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835B1 - 시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2835B1 KR101292835B1 KR1020110038935A KR20110038935A KR101292835B1 KR 101292835 B1 KR101292835 B1 KR 101292835B1 KR 1020110038935 A KR1020110038935 A KR 1020110038935A KR 20110038935 A KR20110038935 A KR 20110038935A KR 101292835 B1 KR101292835 B1 KR 101292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electrolyte
- solid polymer
- formula
- electrolyte composition
- crosslinking ag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399—Phosphorus bound to nitr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4—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8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nitrogen atoms with or without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812—Cyclic phosphazenes [P=N-]n, n>=3
- C07F9/65815—Cyclic phosphazenes [P=N-]n, n>=3 n = 3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리튬염 함량에 따른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교제(g) |
가소제(g) | 리튬염 LiCF3SO3(g) |
경화형 개시제 APO(g) |
이온전도도 (S/㎝, σ×10-4) |
||
실시예1 | 0.3 | 제조예3 (m=1) |
0.7 | 0.135 | 0.023 | 0.234 |
실시예1 | 0.3 | 제조예3 (m=3) |
0.7 | 0.135 | 0.023 | 0.583 |
실시예1 |
0.3 | 제조예3 (m=5) |
0.7 | 0.135 | 0.023 | 1.05 |
실시예1~ | 0.3 | 제조예3 (m=7) |
0.7 | 0.135 | 0.023 | 1.84 |
가교제(g) |
가소제(g) | 리튬염 LiCF3SO3(g) |
경화형 개시제 APO(g) |
이온전도도 (S/㎝, σ×10-4) |
||
실시예1 | 0.3 | 제조예3 (m=5) |
0.7 | 0.254 | 0.023 | 0.886 |
실시예1 | 0.3 | 제조예3 (m=5) |
0.7 | 0.170 | 0.023 | 1.05 |
실시예1 |
0.3 | 제조예3 (m=5) |
0.7 | 0.127 | 0.023 | 3.15 |
실시예1~ | 0.3 | 제조예3 (m=5) |
0.7 | 0.102 | 0.023 | 2.11 |
가교제(g) |
가소제(g) | 리튬염 LiCF3SO3(g) |
경화형 개시제 APO(g) |
이온전도도 (S/㎝, σ×10-4) |
||
실시예1 | 0.4 | 제조예3 (m=5) |
0.6 | 0.161 | 0.023 | 0.725 |
실시예1 | 0.3 | 제조예3 (m=5) |
0.7 | 0.161 | 0.023 | 1.05 |
실시예1 |
0.2 | 제조예3 (m=5) |
0.8 | 0.161 | 0.023 | 2.55 |
Claims (10)
-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발 물질인 헥사클로로시클로트리포스파젠에 R3 치환기를 알콕시화 반응시켜 화합물 4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4를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로 처리하여 화합물 5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 5를 트리에틸아민 및 메타크릴로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합물 1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제1항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박막용 시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의 제조방법: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3은 이고,
y는 0-2의 정수이고,
R4는 이고,
z는 0-2의 정수이고,
R1은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비수용액계 극성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비수용액계 극성용매는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1,3-디옥시란, 4,4-디메틸-1,3-디옥시란, γ-부티로락톤 및 아세토니트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O4, LiCF3SO3, LiBF4, LiPF6, LiAsF6 및 Li(CF3SO2)2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시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14.4-20.4 중량%;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가소제 66.5-72.5 중량%;
리튬염 9.7-13.0 중량%; 및
경화형 개시제 1.0-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형 개시제는 에틸벤조인 에테르, 이소프로필벤조인 에테르, α-메틸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페닐에테르, α-아실옥심 에스테르, α,α-디에톡시 아세토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 안트라퀴논, 2-에틸 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클로로티옥산톤, 벤조페논, p-클로로벤조페논, 벤질벤조에이트, 벤조일벤조에이트 및 미클러 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광경화형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형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시드, 디-tert-부틸 퍼옥시드, 디-tert-아밀 퍼옥시드, a-큐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a-큐밀 퍼옥시네오펩타노에이트, t-아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디-(2-에틸헥시) 퍼옥시-디카보네이트, t-아밀 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 2,5-디메틸-2,5 비스(2-에틸-헥사노일퍼옥시) 헥산, 디벤조일 퍼옥시드,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1-디-(t-아밀퍼옥시) 시클로헥산, 1,1-디-(t-부틸퍼옥시) 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 1,1-디-(t-부틸퍼옥시) 시클로헥산, t-부틸 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t-아밀 퍼옥시벤조에이트,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에틸 3,3-디-(t-아밀퍼옥시) 부티레이트, 에틸 3,3-디-(t-부틸퍼옥시) 부티레이트, 디큐밀 퍼옥시드,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보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및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열경화형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이 코팅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박막.
