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312B1 - Air conditioner for indirect evaporato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indirect evapo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5312B1 KR101295312B1 KR1020130000834A KR20130000834A KR101295312B1 KR 101295312 B1 KR101295312 B1 KR 101295312B1 KR 1020130000834 A KR1020130000834 A KR 1020130000834A KR 20130000834 A KR20130000834 A KR 20130000834A KR 101295312 B1 KR101295312 B1 KR 1012953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
- air
- exchange cell
- indirect evaporator
- h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02—System or Device comprising a heat pump as a subsystem, e.g. combined with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heating, natural energy or with hybrid system
- F24F2203/021—Compression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08—Rotary wheel comprising a by-pass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흡기유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물의 증발잠열에 의하여 통과하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셀과,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제1열교환셀과 접촉되어 냉각된 실내 공기로부터 냉각열을 전달받아 통과하는 실외 공기를 냉각하는 제2열교환셀을 포함하는 간접증발기 및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로 강제 유인시키는 흡기팬과,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동절기와 하절기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고, 컴팩트한 구조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having an intake flow path for guiding outdoor air to an interior, an exhaust flow path for guid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a first heat exchange cell provided on the exhaust flow path to cool indoor air passing by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water. And an indirect evaporator and an intake passage provided on the intake passage and including a second heat exchange cell that receives the cooling heat from the cooled indoor air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cools the outdoor air passing therethrough. It provides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including an intake fan for forcibly attracting the indoors, and a blowing unit provided on the exhaust flow path and an exhaust fan for forcibly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is effective, which can improve energy efficiency, reduce the energy used, and save money because it can be operated effectively in winter and summer. In addition to being economical and compact, the overall size can be reduced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intain.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capable of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주택, 특히 공동주택, 빌딩 등과 같은 건축물에는 냉방장치와, 난방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어 쾌적하고 조화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하고 있다. 특히, 주상복합건물 또는 빌딩과 같이 밀폐식 창문이 설치된 건축물에는 공동으로 냉방 및 난방은 물론 환기를 실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되고 있다. In general, most houses, especially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buildings, etc. are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and a heating device to provide a comfortable and harmonious air indoors. In particular, air conditioners capable of performing ventilation and cooling as well as cooling and heating are commonly installed in buildings with closed windows, such as residential buildings or buildings.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10571호의 환기시스템은,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강제 송풍하도록 하우징에 연결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분출되는 배기구와, 외기와 내기가 서로 전열교환되게 하는 전냉각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n air conditioner, the ventilation system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10571 includes an air inlet formed on one side of a main body case and a blower fan connected to a housing to forcibly blow air sucked from the air inlet; And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air blown by the blower fan is ejected, and a precooling unit for exchanging the heat and the outside air with each other.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에너지효율이 떨어져 성능 및 에너지절감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has a structure in which outdoor air and indoor air are structurally mixed with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performance and energy saving effect are lowered due to low energy efficiency.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동절기와 하절기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계절에 따라 다른 공기조화기를 마련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has a structure that can not effectively cope with each case of winter and summer, there is a problem not only cumbersome, but also economical because it has to provide a different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each season.
본 발명은,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절기와 하절기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is effectively performed, which can improve energy efficiency, and can effectively operate in response to the winter and summer case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본 발명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흡기유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물의 증발잠열에 의하여 통과하는 상기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셀과, 상기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열교환셀과 접촉되어 냉각된 상기 실내 공기로부터 냉각열을 전달받아 통과하는 상기 실외 공기를 냉각하는 제2열교환셀을 포함하는 간접증발기; 및 상기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 공기를 실내로 강제 유인시키는 흡기팬과, 상기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intake passage for guiding outdoor air to an interior, and a housing including an exhaust passage for guid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 first heat exchange cell provided on the exhaust passage and cooling the indoor air passing by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water, and cooling heat from the indoor air provided on the intake passage and cooled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 indirect evaporator including a second heat exchange cell that cools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And an air intake fan provided on the air intake passage and configured to forcibly attract the outdoor air to the room, and an air blowing unit provided on the air exhaust passage to exhaust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Provide an air conditioner.
