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068B1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 Google Patents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4068B1 KR101294068B1 KR1020110133116A KR20110133116A KR101294068B1 KR 101294068 B1 KR101294068 B1 KR 101294068B1 KR 1020110133116 A KR1020110133116 A KR 1020110133116A KR 20110133116 A KR20110133116 A KR 20110133116A KR 101294068 B1 KR101294068 B1 KR 101294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control suspension
- active control
- guide
- sid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4719 Personality chan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838 turning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4—Axial actuator, e.g. telescop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3—Rails, tub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suspension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는 후륜 측의 너클과 서브 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차체의 자세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너클과 차체측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는 어시스트 링크와, 상기 서브 프레임에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양 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를 일정 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 양측에 연결되는 레버 암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직선력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단면상에 일정 궤적의 가이드 홀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 단면 중앙에 스크루를 형성하고,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각각 안내되는 캠 가이더; 및 상기 각 캠 가이더 사이에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와 레버 암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스크루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각 캠 가이더와 어시스트 링크 및 상기 레버 암을 조립하는 캠 볼트로 구성된다.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is disclosed.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ssist link configured between a knuckle and a subframe on a rear wheel side and connected between the knuckle and a vehicle side connection portion to actively control a vehicle body posture, and the subframe. A housing portion formed at each side, a guide portion configured at both sides of the housing portion to guide the bush of the assist link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a driving portion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to provide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the assist link. In 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unit with a linear force through the lever arm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ush,
The guide part forms a guide hole of a predetermined trajectory on a cross section, and guide rails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part; A cam guider which forms a screw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nd is guided along each of the guide rails; And a cam bolt inserted between the cam guiders via the bush and the lever arm to assemble the cam guider, the assist link, and the lever arm.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범프 시에 후륜의 토우-인(Toe-In)을 증대시킴으로써 고속 선회 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AGCS,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GCS, Active), which improves turning stability during high-speed turning by increasing the toe-in of the rear wheel during bumping of the vehicl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최근 리어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Active Geometry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AGCS)는 차량의 고속 선회 주행 시, 리어 서스펜션의 지오메트리를 가변함으로써, 후륜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핸들링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이다.Recently, the Active Geometry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AGCS), which is applied to the rear suspension, is a device for improving the handling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grip of the rear wheels by varying the geometry of the rear suspension during high-speed turning of the vehicle.
이러한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급선회 시에 오버 스티어 경향이 나타나 조종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속 선회 주행 또는 급선회 주행 시에, 선회 외측 후륜을 토우-인(Toe-In)으로 유도하여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has a tendency to oversteer during a rapid turning of the vehicle, and thus, when steering stability is 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driving at a high speed turning or sharp turning, the turning rear wheel is led to Toe-In. It will improve the steering stability of the vehicle.
이를 위한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고속 선회 주행 또는 급선회 주행 시, 이를 감지하여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작동부와, 작동부의 작동 메커니즘을 통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후륜의 토우각을 제어하는 어시스트 링크로 구성된다. 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for this purpose is an actuator that operates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detected and output during high-speed turning or rapid turning of the vehicle, an operating unit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and an operating mechanism of the operating unit. It is composed of an assist link for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to control the toe angle of the rear wheel.
이러한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황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ECU)에 탑재된 제어로직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면, 이에 따라 어시스트 링크의 차체측 절점의 아래로 이동하여 선회 외측 후륜의 토우-인 값을 증대시킴으로써 차량의 고속 선회 주행 상황에서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켜 안정된 차량 주행성능을 구현하게 된다. 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detects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drives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logic mounted 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ccordingly, 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moves down the vehicle-side node of the assist link to tow the turning rear wheel. Increasing the value of phosphorus improves the tur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in the high-speed turning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to implement a stable vehicle running performance.
그러나 종래의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고속 선회 주행 또는 급선회 주행 시, 어시스트 링크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액추에이터의 구동력 방향의 상대적 차이로 작동부 내에는 큰 하중의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작동부 내의 마찰력은 더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여 결국, 시스템의 거대화, 중량, 원가 증대 및 효율성 저하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 large load of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moving part due to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assist link and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during the high speed turning or sharp turning of the vehicle. The frictional force in the interior requires a larger driving force, which in turn causes problems such as enlarging the system, weight, cost, and efficiency.
