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323B1 - Dehumidification equipment in the wet steam food dryer - Google Patents
Dehumidification equipment in the wet steam food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7323B1 KR101297323B1 KR1020120006468A KR20120006468A KR101297323B1 KR 101297323 B1 KR101297323 B1 KR 101297323B1 KR 1020120006468 A KR1020120006468 A KR 1020120006468A KR 20120006468 A KR20120006468 A KR 20120006468A KR 101297323 B1 KR101297323 B1 KR 1012973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t steam
- drying chamber
- condensate
- condensation
- dr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4/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소규모 식당에서 야채, 과일 또는 농,수산 식품을 소량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식품건조기에서 건조할 때 수분이 다량으로 포합된 습증기(wet steam,濕薰氣)가 배기되면서 기체 외부의 상온과 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가 배기구 주변으로 낙수되어 모집됨으로 시각적으로 불결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각종 병균의 서식 또는 해충들이 모이게 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배기구내에 배기되는 습증기와 열교환하는 응축부재를 구성시켜 배기되는 습증기로부터 수분을 제습(除濕)하도록함과, 상기 응축부재로부터 응축된 응축수를 응축수조로 모집하여 고열 배출시에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식품건조기의 습증기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의 가정용 식품건조기를 구성하되, 건조실에서 피건조물이 건조되면서 다량의 습증기가 배출될때 배출관내의 응축부재에서 열교환에 따른 응축과 제습을 실시하여 기체외부에서 대량의 응축수가 낙수되어 고이는 문제을 개선하고,
상기 응축과 제습과정이 응축부재에 의해 실시되고 이러한 응축으로 생성된 응축수를 응축수 모집조로 모집시켜 외부 기체에 응축수로 인한 문제를 개선함과,
모집된 응축수는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고열기에 의해 건조 소멸하도록 함으로 응축수로 인한 각종 유해균 서식조건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응축부재를 간단히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 위생적인 건조기를 유지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없도록 하고 저렴한 생산가로 생산되는 한편 소형으로 구성되어 일반가정의 주방에서 주부가 간단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철 과일, 채소의 향기와 맛을 증대시키는 식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et steam (wet steam)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ter when drying in a food dryer for drying a small amount of vegetables, fruits or agricultural, fishery foods at home or in a small restaurant at room temperature outside the gas Condensate generated by over-heat exchange is collected by falling down around the exhaust port, so that the condensation member is heat-exchanged with the wet steam exhausted in the exhaust port to improve the problem of visually dirty and the growth of various germs or pes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isture vapor dehumidifying apparatus for a food dryer which allows moisture to be dehumidified from being wet steam, and collects condensed water condensed from the condensation member into a condensate tank to be dried at high heat discharge.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small household food dryer, but when a large amount of wet steam is discharged as the dried material is dried in the drying chamber, condensation and dehumidification by heat exchange in the condensation member in the discharge pipe are carried out so that a large amount of condensed water falls outside the gas. Improve the problem,
The condensation and dehumidification process is carried out by the condensation member and the condensate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is recruited to the condensate collection tank to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densate in the external gas,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s dried and extinguished by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dryer to prevent various harmful bacteria living conditions due to the condensed water.
The condensation member can be easily separated and washed to maintain hygienic dryer, and the configuration is simple so that there is no breakdown, and it is produced at an affordable production price, while being compact, so that the housewife can easily use it in the kitchen of a general family. In addition,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diet to increase the aroma and taste of vegetables will be obtai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소규모 식당에서 야채, 과일 또는 농,수산 식품을 소량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식품건조기에서 건조할 때 수분이 다량으로 포합된 습증기(wet steam,濕薰氣)가 배기되면서 기체 외부의 상온과 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가 배기구 주변으로 낙수되어 모집됨으로 시각적으로 불결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각종 병균의 서식 또는 해충들이 모이게 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배기구내에 배기되는 습증기와 열교환하는 응축부재를 구성시켜 배기되는 습증기로부터 수분을 제습(除濕)하도록함과, 상기 응축부재로부터 응축된 응축수를 응축수조로 모집하여 고열 배출시에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식품건조기의 습증기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t steam (wet steam)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ter when drying in a food dryer for drying a small amount of vegetables, fruits or agricultural, fishery foods at home or in a small restaurant at room temperature outside the gas Condensate generated by over-heat exchange is collected by falling down around the exhaust port, so that the condensation member is heat-exchanged with the wet steam exhausted in the exhaust port to improve the problem of visually dirty and the growth of various germs or pes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isture vapor dehumidifying apparatus for a food dryer which allows moisture to be dehumidified from being wet steam, and collects condensed water condensed from the condensation member into a condensate tank to be dried at high heat discharge.
