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063B1 - A apparatus for algle removal - Google Patents
A apparatus for algle remov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8063B1 KR101298063B1 KR1020130036649A KR20130036649A KR101298063B1 KR 101298063 B1 KR101298063 B1 KR 101298063B1 KR 1020130036649 A KR1020130036649 A KR 1020130036649A KR 20130036649 A KR20130036649 A KR 20130036649A KR 101298063 B1 KR101298063 B1 KR 101298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gae
- unit
- separation
- filtration
- high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0967 suction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189 floc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6615 floc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6572 Rhod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및 호소에 발생하는 조류가 포함된 원수를 흡입하여 조류를 1차적으로 급속 분리하고, 조류가 분리된 물을 2차적으로 미세 슬러지까지 여과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얻도록 하는 조류제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조류분리여과탱크;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조류가 포함된 원수를 유입시켜 물은 상측으로 통과시키고 조류는 분리하는 조류급속분리부;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류급속분리부와 연통되며, 상기 조류급속분리부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고압으로 흡입하여 슬러지는 차단하여 여과시키고 양질의 원수만 배출시키는 고압흡입여과부;로 구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류를 분리하는 영역과 여과를 하는 영역을 분리하여 수면 위로 부상한 조류를 급속으로 분리하고 미세 슬러지까지 여과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lgae removal device to suck the raw water containing the algae generated in the rivers and lakes and to rapidly separate the algae first, and to filter the water separated by the algae to the fine sludge secondary to obtain a high quality filtered water The invention relates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for introducing the raw water containing the algae passes through the water and separating the algae; A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and communicating with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and sucking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at a high pressure to block sludge and discharge only high quality raw wat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artitione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parating the algae separation area and the filtration area to rapidly separate the alga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filtered to fine sludge to obtain a high quality filtered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천 및 호소의 조류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및 호소에 발생하는 조류가 포함된 원수를 흡입하여 조류를 1차적으로 급속 분리하고, 조류가 분리된 물을 2차적으로 미세 슬러지까지 여과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얻도록 하는 조류제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gae removal device of rivers and lakes, and more particularly, by first inhaling raw water containing algae generated in rivers and lakes, and rapidly separating algae, and secondly separating water from alga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gae removal device for filtering fine sludge to obtain high quality filtered water.
최근들어 하천이나 강, 호수 등의 호소에 흘러들어가는 생활하수 및 축산폐수, 공장폐수 등의 양이 증대되면서 폐수에 포함된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에 의한 수질악화로 인해 녹조가 발생하여 생태계를 파괴하는 등 오염의 문제가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amount of living sewage, livestock waste, and factory wastewater flowing into the lakes, rivers, lakes, etc. increases, green algae are generated due to deterioration of water by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Pollution problems such as destruction are becoming social problems.
특히, 오폐수에 포함된 영양물질에 의하여 부영양화된 물은 조류의 번성을 야기시킨다. 조류가 수계 표면에 번성하면 광선의 투과를 막아 수중생물의 원활한 광합성을 막고, 수중의 산소용존률을 낮추어 수계의 자정능력을 상실하게 한다. 또한, 부영양화에 의해서 발생하는 녹조 및 적조는 수중에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수중에 서식하는 어폐류를 폐사 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water eutrophicated by nutrients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causes algae to thrive. When the algae thrive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t prevents the light from penetrating, thus preventing the photosynthesis of aquatic organisms and lowering the oxygen dissolution rate in the water, thus losing the self-cleaning ability of the water. In addition, the green algae and red algae generated by eutrophication can shut off the oxygen supply to the water and can kill fish and fish inhabiting the water.
또한, 상수원지에 적조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조류에 의한 이취미 문제가 발생하여 고도정수처리를 해야 하며, 과다한 염소 소독으로 맹독성 물질인 트리할로메탄(THM)이 형성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해마다 봄과 가을 연례행사인 녹조 및 적조 발생에 의하여 매년 수백억원의 피해가 발생되고 있어 획기적인 조류의 처리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when the red tide phenomenon occurs in the water supply source, algae taste problem occurs due to algae water purification, and excessive chlorine disinfection, trihalomethane (THM) can be formed. In Korea, there are annual damages of several hundred billion won due to the occurrence of green tide and red tide, which is an annual event in spring and fall, an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novative treatment method of algae.