본 발명이 실시 예는 차량의 자세 변화에 따른 어시스트 링크의 거동 시에 발생되는 작동부 내의 마찰력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효율을 높이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which minimizes the influence of frictional force in the operating unit generated when the assist link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attitude of the vehicle, thereby efficient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actuator,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ng efficiency.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어시스트 링크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이 구동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액추에이터의 작동토크를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시스템을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to minimize the operating torque of the actuator by preventing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assist link directly to the drive source, thereby miniaturizing the system.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후륜 측의 너클과 서브 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차체의 자세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너클과 차체측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는 어시스트 링크와, 상기 서브 프레임에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양 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를 일정 궤적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 양측에 연결되는 레버 암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직선력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단면상에 일정 궤적의 가이드 홀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양측으로 상하방향 지지면과 이에 연결되는 좌우방향 지지면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 단면 중앙에 스크루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루를 기준으로 양 측부에는 구름수단을 각각 구성하여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상하방향 지지면과 좌우방향 지지면을 따라 구름 안내되는 캠 가이더; 및 상기 각 캠 가이더 사이에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와 레버 암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스크루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각 캠 가이더와 어시스트 링크 및 상기 레버 암을 조립하는 캠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ssist link configured between the knuckle and the subframe on the rear wheel side and connected between the knuckle and the vehicle side connection portion to actively control the attitude of the vehicle body and a housing formed on the subframe And a guide part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part to guide the bush of the assist link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a drive part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to provide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both sides of the bush of the assist link. In 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unit to the linear force through a lever arm connected, the guide portion forms a guide hole of a predetermined trajectory on the cross-section, and supports up and down in both sides of the guide hole The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surfaces connected thereto are integrally formed Each guide is secured to both side parts of the housing the rails; A cam guider which forms a screw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nd constitutes rolling means on both sides of the screw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surfaces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surfaces of the respective guide rails; And a cam bolt inserted between the cam guiders through the screw and the arm of the assist link to assemble the cam guider, the assist link, and the lever arm.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또한, 상기 일정 궤적은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너클측 연결점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원호방향의 궤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trajectory may be a trajectory in the arc direction having the knuckle side connection point of the assist link as the center of rotation.
또한, 상기 스크루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ew may be formed in a slot shape.
또한, 상기 상하방향 지지면과 상기 좌우방향 지지면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 측면이 갖는 각각의 곡률을 따라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 and down support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surface may be formed in a curve along each curvature of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또한, 상기 캠 가이더는 양 측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측 외 측면이 갖는 곡률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 guider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along the curvature of both sides of the outer side of the guide rail.
또한, 상기 구름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방향 지지면에 대응하여 상기 캠 가이더의 내면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하방향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좌우방향 지지면에 대응하여 상기 캠 가이더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방향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roller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m guider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support surface of the guide rail; And left and right rollers rotatably installed at respective corner portions of the cam guider in response to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surfaces of the guide rail.
또한, 상기 상하방향 롤러는 다수개가 상기 캠 가이더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제1 롤러홈에 수평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ertical rollers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type in the first roller groov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cam guider.
또한, 상기 좌우방향 롤러는 상기 캠 가이더의 각 모서리 부분에 수평 형태로 형성된 제2 롤러홈에 수직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rollers may be disposed vertically in the second roller groove formed in a horizontal form on each corner portion of the cam guider.
또한, 상기 상하방향 롤러 및 상기 좌우방향 롤러는 상기 각 롤러 홈에 배치된 상태로 중심에 롤러 핀을 압입하여 설치되는 롤러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down roller and the left-right roller may be made of a roller bearing which is installed by pressing a roller pin in the center in a state arranged in each roller groov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어시스트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횡력을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분리하여 횡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평방향의 힘은 캠 가이더와 가이드 레일의 접촉면에서 흡수하고, 나머지 수직방향의 힘만 레버 암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자세변화에 따라 어시스트 링크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강건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later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assist lin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o absorb the horizontal force occupying most of the lateral force 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am guider and the guide rail, and only the remaining vertical force is the lever arm. By transmitting to the vehicle, it has a robust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influence of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assist link as the vehicle attitude changes.