최소크기와 저렴한 비용으로 가정에서 쉽게 구매하여 과일, 채소등을 소량으로 건조할 수 있는 소형의 식품건조기가 최근 많이 사용되고 또한 상품성이 향상되어 판매되고 있다.
Small sized food dryers that can be easily bought at home with minimum size and low cost to dry fruits and vegetables in small quantities have been recently used and sold with improved commerciality.
이러한 가정용 식품건조기는 농촌과 어촌 또는 전문 산업체에서 대량의 농수산물을 오래 보관하고 부패와 변질을 방지하기 위함과 함께 건조상품으로 건조하기 위한 산업용과 달리 소형이면서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없고 특히, 가정의 주방에 비치되어 소량의 식품을 간편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These household food dryers are small and simple in configuration, unlike industrial ones for long-term storage of large quantities of agricultural and aquatic products in rural areas, fishing villages or specialized industries, and prevention of corruption and deterioration. It's available in the kitchen to make it easier to dry a small amount of food.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 20-0422189호와 등록특허 제 10-0815854호에서와 같이 대형의 건조기는 그 설치장소가 외부에 설치되고 또한 충분한 설치공간과 배기부의 넓은 공간 및 강력한 배기팬을 통해 습증기를 기체외부로 멀리 배기함으로서 가정용에서 좁은 면적에 설치될때의 습증기로 인한 문제에 관하여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For example, as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2189 and Patent No. 10-0815854, the large sized dryer is installed outside the installation place, and the wet steam is provided through a sufficient installation space, a large space of the exhaust portion, and a powerful exhaust fan. By evacuating away from the gas,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caused by wet steam when installed in a small area at home.
이와 달리한 가정용 식품건조기로서 대한민국 공고번호 실1995-0009777호는 채반이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뚜껑부에 소공형태의 배기공을 다수로 뚫어 내부에서 생성된 습증기를 배기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배기되는 습증기가 배기와 함께 기체외부에서 상온과 접축되면서 열교환으로 대량으로 응축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뚜껑 표면으로 낙수됨으로써 뚜껑에 낙수로 모집된 응축수는 주변을 불결하게 만들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세척하여야 되는 문제가 있고,
Unlike the domestic food dryer, Korean Patent No.1995-0009777 exhausts the steam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lid through a large number of small holes in the lid, which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tray. Is condensed in a large amount by heat exchange as it is in contact with room temperature outside the gas together with the exhaust, and this condensate falls onto the lid surface, so that the condensate collected as a drop in the lid is unclean and must be continuously washed by the user to prevent it. I have a problem,
또다른 등록 제20-0354535호는 채반이 수납되는 덮개에 배기구를 형성하고 이 배기구 아래쪽 덮개 내부로 배기필터를 구성시켜 배기중의 공기로부터 악취등을 탈취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배기필터에 의한 습증기의 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응축수는 다시 덮개내의 건조실과 건조실내의 채반에 얻쳐진 피건조물로 낙수됨으로 건조기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In another registration No. 20-0354535, an exhaust port is formed in a cover in which a shelf is accommodated, and an exhaust filter is formed inside the cover of the exhaust port to deodorize odors and the like from the air in the exhaust to prevent condensation of wet steam by the exhaust filter. Although it can be made, such condensate will fall back to the dried material obtained in the drying chamber and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in the cover is a problem that greatly degrades the drying function.
그리고 등록 제 20-0417227호에서는 상기 선행기술에의 문제를 개선한 구성으로 채반을 덮은 윗덮개의 중앙으로 원형의 요입부를 구성하고 이 요입부에 다공망형상의 배기구와 배기 조절판을 구비함으로 배기되는 습증기 량의 조절을 이룰수 있도록 하였으나, 선행기술과 같이 배출되는 습증기가 배기구의 다공 및 배기조절판과 접촉함으로서 서로 온도를 달리하여 높은 온도의 습증기가 응축되고 이 응축수는 낙수되면서 상기 배기공을 통해 내부의 피건조물로 낙하되는 문제를 전혀 감안하고 있지 못하다.
And the registration No. 20-0417227 is to improve the problem in the prior art by forming a circular concave in the center of the top cover that covers the panel and exhausted by having a vent-shaped exhaust port and exhaust control plate of the concave inlet Although the amount of wet steam can be controlled, the wet steam discharged as in the prior art contacts the pores of the exhaust port and the exhaust control plate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condense the high temperature wet steam, and the condensate falls down as the condensate falls down. The problem of falling into the building is not taken into account at all.
