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882B1 - Toilet Stool on Floor of Flat Slab Type - Google Patents
Toilet Stool on Floor of Flat Slab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1882B1 KR101291882B1 KR1020110078026A KR20110078026A KR101291882B1 KR 101291882 B1 KR101291882 B1 KR 101291882B1 KR 1020110078026 A KR1020110078026 A KR 1020110078026A KR 20110078026 A KR20110078026 A KR 20110078026A KR 101291882 B1 KR101291882 B1 KR 101291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seat
- toilet
- floor
- slab
- h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36 an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의 다운 없이 기존의 좌변기 배수구가 설치가능하고, 세면욕실의 바닥을 높이지 않을 수 있는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브 바닥 상부에 타설되는 마감재 상부로 노출되는 오수관을 덮을 수 있도록 마감재의 높이보다 높고, 일측에 좌변기 엘보가 내장되도록 하여 좌변기를 안치할 수 있는 좌변기 설치대를 장입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좌변기와 외관 높이는 동일하며, 좌변기 몸체 하단에 형성되는 사이펀 트랩의 높이를 올리거나 작게 하며, 하단부는 좌변기 설치대가 장입되도록 테두리를 좌변기 설치대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한 평슬라브 층상 배관용 좌변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used in a flat slab layered piping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existing toilet seat drain without down the slab, and does not raise the floor of the toilet, in particular to the top of the finishing material placed on top of the slab floor The siphon trap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oilet body, which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nishing material to cover the exposed sewage pipe, and has the same toilet seat height as that of the toilet seat mount to accommodate the toilet seat so that the toilet seat elbow is built on one side. To raise or lower the height of the lower portion provides a toilet for the flat slab layered piping formed the same or higher than the toilet seat mounting frame so that the toilet seat moun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브의 다운 없이 기존의 좌변기 배수구가 설치가능하고, 세면욕실의 바닥을 높이지 않을 수 있는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브 바닥 상부에 타설되는 마감재 상부로 노출되는 오수관을 덮을 수 있도록 마감재의 높이보다 높고, 일측에 좌변기 엘보가 내장되도록 하여 좌변기를 안치할 수 있는 좌변기 설치대를 장입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좌변기와 외관 높이는 동일하며, 좌변기 몸체 하단에 형성되는 사이펀 트랩의 높이를 올리거나 작게 하며, 하단부는 좌변기 설치대가 장입되도록 테두리를 좌변기 설치대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한 층상배관용 좌변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used in a flat slab layered piping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existing toilet seat drain without down the slab, and does not raise the floor of the toilet, in particular to the top of the finishing material placed on top of the slab floor The siphon trap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oilet body, which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nishing material to cover the exposed sewage pipe, and has the same toilet seat height as that of the toilet seat mount to accommodate the toilet seat so that the toilet seat elbow is built on one side. To raise or lower the height of the lower portion provides a toilet seat for the tier pipe formed the same or higher than the toilet seat mounting frame so that the toilet seat mounting.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주거공간의 세면욕실(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2)와 세면기(13) 그리고 욕조(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면욕실 일측벽쪽에는 오수와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PD실(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면욕실(10)의 문(11)은 여닫이로서 거실이나 방으로부터 밀어 세면욕실(10) 내부로 열리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PD실(20)에는 좌변기(12)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상층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와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오수용 섹스티아(21)와, 세면기, 욕조 그리고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하수용 섹스티아(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면욕실(10)의 바닥은 방이나 거실과 경계를 이루는 문턱보다 낮게 형성되어 세면욕실에 슬러퍼 등이 놓여 있어도 걸리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었다. In general, the washroom (10) of a residential space such as an apartment is provided with a toilet seat (12), a washbasin (13) and a bathtub (14), and the sewage and sewage on one side of the washroom.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저층의 천장에 구성되기 때문에 상층으로부터 하수가 배출되는 소음이 그대로 하층으로 유입되고, 상층과 하층이 배수관장치와 배수관 등의 얇은 PVC 막으로 막힌 형태이기 때문에 상층의 세면욕조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변기의 물내리는 소리, 소변보는 소리, 샤워하는 소리 등)이 그대로 하층으로 전달되어 상층의 세면욕조실을 사용하는 사람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고, 하층의 사람들에게는 그 소리로 인해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drainage system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ain pipe for discharging sewage is usually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lower floor, the noise of the sewage discharged from the upper floor flows into the lower floor as it is, and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thin PVC membranes such as the drainage pipe and the drain pipe. Due to the blockage, the noise generated inside the upper bath tub (to flush the toilet, the sound of pissing, the shower sound, etc.)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thereby violating the privacy of the person using the upper bath tub. There was a problem that people can be offended by the soun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7년 3월 13일자로 '세면욕조실 배수시스템'을 출원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licant filed a 'bath tub drainage system' on March 13, 2007.