이러한 조류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은 조류를 함유하는 물을 흡입하여 탈수에 의해 조류를 제거하거나 황토흙을 뿌려 침전시키는 방법(특허출원 제1998-13742호 참조)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대규모 면적에서 발생하는 녹조 및 적조를 일시적으로 처리하기는 하나 응집된 플록이 저면에 침강되어 하상이나 해저 생태계에 2차 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As a conventional method of removing such algae, a method of removing algae by dehydration by inhaling water containing algae or sprinkling ocher soil (see Patent Application No. 1998-13742) has been used. However, these methods temporarily deal with green algae and red algae that occur in large areas, but have problems such as flocculation flocs settling on the bottom and causing secondary pollution to the bed and seabed ecosystems.
특허출원 제1998-35437호는 적조를 함유하는 해수를 끌어올려 전기분해조에 위치시키고, 전기분해조의 양측에 양극과 음극을 형성하게 하여 전기분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해수 중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전기분해 방식은 피처리수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해양이나 대규모 호수에 대량발생하는 조류를 제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atent application No. 1998-35437 relates to a method of removing contaminants in seawater by raising seawater containing red tide and placing it in an electrolysis tank, forming an anode and a cathode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sis tank to cause an electrolysis reaction. . However, the electrolysis method is not suitable for removing algae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in the ocean or large lakes due to the significant decrease in efficiency as the amount of water to be treated increases.
특허 제174365호는 부영양화된 호소수를 유입시키고, 응집약품조에서 응집제 주입과 급속교반을 시킨 후, 응결조로 이동하여 플록을 조대화하며, 부상조에서 가압수로 플록을 부상시키며, 이는 슬러지 저장조에서 가압수를 이용한 농축장치로 농축되고 탈수되어 처리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응집약품조, 응결조 및 부상조를 큰 함체에 형성하고, 이 함체를 부표를 이용하여 수계에 띄우는 것으로서 기동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Patent No. 174365 introduces eutrophicated lake water, injects flocculant into the flocculation tank and rapidly stirs it, then moves to the flocculation tank to coarse the floc and floats the floc with pressurized water in the flotation ta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entrating and dehydrating and treating a concentrator using pressurized water. However, the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flocculation tank, the flocculation tank and the flotation tank are formed in a large enclosure and the maneuver is floated in the water system using a buo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천 및 호소에 발생하는 조류를 급속으로 분리하고 미세 슬러지까지 여과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rapidly separate algae generated in rivers and lakes, and to filter fine sludge to obtain high quality filtered water.
또한, 본 발명은 조류를 분리하는 영역과 여과를 하는 영역을 구획하여 조류의 제거와 여과수의 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area for separating algae and the area for filtration to efficiently remove algae and provide filtered water.
또한, 본 발명은 고압흡입여과부에 슬러지가 막혀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고압흡입여과부를 중단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여과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allow filtration to continue without stopping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er even when the sludge is blocked by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er to the filtr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류분리여과탱크;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조류가 포함된 원수를 유입시켜 물은 상측으로 통과시키고 조류는 분리하는 조류급속분리부; 상기 조류급속분리부의 중앙부를 상하 길게 관통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샤프트의 하단에 구비되어 조류를 응집시키고 하측으로 유도하는 분리스크류;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류급속분리부와 연통되며, 상기 조류급속분리부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고압으로 흡입하여 슬러지는 차단하여 여과시키고 양질의 원수만 배출시키는 고압흡입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for introducing the raw water containing the algae passes through the water and separating the algae; A rotating shaft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algae rapid separation section up and down long; A separation screw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to integrally rotate with the rotation shaft to aggregate the algae and guide the lower side; A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and communicating with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and sucking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at high pressure to block and filter sludge and discharge only high quality raw wat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삭제delete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급속분리부는,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중도부에 설치되어 조류급속분리부와 고압흡입여과부를 구획하며, 미세 기공이 형성된 다수의 스트레이너가 구비되는 조류차단대; 조류가 포함된 원수를 유입하도록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하단 측면에 구비되는 원수유입구; 상기 조류차단대의 저면에 부딪치면서 자중에 의해 가라앉는 조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류제거 장치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조류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gae rapid separation part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o divide the algae rapid separation part and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er, and the algae block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ainers formed with fine pores versus; Raw water inlet provided on the bottom side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o introduce the raw water containing algae; And an algae outle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lgae removal device to discharge algae sinking by its own weight while hitting the bottom of the algae block.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압흡입여과부는 여과수수용부가 구비되고 여과수배출관과 연통되는 상부지지판; 상기 상부지지판의 하단에 다수 연통 연결되어 슬러지는 걸러내고 여과수만 통과시키는 여과흡입필터부; 상기 상부지지판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흡입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시키는 여과수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includes an upper support plate provided with a filtered water receiving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ipe; A plurality of filtration suction filter part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plate to filter sludge and pass only the filtered water; A filtered water outlet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plate to discharge filter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ed suction filter part;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흡입필터부는 체결대의 하부에 탄성스프링이 길게 연결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외측에는 원통형의 미세망필터가 씌워지며,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단에는 스프링유도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suction filter unit is connected to the elastic spring long under the fastening table, the outer side of the elastic spring is covered with a cylindrical fine mesh filter, the bottom of the elastic spring is a spr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압흡입여과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일측의 고압흡입여과부의 흡입을 차단하여 미세망필터의 외측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면서도 타측의 고압흡입여과부는 여과가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is provided in plural, and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on the other side continues to filter while removing the sludg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 network filter by blocking suction of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on one sid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made.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내벽면에는 조류차단대 하부에 부착되는 조류를 탈리시키기 위한 세척노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nozzle for detaching alga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lgae block.