따라서 소형으로 구성되는 가정용 식품건조기에서는 제조의 어려움과 비용등의 요건에 따라 제습기능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배기되는 습증기로 인한 문제를 개선하고 있지 못한 것이다.
Therefore, the household food dryer which is composed of small size does not consider the dehumidification function at all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and the cost, and thus does not improve the problem caused by the exhausted wet steam.
특히,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 제 10-2012-000360호에서도 건조실에서 발생된 습증기를 배기관을 통해 배기함과 함께 이 배기관에 다공을 뚫은 분리판을 구성시켜 외부로부터 이물질과 해충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구성한바, 이러한 구성은 상기 다공판인 분리판을 통과하는 습증기가 이 분리판과 접촉으로 응축되고 그 응축수는 건조실내로 낙수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단점이 개선되지 못한바 있다.
Particularly,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0360 of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wet steam generated in the drying chamber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ipe, and a separation plate is formed through the exhaust pip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and pests from entering and leaving. As configured for the purpose, this configuration has not been improved the disadvantage that the problem that the wet steam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plate which is the porous plate condensed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late and the condensate is falling into the drying chamber.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소규모 식당에서 야채, 과일 또는 농,수산물의 식품을 소량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식품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원가의 최소화로 저렴한 비용으로 가정에서 쉽게 구매 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구성을 이루되, 건조실에서 건조되는 피건조물에서 다량으로 발생된 습증기를 배기할 때, 외기와 접축되면서 온도차에 의한 열교환으로 응축될때 제습하고 이때 발생되는 응축수를 일정한 장소에서 모집하도록 함과,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dryer for drying a small amount of food of vegetables, fruits or agriculture and aquatic products at home or in a small restaurant. In particular, it can be easily purchased at home at a low cost by minimiz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easy to use. When exhausting the wet steam generated in a large amount of dry matter dried in a drying room, it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and dehumidified when condensed by heat exchange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at this time is recruited at a certain place,
상기에서 응축으로 발생된 응축수를 모집 한 후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습증기발생이 적고 고열이 배기될때 상기에서 모집된 응축수를 건조하도록 함으로 습증기로 인한 응축수문제를 개선함과,
The condensate generated by the condensate from the condensate generated by the condensed water and the drying process after the high humidity is exhausted,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from the above to improve the condensed water problem caused by the wet steam,
상기 응축과 제습이 일정한 장소에서 이루어지고 응축부재는 일정한 기간마다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함께 습증기가 배기되는 배기관으로 외부 해충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함과 함께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발명이다.
The condensation and dehumidification is made in a certain place, and the condensation member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and washed at regular intervals and prevents external pests from entering and exiting the exhaust pipe where the wet steam is exhausted. The invention is intended to be.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단열재로 피복되고 피건조물을 수납하는 채반(20)이 얻쳐지는 받침(11)이 구성되는 건조실(10)과,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건조실(10)상부로 외형케이스(12)가 조립되고 건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여닫이도어(13)와,An
상기 건조실(10)내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31)과 전열히터(32)를 구비하는 공기공급덕트(30), An
상기 공기공급덕트(30)로 공급된 가열공기를 받침(11)을 통해 건조실(10)내로 공급하고, 건조실(10)내의 습증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덕트(40)가 건조실(10)로부터 외부로 외형케이스(12)를 관통되게 구성됨과 함께 건조실(10)내의 공기순환 및 배기를 조절하기 위한 셔터(41)를 구성하는 식품건조기의 습증기 제습장치에 있어서,
An
상기 배기덕트(40)에 걸림되는 걸림턱(51)이 형성된 끼움관(52)과 연결되어 외벽(53)이 형성되게 연장된 습증기배출로(54)와, A wet
상기 습증기배출로(54)의 전후에 돌출된 격벽(55)으로 형성되는 응축수모집조(56)와,A
상기 걸림턱(51)상부와 연결되고 습증기배출로(54) 상부가 덮여지는 개폐뚜껑(57) 및 Opening and
상기 응축수모집조(56)와 개폐뚜껑(57)내면과 밀착되는 제습부재(60)를 구성하는 습증기제습장치(50) 및 Wet
상기 제습부재(60)는 습증기와 접촉으로 열교환에 따른 응축과정으로 제습기능이 양호한 스폰지, 부직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다공망체 중 어느하나로 구성됨과 함께,The
상기 배기덕트(40)상부로 걸림되는 걸림턱(51)과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관(52)과 일체로 연장되고 상부를 향한 대각방향과 함께 끝단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노즐형상의 습증기분출관(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의 습증기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nozzle-shaped wet steam jet pipe which extends integrally with the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소규모 식당에서 야채, 과일 또는 농,수산물의 식품을 소량으로 건조시키기 위하여 식품건조기를 소형화시켜 제조원가를 최소화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가정에서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식품건조기를 구성하되,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od dryer that can be easily purchased and used at home at a low cost by minimiz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miniaturizing the food dryer to dry a small amount of food of vegetables, fruits or agriculture, aquatic products at home or small restaurants,
건조실에서 피건조물이 건조되면서 다량의 습증기가 배출될때 배출관내의 응축부재에서 열교환에 따른 응축과 제습을 실시하여 기체외부에서 대량의 응축수가 낙수되어 고이는 문제을 개선하는 효과,
When the dry matter is dried in the drying room, when a large amount of wet steam is discharged, condensation and dehumidification is performed by the heat exchange in the condensation member in the discharge pipe, thereby improving the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condensate falls outside the gas.