상기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수관 장치 본체는 세면 욕조실 기초 바닥용 콘크리트 상부에 설치되고, 그 기초 바닥용 콘크리트 상부에 타설되는 마감재에 매설되며, 측면 하단 일측에 각각 형성된 집수관 또는 배수관을 체결하는 집수관 체결부와 배수관 체결부를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때, 배수관 장치 본체의 저면은 평평한 상태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집수관 체결부와 배수관 체결부들의 내측은 배수관 장치 본체 바닥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하수가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에 고이지 않고 그대로 배출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세면기, 욕조 그리고 바닥의 배수는 통상적으로 직경이 50mm인 파이프를 사용하므로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관 장치의 높이를 낮추어 생산한다면 거실과 동일하게 형성된 슬라브 상부에도 당해층에 시공이 가능한 배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The drainage pipe body constituting the 'bathtub room drainage system'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floor for the basin tub room foundation floor, embedded in the finishing material is placed on the concrete floor for the foundation floor, the collecting pip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or It has a water collecting pipe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drain pipe and a water pipe fastening portion, and its upper surface is open. At this time, the bottom face of the drain pipe apparatus main body was comprised in the flat state. At this time, the inner side of the collecting pipe fastening portion and the drain pipe fastening portion is extended from the bottom of the drain pipe device main body so that the sewage is discharged as it is without accumulating inside the drain pipe device main body. As described above, the drainage of the wash basin, bathtub and floor is generally made of 50 mm diameter pipes, so if the lower height of the drain pipe device embedded in the floor is produced, a drainage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of the slab. I could build it.
그러나, 좌변기의 경우 오수관을 통상적으로 100mm 파이프를 사용하고 좌변기와 연결되는 좌변기용 엘보의 높이는 파이프 상단으로부터 50mm 이상을 확보하여야하기 때문에 양변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소 150mm 두께의 마감재를 타설해야만 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oilet seat, the sewage pipe typically uses a 100mm pipe and the height of the elbow for the toilet connected to the toilet seat should be secured at least 50 mm from the top of the pipe.
따라서, 종래와 같이 거실, 방 그리고 욕실의 기초콘크리트 바닥이 슬라브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세면욕실의 바닥이 거실 바닥보다 높아져 세면욕실쪽으로 여는 여닫이 문을 설치할 수 없고, 거실이나 방에서 세면욕실을 걸어올라가야 하기 어린이나 노약자에게 취약한 구조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crete floor of the living room, room, and bathroom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lab, the floor of the washroom is higher than the floor of the living room, so that a door opening that opens toward the washroom cannot be installed. To walk up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only be vulnerable to children or the elderly.
또한, 세면욕실의 바닥이 거실이나 방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바닥 배수구의 막힘등으로 인해 물이 넘칠 경우 거실 바닥으로 그대로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세면욕조실 안쪽으로 열리는 여닫이문을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floor of the washroom is higher than the living room or room, there is a problem that if water overflows due to the blockage of the floor drainage, it may leak into the floor of the living room.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be install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면욕조실 바닥을 거실이나 방 등의 슬라브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는 다운 슬라브 공법이 개발되어 있고, 현재 많은 건설사에서 다운 슬라브 공법을 이용하여 층상배관을 시공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own slab method has been developed that forms the floor of a toilet tub lower than the height of a slab of a living room or a room. At present, many construction companies are constructing layered pipes using a down slab method.