본 발명은 하천 및 호소에 발생하는 조류를 분하는 영역과 여과를 하는 영역을 구획하여 수면 위로 부상한 조류를 급속으로 분리하고 미세 슬러지까지 여과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viding the algae generated in the rivers and lakes and the area for filtration to rapidly separate the alga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d to filter the fine sludge to obtain a high quality filtered water.
또한, 본 발명은 고압흡입여과부에 슬러지가 막혀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고압흡입여과부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여과가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is continuously stopped filtration even when the sludge is blocked by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is reduced the filtration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제거 장치의 단면 전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제거 장치의 여과흡입필터부의 분해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제거 장치의 고압흡입여과부에서 여과 및 역세척이 이루어지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1 is a cross-sectional overall conceptual view of an alga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ltration suction filter portion of the alga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in which filtration and backwashing are performed in a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of an algae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clearly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제거 장치의 단면 전체 개념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lga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제거 장치는 조류분리여과탱크(T)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하단부는 하천 및 호소 등의 수면에 부상하는 조류(A)를 급속하게 분리하는 조류급속분리부(100), 상단부는 조류급속분리부(100)를 통과한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슬러지를 분리하는 고압흡입여과부(200)로 구획되어 이루어진다.
The alga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inside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 up and dow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lgae rapid separation to rapidly separate algae (A)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river and the
조류급속분리부(100)는 조류(A)가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는 조류차단대(110) 및 원수를 유입하는 원수유입구(120), 그리고, 조류분리여과탱크(T) 내부의 조류를 배출시키는 조류배출구(130)로 구성된다.
The algae
조류차단대(110)는 조류분리여과탱크(T)의 중도부에 설치되어 조류급속분리부(100)와 고압흡입여과부(200)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며, 조류가 고압흡입여과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조류차단대(110)에는 조류는 차단하고 물만 배출시키도록 미세 기공이 형성된 스트레이너(112)가 관통 형성된다.
The
원수유입구(120)는 조류분리여과탱크(T)의 하단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하천 및 호소 등의 수면에 부상된 조류(A)를 조류분리여과탱크(T)의 조류급속분리부(100)로 유입시킨다.
조류배출구(130)는 조류제거 장치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조류차단대(110)의 저면에 부딪치면서 자중에 의해 조류분리여과탱크(T)의 바닥면에 가라앉은 조류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The
고압흡입여과부(200)는 조류분리여과탱크(T)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크게 상부지지판(210)과 여과흡입필터부(220) 및 여과수배출구(23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The high pressure
상부지지판(210)에는 상단부에 소정의 공간으로 되는 여과수수용부(212)가 마련되고, 바닥판에는 다수의 필터체결공(214)이 나사 형태로 형성된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제거 장치의 여과흡입필터부의 분해 예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ltration suction filter portion of the alga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과흡입필터부(220)는 상부지지판(210)의 필터체결공(214)에 체결 가능하도록 나사가 형성된 체결대(222)가 구비되고, 체결대(222)의 하부에는 탄성스프링(224)이 하측으로 길게 연결된다. 탄성스프링(224)의 외측에는 원통형으로 되는 미세망 형태의 미세망필터(226)가 씌워진다. 그리고, 탄성스프링(224)의 하단에는 스프링유도구(228)가 결합되어 탄성스프링(224)과 미세망필터(226)를 지지한다.