상기 응축과 제습과정이 응축부재에 의해 실시되고 이러한 응축으로 생성된 응축수를 응축수 모집조로 모집시켜 외부 기체에 응축수로 인한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와,The condensation and dehumidification process is carried out by the condensation member and by collecting the condensate produced by the condensation to the condensate collection tank to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densate in the external gas,
모집된 응축수는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고열기에 의해 건조 소멸하도록 함으로 응축수로 인한 각종 유해균 서식조건을 방지함과 함께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s dried and extinguished by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dryer to prevent various harmful bacteria living conditions due to the condensed water.
상기 응축부재를 간단히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 위생적인 건조기를 유지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없도록 하고 저렴한 생산가로 생산되는 한편 소형으로 구성되어 일반가정의 주방에서 주부가 간단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철 과일, 채소의 향기와 맛을 증대시키는 식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The condensation member can be easily separated and washed to maintain hygienic dryer, and the configuration is simple so that there is no breakdown, and it is produced at an affordable production price, while being compact, so that the housewife can easily use it in the kitchen of a general family. In addition,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diet to increase the aroma and taste of vegetables will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 중요부분을 분해한 식품건조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식품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습증기의 응축과 제습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식품건조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중요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dryer disassembled the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ood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ation and dehumid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team.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food drye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orta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로 피복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을 수납하는 채반(20)이 얻쳐지는 받침(11)이 양측으로 구성되는 수납공간인 건조실(10)과,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건조실(10)상부로 씌워지는 외형케이스(12)가 조립되고 건조기의 온도,시간등을 설정,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여닫이도어(13)와,An opening / closing door (13) having a display unit including a switch and a display unit for assembling an outer case (12)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10) to set and control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dryer;
상기 건조실(10)내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31)과 전열히터(32)를 구비하여 양측벽으로 구성되는 공기공급덕트(30),An
상기 공기공급덕트(30)로 공급된 가열공기를 받침(11)을 통해 건조실(10)내로 공급함과 함께 건조실(10)내에서 발생된 습증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덕트(40)가 건조실(10) 상부벽과 일직선상의 외형케이스(12)에 뚫린 통공(14)에 관통되어 발생된 습증기를 배기하도록 구성되고,The
상기 건조실(10)로 공급된 가열공기를 송풍기(31)로 공급시키거나 차단하는 셔터(41)로 구성되는 식품건조기의 습증기 제습장치에 있어서,
In the wet steam dehumidification apparatus of the food dryer comprising a
상기 배기덕트(40)에 걸림되는 걸림턱(51)이 형성된 끼움관(52)과 연결되어 외벽(53)이 형성되게 연장된 습증기배출로(54)를 구성하되, 이 습증기배출로(54) 내 전후로 돌출된 격벽(55)으로 형성되는 응축수모집조(56)와,
The wet
상기 걸림턱(51)상부와 연결되어 여닫이되고 배기덕트(40)와 습증기배출로(54) 상부가 덮여지는 개폐뚜껑(57)으로 구성된다.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개폐뚜껑(57)에는 습증기배출로(54)의 외벽(53)에 형성된 체결공(58)에 끼워지는 체결봉(59)이 구성되어 상기 개폐뚜껑(57)을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The opening and
상기한 개폐뚜껑(57)은 걸림턱(51) 상부와 막으로 연결되는 구성과 함께 암수부재에 의한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경첩(61)으로 구성되도록 함은 당연하다.