여기서, 상기 간접증발기는, 상기 제1열교환셀과 상기 제2열교환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셀과 상기 제2열교환셀을 구획하고, 상기 제1열교환셀과 상기 제2열교환셀과 각각 접촉되어 상기 제1열교환셀의 냉각열을 전달받아 상기 제2열교환셀로 상기 냉각열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한다. Here, the indirect evaporato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to partition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and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Each contact unit further includes a transfer member receiving the cooling heat of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to transfer the cooling heat to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이때, 상기 제1열교환셀은,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물이 접촉되어 있는 제1열교환판이고, 상기 제2열교환셀은,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된 제2열교환판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열교환판은 플라스틱재질의 플라스틱층과,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물을 흡수하는 종이재질의 종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열교환판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is a first heat exchange plate bent in a zigzag shape and the water is in contact,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may be a second heat exchange plate bent in a zigzag shape, the first The heat exchange plate includes a plastic layer of plastic material and a paper layer of paper materia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stic layer and absorbing the water,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plate is preferably formed of plastic material.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간접증발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간접증발기를 통과한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냉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간접증발기와 상기 냉난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간접증발기를 통과한 상기 실외 공기 일부를 상기 배기유로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난방부와 연결되어 외기 온도에 따라 상기 냉난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 온도가 여름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냉난방부를 제어하여 유입되는 상기 실외 공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외기 온도가 겨울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냉난방부를 제어하여 유입되는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heating and cooling unit located in the rear of the indirect evaporator, provided in the intake flow passage for heating or cooling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indirect evaporator, the indirect evaporator and the Located between the air-conditioning unit, and further includes a bypass passage for bypassing the portion of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indirect evaporator to the exhaust passage, and connected to the air-conditioning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conditioning unit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ir-conditioning unit to cool the outdoor air introduced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ummer preset temperature, and heat the outdoor air introduced by controlling the air-conditioning unit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below the winter preset temperature. can do.
본 발명에 따른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First, since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is effective, the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energy used can be reduced.
둘째, 동절기와 하절기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다.Second, because it can operate effectively in response to each case of winter and summer, not only can it save money but it is also economical.
셋째, 컴팩트한 구조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Third, because of the compact structure can reduce the overall size can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and the structure is simple, easy mainten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간접증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irect evaporator of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 controller of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간접증발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irect evaporator of FIG. 1, and FIG. 3 is a control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This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flow of.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600; 이하'공기조화기'라 한다)는, 하우징(100)과, 간접증발기(200)와, 송풍유닛(300)과, 냉난방부(4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an air conditioner 6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실외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는 흡기유로(111)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유로(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유로(111)와 배기유로(112)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서 O.A(Outdoor air)는 상기 흡기유로(11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나타내고, S.A(Supply air)는 상기 공조장치(600)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나타내고, R.A(Return air)는 상기 공조장치(600)로 회수되는 실내 공기를 나타내고, E.A(Exhaust air)는 상기 공기조화기(6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나타낸다. The
상기 간접증발기(200)는, 상기 흡기유로(111)와 배기유로(112)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실외 공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간접증발기(20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간접증발기(200)는, 상기 배기유로(112) 상에 구비되는 제1열교환셀(210)과, 상기 흡기유로(111) 상에 구비되는 제2열교환셀(220)과, 전달부재(23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1열교환셀(210)은, 상기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물에 의한 증발잠열에 의하여 통과하는 상기 실내 공기를 냉각하며, 제1열교환판(212)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heat exchange cell 210 cools the indoor air provided on the exhaust flow passage and passes by latent heat of evaporation by water, and consists of a first