여과수배출구(230)는 여과흡입필터부(220)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부지지판(2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여과수배출구(230)에는 고압의 펌프(232) 및 차단밸브(2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조류제거 장치는 조류급속분리부(100)의 상단에 고압흡입여과부(200)를 복수로 구비하고, 하나의 고압흡입여과부(200)의 작동을 중지하는 경우에도 타 고압흡입여과부(200)는 계속 작동을 하여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algae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igh-pressure
한편, 본 발명의 조류제거 장치는 조류급속분리부(100)의 조류차단대(110)의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회전샤프트(140)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회전샤프트(140)의 하단에는 분리스크류가(142)가 형성되어, 회전샤프트(14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lgae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또한, 조류분리여과탱크(T)의 내벽면에는 세척노즐(150)이 구비되어 고압의 물을 분사함으로써, 조류차단대(110)의 저면에 부착된 조류(A)를 탈리시키고 고압흡입여과부(200)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하천 및 호소 등의 조류(S)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압흡입여과부(200)에 구비된 고압의 펌프(232)를 가동시키게 되면, 조류급속분리부(100)의 원수유입구(120)를 통해 조류가 포함된 물이 조류분리여과탱크(T) 내부로 유입된다.
When the
조류분리여과탱크(T) 내부로 유입된 물은 고압펌프(232)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을 하게 되나, 조류급속분리부(100)의 상단에 구비된 조류차단대(110)에 의해 조류는 차단되어 걸리고, 슬러지가 포함된 물만 스트레이너(112)를 통과하여 상측의 고압흡입여과부(200)로 유입된다.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 is raised to the upper side by the pressure of the
그리고, 회전하는 회전샤프트(140)에 의해 분리스크류(142)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조류차단대(110)에 걸러진 조류(A)가 유입되는 원수와 함께 유동되면서 뭉쳐지게 되고, 조류분리여과탱크(T)의 바닥면 측으로 이동하여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된다. 조류(A)가 소정의 양 이상으로 가라앉게 되면 조류배출구(130)를 개방하여 조류를 조류분리여과탱크(T) 외부로 배출시킨다.
Then, while the
조류차단대(110)를 통과하여 고압흡입여과부(200)로 유입된 물은 다시 고압으로 흡입되는 여과흡입필터부(220)로 흡입되어 슬러지는 걸러지고 여과수만 여과수배출구(230)로 배출된다.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high pressure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압펌프(232)가 가동되면 상부지지판(210)의 필터체결공(214)에 체결된 다수의 미세망필터(226)를 통해 물은 흡입되고 슬러지는 걸러지면서 여과흡입필터부(220)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망필터(226)가 압착되면서 상측으로 당겨지고, 미세망필터(226) 내부의 탄성스프링(224)도 동시에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압착된 미세망필터(226)의 기공이 작아지면서 미세 슬러지까지 여과가 된다.
In more detail, when the
다수의 미세망필터(226)를 통과한 물은 여과흡입필터부(220)의 상부지지판(210)에 마련된 여과수수용부(212)로 모아지게 되고, 이는 다시 여과수배출구(230)를 통해 별도의 여과탱크로 모아지거나, 또는 하천으로 순환시킨다.