Of course, 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상기 습증기배출로(54)에 형성된 응축수모집조(56)와 개폐뚜껑(57)내면과 밀착되는 크기와 다공으로 구성되는 제습부재(60)가 응축수모집조(56)에 장착되어 피건조물의 건조과정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습증기가 배기덕트(40)와 습증기배출로(54)를 통해 배기될때 이 습증기배출로(54)에 장착된 제습부재(60)를 거치면서 응축되는 제습으로 배출공기중의 습도를 낯추어 배기되고 응축으로 발생된 응축수는 하부의 응축수모집조(56)로 모집함과 함께 다량의 습증기가 배출된 후 건조한 고열이 배출되면서 모집된 응축수를 건조하면서 배기되어 응축수가 기체에 낙수되는 문제를 개선하는 습증기 제습장치(50)이다.
And the
본 발명에서 설명된 상기 제습부재(60)는 배출되는 공기, 습증기가 원할하게 통과되고 통과하는 습증기와 충분한 접촉성이 부여되어 열교환에 따른 응축과정으로 제습기능이 양호한 스폰지, 부직포나 이와 달리 금속재의 다공망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세척이 용이하고 유해균의 번식이 적은 부재라면 가능도록 구성되는 습증기제습장치(50)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40)상부로 걸림되는 걸림턱(51)과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관(52)이 상기 배기덕트(40)에 결합되고 상기 끼움관(52)과 일체로 연장되되, 상부를 향한 대각방향과 함께 끝단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노즐형상의 습증기분출관(70)으로 구성시켜 건조실(10)에서 배기되는 습증기가 기체에서 멀리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가 기체로 낙수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and 5, the
미설명 부호 15는 단열재이고 80은 필터, 81은 주입공기 조절그릴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state 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본 발명은 가정 또는 소규모 식당에서 야채, 과일 또는 농,수산물의 식품을 소량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식품건조기에서 건조과정으로 배출되는 다량의 습증기가 배출관 또는 외부의 배출되는 습증기보다 낮은 상온 공기와 접촉하면서 응축과 응축으로 인한 응축수가 다량으로 발생되고 발생된 응축수가 기체 또는 주변으로 낙수되어 고이고 고인물에는 유해세균의 번식 또는 비위생적인 환경요인을 제공하여 각종 해충들이 번식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ondensed in contact with room temperature air lower than a large amount of wet steam discharged from the drying process in the food dryer for drying a small amount of food of vegetables, fruits or agriculture, aquatic products at home or small restaurants than the discharge pipe or the external wet steam Condensate is generated in a large amount due to overcondensation, and the condensate generated by falling into the gas or surroundings is to improve the problem of breeding various pests by providing harmful or unsanitary environmental factors to the deceased.
즉, 본 발명의 습증기제습장치(5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일반가정의 주부가 가정에서 건조된과일 또는 농수산물을 얻기 위해 피건조물인 과일을 얇은 두께로 절단하여 복수의 채반(20)에 가지런히 배열한다.
That is, the wet
피건조물이 담긴 채반(20)을 건조실(10)내 받침(11)에 순차적으로 적재 한 후 여닫이도어(13)를 닫고 이 여닫이도어(13)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의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건조할 시간과 온도, 풍량 등을 설정시켜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After loading the
이때, 초기 건조에서 피건조물의 습기가 다량으로 배출됨으로 이 습증기를 기체밖으로 배출하고 일정한 건조 후에 열기를 건조실(10)내에서 순환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since the moisture of the dry matter is discharged in a large amount in the initial drying, the wet steam is discharged out of the gas, and after constant drying, the heat is circulated in the drying
따라서 초기에는 건조실(10)상부의 셔터(41)를 닫힘위치로 조정하므로 열기가 건조실(10)에서 피건조물을 건조하면서 초기 대략 80% 수분함량의 습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이때 배출되는 습증기는 배출관로와 배출공기보다 낮은 상온과 접촉하면서 습증기의 응축과정이 야기하게 된다.
Therefore, initially, the
이때의 과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건조할 피건조물을 채반(20)에 가지런히 수납하고 건조실(10)내의 받침(11)에 적재함과 함께 초기에 발생되는 다량의 습증기가 배출되도록 셔터(41)를 닫힘으로 조절하여 여닫이도어(13)을 닫는다.