여기서, 상기 제1열교환판(212)은 표면에 물(10)이 맺혀 있어 상기 물(10)이 증발하면서 증발잠열에 의하여 상기 제1열교환셀(210)을 통과하는 실외 공기를 냉각 한다. Here, the first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간접증발기(200)는, 상기 제1열교환판(212)에 물(10)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제1열교환판(212)의 표면에 물(10)을 균일하게 분사 도포시킬 수 있다면 스프레이 분사장치 등 모두 적용가능하며, 사용조건 등에 따라 수동식 또는 자동식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상기 제1열교환판(212)은 상기 실내 공기의 접촉면적을 늘려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키고, 상기 전달부재(230)와 선접촉 또는 면접촉되도록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The first
한편, 상기 제1열교환판(212)은, 일정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층과,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에 적층되고 상기 물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어 상기 물(10)의 증발잠열로 인한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종이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판은(212)은 플라스틱재질과 종이재질이 혼합된 혼합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상기 제2열교환셀(220)은, 상기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열교환셀(210)과 접촉되어 냉각된 상기 실내 공기로부터 냉각열을 전달받아 통과하는 상기 실외 공기를 냉각한다. 이때, 상기 제2열교환셀(220)은 제2열교환판(2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과하는 실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The second
여기서, 상기 제2열교환판(222)은 일정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열교환판(212)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셀과 상기 제2열교환셀은 상기 제1열교환셀 내에서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유로와 상기 제2열교환셀의 내에서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다. Here, the second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are formed by crossing a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passes in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a passage through which outdoor air passes within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상기 전달부재(230)는, 상기 제1열교환셀(210)과 상기 제2열교환셀(2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셀(210)과 상기 제2열교환셀(220)을 구획하고, 상기 제1열교환셀(210)과 상기 제2열교환셀(220)과 각각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제1열교환셀(210)의 냉각열을 전달받아 상기 제2열교환셀(220)로 상기 냉각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달부재(2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상세하게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간접증발기(200)는, 제1열교환셀(210)에서 상기 물(10)의 증발잠열로 인하여 상기 실내 공기가 냉각되면, 상기 제1열교환셀(210)과 접촉된 전달부재(230)로 냉각열이 전달되고, 이에 상기 전달부재(230)는 상기 제2열교환셀(220)로 상기 냉각열을 전달하여 상기 제2열교환셀(220)을 통과하는 실외 공기를 냉각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간접증발기(200)는, 전체적으로 사각박스형상으로 상기 흡기유로(111)를 통과하는 실외 공기와, 상기 배기유로(112)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가 상기 간접증발기(200)의 4개 측면을 통과하도록 양 모서리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상기 간접증발기(200)는, 상기 실외 공기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통과하면서 흐르고, 상기 실내 공기는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통과하면서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간접증발기(200)는 상기 흡기유로(111)와 상기 배기유로(112)에 모두 효과적으로 위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컴팩트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미설명부호 241,242는 커버부재를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송풍유닛(300)은, 상기 흡기유로(111)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 공기를 실내로 강제 유인시키는 흡기팬(310)과, 상기 배기유로(112)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321,3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기팬(310)과 상기 배기팬(321,322)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상기 흡기유로(111)와 상기 배기유로(112) 상에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설치개수 또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The
상기 냉난방부(400)는, 상기 간접증발기(20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유로(111)에 구비되어, 상기 간접증발기(200)를 통과한 상기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난방부(400)는 냉난방코일을 적용하여 하절기 시 냉각코일로, 동절기 시 히팅코일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열전달면적 및 효율이 좋은 오발타입(Oval type)의 코일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냉난방부(400)의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냉난방코일과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air-
나아가, 상기 공기조화기(6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되되, 상기 간접증발기(200)와 상기 냉난방부(4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간접증발기(200)를 통과한 상기 실외 공기 일부를 상기 배기유로(112)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유로(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유로(113)는 상기 흡기유로(111) 또는 배기유로(112)를 통과하는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 일부를 상기 배기유로(112) 또는 흡기유로(111)로 우회시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가 심하더라도 온도차를 보상할 수 있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유로(113)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바이패스유로(113)를 통과하는 상기 실내 공기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공지의 팬모터, 유량조절밸브 및 댐퍼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가능하다. Furthermor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600)는, 상기 간접증발기(200)를 통하여 물의 증발잠열에 의하여 실외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600)는, 컴팩트한 구조로서,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냉난방부(400)와 연결되어, 외기 온도에 따라 상기 냉난방부(40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501)로부터 온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 control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FIG. 1,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가령, 상기 제어부(500)는 외기 온도가 여름설정온도 이상인 하절기 시 상기 냉난방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실외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하고, 반면 상기 외기 온도가 겨울설정온도 이하인 동절기 시에는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냉난방부(40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여름설정온도와 겨울설정온도는 사용자에 따라 그 설정온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600)는 동절기와 하절기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다.
