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537B1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ower saving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ower sav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4537B1 KR101294537B1 KR1020090117612A KR20090117612A KR101294537B1 KR 101294537 B1 KR101294537 B1 KR 101294537B1 KR 1020090117612 A KR1020090117612 A KR 1020090117612A KR 20090117612 A KR20090117612 A KR 20090117612A KR 101294537 B1 KR101294537 B1 KR 1012945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aving
- communication device
- information
- transmission
- saving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4—Organization of routing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통신장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데이터들을 송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들의 포워딩 정보를 저장하는 포워딩 테이블을 유지하고, 상기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1 통신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절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are disclosed. Th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a routing protocol, maintains a forwarding table storing forwarding information of the data, and uses the forwarding table to transfer to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of the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The data transmission stop may be determined, and power sav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절전, 라우팅 프로토콜, 통신장치, 스위치, 라우터 Power Save, Routing Protocol, Communication Device, Switch, Router
Description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절전을 위해 포워딩 테이블의 정보를 이용하는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formation of a forwarding table for power saving.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10-02, 과제명: 다계층 광네트워크 제어 플랫폼 기술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IT growth engin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Development]
인터넷 라우팅은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metric 또는 TE metric의 정보들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이 때, 이러한 정보들은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교환된다. 또한, 라우터는 이웃 라우터들로부터 얻은 정보들을 기반으로 여러 넥스트 홉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여 포워딩 테이블을 구성한다. 따라서, 라우터는 특정 목적지 장치에 대한 경로에 자신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자신의 포워딩 테이블을 참고해서는 파악할 수 없다. Internet routing is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of the Interior Gateway Protocol (IGP) metric or TE metric. At this time, such information is exchanged based on the routing protocol. Also, the router determines one of several next hops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neighboring routers to configure a forwarding table. Therefore, the router cannot determine whether the route to a specific destination device is included in the forwarding table by referring to its own forwarding table.
한편, 네트워크 설계시에 필요한 용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신장치 및 포트, 회선은 중복 설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네트워크 관리자는 하루 중 피크타임 이외에 트래픽이 적은 시간에 일부 장비들을 일시적으로 중단 또는 절전상태로 전환하여 전력소모를 줄이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cure the capacity required for network design, communication devices, ports, and lines are often installed redundantly. In this situation, network administrators can conside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emporarily shutting down or putting some devices into a low power state during off-peak hours other than during peak hours of the day.
그러나, 라우팅은 자신이 라우팅 경로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어, 중단 또는 절전상태 전환으로 인해 통신의 단절을 야기할 수 있다.However, routing may not know if it is included in the routing path, and may cause a break in communication due to an interruption or power saving state tran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이웃 통신장치들의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절전 모드 진입을 제어함으로써, 통신 단절 없이 전력 사용을 제어하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usage without disconnection by controlling a power saving mode entry using a forwarding table of neighboring communication apparatuses.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포워딩 테이블에 대한 절전정보를 송수신하고, 송신 포트 및 수신 기능의 제어를 통해 절전 모드를 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re stably improving power efficiency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saving information on a forwarding table and operating a power saving mode through control of a transmission port and a receiving fun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데이터들을 송수신하는 라우팅부, 상기 데이터들의 포워딩 정보를 저장하는 포워딩 테이블 및 상기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1 통신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절전정보를 송신하는 절전정보 교환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rout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a routing protocol, a forwarding table for storing forwarding information of the data, and the neighboring communication devices using the forwarding table. And a power saving information exchange unit which determines to stop data transmiss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power saving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전정보 교환부는 상기 포워딩 정보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변경이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exchange unit detects a change of the forwarding information, and if the change is associa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s the data transmission stop.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전정보 교환부는 상기 변경이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삭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장치에 대한 포워딩 정보들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절전정보를 송신하고, 이 때, 상기 절전정보는 전송중지정 보이다. Furth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nge is dele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exchange unit transmits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warding information fo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t this time,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is in the middle of transmission.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전정보 교환부는 비 전송 통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중지정보의 송신 결과를 상기 비 전송 통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exchange unit includes a non-transmission notification database, and records the transmission result of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in the non-transmission notification database.