-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포함하는 리튬-폴리머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8935A KR101292835B1 (ko) | 2011-04-26 | 2011-04-26 | 시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PCT/KR2012/003250 WO2012148194A2 (ko) | 2011-04-26 | 2012-04-26 | 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가소제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8935A KR101292835B1 (ko) | 2011-04-26 | 2011-04-26 | 시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1141A KR20120121141A (ko) | 2012-11-05 |
KR101292835B1 true KR101292835B1 (ko) | 2013-08-05 |
Family
ID=4750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8935A Active KR101292835B1 (ko) | 2011-04-26 | 2011-04-26 | 시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283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4107B1 (ko) * | 2014-04-29 | 2016-06-29 | 한국화학연구원 | 알릴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이를 포함하는 semi―IPN 타입의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KR102657448B1 (ko) | 2017-07-26 | 2024-04-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N117186547A (zh) * | 2023-09-15 | 2023-12-08 | 湖南省新基源新材料科技有限公司 | 改性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75999A (ja) * | 1987-12-28 | 1989-07-12 | Teijin Ltd | シクロトリフォスファゼン誘導体 |
KR100852384B1 (ko) | 2007-05-15 | 2008-08-14 | 한국화학연구원 | 포스파젠을 코아 물질로하는 덴드리머 구조의 비선형 광학소재 |
-
2011
- 2011-04-26 KR KR1020110038935A patent/KR10129283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75999A (ja) * | 1987-12-28 | 1989-07-12 | Teijin Ltd | シクロトリフォスファゼン誘導体 |
KR100852384B1 (ko) | 2007-05-15 | 2008-08-14 | 한국화학연구원 | 포스파젠을 코아 물질로하는 덴드리머 구조의 비선형 광학소재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1998, vol.145(5), pp.1521-1527(1998. 05.) * |
Solid State Ionics, 2006, vol.177, pp.3129-3134(2006.11.30.)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1141A (ko) | 2012-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4835B1 (ko) | 고분자 전해질용 포스페이트계 아크릴레이트 가교제와,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KR100588475B1 (ko) |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KR101368870B1 (ko) | 다분지형 아크릴계 가교제 및 포스페이트계 가소제를 함유하는 semi―IPN 타입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KR100419864B1 (ko) | 신규 가교제와 이를 함유하는 가교형 고체 고분자 전해질 | |
JP4995185B2 (ja) | 環状シロキサン系化合物の架橋剤とこの架橋剤を含有する固体高分子電解質組成物及び小型リチウム高分子二次電池用固体高分子電解質 | |
KR101826496B1 (ko) | 신규한 트리아진계 화합물, 이를 가교제로 포함하는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의 응용 | |
US9065150B2 (en) | Electrolyte material, and battery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id electrolyte material | |
WO2012148194A2 (ko) | 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가소제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KR101351846B1 (ko) | 올리고에틸렌글라이콜을 곁사슬로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가소제를 함유하는 semi―IPN 타입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KR20110010516A (ko) | 겔 폴리머 전해질용 퍼플루오르화 포스페이트계 아크릴레이트 가교제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과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
KR101292835B1 (ko) | 시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KR101840335B1 (ko) | 신규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
EP0787749A1 (en) | Novel acrylates, novel allyl ethers, novel allyl carbonates, acrylate polymers, allyl ether polymers, allyl carbonate polymers, and solid polyelectrolytes | |
TWI244787B (en) | Boron-containing compound, ion-conductive polymer and poly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devices | |
KR101422726B1 (ko) | 코어-쉘 구조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KR20080009313A (ko) | 음이온 수용체 및 이를 함유한 전해질 | |
KR101282129B1 (ko) | 사이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가소제를 함유하는 semi―IPN 타입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KR101634107B1 (ko) | 알릴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이를 포함하는 semi―IPN 타입의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KR100344910B1 (ko) | 열가교형 폴리실록산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박막의 제조방법 | |
KR20120057168A (ko) | 아민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가교제로 함유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고분자 이차 전지 | |
KR100726888B1 (ko) |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일체형 가교 구조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
KR100365392B1 (ko) |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소자 | |
KR102025070B1 (ko) | 폴리알킬렌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가소제 | |
KR102132733B1 (ko) |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용 다분지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가소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 |
JP6120318B2 (ja) | ポリ(メチン)、並びに、金属塩複合体及び2次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