Wate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흡입여과부(200)를 복수로 형성하고, 일측의 고압흡입여과부(200)에 의해 여과를 진행하다가 미세망필터(226)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로 인해 더 이상 여과가 어려운 경우, 일측의 차단밸브(234)를 차단한다. 따라서, 압력이 해제된 여과흡입필터부(220)의 탄성스프링(224)이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미세망필터(226)도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그리고, 미세망필터(226) 외측에 부착된 슬러지는 탈리가 되게 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a plurality of high-pressure
그리고, 타측의 고압흡입여과부(200a)의 차단밸브(234a)를 개방함으로써, 미세망필터(226a)와 탄성스프링(224a)이 상측으로 압착되면서 타측의 고압흡입여과부(200a)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Then, by opening the shut-off
이렇게 일측의 고압흡입여과부(200)가 여과를 중단하는 경우에도 타측의 고압흡입여과부(200a)가 여과를 진행하게 되고, 양측의 고압흡입여과부(200)(200a)에서 여과와 역세척이 서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과가 중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us, even if one side of the high pressure
그리고, 차단밸브(234)(234a)가 차단된 측의 고압흡입여과부(200)(200a)에는 별도의 펌프를 이용하여 역세척수관(240)을 통해 여과수수용부(212)(212a) 측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미세망필터(226)(222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고압수가 분사되어 슬러지의 탈리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n, the high-pressur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류제거 장치는 조류분리여과탱크(T)의 조류급속분리부(100)에 의해 조류(A)가 뭉쳐지도록 하여 급속 분리하고, 조류급속분리부(100)를 통과한 물은 고압흡입여과부(200)에서 다시 미세 슬러지까지 걸러지게 되므로, 양질의 여과수를 얻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lgae re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apidly separates the algae A by the algae
그리고, 별도의 여과탱크에 모아진 여과수는 다시 별도의 다양한 2차 여과장치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여과수를 얻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ltered water collected in a separate filtration tank is preferably passed through a variety of separate secondary filtration device to obtain a better quality of the filtered water.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서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그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may be used by properly defining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sig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principles and corresponding meanings and concepts.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기재된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n addition, on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조류급속분리부 110 : 조류차단대
112 : 스트레이너 120 : 원수유입구
130 : 조류배출구 200 : 고압흡입여과부
210 : 상부지지판 212 : 여과수수용부
214 : 필터체결공 220 : 여과흡입필터부
222 : 체결대 224 : 탄성스프링
226 : 스프링유도구 230 : 여과수배출구
232 : 펌프 234 : 차단밸브100: rapid bird separation unit 110: bird blocking unit
112: strainer 120: raw water inlet
130: algae outlet 200: high pressure suction filter
210: upper support plate 212: filtered water receiving portion
214: filter fastening hole 220: filtration suction filter
222: fastening table 224: elastic spring
226: spring oil tool 230: filtered water outlet
232
Claims (13)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조류가 포함된 원수를 유입시켜 물은 상측으로 통과시키고 조류는 분리하는 조류급속분리부;
상기 조류급속분리부의 중앙부를 상하 길게 관통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샤프트의 하단에 구비되어 조류를 응집시키고 하측으로 유도하는 분리스크류;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류급속분리부와 연통되며, 상기 조류급속분리부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고압으로 흡입하여 슬러지는 차단하여 여과시키고 양질의 원수만 배출시키는 고압흡입여과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호소의 조류제거 장치.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for introducing the raw water containing the algae passes through the water and separating the algae;
A rotating shaft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algae rapid separation section up and down long;
A separation screw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to integrally rotate with the rotation shaft to aggregate the algae and guide the lower side;
A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and communicating with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and suctioning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at high pressure to block and filter sludge and discharge only high quality raw water;
Algae removal device of the river and the lak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중도부에 설치되어 조류급속분리부와 고압흡입여과부를 구획하며, 미세 기공이 형성된 다수의 스트레이너가 구비되는 조류차단대;
조류가 포함된 원수를 유입하도록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하단 측면에 구비되는 원수유입구;
상기 조류차단대의 저면에 부딪치면서 자중에 의해 가라앉는 조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류제거 장치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조류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호소의 조류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gal rapid separation unit,
An algae blocking unit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o divide the algae rapid separation unit and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and include a plurality of strainers having fine pores;
Raw water inlet provided on the bottom side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to introduce the raw water containing algae;
An algae outle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lgae removing device to discharge algae sinking by its own weight while hitting the bottom of the algae block;
Algae removal device of the river and the lake comprising a.
상기 조류분리여과탱크의 내벽면에는 조류차단대 하부에 부착되는 조류를 탈리시키기 위한 세척노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호소의 조류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 algae removal device for rivers and lak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lgae separation filtration tank is further provided with a cleaning nozzle for detaching the alga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lgae block.
여과수수용부가 구비되고 여과수배출관과 연통되는 상부지지판;
상기 상부지지판의 하단에 다수 연통 연결되어 슬러지는 걸러내고 여과수만 통과시키는 여과흡입필터부;
상기 상부지지판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흡입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시키는 여과수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호소의 조류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An upper support plate provided with a filtered water receiving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ipe;
A plurality of filtration suction filter part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pport plate to filter sludge and pass only the filtered water;
A filtered water outlet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 plate to discharge filter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ed suction filter part;
Algae removal device of the river and the lake comprising a.