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전정보 교환부는 상기 변경이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추가인 경우, 상기 제1 통신장치에 대한 전송중지정보의 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절전정보를 송신하고, 이 때, 상기 절전정보는 전송재개정보이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exchange unit transmits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transmission result of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fo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change is an addi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t this time,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is transmission resum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전정보 교환부는 상기 변경이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갱신인 경우, 상기 제1 통신장치에 대한 전송중지정보의 송신 결과에 따라 상기 절전정보를 송신하고, 이 때, 상기 절전정보는 전송중지정보 및 전송재개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nge is an update associa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exchange unit transmits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transmission result of the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fo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t this time,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is any one of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resum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절전정보는 상기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using the routing protocol.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절전정보 송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송신 포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rt associa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 response to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절전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aving mode in response to power sa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포 함하고, 상기 수신된 절전정보가 전송중지정보인 경우 상기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절전모드의 진입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절전정보가 전송재개정보인 경우 상기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절전모드의 해제를 수행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transmission stop database, when the received power saving information is transmission stop information, enters the power saving mode by using the transmission stop database, and the received When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is transmission resume information, the power saving mode is released using the transmission stop database.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수신 기능을 제어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ception function in response to power sa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운영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여 절전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aving mode in response to the command input from the operator further.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로 데이터 전송중지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절전모드를 제어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quests the data transmission stop to the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in response to the command, and controls the power saving mode in response to the reques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데이터들을 송수신하는 라우팅부,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1 통신장치로부터 절전정보를 수신하는 절전정보 교환부 및 상기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절전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제1 통신장치는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하고, 상기 절전정보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ut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a routing protocol, power saving information exchange unit for receiving power saving information from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of the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power saving mode in response to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s the data transmission stop by using a forwarding table and generates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이웃 통신장치들의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절전 모드 진입을 제어함으로써, 통신 단절 없이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that can control power usage without disconnection by controlling the entry of a power saving mode using a forwarding table of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포워딩 테이블에 대한 절전정보를 송수신하고, 송신 포트 및 수신 기능의 제어를 통해 절전 모드를 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at can more efficiently improve the efficiency of power usag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saving information on a forwarding table and operating a power saving mode through control of a transmission port and a receiving function. can do.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들 상호간의 관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A 통신장치를 통하여 유입된 트랙픽이 E 통신장치를 통하여 다른 곳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A 통신장치부터 E 통신장치까지 다양한 경로가 존재한다. 이는 장애에 대비하여 별도의 우회경로를 확보하고자 또는 통신장치 또는 회선용량의 부족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When a traffic introduced through communication device A shown in FIG. 1 needs to be transmitted to another location through communication device E, there are various paths from communication device A to communication device E. This is to secure a separate bypass path in preparation for a failure or to prevent lack of communication devices or line capacity.
한편, 도 1의 C 통신장치가 직접적으로 외부 또는 단말과 연결되지 않고 전송을 위한 코어장비로만 사용된다고 가정하면, C 통신장치를 제외하여도 다른 통신장치들 상호간은 모두 둘 이상의 경로가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별히 용량 부족의 이유가 아니면 하루 중에서 C 통신장치의 운용이 필요없는 시간이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C 통신장치는 네트워크 전송용량을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통신장치 A-B, C-E 간의 2중 회선 역시 전송용량의 향상을 위한 것일 수 있다. Meanwhile, assuming that communication device C of FIG. 1 is used only as a core device for transmission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terminal, two or more paths can be selected among all communication devices except for communication device C. Therefore, there may be a time during the day that does not require operation of the C communication device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ason for lack of capacity. In other words, the C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city. In this context, the dual line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s A-B and C-E may also be for improving transmission capacity.
따라서 C 통신장치는 전송량이 많지 않은 시간대에 유휴모드 또는 절전모드로 동작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A,B,C,E통신장치는 절전모드 전환에 따라 2개의 회선 중 1개의 회선만을 사용하여 전송에 필요한 전력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이 때, A 통신장치 내지 E 통신장치의 일예에는 스위치 또는 라우터가 포함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 communication device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operating in an idle mode or a power saving mode during a time when there is little transmission. In this context, the A, B, C, and E communication devices can save power consumption for transmission by using only one of the two lines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mode switching. In this case, an example of the A communication device to the 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 switch or a router.