For example,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하우징 111... 흡기유로
112... 배기유로 113... 바이패스유로
200... 간접증발기 210... 제1열교환셀
212... 제1열교환판 220... 제2열교환셀
222... 제2열교환판 230... 전달부재
241, 242... 커버부재 300... 송풍유닛
310... 흡기팬 321,322... 배기팬
400... 냉난방부 500... 제어부
600... 공기조화기100 ...
112 ...
200 ... Indirect evaporator 210 ... First heat exchange cell
212 ... 1st
222 second
241, 242 ...
310 ... Intake fan 321,322 ... Exhaust fan
400 ... heating and cooling
600 ... air conditioner
Claims (10)
상기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물의 증발잠열에 의하여 통과하는 상기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셀과, 상기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1열교환셀과 접촉되어 냉각된 상기 실내 공기로부터 냉각열을 전달받아 통과하는 상기 실외 공기를 냉각하는 제2열교환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열교환셀과 상기 제2열교환셀은 상기 제1열교환셀 내에서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유로와 상기 제2열교환셀의 내에서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간접증발기; 및
상기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 공기를 실내로 강제 유인시키는 흡기팬과, 상기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간접증발기는,
상기 제1열교환셀과 상기 제2열교환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셀과 상기 제2열교환셀을 구획하고, 상기 제1열교환셀과 상기 제2열교환셀과 각각 접촉되어 상기 제1열교환셀의 냉각열을 전달받아 상기 제2열교환셀로 상기 냉각열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열교환셀은,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되고 표면에 물이 맺혀있는 제1열교환판이고, 상기 제2열교환셀은, 지그재그형상으로 절곡된 제2열교환판이며,
상기 제1열교환판은 플라스틱재질의 플라스틱층과, 상기 플라스틱층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물을 흡수하는 종이재질의 종이층을 포함하는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A housing having an intake flow passage guiding outdoor air to the interior and an exhaust flow passage guid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A first heat exchange cell provided on the exhaust passage and cooling the indoor air passing by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water, and cooling heat from the indoor air provided on the intake passage and cooled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a second heat exchange cell that cools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ir exchange cell, wherein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each contain a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passes in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Indirect evaporator disposed so that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passes in the cross formed with each other; And
And an air intake fan provided on the intake passage to forcibly attract the outdoor air to the room, and an exhaust fan provided on the exhaust passage to exhaust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e indirect evaporator,
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to partition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and contact with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and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respectively, the first heat exchange Receiving the cooling heat of the cell further includes a transfer member for transmitting the cooling heat to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The first heat exchange cell is a first heat exchange plate bent in a zigzag shape and water is formed on the surface, the second heat exchange cell is a second heat exchange plate bent in a zigzag shape,
The first heat exchange plate is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comprising a plastic layer of plastic material and a paper layer of paper material formed on a surface of the plastic layer and absorbing the water.
상기 제2열교환판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된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eat exchange plate is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간접증발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간접증발기를 통과한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냉난방부를 더 포함하는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Located in the rear of the indirect evaporator, the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further comprises a heating and cooling unit for heating or cooling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indirect evaporator provided in the intake passage.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되, 상기 간접증발기와 상기 냉난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간접증발기를 통과한 상기 실외 공기 일부를 상기 배기유로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유로를 더 포함하는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7,
Is formed in the housing, the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located between the indirect evaporator and the air-condition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bypass passage for bypassing a portion of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indirect evaporator to the exhaust passage. .
상기 냉난방부와 연결되어 외기 온도에 따라 상기 냉난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 온도가 여름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냉난방부를 제어하여 유입되는 상기 실외 공기를 냉각시키고, 상기 외기 온도가 겨울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냉난방부를 제어하여 유입되는 상기 실외 공기를 가열하는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7,
It is connected to the air-conditioning un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conditioning unit according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may indirectly control the air-conditioning unit to cool the outdoor air introduced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ummer preset temperature, and heat the outdoor air introduced by controlling the air-conditioning unit when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s below the winter preset temperature. Air conditioner using evaporator.
