)가 위치되고, 접합부재(125)의 타측면에 제 4 가새부재(114)가 위치된다.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새 접합 구조(100)에는,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 사이에서, 복수 개의 스티프너(127)가 접합부재(125)를 중심으로 양측면으로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위치되어, 웨브(122)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스티프너(127)가 웨브(122)에 결합되는 방식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용접결합방식에 한정하지 않기로 하며, 다양한 결합방식이 허용될 수 있다.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ner in which the plurality of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티프너(127)의 개수를 4개로 한정하였으나, 이는 임의적인 사항에 불과하므로, 가새접합부(120)의 크기에 따라 가새접합부(120)에 설치되는 스티프너(127)의 개수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것에 의해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스티프너(127)는 제 1 가새부재(111)와 제 2 가새부재(112)로부터 전달된 하중(F)이 하부플랜지(123)로 용이하게 전달 또는 분산되도록 제공된 것이다. 한편, 복수 개의 스티프너(127)를 따라 하부플랜지(123)로 전달된 하중(F)은 제 3 가새부재(113)와 제 4 가새부재(114)를 따라 하부로 전달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한편, 이하에서는 보강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130)는 가새부(110)와 가새접합부(120)를 연계토록 제공되어, 가새부(110)가 가새접합부(1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가새부(110)로부터 전달된 하중(F)을 가새접합부(120)로 용이하게 분산토록 제공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부(130)는 가새접합부(12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이나 양면에 배치되어 가새부(110)를 지지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보강부재(131, 132)로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보강부재(131, 132)는 상부플랜지(121)와 하부플랜지(123)의 외주의 형상에 대응되는 동시에, 상부플랜지(121) 또는 하부플랜지(123)에 경사지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111, 112, 113, 114)에 밀접하게 접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111, 112, 113, 114)를 지지하는 형상을 가진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여기서, 보강부재(131, 132)는 가새부재(111, 112, 113, 114)의 경사도에 따라 형상이 다소 가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131, 132)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Here, since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보강부재(131)는 일 모서리가 가새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일 모서리가 상부플랜지(121) 또는 하부플랜지(123)에 용접결합된다. 그리고, 후술할 보부재(140)에 접하는 부분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보강부재(132)는 전체적으로 ┠ 형상을 가지며, 일 모서리가 가새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일 모서리가 상부플랜지(121) 또는 하부플랜지(123)에 용접결합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reinforc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보강부재(131, 132)는 상부플랜지(121) 또는 하부플랜지(123)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상부플랜지(121) 또는 하부플랜지(123)에 고정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복수 개의 보강부재(131, 132)는 접합부재(125)를 매개로 연계된 제 1 가새부재(111)와 제 2 가새부재(112)의 외면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상부플랜지(121)에 고정된다.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보강부재(131, 132)는 제 1 가새부재(111)와 제 2 가새부재(112)로 전달된 하중(F)이 상부플랜지(121)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부플랜지(121)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부플랜지(121), 제 1 가새부재(111)와 제 2 가새부재(112)의 좌굴 및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131, 132) is a load (F) transmitted to the first bracing
또한, 복수 개의 보강부재(131, 132)는 접합부재(125)를 매개로 제 3 가새부재(113)와 제 4 가새부재(114)의 외면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하부플랜지(123)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그리고, 제 3 가새부재(113)와 제 4 가새부재(114)에 연계된 복수 개의 보강부재(131, 132)는 상부플랜지(121)에 배치된 바와 마찬가지로, 하부플랜지(123)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하부플랜지(123), 제 3 가새부재(113)와 제 4 가새부재(114)의 좌굴 및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새 접합 구조(100)는 복수 개의 스티프너(127) 및 복수 개의 보강부재(131, 132)가 구비된 가새접합부(120)의 구조를 통해, 가새부(110)에 연계된 건축부재에서 가새부(110)로 가해지는 하중(F)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전달토록 하여, 건축물이 구조적으로 안정화하여, 가새부(110) 및/또는 가새접합부(12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ra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새 접합 구조(100)에서, 가새접합부(120)의 양측에는 보부재(140), H형 빔 등의 보부재(140)가 접합되어 연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nd 2, in the brace
이때, 가새접합부(120)와 보부재(140)의 접합방식은 용접결합방식이 채택될 수 있고, 또는 접합판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여 볼팅결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는 가새접합부(120)와 보부재(140)와의 결합방식에 대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bonding method of the brace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not limiting, in all aspect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detailed implementations which may be obtained from those contained within the specifica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to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가새 접합 구조 110: 가새부
120: 가새접합부 130: 보강부100: brace bonding structure 110: brace
120: brace joint 130: reinforcement
Claims (6)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가 상호 간에 연계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가새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 또는 전달하도록 제공된 가새접합부; 및
상기 가새부와 상기 가새접합부를 연계토록 제공되어, 상기 가새부가 상기 가새접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가새부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상기 가새접합부로 용이하게 분산토록 제공된 보강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일모서리가 상기 가새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일 모서리가 상기 가새접합부에 고정되며, 상기 가새접합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이나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새부를 지지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는 상기 가새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형을 이루면서, 상기 가새부재와 상기 가새접합부 사이에 동시에 접합되는 가새 접합 구조.
