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92984B1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984B1
KR101292984B1 KR1020110083485A KR20110083485A KR101292984B1 KR 101292984 B1 KR101292984 B1 KR 101292984B1 KR 1020110083485 A KR1020110083485 A KR 1020110083485A KR 20110083485 A KR20110083485 A KR 20110083485A KR 101292984 B1 KR101292984 B1 KR 101292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battery module
battery
fastening
battery cel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135A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11008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984B1/ko
Priority to JP2011262183A priority patent/JP5908706B2/ja
Priority to US13/364,777 priority patent/US9337458B2/en
Priority to CN201210068886.4A priority patent/CN103000835B/zh
Priority to EP12166203.5A priority patent/EP2562843B1/en
Publication of KR2013002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9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배터리 모듈의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상부에 형성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텀 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 탑 플레이트 및 바텀 플레이트가 형성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보다 견고한 배터리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은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태를 변화시켜 사용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배터리 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배터리 모듈은 내장된 배터리 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셀의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 배터리 모듈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 모듈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배터리 모듈의 중간부가 유동되며, 배터리 모듈이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의 중간부에 보강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배터리 모듈의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상부에 형성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텀 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 탑 플레이트 및 바텀 플레이트가 형성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중간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터리 셀과 맞닿는 면이 배터리 셀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가지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양측면 및 하부면은 보강부재와 맞닿는 양 배터리 셀의 측면 및 하부면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홀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와 하우징은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와 대응하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탑 베이스부와, 상기 탑 베이스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의 측면으로 절곡된 탑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탑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상기 보강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상기 탑 플랜지부에는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하부를 향하는 테이퍼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바텀 베이스부와, 상기 바텀 베이스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의 측면으로 절곡된 바텀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텀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상기 보강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과 대응하는 상기 바텀 플랜지부에 형성된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홀은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배터리 모듈의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모듈의 중간부에 보강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배터리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정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A-A`에서 탑 플레이트가 체결되기 전에 바텀 플레이트에 보강부재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의 층 두께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10),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120), 탑 플레이트(130), 바텀 플레이트(140) 및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5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배터리 셀(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160)는 배터리 모듈(100)의 중간부에 위치되며, 하우징(50)의 바닥부에 체결된다. 이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 시에 배터리 모듈(100)의 중간부의 유동이 방지되어 보다 견고한 배터리 모듈(1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00)은 그 길이가 길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100)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160)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배터리 셀(10)과 맞닿는 면이 배터리 셀(1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부재(160)에는 상부면(160a)으로부터 하부면(160c)까지 관통된 삽입홀(162)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홀(162)은 제1 체결부재(146)를 이용하여 하우징(50)에 보강부재(160)를 체결할 시에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보강부재(160)의 양측면(160b) 및 하부면(160c)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재(160)의 양측면(160b) 및 하부면(160c)은 보강부재(160)와 맞닿은 양 배터리 셀(10)의 측면 및 하부면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부재(160)와 맞닿는 양 배터리 셀(10)의 일부가 보강부재(160)에 수용되므로, 체결부(163)가 해제되더라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배터리 모듈(1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보강부재(160)의 체결부(163)는 삽입홀(162)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보강부재(160)는 삽입홀(162)을 통하여 제1 체결부재(146)가 삽입되고, 이러한 제1 체결부재(146)가 하우징(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63)와 대응하는 바텀 플레이트(140)의 바텀 베이스부(140a)에는 제1 체결부재(146)가 관통되는 관통홀(1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체결부재(146)는 볼트 또는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160)는 탑 플레이트(130) 및 바텀 플레이트(140)에도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탑 플레이트(13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의 상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탑 베이스부(130a)와, 탑 베이스부(130a)의 측부로부터 배터리 셀(10)의 측면으로 절곡된 탑 플랜지부(130b)를 구비한다. 또한, 바텀 플레이트(14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의 하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바텀 베이스부(140a)와, 바텀 베이스부(140a)의 측부로부터 배터리 셀(10)의 측면으로 절곡된 바텀 플랜지부(140b)를 구비한다.