또한, 어시스트 링크를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이 구동원인 모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토크를 최소화하며,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assist link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tor, which is the driving source, thereby minimizing the operating torque of the actuator and enabling a compact configuration.
또한, 레버 암의 레버비를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레버 암에 구성되는 슬롯형상의 연결홀과 포크로 인해 차량의 하중이나 장치의 작동시점에서의 어시스트 링크의 자세 변화에 따른 영향도를 제거하여 안정적인 시스템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torque of the motor can be reduced by using the lever ratio of the lever arm, and the slot-shaped connecting hole and the fork of the lever arm are used to change the attitude of the assist link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vehicle or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table system by removing the influence.
또한, 캠 가이더 상의 구름수단을 상하방향 롤러와 좌우방향 롤러로 이원화하여 각각 가이드 레일 상의 상하방향 지지면과 좌우방향 지지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하중을 각 하중별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lling means on the cam guider is dualized by the up-down roller and the left-right roller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up-down support surface and the left-right support surface on the guide rail, respectively, so that the load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for each load I can support it stably.
또한, 상기 롤러 베어링이 가이드 레일의 양 측면 곡률을 따라 곡선으로 배열됨으로써, 곡선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ller bearings are arranged in a curve along both side curvatures of the guide rails, friction may be minimized while curved sliding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적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전방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캠 가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레일과 캠 가이더의 도 6의 Ⅰ부분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레일과 캠 가이더의 도 6의 Ⅱ부분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차량의 운전 조건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레버 암의 레버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rail applied to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 guider applied to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I of FIG. 6 of a guide rail and a cam guider applied to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II of FIG. 6 of a guide rail and a cam guider applied to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for each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of 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ever ratio of the lever arm applied to 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entire specification.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first, second, etc. in order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because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적용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는 멀티링크 타입의 후륜 서스펜션에 적용된 예이다. Referring to FIG. 1,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applied to a rear wheel suspension of a multilink type.
즉, 멀티링크 타입의 후륜 서스펜션은 후륜(W)측 너클(1)과 서브 프레임(3) 사이의 하부에 로워암(5)이 설치된다. That is, the rear arm suspension of the multi-link type is provided with the
또한, 상기 너클(1)과 서브 프레임(3) 사이의 상부 일측에는 어퍼암(7)이 연결되고, 상기 너클(1)과 서브 프레임(3) 사이의 상부 타측에는 어시스트 링크(11)의 차체측 절점(P)을 가변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10)가 구성된다. In addition, an upper arm 7 is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between the knuckle 1 and the
상기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cti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전방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c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suspension devic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10)는 어시스트 링크(11), 하우징부(13), 안내부(15), 구동부(17), 동력전달부(19)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active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어시스트 링크(11)는 일단이 볼 조인트(BJ)를 통하여 상기 너클(1)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부시(21)가 일체로 구성된다.3 to 4,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3)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프레임(3)의 일부로 구성되며, 외측단부에 한 쌍의 힌지홀(23)이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안내부(15)와 구동부(17) 및 동력전달부(19)의 구성은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안내부(15)는 하우징부(13)의 양 측면에 가이드 레일(25), 캠 가이더(27), 캠 볼트(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가이드 레일(25)은 하우징부(13)의 양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캠 가이더(27)는 상기 가이드 레일(25)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21)를 일정 궤적(G)을 따라 안내한다. The