상기 여과흡입필터부는 체결대의 하부에 탄성스프링이 길게 연결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의 외측에는 원통형의 미세망필터가 씌워지며, 상기 탄성스프링의 하단에는 스프링유도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호소의 조류제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tration suction filt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elastic spring is long, the outer side of the elastic spring is covered with a cylindrical fine mesh filter,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sp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eam and appeal Algae removal device.
상기 고압흡입여과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일측의 고압흡입여과부의 흡입을 차단하여 미세망필터의 외측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면서도 타측의 고압흡입여과부는 여과가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및 호소의 조류제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nd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on the other side while separating the sludg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 network filter by blocking the suction of the high pressure suction filtration unit of one side to continue the filtration Appeal algae removal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6649A KR101298063B1 (en) | 2013-04-04 | 2013-04-04 | A apparatus for algle remov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6649A KR101298063B1 (en) | 2013-04-04 | 2013-04-04 | A apparatus for algle remov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8063B1 true KR101298063B1 (en) | 2013-08-20 |
Family
ID=4922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6649A Active KR101298063B1 (en) | 2013-04-04 | 2013-04-04 | A apparatus for algle remov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806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34214A1 (en) * | 2013-09-06 | 2015-03-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nd red tid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2251B1 (en) * | 1999-03-13 | 2002-03-13 | 이종경 | A removal method of organic matter etc. in rivers used pressure waters and apparatus therefor |
JP2008030028A (en) * | 2006-07-31 | 2008-02-14 | Ind Technol Res Inst | Multistage cyclone device and classification and collection method for granular materials |
KR100945046B1 (en) * | 2009-08-14 | 2010-03-05 | 주식회사 자연환경 | A water purifier of a pollution source for ecological river and marshy land formation |
KR101110700B1 (en) * | 2011-04-21 | 2012-02-15 | 권기범 | One-way power transmission device applied to rehabilitation medical equipment and fitness equipment |
-
2013
- 2013-04-04 KR KR1020130036649A patent/KR1012980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2251B1 (en) * | 1999-03-13 | 2002-03-13 | 이종경 | A removal method of organic matter etc. in rivers used pressure waters and apparatus therefor |
JP2008030028A (en) * | 2006-07-31 | 2008-02-14 | Ind Technol Res Inst | Multistage cyclone device and classification and collection method for granular materials |
KR100945046B1 (en) * | 2009-08-14 | 2010-03-05 | 주식회사 자연환경 | A water purifier of a pollution source for ecological river and marshy land formation |
KR101110700B1 (en) * | 2011-04-21 | 2012-02-15 | 권기범 | One-way power transmission device applied to rehabilitation medical equipment and fitness equipm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34214A1 (en) * | 2013-09-06 | 2015-03-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nd red tid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1771B1 (en) | A apparatus for algle removal | |
KR101221579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water-bloom and red tide mounted to ship | |
KR101584608B1 (en) | Algae Removing Apparatus | |
WO2012042700A1 (en) | Up-flow filtration device characterized by method for stacking filter materials | |
US10807023B2 (en) |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 and wastewater | |
KR20100102634A (en) | Membrane-separation active sludge system to be located outside tank | |
KR20130018456A (en) | 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ing system using nano bubble, micro bublbe | |
KR100843656B1 (en) |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wo-Stage Immersion Membrane | |
KR100898080B1 (en) | Pressure flotation filter paper | |
KR100847909B1 (en) | Centrifugal desalination system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and salts | |
EP2707334B1 (en) |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and installation including air-lift and post-treatment in filter | |
KR100894646B1 (en) | Automatic Continuous Filtration Device Attached Dissolved Air Pressurized Tank | |
KR101298063B1 (en) | A apparatus for algle removal | |
KR101294720B1 (en) | A apparatus for algle and sludge removal | |
JP4803685B1 (en) |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turbidity | |
KR100880535B1 (en) | Filtration tank using wetland tank | |
JP6297415B2 (en) | Muddy water treatment system and muddy water treatment method | |
JP2011136323A (en) | Upward filtration apparatus having feature in lamination method of filter medium | |
KR101505727B1 (en) | Water-purifying device | |
CN108083507A (en) | A kind of integrated form Water feeding treatment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 |
RU2547498C1 (en) | Physicochemical membrane bioreactor | |
KR102026130B1 (en) |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hips | |
KR100945484B1 (en) | Water cleaning apparatus | |
KR100816714B1 (en) | Advanced drinking water treatment | |
KR101889710B1 (en) | System for reusing sewage waste 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6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