C 통신장치는 상기 절전모드를 개시하기 위해 이웃 통신장치들의 포워딩 테이블 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포워딩 테이블 정보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A, B, D, E 통신장치 모두의 포워딩 테이블에 C 통신장치로의 전송 계획이 없는 경우, C 통신장치는 A, B, D, E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들을 이용하여 이를 판단하고, 장비전체의 절전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C 통신장치는 상기 절전정보를 이용하여 이웃 통신장치들로부터 C 통신장치로 단지 일시적으로 트래픽이 없는 것인지, 이웃 통신장치들로부터 C 통신장치로 경로설정이 되어있지 않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 communication device uses forwarding table information of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to initiate the power saving mode. In addition, the forwarding tabl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power sa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ighboring communication devices.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transmission plan to the C communication device in the forwarding table of all the A, B, D, and E communication devices of FIG. 1, the C communication device saves power sa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 B, D, and E communication devices. This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em, and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whole equipment can be started. In addition, the C communication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only traffic temporarily from the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to the C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the power saving information, or whether there is no routing from the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to the C communication device. .
또한, A 내지 E 통신장치들 각각은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데이터들을 송수신하는 라우팅부, 상기 데이터들의 포워딩 정보를 저장하는 포워딩 테이블 및 상기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1 통신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절전정보를 송신하는 절전정보 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A to 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rout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exchanging routing information with neighbor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a routing protocol, a forwarding table for storing the forwarding information of the data, and the forwarding table. The apparatus may include a power saving information exchange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data transmiss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mong neighboring communication devices and to transmit power saving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이와 같은, 통신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추후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더욱 상 세하게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such a communic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치(200)는 라우팅부(201), 포워딩 테이블(202), 절전정보 교환부(203) 및 제어부(204)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라우팅부(201)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이 때,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의 일예에는 통신장치(200)와 연결된 라우터 및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The
포워딩 테이블(202)에는 상기 데이터들의 포워딩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라우팅부(201)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면서 포워딩 테이블을 추가, 삭제 또는 갱신한다. The forwarding table 202 stores forwarding information of the data. In detail, the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1 통신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절전정보를 송신한다. The power saving
구체적으로,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포워딩 테이블(202)을 지속적으로 감사하며, 만일 특정 통신장치를 이용하는 항목이 포워딩 테이블에 없는 경우 상기 특정 통신장치로 절전정보를 통보하여 상기 특정 통신장치로 트래픽 전송이 없다는 사실을 명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특정 통신장치는 상기 제1 통신장치이다. 또한, 상기 절전정보의 전송은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전정보는 상기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wer saving
또한,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포워딩 정보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변경이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변경에는 상기 포워딩 정보의 추가, 갱신 및 삭제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aving
예를 들어,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포워딩 정보의 변경이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삭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전송중지정보를 절전정보로서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변경이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추가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전송재개정보를 절전정보로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변경이 갱신인 경우, 상기 삭제 또는 추가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전송중지정보 또는 전송재개정보를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determining that the change of the forwarding information is dele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power saving
제어부(204)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절전모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4)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로부터 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절전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으로 향하는 트래픽이 없다는 것을 판단하고, 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방법은 단계(S301) 내지 단계(S312)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계(S301) 내지 단계(S312)는 절전정보 교환부(203)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in steps S301 to S312. In addition, the steps S301 to S312 may be performed by the power saving
단계(S301)에서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포워딩 테이블(202) 내 포워딩 정보 의 변경을 감지한다. 이후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포워딩 정보의 변경이 삭제, 추가 또는 갱신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단한다(S302).In operation S301, the power saving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포워딩 정보가 삭제된 경우, 상기 삭제가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되었음을 식별하고(S303), 상기 삭제가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경우 상기 제1 통신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엔트리가 하나도 없는 상태가 발생했는지를 확인한 후(S304), 만일 더 이상 상기 제1 통신장치를 통하여 전송되는 엔트리가 없다면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전송중지정보를 상기 절전정보로서 송신한다(S305). 즉,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제1 통신장치에 대한 포워딩 정보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시장치에 대한 상기 포워딩 정보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중지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제1 통신장치에 대한 포워딩 정보들이 존재하는 경우 절차를 종료한다. When the forwarding information is deleted, the power saving
또한, 단계(S306)에서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상기 전송중지정보를 송신하였음을 비 전송 통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절차를 종료한다. Further, in step S306, the power saving