그리고, 탑 플랜지부(130b) 및 바텀 플랜지부(140b)는 각각 탑 베이스부(130a) 및 바텀 베이스부(140a)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즉, 탑 플랜지부(130b) 및 바텀 플랜지부(140b)는 배터리 셀(10)의 측면과 접하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탑 플레이트(130)의 탑 플랜지부(130b)와 접촉하는 보강부재(160)의 양 측면(160b)에는 돌기부(16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부(161)와 대응하는 탑 플랜지부(130b)에는 돌기부(161)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부(161)는 하부를 향하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161)가 홀 형상의 돌기수용부(132)에 끼움결합된다. 이에 의해 보강부재(160)가 탑 플레이트(1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바텀 플레이트(140)의 바텀 플랜지부(140b)와 접촉하는 보강부재(160)의 양측면에는 결합홈(164)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홈(164)과 대응하는 바텀 플랜지부(140b)에는 결합홀(143)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결합홀(143)을 관통하여 결합홈(164)에 삽입되는 제2 체결부재(144)에 의하여 바텀 플레이트(140)와 보강부재(160)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164)의 내부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체결부재(144)는 볼트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체결부재(144)는 스터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120)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은 탑 플랜지부(130b) 및 바텀 플랜지부(140b)와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즉, 대면하는 탑 플랜지부(130b)의 양단부는 엔드 플레이트(110, 120)와 체결부재(30)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대면하는 바텀 플랜지부(140b)의 양단부는 체결부재(20)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110, 120)와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120)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은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케이스에 수용시킨 다음, 케이스를 캡플레이트로 밀폐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캡플레이트 상에는 양극단자(11) 및 음극단자(12)와, 단자들(11, 12) 사이에 구비되는 벤트(13)가 형성될 수 있다. 전극조립체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이들 극판들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양극판은 양극단자(11)와 연결되고, 음극판은 음극단자(12)와 연결되어,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한다. 또한, 벤트(13)는 배터리 셀(10)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120), 탑 플레이트(130) 및 바텀 플레이트(14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수용하기 위한 일정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셀(10)들은 구획된 공간 속에 수납되어,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셀(10)은 넓은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정렬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2개의 배터리 셀(10)의 양극단자(11) 및 음극단자(12)는 버스바(bus-bar, 1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15)에는 양극단자(11) 및 음극단자(12)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구비되고, 단자들(11, 12)이 관통하여 연결된 버스바(15)는 너트(16) 등의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120)는 각각 최외각의 배터리 셀(10)과 면접촉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을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120), 탑 플레이트(130) 및 바텀 플레이트(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은 양극단자(11) 및 음극단자(12)가 서로 교대로 정렬되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120)는 탑 플레이트(130) 및 바텀 플레이트(140)의 일단 및 타단과 접하는 부분에 체결공(111, 112, 121, 12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탑 플레이트(130) 및 바텀 플레이트(140)는 체결공(111, 112, 121, 122)에 대응하는 부분에 체결홈(131, 141)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공(111, 112, 121, 122) 및 체결홈(131, 141)은 체결부재(20, 30)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즉, 체결공(111, 112, 121, 122) 및 체결홈(131, 141)을 체결부재(20, 30)가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120)와, 탑 플레이트(130) 및 바텀 플레이트(14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재(20, 30)는 볼트 또는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공(111, 112, 121, 122) 및 체결홈(131, 141)에 의한 체결은 배터리 모듈(100)의 외관 및 소형화에 유리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공(111, 