즉, 상기 가이드 레일(25)은 단면상에 일정 궤적(G)의 가이드 홀(29)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부(13)의 양 측면에 각각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설치된다. That is, the
이러한 가이드 레일(25)은 상기 가이드 홀(29)의 양측으로 상하방향 지지면(F1)과 이에 연결되는 좌우방향 지지면(F2)을 일체로 형성한다. The
상기에서 일정 궤적(G)이라고 함은 어시스트 링크(11)의 너클(1)측 연결점(CP)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원호방향의 궤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stant trajectory G is ideally formed as a trajectory in the arc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oint CP of the knuckle 1 side of the
그리고 캠 가이더(27)는 단면 중앙에 볼트홀(31)이 형성되어 각각의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부시(21)의 양측에 캠 볼트(33)와 이에 체결되는 캠 너트(33a)를 통하여 조립된다. In addition, the
즉, 상기 캠 볼트(33)는 각 캠 가이더(27) 사이에 상기 동력전달부(19)에 구성되는 2개의 레버 암(35)과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21)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볼트홀(31)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각 캠 가이더(27)와 레버 암(35) 및 상기 부시(21)를 캠 너트(33a)와 함께 조립한다. In other words, the
여기서, 상기 캠 가이더(27)는 단면 중앙에 형성되는 볼트홀(31)이 슬롯으로 형성되어 상기 캠 볼트(33)의 전후 이동을 수용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25)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Here, the
한편, 상기 구동부(17)는 상기 하우징부(13)의 내측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구동부(17)는 하우징부(13)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는 감속부(37)를 갖는 모터(39)와, 상기 모터(39)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루 축(41)으로 구성된다. This
즉, 상기 모터(39)는 상기 하우징부(13)의 내측 방향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루 축(41)을 하우징부(13)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한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모터(39)는 회전방향 및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확한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하고 요구되는 회전 토크를 제공하는 구동원이면 적용이 가능하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19)는 안내로드(43), 슬라이더(47), 레버 암(35)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부(17)의 회전력을 직선력을 전환하여 상기 안내부(15)를 통해 어시스트 링크(11)에 제공한다.And the
즉, 상기 안내로드(43)는 2개를 한 쌍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부(13)의 내측 하부와 상기 모터(39)의 감속부(37) 사이에 나란히 설치된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안내로드(43)는 각 상단이 상기 감속부(37)에 보조 브라켓(45)을 통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17)의 스크루 축(4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Here, the pair of
상기 슬라이더(47)는 상기 한 쌍의 안내로드(4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47)는 중앙에 스크루 홀(49)을 형성하여 상기 구동부(17)의 스크루 축(41)에 체결된다. The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47)는 한 쌍의 안내로드(43)에 끼워지도록 단면상에 상하방향으로 이웃한 2개의 안내홀(미도시)이 형성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레버 암(35)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13)의 내부 양측에서 각 힌지홀(23)에 힌지핀(51)을 통하여 연결된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즉, 상기 레버 암(35)은 각 힌지홀(23)에 일단이 힌지핀(51)을 통하여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47)의 양 측면에 연결된다. That is, one end of the
상기 레버 암(35)은 중앙에 슬롯형상의 연결홀(53)이 형성되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캠 가이더(27)와 함께 캠 볼트(33)를 통하여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21) 양측에 조립된다. The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47)와 상기 레버 암(35)의 연결구조는 상기 슬라이더(47)의 양 측면에 포크 핀(55)이 구성되고, 상기 레버 암(35)의 타단은 포크(57)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 암(35)의 포크(57)를 상기 슬라이더(47)의 포크 핀(55)에 끼워서 연결된다. Her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이러한 동력전달부(19)는 레버 암(35)이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21)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13)의 각 힌지홀(23)에 고정 힌지점(H)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구동부(17)의 스크루 축(41)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47)에 의해 힌지 작동하여 캠 가이더(27)를 통하여 안내되면서 상기 모터(39)의 회전력을 부시(21)에 직선력으로 전달한다.Th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10)의 구성에서, 특히, 상기 안내부(15)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25)과 캠 가이더(27)의 구성은 차량 거동에 따라 어시스트 링크(11)를 통하여 레버 암(35)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저마찰 접촉 구조로 지지해주어 모터(39)의 요구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ctive