반면,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포워딩 정보가 추가된 경우, 상기 삭제가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되었음을 식별하고(S307), 상기 추가가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경우 비 전송 통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장치에 대해 전송중지정보가 기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8).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판단 결과 상기 전송중지정보가 기 송신된 제1 통신장치에 새로운 엔트리가 생긴 것이라면,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전송재개정보를 절전정보로서 송신한다(S309). 반 면,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판단 결과 상기 전송중지정보가 기 송신되지 않은 경우 절차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orwarding information is added, the power saving
또한, 단계(S310)에서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상기 전송재개정보를 송신하였음을 비 전송 통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절차를 종료한다. 이 때,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비 전송 통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1 통신장치를 삭제할 수 있다. Further, in step S310, the power saving
한편,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포워딩 정보가 갱신된 경우, 상기 갱신이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되었음을 식별하고(S311), 상기 갱신이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경우 비 전송 통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장치에 대해 전송중지정보가 기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2).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판단 결과 상기 전송중지정보가 기 송신된 경우 단계(S309)를 수행하고, 기 송신되지 않은 경우 단계(S303)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변경이 갱신으로 판단된 경우, 삭제 또는 추가에 대응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orwarding information is updated, the power saving
또한,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4)는 상기 절전정보 송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송신 포트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단계(S305)에서 제어부(204)는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전송중지정보가 송신된 경우,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송신 포트를 절전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단계(S309)에서 제어부(204)는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전송재개정보가 송신된 경우, 상기 제1 통신장치와 연관된 송신 포트를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Also, although not shown in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방법은 단계(S401) 내지 단계(S403)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단계(S401) 내지 단계(S403)는 제어부(204)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in steps S401 to S403. In this case, steps S401 to S403 may be performed by the
단계(S401)에서 제어부(204)는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중지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치로부터 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절전정보가 전송중지정보인지를 식별한다. In step S401, the
단계(S402)에서 제어부(204)는 이웃 통신장치들 모두로부터 전송중지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4)는 상기 절전정보가 전송중지정보인 경우,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기록하고, 상기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모두로부터 전송중지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402, the
단계(S403)에서 제어부(204)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모두로부터 상기 전송중지정보를 수신한 경우, 절전모드로 진입한다. In step S403, when the
즉, 통신장치 단위로 절전모드가 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에, 제어부(204)는 모든 이웃 통신장치들로부터 전송중지정보를 수신해야만 통신장치(200)를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4)는 상기 절전모드에서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재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정상모드로 전환시킨다. That is, since the power saving mode is enabled in units of communication devices, the
반면, 제어부(204)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모두로부터 상기 전송중지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절차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또한, 상기 절전모드에는 유휴모드, 전력제한모드와 같이 전력의 소비를 낮추거나 전력 효율성을 높이는 모드들이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aving mode may include modes for lowering power consumption or increasing power efficiency, such as an idle mode and a power limit mode.
또한,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4)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수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S401)에서 제어부(204)는 수신된 절전정보가 전송중지정보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치와 연관된 수신 기능을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방법은 단계(S501) 내지 단계(S503)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단계(S501) 내지 단계(S503)는 제어부(204)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in steps S501 to S503. In this case, steps S501 to S503 may be performed by the
단계(S501)에서 제어부(204)는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재개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치로부터 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절전정보가 절전재개정보인지를 식별한다. In step S501, the
단계(S502)에서 제어부(204)는 통신장치(200)가 절전모드에 진입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4)는 상기 절전정보가 전송재개정보인 경우,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치와 연관된 전송중지정보 수신 내역을 삭제하고, 상기 통신장치(200)가 절전모드에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502, the
단계(S503)에서 제어부(204)는 상기 판단 결과 통신장치(200)가 절전모드에 진입된 상태인 경우, 절전모드를 해제한다. 반면, 제어부(204)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통신장치(200)가 절전모드에 진입된 상태가 아닌 경우, 절차를 종료한다. 즉, 제어부(204)는 통신장치(200)의 절전모드 상태에서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재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정상모드로 전환시킨다. In step S503, the
또한,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4)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수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S501)에서 제어부(204)는 수신된 절전정보가 전송재개정보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장치와 연관된 수신 기능을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치(200)는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 시스템의 일예에는 운영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4)는 운영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여 절전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204)는 상기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로 데이터 전송중지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절전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In detail, the
다시 말하면, 통신장치들 중 통신장치(200)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절전모드가 지시되는 경우, 절전모드를 위한 라우팅 정보 교환 및 절전모드 이행이 자동 수행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통신장치(200)에 절전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4)는 주변의 이웃 통신장치들에게 절전모드 진입을 알리는 데이터 전송중지 요청을 송신한 후, 절전모드로 진입한다. 이 때, 상기 절전모드 진입을 알리는 상기 요청은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서 진행되거나 또는 절전정보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instructed from the management system among the communication devices, the routing information exchange for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power saving mode transition are automatically performed. For example, when a power saving mode command is input to the