112, 121, 122) 및 체결홈(131, 141)은 탑 플레이트(130) 또는 바텀 플레이트(140)에 집중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에 의한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 모듈(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100)의 양단, 즉 엔드 플레이트(110, 120)의 하단부에는 하우징(50)과의 결합을 위한 제1 고정홀(113)이 형성되고, 제1 고정홀(113)과 대응하는 바텀 플레이트(140)에는 제2 고정홀(142)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볼트 또는 스터드와 같은 체결부재가 제1 고정홀(113)과 제2 고정홀(142)을 관통하며 배터리 모듈(100)을 하우징(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부재(160)는 배터리 셀(10)과 맞닿는 면이 배터리 셀(1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부재(160)의 상부면(160a)으로부터 하부면(160c)까지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162)이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삽입홀(162)이 형성된다. 삽입홀(162)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부(163)가 하우징(50, 도 1 참조)과 체결되는 부분이므로, 보강부재(160)의 가로폭에 따라서 적절하게 삽입홀(162)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50)과 보강부재(16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60)의 양측면(160b) 및 하부면(160c)은 보강부재(160)와 맞닿는 양 배터리 셀(10, 도 1 참조)의 측면 및 하부면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부재(160)가 배터리 셀(10)을 일부 수용함으로써, 보강부재(160)와 하우징(50)의 체결이 해제되더라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배터리 모듈(1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60)가 연장됨에 의해 중간부에 위치된 배터리 셀(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160)가 배터리 모듈(100, 도 1 참조)의 중간부에 삽입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배터리 모듈(100)의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한 배터리 모듈(100)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와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60)의 상부면(160a)으로부터 하부면(160c)까지 관통된 삽입홀(162)은 보강부재(160)와 하우징(50)의 체결 시 공구(170, 도 5 참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다. 이러한 삽입홀(162)을 통하여 체결부(163)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재(146)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구(170) 또는 볼트 머리 부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160) 상부면(160a)의 삽입홀(162)의 크기는 보강부재(160) 하부면(160c)의 체결부(163)의 크기보다 커야 한다. 또한, 체결부(163)는 볼트 머리 부분이 통과하지 않아야 하므로, 그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보강부재(160) 양측면(160b)의 상부 측에는 돌기부(161)가 형성된다. 돌기부(161)는 탑 플랜지부(130b)의 돌기수용부(132)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부재(160)가 탑 플레이트(1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60) 양측면(160b)의 하부 측에는 결합홈(164)이 형성된다. 결합홈(164)은 바텀 플랜지부(140b)의 결합홀(143)과 일치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제2 체결부재(144)에 의해 보강부재(160)가 바텀 플레이트(14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A-A`에서 탑 플레이트가 체결되기 전에 바텀 플레이트에 보강부재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60)의 체결부(163)는 하우징(50)과 체결되며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163)는 보강부재(160)에 형성된 삽입홀(162)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보강부재(160)의 바닥면과 하우징(50)이 체결되게 된다. 여기서, 삽입홀(162)은 보강부재(16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관통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2개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홀(162)로부터 제1 체결부재(146) 및 공구(170)가 삽입되며, 제1 체결부재(146)는 바텀 플레이트(140)의 관통홀(145)을 통과한 뒤, 하우징(50)에 체결된다. 여기서, 바텀 플레이트(140)의 관통홀(145)은 보강부재(160)의 체결부(163)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체결부재(146)는 볼트 또는 스터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160)가 하우징(50)에 체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복수개의 셀이 연결된 배터리 모듈에 진동이나 충격 시 중간부가 유동되어 배터리 모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 도 1 참조)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120)와, 복수개의 배터리 셀(10)과, 탑 플레이트(130), 바텀 플레이트(140) 및 이들을 모두 수용하는 하우징(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0) 사이에 2개의 보강부재(260)를 더 포함한다.