A brace having at least one brace member;
A brace joint provided with the at least one brace member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easily distribute or transfer the load applied to the brace portion; And
A reinforcement part provided to link the brace part and the brace joint part so that the brace part is stably fixed to the brace joint part and to easily distribute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brace part to the brace joint par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reinforcing part has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one edge of which is fixed to the brace member, the other corner of which is fixed to the brace joint, and disposed on either or both surfaces of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brace joint and provided to support the brace. Including,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ce member to form a radial bond, bonded simultaneously between the brace member and the brace joint portion.
상면에 상기 가새부재가 고정되는 타원형 형상을 가진 상부플랜지;
하면에 상기 가새부재가 고정되는 타원형 형상을 가진 하부플랜지;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가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를 연계토록 제공된 웨브;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상면 및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새부재를 구획토록 제공된 접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새 접합 구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e joint portion
An upper flange having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the brace member is fix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A lower flange having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the brace member is fixed to a bottom surface thereof;
A web provided to link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so that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re located side by side; And
A joining member provided to project vertically out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the joint member provided to partition the brace member;
Bracing splicing structure comprising a.
상기 가새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새부재가 상기 접합부재를 매개로 하여, 브이자(V)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에 연계되거나,
엑스자(X)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플랜지 및 상기 하부플랜지에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새 접합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rac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or the lower flange so that the at least one brace member forms a V-shape (V) shape via the bonding member,
A brace joi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o form an X-shape (X).
상기 가새부재는, 상기 가새접합부에 접합되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접합부재에 동시에 접합되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직각으로 절단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새 접합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race member, the brace joi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portion is joined to the brace join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cut at right angles so as to be disposed obliquely bonded to the upper flange or the lower flange and the bonding member at the same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5728A KR101298540B1 (en) | 2011-08-26 | 2011-08-26 | Diagrid join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5728A KR101298540B1 (en) | 2011-08-26 | 2011-08-26 | Diagrid joining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2805A KR20130022805A (en) | 2013-03-07 |
KR101298540B1 true KR101298540B1 (en) | 2013-08-22 |
Family
ID=4817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57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8540B1 (en) | 2011-08-26 | 2011-08-26 | Diagrid join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854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082B1 (en) * | 2014-01-22 | 2015-04-0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Optimal seismic retrofit method and system for the existing buildings using the brac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66341A (en) * | 1997-01-23 | 1998-10-06 | Tesuku:Kk | Framed structure of steel frame construction building |
JP2009062788A (en) * | 2007-09-10 | 2009-03-26 | Sekisui Chem Co Ltd | Reinforc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frame |
KR20100130371A (en) * | 2009-06-03 | 2010-12-1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Bracing splicing device of building |
-
2011
- 2011-08-26 KR KR1020110085728A patent/KR1012985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66341A (en) * | 1997-01-23 | 1998-10-06 | Tesuku:Kk | Framed structure of steel frame construction building |
JP2009062788A (en) * | 2007-09-10 | 2009-03-26 | Sekisui Chem Co Ltd | Reinforcing structure of column and beam frame |
KR20100130371A (en) * | 2009-06-03 | 2010-12-1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Bracing splicing device of bui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2805A (en) | 2013-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4246B1 (en) | Steel frame structure | |
CN109680810B (en) | Conversion node of upper steel pipe column and lower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206792B1 (en) | Diagrid joining structure | |
CN105780989A (en) | Double beam floor structure | |
CN104563304A (en) | Joint for connecting buckling-restrained brace, concrete beam and concrete column | |
JP5607384B2 (en) | Construction method for beam-column joints | |
KR20140069845A (en) | Retaining wall using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 | |
KR101298540B1 (en) | Diagrid joining structure | |
KR101107303B1 (en) | Bracing joint system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KR101470135B1 (en) | Steel frame structures using steel beam having tapered flange | |
CN104563303A (en) | Connecting joint for buckling-restrained brace and concrete frame beam | |
KR101222033B1 (en) | Diagrid joining apparatus | |
US8661764B2 (en) | Method of forming multilayered netlock girder system | |
KR102054990B1 (en) | Coupling Bar and End Reinforced Beam Using T-Shaped Member | |
KR200358912Y1 (en) | Connection structure for girder & column | |
KR101317194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column and flat plate slab | |
JP2004257005A (en) | Beam-column connecting structure and beam-column connecting method | |
JP5469513B2 (en) | Reinforcement method for raising the tower for transmission lines | |
KR20160032624A (en) | Brace attachment adapter and bracing reinforcement method of steel pipe pile using of the same | |
KR101288966B1 (en) | Diagrid joining structure | |
CN204456451U (en) | The connected node of a kind of buckling restrained brace and concrete beam and column | |
CN110939202B (en) | Floor horizontal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74992B1 (en) | Diagrid joining structure | |
CN104718332B (en) | Reinforcing member for punching resistance and construction method | |
CN208396030U (en) | A kind of double steel plate Combination beam of steel and concrete and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connected no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