이와 대조적으로, 통신장치(200)에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복귀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4)는 주변의 이웃 통신장치들에게 정상모드 복귀를 알리는 데이터 전송재개 요청을 송신한 후, 정상모드로 진입한다. In contrast, when a command for returning from the power saving mode to the normal mode is input to the
한편, 통신장치(200)는 이웃 통신장치들 중 특정 통신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중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통신장치와 연관된 포워딩 정보를 포워딩 테이블 내에서 변경한다. 이 때, 상기 특정 통신장치는 제2 통신장치일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예를 들어, 통신장치(200)는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2 통신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중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포워딩 테이블(202)에서 상기 제2 통신장치로 가는 정보를 변경 또는 삭제하고 상기 제2 통신장치와 연관된 포트를 절전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제2 통신장치로 응답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통신장치(200)는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2 통신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재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포워딩 테이블(202)에서 상기 제2 통신장치로 가는 정보를 변경 또는 추가하고 상기 제2 통신장치와 연관된 포트를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복귀한 후 상기 제2 통신장치로 응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치(600)는 라우팅부(601), 절전정보 교환부(602) 및 제어부(603)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라우팅부(601)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The
절전정보 교환부(602)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1 통신장치로부터 절전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제1 통신장치는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하고, 상기 절전정보를 생성한다. The power saving
제어부(603)는 상기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절전모드를 제어한다.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603)는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절전정보가 전송중지정보인 경우 상기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절전모드의 진입을 수행한다. 반면, 제어부(603)는 상기 수신된 절전정보가 전송재개정보인 경우 상기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th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3)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수신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3)는 운영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절전모드를 제어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이와 같은 제어부(603)의 구성은 앞서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된 제어부(204)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당업자라면 설명된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6의 통신장치(600)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설명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방법은 단계(S701) 내지 단계(S704)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S701)는 라우팅부(201), 단계(S702)는 포워딩 테이블(202), 단계(S703)는 절전정보 교환부(203), 단계(S704)는 제어부(204)에 의해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in steps S701 to S704. In addition, step S701 is performed by the
단계(S701)에서 라우팅부(201)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이 때,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의 일예에는 통신장치(200)와 연결된 라우터 및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In operation S701, the
단계(S702)에서 포워딩 테이블(202)에는 상기 데이터들의 포워딩 정보를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라우팅부(201)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면서 포워딩 테이블을 추가, 삭제 또는 갱신한다. In step S702, the forwarding table 202 stores forwarding information of the data. In detail, the
단계(S703)에서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상기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1 통신장치로의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장치로 절전정보를 송신한다. In step S703, the power saving
구체적으로, 절전정보 교환부(203)는 포워딩 테이블(202)을 지속적으로 감사하며, 만일 특정 통신장치를 이용하는 항목이 포워딩 테이블에 없는 경우 상기 특정 통신장치로 절전정보를 통보하여 상기 특정 통신장치로 트래픽 전송이 없다는 사실을 명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특정 통신장치는 상기 제1 통신장치이다. 또한, 상기 절전정보의 전송은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 에 따르면, 상기 절전정보는 상기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wer saving
단계(S704)에서 제어부(204)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절전모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4)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로부터 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절전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으로 향하는 트래픽이 없다는 것을 판단하고, 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In step S704, the
또한, 이와 같은 단계(S701) 내지 단계(S704)에 대해서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matters that are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bove steps (S701) to (S704)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same o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will be omitted. do.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방법은 단계(S801) 내지 단계(S803)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S801)는 라우팅부(601), 단계(S802)는 절전정보 교환부(602), 단계(S803)는 제어부(603)에 의해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in steps S801 to S803. In addition, step S801 may be performed by the
단계(S801)에서 라우팅부(601)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이웃 통신장치들과 데이터들을 송수신한다. In step S801, the
단계(S802)에서 절전정보 교환부(602)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제1 통신장치로부터 절전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제1 통신장치는 포워딩 테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중지를 판단하고, 상기 절전정보를 생성한다. In operation S802, the power saving
단계(S803)에서 제어부(603) 상기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절전모드를 제어한다. In step S803,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603)는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절전정보가 전송중지정보인 경우 상기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절전모드의 진입을 수행한다. 반면, 제어부(603)는 상기 수신된 절전정보가 전송재개정보인 경우 상기 전송중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th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3)는 상기 이웃 통신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절전정보에 대응하여 수신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03)는 운영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절전모드를 제어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이와 같은 단계(S801) 내지 단계(S803)에 대해서 설명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matters that are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steps S801 to S803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same o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nd th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o.