보강부재(26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0)의 중간부에 위치되며, 하우징(50)에 고정되는 체결부(16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셀(10)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200)의 중간부 처짐 방지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터리 모듈(200)의 중간부에 보강부재(260)를 2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260)는 배터리 셀(10)과 맞닿는 면이 배터리 셀(1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가지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260)의 양측면 및 하부면은 보강부재(260)와 맞닿는 양 배터리 셀(10)의 측면 및 하부면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텀 플레이트(140)의 바텀 플랜지부(140b)와 접촉하는 보강부재(260)의 양측면에는 결합홈(164)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홈(164)과 대응하는 바텀 플랜지부(140b)에는 결합홀(143)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164)과 결합홀(146)은 제2 체결부재(144)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탑 플레이트(130)의 탑 플랜지부(130b)와 접촉하는 보강부재(260)의 양측면에는 돌기부(161)가 형성되고, 돌기부(161)와 대응하는 탑 플랜지부(130b)에는 돌기부(161)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부(161)는 하부를 향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기수용부(132)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에 따르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배터리 모듈(200)의 중간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견고한 배터리 모듈(200)을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가 하나 또는 둘 형성된 배터리 모듈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배터리 셀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그 이상의 보강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10 : 배터리 셀 11 : 양극단자
12 : 음극단자 15 : 버스바
100 : 배터리 모듈 110, 120 : 엔드 플레이트
130 : 탑 플레이트 130a : 탑 베이스부
130b : 탑 플랜지부 132 : 돌기수용부
140 : 바텀 플레이트 140a : 바텀 베이스부
140b : 바텀 플랜지부 143 : 결합홀
145 : 관통홀 146 : 제1 체결부재
150 : 배리어 160, 260 : 보강부재
161 : 돌기부 162 : 삽입홀
163 : 체결부 164 : 결합홈

Claims (17)

  1.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상부에 형성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텀 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 탑 플레이트 및 바텀 플레이트가 형성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홀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배터리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중간부에 위치되는 배터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배터리 셀과 맞닿는 면이 배터리 셀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양측면 및 하부면은 보강부재와 맞닿는 양 배터리 셀의 측면 및 하부면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와 하우징은 제1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배터리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대응하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볼트 또는 스터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탑 베이스부와, 상기 탑 베이스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의 측면으로 절곡된 탑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탑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상기 보강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상기 탑 플랜지부에는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하부를 향하는 테이퍼 형상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바텀 베이스부와, 상기 바텀 베이스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셀의 측면으로 절곡된 바텀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상기 보강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과 대응하는 상기 바텀 플랜지부에 형성된 결합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홀은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배터리 모듈.
KR1020110083485A 2011-08-22 2011-08-22 배터리 모듈 Active KR101292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85A KR101292984B1 (ko) 2011-08-22 2011-08-22 배터리 모듈
JP2011262183A JP5908706B2 (ja) 2011-08-22 2011-11-30 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13/364,777 US9337458B2 (en) 2011-08-22 2012-02-02 Battery module
CN201210068886.4A CN103000835B (zh) 2011-08-22 2012-03-15 电池模块
EP12166203.5A EP2562843B1 (en) 2011-08-22 2012-04-30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85A KR101292984B1 (ko) 2011-08-22 2011-08-22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35A KR20130021135A (ko) 2013-03-05
KR101292984B1 true KR101292984B1 (ko) 2013-08-02

Family

ID=4604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85A Active KR101292984B1 (ko) 2011-08-22 2011-08-22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37458B2 (ko)
EP (1) EP2562843B1 (ko)
JP (1) JP5908706B2 (ko)
KR (1) KR101292984B1 (ko)
CN (1) CN1030008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709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형 엔드 플레이트와 확장형 센싱 하우징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1010B2 (en) * 2006-05-05 2014-05-13 C&C Power, Inc Equipment cabinet
JP5536382B2 (ja) * 2009-07-08 2014-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
DE102011082576A1 (de) * 2011-09-13 2013-03-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s Energiespeichermoduls auf einem Modulträger