이를 위한 상기 가이드 레일(25)과 캠 가이더(27)의 구조를, 도 5와 도 6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structur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캠 가이더의 사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rail applied to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 guider applied to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25)은 가이드 홀(29)의 양 측부 외면에 상하방향 지지면(F1)과 이에 연결되는 좌우방향 지지면(F2)을 일체로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여기서, 상기 상하방향 지지면(F1)과 상기 좌우방향 지지면(F2)은 상기 가이드 레일(25)의 양 측면이 갖는 각각의 곡률(R1,R2)을 따라 곡선으로 형성된다. Here, the vertical support surface (F1) and the horizontal support surface (F2) is formed in a curve along the curvature (R1, R2) of each side of the
즉, 상기 각 곡률(R1,R2)은 가이드 레일(29)이 상기 일정 궤적(G)을 따라 그 양 측면이 곡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설정된다.That is, each of the curvatures R1 and R2 is set as the guide rails 29 are curved at both sides thereof along the predetermined trajectory G.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캠 가이더(27)는 양 측면을 상기 가이드 레일(25)의 각 좌우방향 지지면(F2)이 갖는 곡률(R1,R2)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하고, 중앙의 볼트홀(31)을 기준으로 양 측부에는 구름수단(60)이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상기 구름수단(60)은 상항방향 롤러(61)와 좌우방향 롤러(63)로 구성된다. The rolling means 60 is composed of an
상기 상하방향 롤러(61)는 상기 가이드 레일(25)의 상하방향 지지면(F1)에 대응하여 상기 캠 가이더(27)의 내면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3개씩 설치된다. Three up and down
상기 좌우방향 롤러(63)는 상기 가이드 레일(25)의 좌우방향 지지면(F2)에 대응하여 상기 캠 가이더(27)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left and
여기서, 상기 상하방향 롤러(61)는 3개씩 상기 캠 가이더(27)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제1 롤러홈(65)에 수평형으로 배치된다. Here, the up and down
또한, 상기 좌우방향 롤러(63)는 상기 캠 가이더(27)의 각 모서리 부분에 수평 형태로 형성된 제2 롤러홈(67)에 하나씩 수직형으로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left and
이러한 상하방향 롤러(61) 및 상기 좌우방향 롤러(63)는 상기 제1, 제2 롤러 홈(65,67)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중심에 롤러 핀(69)을 압입하여 설치되는 롤러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dow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레일과 캠 가이더의 도 6의 Ⅰ부분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레일과 캠 가이더의 도 6의 Ⅱ부분의 조립 단면도이다. 7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I of FIG. 6 of a guide rail and a cam guider applied to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pplied to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part II of the guide rail and the cam guider.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캠 가이더(27)의 상하방향 롤러(61)가 가이드 레일(25)의 상하방향 지지면(F1)과 구름 접촉되면서 캠 가이더(27)가 상하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어시스트 링크의 거동에 따른 상하방향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한다.Referring to FIG. 7, the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캠 가이더(27)의 좌우방향 롤러(63)가 가이드 레일(25)의 좌우방향 지지면(F2)의 내면에 구름 접촉되면서 차체에 작용하는 횡력 등에 의해 전달되는 좌우방향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 the left an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 레일에 대한 캠 가이더(27) 상의 구름수단(60)을 상하방향 롤러(61)와 좌우방향 롤러(63)로 이원화함으로써, 장치의 작동에 따른 상하방향 하중과 횡력에 의해 전달되는 좌우방향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ualizing the rolling means 60 on the
그리고 상하방향 롤러(61)는 캠 가이더(27)의 측면을 따라 곡선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곡선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And th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10)의 작동은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activ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의 차량의 운전 조건별 작동 상태도이다. 9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for each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of 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10)의 작동 메카니즘은 하우징부(13)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루 축(41)을 통하여 모터(39)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슬라이더(47)가 직선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슬라이더(47)의 직선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3)에 힌지 연결된 레버 암(35)이 힌지 작동한다.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active
이러한 레버 암(35)의 힌지 작동으로 캠 볼트(33)를 통하여 연결된 캠 가이더(27)가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이동하면서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21)를 이동시켜 어시스트 링크(11)의 차체측 절점(P)을 가변하게 된다.By the hinge operation of the
즉, 이러한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10)의 구체적인 작동은 차량의 고속 선회 주행으로 차량의 후륜(W)이 범프할 경우, 조향 각속도, 차속 등의 신호에 따라 제어기(20)는 후륜(W)측 선회 외륜에 대하여 상기 모터(39)를 구동 제어한다. That is, when the rear wheel W of the vehicle bumps due to the high-speed turning of the vehicle, the
이에 따라, 슬라이더(47)가 스크루 축(41) 상에서 하강하면서 상기 하우징부(13)에 일단이 힌지 연결된 레버 암(35)을 하방향으로 힌지 작동시킨다. Accordingly, the
그러면,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21)와 함께 레버 암(35)의 연결홀(53)에 캠 볼트(33)를 통하여 연결된 캠 가이더(27)가 가이드 레일(25)을 따라 일정 궤적(G)을 그리며 하강하여 상기 어시스트 링크(11)의 차체측 절점(P)을 아래로 이동시키게 된다. Then, the