The process at this ti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S. 1 to 3, the dry items to be dried are stored in the
그리고 상기 여닫이도어(13)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건조기의 온도, 시간등을 설정하고 작동을 실시하게 된다.Then, b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display unit configured in the opening
이러한 작동으로 모터로 구동하는 송풍팬(31)이 외기를 흡기하여 전열히터(32)를 거치면서 가열시키고 가열된 공기는 건조실(10)양측으로 구성된 공기공급덕트(30)를 통해 건조실(10)내의 받침(11)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가열공기는 이 받침(11)의 열기분출공을 통해 건조실(10)내로 공급됨과 함께 상승이동하면서 채반(20)내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In this operation, a
이때 피건조물로부터 다량의 습증기 대략 80%의 수분이 함유된 상태의 습증기를 발생시키고 상기에 의해 계속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가 건조실(10)내로 계속적으로 공급되면서 건조실(10)내는 고압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습증기는 상부로 이동되어 상부에 구성된 배기덕트(40)를 통해 기체밖으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as the high pressure in the drying
이러한 배출에서 습증기는 도 1과 도 2 및 도 3의 확대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덕트(40)와 이 배기덕트(40)에 체결된 끼움관(52)을 거쳐 개폐뚜껑(57)으로 밀폐되게 형성된 습증기배출로(54)로 이동하면서 이 습증기배출로(54)에 장착된 제습부재(60)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다공형태의 제습부재(60)와 접촉되어 온도차에 의한 응축으로 배출 습증기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At this discharge, the wet steam is seal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따라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다량으로 제습시켜 보다 건조한 상태의 공기로 배출시키게 됨으로 배출공기가 외기와 접촉에 따른 응축으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방지하여 응축수가 기체 및 주변에 고이는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
Therefore, by dehumidify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from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be discharged to the air in a dry state to prevent the condensate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due to the condensation of the discharged air due to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o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condensate is accumulated in the gas and the surroundings .
그리고 상기 제습부재(60)에서 응축으로 발생된 응축수는 제습부재(60)에서 흘러 하부에 구성된 응축수모집조(56)로 모집된다.
And the condensate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in the dehumidifying
이상과 같이 건조와 제습과정이 일정시간 이루어져 피건조물에서 발생되는 습증기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대략 수분함량이 40~10%에 도달되면 반건조로부터 건조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rying and dehumidifica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a certain time, and the amount of wet steam generated in the dried material is gradually reduced, and when the moisture content reaches 40 to 10%, it is judged that it is dried from semi-drying.
따라서 수분함량이 40% 이하부터 배기되는 고열은 제습부재(6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수모집조(56)에 모집된 응축수를 건조시켜 소멸시킴으로써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high heat exhausted from the water content of 40% or less is to dry the condensate collected in the
이와 같이 제습부재(60)와 접촉되고 응축수모집조(56)에 모집되어 일정시간 또는 연속적으로 수분이 교차됨으로서 이 제습부재(60)와 응축수모집조(56) 및 습증기배출로(54)에는 습한상태가 유지됨으로 물때와 각종 유해균들의 서식조건을 향상시키는 우려가 있다.
In this way, the contact with the dehumidifying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덕트(40)에 끼워진 끼움관(52)을 분리하고 개폐뚜껑(57)을 상부로 개방시킨 후 습증기배출로(54)의 응축수모집보(56)에 장착된 제습부재(60)를 분리하여 물등에 의한 세척을 실시함으로 습증기배출로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어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세척 후에는 상기 배기덕트(40)에 끼움관(52)을 강제적으로 밀어 넣어 결합하고 열림된 개폐뚜껑(57)을 닫게 된다.After cleaning, the
이때 개폐뚜껑(57)에서 돌출된 체결봉(59)이 습증기배출로(54) 외벽(53)에 형성된 체결공(58)에 끼워져 결합됨으로 이 개폐뚜껑(57)은 견고히 체결되어 지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lid (57) protruding from the fastening rod (59)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58) formed in the outer wall (53) of the wet steam discharge path (54), the opening and closing lid (57) is to be firmly fastened.
본 발명에서 설명된 상기 제습부재(60)는 배출되는 공기, 습증기가 원할하게 통과되고 통과하는 습증기와 충분한 접촉성이 부여되어 열교환에 따른 응축과정으로 제습기능이 양호한 스폰지, 부직포,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재와 함께 이와 달리 금속재의 다공망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세척이 용이하고 유해균의 번식이 적은 부재라면 가능하다.The dehumidifying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40)로 배기되는 습증기가 이 배기덕트(40)에 끼워지는 끼움관(52)과 일체로 연장되고, 상부를 향한 대각방향과 함께 끝단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노즐형상의 습증기분출관(70)으로 배출되면서 이 습증기분출관(70)의 좁은 노즐에 의해 기체에서 멀리 그리고 넓게 비산됨으로 외기와 응축되는 응축수가 비산과정에서 건조 소멸되어 기체에 낙수되는 문제를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wet steam exhausted into the
이러한 습증기 제거과정을 거친후 피건조물이 일정한 건조상태가 도달되면 상기 셔터(41)를 닫힘에서 열림으로 조절하게 된다.