JP6017539B2 (ja) * 2012-03-29 2016-11-0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5939007B2 (ja) * 2012-04-13 2016-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JP5973262B2 (ja) * 2012-07-09 2016-08-23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JP2014044884A (ja) * 2012-08-27 2014-03-13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システムを備える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
US10381614B2 (en) * 2013-04-17 2019-08-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JP6149490B2 (ja) * 2013-04-25 2017-06-21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
JP6186922B2 (ja) * 2013-06-18 2017-08-30 住友電装株式会社 配線モジュール
US9553289B2 (en) * 2013-07-26 2017-01-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JP6070999B2 (ja) * 2013-11-18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KR101739301B1 (ko) 2013-12-10 2017-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1820935B1 (ko) 2014-06-02 2018-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363418B2 (ja) 2014-07-30 2018-07-2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CN105470420B (zh) * 2014-09-30 2020-01-07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
US9931961B2 (en) 2015-02-11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enclosure surrounded by internally reinforced cylindrical impact absorbing elements
US10439183B2 (en) 2015-02-11 2019-10-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mpact absorbing element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US9660234B2 (en) 2015-02-11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enclosure with arc-shaped elongated impact absorbing ribs
US9656571B2 (en) 2015-02-11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enclosure having T-shaped guides on the outer surface for stiffeners and impact absorbing elements
US9662997B2 (en) 2015-02-11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crushable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tructure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JP6449108B2 (ja) * 2015-06-04 2019-0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
JP6631869B2 (ja) * 2015-07-06 2020-01-1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US10541395B2 (en) 2015-07-30 2020-01-21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using same
KR102394688B1 (ko) * 2015-08-21 2022-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0516145B2 (en) * 2016-01-26 2019-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pack array retention
JP6726478B2 (ja) * 2016-02-19 2020-07-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蓄電装置の製造方法、及び蓄電装置用の隣接部材の製造方法
CN105742539B (zh) * 2016-04-21 2019-04-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模组
KR102065098B1 (ko) * 2016-08-12 2020-0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레임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
WO2018033880A2 (en) 2016-08-17 2018-02-22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USD814417S1 (en) * 2016-09-23 2018-04-03 Artisan Vehicle Systems, Inc. Element of a modular battery cover
USD814416S1 (en) * 2016-09-23 2018-04-03 Artisan Vehicle Systems, Inc. Element of a modular battery cover
CN110383526A (zh) 2017-01-04 2019-10-25 形状集团 节点模块化的车辆电池托盘结构
US11011790B2 (en) * 2017-03-17 2021-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pack plate with retention flange
US10886513B2 (en) 2017-05-16 2021-01-05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integration
WO2018213475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KR102302274B1 (ko) * 2017-07-13 2021-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2347879B2 (en) 2017-09-13 2025-07-01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US11088412B2 (en) 2017-09-13 2021-08-10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WO2019071013A1 (en) 2017-10-04 2019-04-11 Shape Corp. BATTERY SUPPORT BOTTOM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KR102319537B1 (ko) * 2017-12-20 2021-10-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7134626B2 (ja) 2017-12-27 2022-09-1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994974B2 (ja) * 2018-02-16 2022-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モジュール
WO2019169080A1 (en)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JP7027255B2 (ja) * 2018-05-31 2022-03-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US11183729B2 (en) * 2019-01-09 2021-11-23 Byd Company Limited Battery pack, vehicle and energy storage device
CN112201895B (zh) * 2019-01-09 2023-03-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包、储能装置以及电动车
DE102019207450A1 (de) * 2019-05-21 2020-11-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batterie
CN112582719B (zh) 2019-09-29 2022-04-29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单元、电池模组、储能系统及电动车辆
JP7404531B2 (ja) 2019-11-12 2023-12-25 サイック・モーター・コーポレーション・リミテッド 電池エネルギー貯蔵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エネルギー貯蔵装置
KR20210133542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1584781B (zh) * 2020-04-30 2021-11-02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长模组、电池模组、电池模组固定辅件及安装方法