이에, 상기 차량의 후륜(W)측 선회 외륜은 토우-인이 증대되며, 차량은 언더 스티어로 유도되어 차량의 선회 거동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As a result, the tow-in of the turning outer wheel of the rear wheel (W) side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nd the vehicle is guided to the understeer to secure the turning behavior of the vehicle.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10)는 어시스트 링크(11)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 암(35)의 회전중심을 서브 프레임(3)의 하우징부(13)에 형성하고, 슬라이더(47)의 상하 이동으로 레버 암(35)을 힌지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레버 암(35)의 회전중심인 고정 힌지점(H)과 슬라이더(47) 연결점(C) 및 어시스트 링크(11)용 부시(21)의 상대적인 위치(M)에 따라 레버비의 효과로 인해 작동력 개선 및 어시스트 링크(11)의 자세 영향도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the activ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10)는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21)가 캠 볼트(33)를 통하여 연결되는 레버 암(35)의 연결홀(53)이 슬롯형상으로 형성되어 레버 암(35)의 원호 운동 시에 발생하는 상기 부시(21)의 연결중심과의 수평방향 변위차를 흡수한다.In addition, in the active
또한, 레버 암(35)과 슬라이더(47) 사이의 연결구조도 포크(57)와 포크 핀(55)을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스크루 축(41)의 편심 영향도를 줄여주고, 역시 레버 암(35)의 원호 운동 시에 발생하는 상기 슬라이더(47)와의 수평방향 변위차도 흡수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또한, 어시스트 링크(11)의 부시(21)를 연결하기 위하여 캠 볼트(33)를 적용함으로써 캠 가이더(27)에 대한 캠 볼트(33)의 편심량을 조절하면, 휠 얼라인먼트를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eccentricity of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s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changes to the extent deemed acceptable.
11: 어시스트 링크 13: 하우징부
15: 안내부 17: 구동부
19: 동력전달부 20: 제어기
21: 부시 23: 힌지홀
25: 가이드 레일 27: 캠 가이더
29: 가이드 홀 31: 볼트홀
33: 캠 볼트 35: 레버 암
37: 감속부 39: 모터
41: 스크루 축 43: 안내로드
47: 슬라이더 49: 스크루 홀
51: 힌지핀 53:연결 홀
55: 포크 핀 57: 포크
60: 구름수단 61: 상하방향 롤러
63: 좌우방향 롤러 65: 제1 롤러홈
67: 제2 롤러홈 69: 롤러 핀11: assist link 13: housing part
15: guide 17: drive
19: power transmission unit 20: controller
21: Bush 23: Hingehole
25: guide rail 27: cam guider
29: guide hole 31: bolt hole
33: cam bolt 35: lever arm
37: reducer 39: motor
41: screw shaft 43: guide rod
47: slider 49: screw hole
51: hinge pin 53: connection hole
55: fork pin 57: fork
60: rolling means 61: up and down roller
63: left and right roller 65: first roller groove
67: second roller groove 69: roller pin
Claims (9)
상기 안내부는
단면상에 일정 궤적의 가이드 홀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양측으로 상하방향 지지면과 이에 연결되는 좌우방향 지지면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
단면 중앙에 스크루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루를 기준으로 양 측부에는 구름수단을 각각 구성하여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상하방향 지지면과 좌우방향 지지면을 따라 구름 안내되는 캠 가이더; 및
상기 각 캠 가이더 사이에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부시와 레버 암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스크루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각 캠 가이더와 어시스트 링크 및 상기 레버 암을 조립하는 캠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An assist link configured between the knuckle on the rear wheel side and the subframe and connected between the knuckle and the vehicle side connection portion to actively control the attitude of the vehicle body, a housing part formed on the subframe, and both sides of the housing part, respectively. A guide part configured to guide the bush of the assist link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a drive part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art to provide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lever arm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ush of the assist link; In the active control suspension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linear force,
The guide
Guide rails havi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formed on a cross section, the guide rails being fixe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part by integrally forming an up and down support surface and a left and right support surfac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hole;
A cam guider which forms a screw 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and constitutes rolling means on both sides of the screw based on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surfaces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surfaces of the respective guide rails; And
An cam bolt inserted between the cam guiders through the bush and the lever arm, the cam bolt being inserted through the screw to assemble the cam guider and the assist link and the lever arm. Control suspension device.