또한, 상기 기술된 기능 블록과 방법은 통신장치 내에 구성되도록 제한되지 않으며, 레거시 장비의 경우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상모드, 절전모드, 유휴모드 등으로 표기된 장비 또는 포트의 상태는 예비모드, 절전모드, 전력중지모드와 같은 여러 단계를 포함하는 다단계모드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unctional blocks and methods are not limited to be configur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in the case of legacy equipment, the functions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server.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tate of the equipment or port indicated as a normal mode, a power saving mode, an idle mode, etc. may have a multi-step mode including various steps such as a standby mode, a power saving mode, and a power stop mo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들 상호간의 관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통신장치200: communication device
203: 절전정보 교환부203: power saving information exchange unit
204: 제어부204: control unit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7612A KR101294537B1 (en) | 2009-12-01 | 2009-12-01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ower sav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7612A KR101294537B1 (en) | 2009-12-01 | 2009-12-01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ower sav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1077A KR20110061077A (en) | 2011-06-09 |
KR101294537B1 true KR101294537B1 (en) | 2013-08-07 |
Family
ID=4439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7612A KR101294537B1 (en) | 2009-12-01 | 2009-12-01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ower sav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4537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1432A (en) * | 2008-02-25 | 2009-08-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ath Selection Procedure in Mesh Network and Path Request Frame Format |
-
2009
- 2009-12-01 KR KR1020090117612A patent/KR10129453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1432A (en) * | 2008-02-25 | 2009-08-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ath Selection Procedure in Mesh Network and Path Request Frame Form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1077A (en) | 2011-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65211B2 (en) | Packet transfer system, packet transfer device, proxy device, program, and packet transfer device control method | |
EP3373547B1 (en) | Method for realizing disaster tolerance backup | |
JP4748086B2 (en) | COMMUNICATION RELAY DEVICE, RESOURCE RELEASE METHOD, AND COMMUNICATION RELAY DEVICE PROGRAM | |
WO2011105065A1 (en) |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switch device | |
US20040068580A1 (en) | Routing control system, routing control device, transfer device and routing control method | |
WO2009026851A1 (en) |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user device | |
CN104737596A (en) | Putting a piece of equipment connected to a multi-link network on standby | |
CN104221337B (en) |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device, communicator, information trunking method | |
KR101294537B1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ower saving | |
JP4830879B2 (en)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 |
JP3570996B2 (en) | Network relay device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 | |
JP4579850B2 (en) | Blade type system an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 |
JP2020136817A (en) | Network device, network system,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program | |
JP4913110B2 (en) | Network relay device | |
JP5114300B2 (en) | Network system, network terminal device, and LAN switch | |
JP2010103655A (en) | Network connection device | |
JP5282625B2 (en) | RELAY DEVICE AND CLIENT SERVER SYSTEM CONTROL METHOD | |
WO2014125761A1 (en) |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rouble control method | |
JP4087283B2 (en) | Equipment with power saving mode function | |
JP2006140874A (en) | Communications system | |
JP4911390B2 (en) | Data relay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wer saving control program | |
JP2010226576A (en) | Network, network communications apparatus, system switching method and program | |
KR10140546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power consumption | |
JP3989447B2 (en) | Communication switching method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 |
JP5986529B2 (en) | Network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computer, and managemen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