KR20220032930A (ko)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리드가 비대칭 구조로 형성된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계적 강도가 보강된 전지 모듈
KR102432538B1 (ko) * 2020-11-04 2022-08-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7118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E102021209744A1 (de) 2021-09-03 2023-03-09 Mahle International Gmbh Strukturbauteil für einen Energiespeicher, Energiespeicher und Berechnungsverfahren für Toleranzen
JP7668195B2 (ja) * 2021-10-01 2025-04-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775A (ko) * 2005-01-25 2006-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2010211952A (ja) * 2009-03-06 2010-09-24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JP2010272517A (ja) * 2009-04-24 2010-12-02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KR20110073221A (ko) * 2009-12-23 2011-06-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7119A (en) * 1966-12-21 1969-07-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Storage battery with detachable cover having lifting means
JPS4967129U (ko) * 1972-09-22 1974-06-12
JP3283796B2 (ja) * 1997-07-07 2002-05-20 古河電池株式会社 電池間スペーサー並びに単位電池
KR200260363Y1 (ko) 1999-02-10 2002-01-10 이계안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장착 구조
JP4965012B2 (ja) * 1999-12-15 2012-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パック
JP2006236826A (ja) * 2005-02-25 2006-09-07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
JP2007103344A (ja) * 2005-09-12 2007-04-19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KR100897179B1 (ko) 2006-04-24 2009-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제조용 프레임 부재
JP4974578B2 (ja) * 2006-04-27 2012-07-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5173182B2 (ja) * 2006-11-13 2013-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ユニット
JP5120798B2 (ja) * 2006-11-21 2013-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動車
JP4935802B2 (ja) 2008-12-10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とそれを用いた集合電池モジュール
JP2010251019A (ja) * 2009-04-13 2010-11-04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
KR101084222B1 (ko) 2009-11-03 2011-11-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US20110165451A1 (en) 2010-01-05 2011-07-07 Myung-Chul Kim Battery pack
CN102117930B (zh) 2010-01-05 2015-09-16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组
US10388923B2 (en) 2010-11-17 2019-08-20 Honda Motor Co., Ltd. Vehicle battery unit
US8722223B2 (en) * 2011-09-01 2014-05-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775A (ko) * 2005-01-25 2006-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2010211952A (ja) * 2009-03-06 2010-09-24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JP2010272517A (ja) * 2009-04-24 2010-12-02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KR20110073221A (ko) * 2009-12-23 2011-06-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709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형 엔드 플레이트와 확장형 센싱 하우징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WO2019098491A1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형 엔드 플레이트와 확장형 센싱 하우징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KR102159347B1 (ko) * 2017-11-14 2020-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형 엔드 플레이트와 확장형 센싱 하우징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US11764435B2 (en) 2017-11-14 2023-09-1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to which battery cell pressing-type end plate and expandable sensing housing structure are applied
AU2018368199B2 (en) * 2017-11-14 2023-12-2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to which battery cell pressing-type end plate and expandable sensing housing structure are appli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35A (ko) 2013-03-05
JP5908706B2 (ja) 2016-04-26
US9337458B2 (en) 2016-05-10
US20130052516A1 (en) 2013-02-28
EP2562843B1 (en) 2016-07-13
EP2562843A1 (en) 2013-02-27
JP2013045765A (ja) 2013-03-04
CN103000835B (zh) 2016-12-14
CN103000835A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984B1 (ko) 배터리 모듈
KR101252952B1 (ko) 배터리 셀의 유동을 방지하는 배터리 모듈
KR101688489B1 (ko) 배터리 모듈
JP6088185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CN102696131B (zh) 电池模组及电池包
US8771864B2 (en) Battery module
KR20130023562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KR102394688B1 (ko) 배터리 모듈
KR20150001604A (ko) 배터리 모듈
KR101749191B1 (ko) 배터리 모듈
US9929427B2 (en) Battery module having reinforcing barrier with metal member
US20140295235A1 (en) Battery module
US9012063B2 (en) Battery module
KR101252949B1 (ko) 배터리 모듈
KR20150031861A (ko) 배터리 모듈
KR20140136869A (ko) 배터리 모듈
KR20150102632A (ko) 이차 전지 팩
KR20150069733A (ko) 배터리 모듈
KR20160069348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구비한 전지 팩
KR10061239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160127496A (ko) 배터리 모듈
KR20230120756A (ko) 분리형 카트리지를 이용한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1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