상기 냉난방부는,
오발타입(Oval type)의 코일인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The method of claim 7,
The air conditioning unit,
An air conditioner using an indirect evaporator that is an Oval type c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0972 | 2012-12-21 | ||
KR20120150972 | 2012-12-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5312B1 true KR101295312B1 (en) | 2013-08-12 |
Family
ID=4922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0834A Active KR101295312B1 (en) | 2012-12-21 | 2013-01-04 | Air conditioner for indirect evapo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531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9126B1 (en) * | 2015-09-01 | 2016-04-05 | (주)플랙트우즈코리아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conditioning air using the same system |
US10697711B2 (en) | 2017-02-08 | 2020-06-30 | Naver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 Air-conditioning apparatus using heat pipe |
KR20200107346A (en) * | 2019-03-07 | 2020-09-16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1621A (en) * | 2008-05-22 | 2009-1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irect evaporative cool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it |
KR20100128812A (en) * | 2009-05-29 | 2010-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ntilation and control method |
KR101027011B1 (en) * | 2008-06-12 | 2011-04-11 | (주)이에스 | Variable heat pump air conditioner with heat recovery ventilator and its operation method |
-
2013
- 2013-01-04 KR KR1020130000834A patent/KR1012953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1621A (en) * | 2008-05-22 | 2009-1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irect evaporative cool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it |
KR101027011B1 (en) * | 2008-06-12 | 2011-04-11 | (주)이에스 | Variable heat pump air conditioner with heat recovery ventilator and its operation method |
KR20100128812A (en) * | 2009-05-29 | 2010-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entilation and control method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9126B1 (en) * | 2015-09-01 | 2016-04-05 | (주)플랙트우즈코리아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conditioning air using the same system |
US10697711B2 (en) | 2017-02-08 | 2020-06-30 | Naver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 Air-conditioning apparatus using heat pipe |
US11162739B2 (en) | 2017-02-08 | 2021-11-02 | Naver Cloud Corporation | Air-conditioning apparatus using heat pipe |
KR20200107346A (en) * | 2019-03-07 | 2020-09-16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KR102575996B1 (en) | 2019-03-07 | 2023-09-08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6747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US10928093B2 (en) | Heat exchange ventilator | |
US6405543B2 (en) | High-efficiency air-conditioning system with high-volume air distribution | |
JP5925004B2 (en) |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 |
KR20100128812A (en) | Ventilation and control method | |
KR20160110770A (en) | desiccant cooling operation | |
KR101295312B1 (en) | Air conditioner for indirect evaporator | |
KR102167073B1 (en) | Geothermal heat system comprising heat recovery type dew condensation preventing apparatus | |
KR101777711B1 (en) | cooling-heating system of swimming pool | |
CN107763737A (en) | A kind of indoor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and air-conditioning | |
KR200197795Y1 (en) | Air handling unit | |
KR101422197B1 (en) | Terminal reheating of Air conditioning unit | |
JP5228344B2 (en) | Ventilation air conditioner | |
JP4230038B2 (en) | Dehumidifying air conditioner | |
KR101407435B1 (en) | Out Air Bypass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 |
KR101636263B1 (en) | Multi-function air conditioning systems | |
JP5548921B2 (en) | Heat source air conditioner | |
KR101563696B1 (en) | Humidifying and Ventilating Apparatus | |
KR101295310B1 (en) | Air conditioner for direct evaporator | |
KR100929875B1 (en) | Air conditioner with noise reduction structure | |
JP3432907B2 (en) | Air conditioner | |
KR102413709B1 (en) | High-efficiency heat pump system with heat exchange function | |
CN109990414A (en) | Multi-functional active thermal siphon beam used in HVAC system | |
KR20150120809A (en) | Apparatus for dehumidifying and cooling air | |
KR101750181B1 (en) | Air condition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