상기 일정 궤적은
상기 어시스트 링크의 너클측 연결점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원호방향의 궤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stant trajectory is
An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jectory of the arc direction with the knuckle side connection point of the assist link as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 스크루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crew is
Active controlled suspension device formed in a slot shape.
상기 상하방향 지지면과 상기 좌우방향 지지면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 측면이 갖는 각각의 곡률을 따라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support surface and the horizontal support surface is
Active control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urve along each curvature of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상기 캠 가이더는
양 측면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측 외 측면이 갖는 곡률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am guider
Active control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along the curvature of the outer side of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상기 구름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방향 지지면에 대응하여 상기 캠 가이더의 내면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하방향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좌우방향 지지면에 대응하여 상기 캠 가이더의 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방향 롤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loud means
A plurality of vertical roller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m guid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rtical support surfaces of the guide rails; And
Left and right rollers rotatably installed at respective corner portions of the cam guid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ft and right support surfaces of the guide rail;
Active control susp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상하방향 롤러는
다수개가 상기 캠 가이더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제1 롤러홈에 수평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vertical roller is
A plurality of active control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horizontal in the first roller groov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 of the cam guider.
상기 좌우방향 롤러는
상기 캠 가이더의 각 모서리 부분에 수평 형태로 형성된 제2 롤러홈에 수직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eft and right rollers
Active control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vertical to the second roller groove formed in a horizontal form on each corner portion of the cam guider.
상기 상하방향 롤러 및 상기 좌우방향 롤러는
상기 각 롤러 홈에 배치된 상태로 중심에 롤러 핀을 압입하여 설치되는 롤러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제어 서스펜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vertical rollers and the horizontal rollers
Active control suspens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oller bearing is installed by pressing a roller pin in the center in a state arranged in each roller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3116A KR101294068B1 (en) | 2011-12-12 | 2011-12-12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3116A KR101294068B1 (en) | 2011-12-12 | 2011-12-12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6331A KR20130066331A (en) | 2013-06-20 |
KR101294068B1 true KR101294068B1 (en) | 2013-08-07 |
Family
ID=4886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3116A Active KR101294068B1 (en) | 2011-12-12 | 2011-12-12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406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6573A (en) * | 2004-07-16 | 2006-01-19 | 주식회사 위너베아링 | Linear motion guide |
KR20100064207A (en) * | 2008-12-04 | 2010-06-1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ctuator assembly of suspension of vehicle |
KR20110062597A (en) * | 2009-12-03 | 2011-06-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
KR20110108777A (en) * | 2010-03-29 | 2011-10-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uator for active control suspension system |
-
2011
- 2011-12-12 KR KR1020110133116A patent/KR1012940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6573A (en) * | 2004-07-16 | 2006-01-19 | 주식회사 위너베아링 | Linear motion guide |
KR20100064207A (en) * | 2008-12-04 | 2010-06-1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ctuator assembly of suspension of vehicle |
KR20110062597A (en) * | 2009-12-03 | 2011-06-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
KR20110108777A (en) * | 2010-03-29 | 2011-10-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ctuator for active control suspens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6331A (en) | 2013-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8800B1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for vehicle | |
CN102205780B (en)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and actuating device driving the same | |
KR101283606B1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 |
EP1818243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 |
KR101518884B1 (en)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 |
KR101427940B1 (en)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
JP6054074B2 (en) | Active roll control device | |
KR20170095073A (en) | Stabilizer for a vehicle | |
US12252199B2 (en) | Independent corner module | |
US12227054B2 (en) | Wheel suspension system with mobile steering axis | |
JP2009226972A (en) | Geometry varying device | |
KR101283593B1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 |
JP2016525035A (en) | Steerable wheel suspension | |
KR101284346B1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 |
KR20120064539A (en)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 |
US20210170825A1 (en) | Vehicle Suspension Device | |
JP6210734B2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KR101461903B1 (en) | Caster active geometry control system | |
KR101294068B1 (en)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 |
KR101283604B1 (en) |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 |
KR100857361B1 (en) | Car Geometry Control | |
KR101317374B1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 |
KR101284340B1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 |
KR101371484B1 (en) | Actuator of active roll control system | |
KR101646106B1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