After the wet steam removal process, if the dry condition of the dry matter is reached, the
이에 따라 건조실(10)내로 공급된 가열공기는 건조실(10)상부의 송풍팬(31)이 흡기하여 다시 전열히터(32)에 의한 가열과정과 공기순환덕트(30)로 순환시켜 건조실(10)로 공급되는 과정으로 피건조물을 건조하게 되고 이러한 순환과정으로 건조실(10)내는 저압상태로 유지되어 전술한 배기덕트(40)로 열기가 배기되지 않고 건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heated air supplied into the drying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설계변경에 의하여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obvious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by design changes.
10 : 건조실 11 : 받침 12 : 외형케이스
13 : 여닫이도어 14 : 통공 20 : 채반
30 : 공기공급덕트 31 : 송풍팬 32 : 전열히터
40 : 배기덕트 41 : 셔터 50:습증기제습장치
51 : 걸림턱 52 : 끼움관 53 : 외벽
54 : 습증기배출로 55 : 격벽 56: 응축수모집조
57 : 개폐뚜껑 58 : 체결공 59 : 체결봉
60 : 제습부재 70 : 습증기분출관10: drying chamber 11: base 12: appearance case
13: opening door 14: through-air 20: chamban
30: air supply duct 31: blowing fan 32: electric heater
40: exhaust duct 41: shutter 50: moisture vapor dehumidifier
51: engaging jaw 52: fitting pipe 53: outer wall
54: wet steam outlet 55: partition 56: condensate collection tank
57: opening and closing lid 58: fastening hole 59: fastening rod
60: dehumidifying member 70: wet steam jet pipe
Claims (3)
상기 건조실(10)상부로 외형케이스(12)가 조립되고 건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여닫이도어(13)와,
상기 건조실(10)내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31)과 전열히터(32)를 구비하는 공기공급덕트(30),
상기 공기공급덕트(30)로 공급된 가열공기를 받침(11)을 통해 건조실(10)내로 공급하고, 건조실(10)내의 습증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덕트(40)가 건조실(10)로부터 외부로 외형케이스(12)를 관통되게 구성됨과 함께 건조실(10)내의 공기순환 및 배기를 조절하기 위한 셔터(41)를 구성하는 식품건조기의 습증기 제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40)에 걸림되는 걸림턱(51)이 형성된 끼움관(52)과 연결되어 외벽(53)이 형성되게 연장된 습증기배출로(54)와,
상기 습증기배출로(54)의 전후에 돌출된 격벽(55)으로 형성되는 응축수모집조(56)와,
상기 걸림턱(51)상부와 연결되고 습증기배출로(54) 상부가 덮여지는 개폐뚜껑(57) 및
상기 응축수모집조(56)와 개폐뚜껑(57)내면과 밀착되는 제습부재(60)를 구성하는 습증기제습장치(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의 습증기 제습장치.
A drying chamber 10 comprising a support 11 which is covered with a heat insulator and obtains a tray 20 for storing a dried object,
An opening case 13 having an outer case 12 assemb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ying chamber 10 and having a display unit for controlling the dryer;
An air supply duct 30 having a blower fan 31 and a heat transfer heater 32 for supplying heated air into the drying chamber 10,
An exhaust duct 40 for supplying the heated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duct 30 into the drying chamber 10 through the support 11, and exhausting the wet steam in the drying chamber 10 from the drying chamber 10 to the outside. In the wet steam dehumidifying apparatus of the food dryer, which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outer case 12 and constitutes a shutter 41 for controlling air circulation and exhaust in the drying chamber 10,
A wet steam discharge passage 54 which is connected to the fitting pipe 52 in which the locking jaw 51 which is caught by the exhaust duct 40 is formed so as to form the outer wall 53;
A condensate tank 52 formed of a partition wall 55 protruding before and after the wet steam discharge path 54;
Opening and closing lid 57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step 51 and cover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wet steam discharge path 54 and
Humid vapor dehumidification apparatus of the foo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ensate water tank 56 and the moisture-dehumidifying device (50) constituting the dehumidification member 60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lid (57).
상기 제습부재(60)는 습증기와 접촉으로 열교환에 따른 응축과정으로 제습기능이 양호한 스폰지, 부직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다공망체 중 어느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의 습증기 제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humidifying member 60 is a moisture vapor dehumidification apparatus of the foo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of a sponge, non-woven fabric, synthetic resin, or a porous mesh of metal material having a good dehumidification function by the condensation process due to heat exchange in contact with the wet steam.
상기 배기덕트(40)상부로 걸림되는 걸림턱(51)과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관(52)과 일체로 연장되고 상부를 향한 대각방향과 함께 끝단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노즐형상의 습증기분출관(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건조기의 습증기 제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ozzle-shaped wet steam jet pipe which extends integrally with the locking jaw 51 and the fitting pipe 52 fitted into the exhaust duct 40 and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nd with a diagon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duct 40. Wet steam dehumidifier of the food dry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7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6468A KR101297323B1 (en) | 2012-01-20 | 2012-01-20 | Dehumidification equipment in the wet steam food dr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6468A KR101297323B1 (en) | 2012-01-20 | 2012-01-20 | Dehumidification equipment in the wet steam food dry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5597A KR20130085597A (en) | 2013-07-30 |
KR101297323B1 true KR101297323B1 (en) | 2013-08-19 |
Family
ID=4899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6468A KR101297323B1 (en) | 2012-01-20 | 2012-01-20 | Dehumidification equipment in the wet steam food dr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732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8859B1 (en) * | 2014-07-23 | 2015-03-05 | 한병규 | Mist catch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9768Y1 (en) * | 2006-08-14 | 2006-10-27 | 송익희 | Pressure Sensitive Drying System Using Circulating Cooling System |
KR200436245Y1 (en) * | 2006-10-10 | 2007-07-10 | 신동훈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ryer |
KR100865905B1 (en) * | 2008-05-09 | 2008-10-29 | 이종현 |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Dryer with Dehumidification System |
KR20100024550A (en) * | 2008-08-26 | 2010-03-08 | 진금수 | Dry apparatus |
-
2012
- 2012-01-20 KR KR1020120006468A patent/KR10129732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9768Y1 (en) * | 2006-08-14 | 2006-10-27 | 송익희 | Pressure Sensitive Drying System Using Circulating Cooling System |
KR200436245Y1 (en) * | 2006-10-10 | 2007-07-10 | 신동훈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ryer |
KR100865905B1 (en) * | 2008-05-09 | 2008-10-29 | 이종현 |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Dryer with Dehumidification System |
KR20100024550A (en) * | 2008-08-26 | 2010-03-08 | 진금수 | Dry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5597A (en) | 2013-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6441B1 (en) | Home Sterilization Drier | |
US8316673B2 (en) | Apparatus of supplying and discharging fluid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5524358A (en) | Dishwasher ventilation filtration kit | |
KR101283516B1 (en) | Home Food Dryers | |
BRPI0618801A2 (en) | refrigerator | |
CN111058257A (en) | Clothes care equipment | |
KR101143685B1 (en) | Filter of dryer | |
JP2000070055A (en) | Clothing storing locker | |
KR101297323B1 (en) | Dehumidification equipment in the wet steam food dryer | |
KR20130092662A (en) | A plasma sterilization household dryer | |
KR20100125508A (en) | Deodorant closet for restaurant or home | |
CN201481360U (en) | Bowl and dish hot drying and vegetable and fruit cleaning compound machine | |
EP1022373B1 (en) | Air-exhaust type clothes tumble drier | |
KR101515699B1 (en) | Multiple drier | |
CN217697381U (en) | Ozone disinfection cabinet for canteen | |
TWI738151B (en) | Active dish dryer structure | |
CN219594071U (en) | Dampproofing mould-proof cupboard | |
KR20120015865A (en) | Drying method of agricultural products using apricot drying function after washing | |
CN215649885U (en) | Environment-friendly wardrobe with insect-proof, moisture-proof and odor-removing functions | |
KR200413171Y1 (en) | Dishcloth dryer | |
CN215837756U (en) | Dampproofing degerming clothing cabinet | |
KR101509644B1 (en) | Apparatus for drying dehydrating member used in apparatus for producing dry laver | |
KR101250526B1 (en) | Caring apparatus for textile goods | |
KR101772534B1 (en) | Food dryer using korean paper | |
KR200357805Y1 (en) | a clothes che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