도2는 현재 시공중인 다운 슬라브 공법을 이용한 층상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아파트 등의 골조 공사시 거실이나 방 등을 이룰 슬라브(30) 보다 세면욕실의 기초콘크리트 바닥이 슬라브(40)를 최소 150mm 이상 낮게 형성한다. 이때 PD실(20) 바닥 또한 세면욕실(10)의 슬라브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때, 거푸집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배수관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내부로 콘크리트가 장입되는 고정 슬리브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한다.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layered piping system using the down slab method currently being constructed, the concrete floor of the washroom bathroom to the slab (40) to minimize the slab (40) than the slab (30) to form a living room or room during the construction of an apartment, etc. It should be formed at least 150mm. 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또한, 상기 PD실(20)과 세면욕실(10) 사이에 옹벽이나 조적을 형성하기 전에 슬라브 면에 좌변기용 오수관이 연결되거나 관통되는 오수관용 옹벽관통 슬리브와, 하수용 배수관이 연결되거나 관통되는 하수관용 옹벽관통 슬리브를 설치한 후 옹벽을 타설하거나 조적을 쌓는다. 상기와 같이 세면욕실의 기초 공사가 완료되면 세면욕실(10)의 기초콘크리트 바닥(40)에 방수처리를 실시하고, 방수면 상부의 고정 슬리브에 배수관 장치(17)를 고정시킨 후 욕조(14), 세면기(13)와 배수관들 연결 설치한 후, 배수관(16)을 옹벽관통 슬리브와 연결하며, 좌변기용 오수관(15)을 옹벽관통 슬리브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 및 오수관이 설치되면 마감재인 기포 콘크리트 등을 타설한후 양생시키고, 양생된 마감재 상부에 좌변기, 세면기, 그리고 욕조를 설치한 다음 타일작업을 실시하여 다운 슬라브 공법에 의한 층상배관 시스템을 설치하였다.Further, before forming the retaining wall or masonry between the
그러나, 상기 다운 슬라브 공법은 당해층의 슬라브 타설시 세면욕조실의 거푸집을 거실의 거푸집보다 낮게 설치하고, 그 상부에 철근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거실이나 방을 이루는 슬라브 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아누 슬라브 공법에 의해 시공된 세면욕실은 좌변기용 오수관의 직경에 맞게 화장실의 바닥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거실 또는 방과의 바닥 높이에 차이를 둘 수 있고, 여닫이문 설치시 슬리퍼 등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었다.However, the down slab method is to install the formwork of the bath tub lower than the form of the living room in the slab casting of the floor, and to form lower than the slab forming the living room or room after forming the reinforcing bar on the upper. The washrooms constructed by the Anus Slab method can adjust the floor height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sewage pipe for the toilet seat, so that the floor height of the living room or the room can be different, and slippers are not caught when installing a swing door. Could.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운 슬라브 공법을 이용한 층상배관 시공방법은 기존 건물의 설계를 변경해야만 하고, 슬라브를 치기 위한 거푸집 설치시 세면욕조실 부분만 별도로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인건비가 더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floor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own slab method requires a change in the design of an existing building, and the work of the toilet tub is required for installing the formwork to hit the slab, which is cumbersome and requires more labor costs. There was a problem.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10년 6월 10일 특허출원 제2010-51757호(명칭: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을 출원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filed a patent application No. 2010-51757 (name: flat slab layered piping system construction method and the toilet seat used in the system) on June 10, 2010.
상기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은 먼저,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평슬라브에 구현한 층상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평스라브에 층상배관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은 먼저, 거실 및 방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평슬라브(30)를 형성하였다. 이때, 세면욕실의 슬라브에는 배수관 장치(17)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슬리브가 매설된다. 다음에 상기 세면욕실(10)을 구성하는 슬라브 일측으로 형성되는 PD실(20) 옹벽 또는 조적에 좌변기 오수관(15)과 바닥 배수관(16)이 연결 또는 관통되는 옹벽관통 슬리브를 슬라브 바닥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옹벽 또는 조적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옹벽 또는 조적에 설치된 옹벽관통 슬리브들에 연결되도록 좌변기 오수관(15) 및 엘보를 설계된 위치에 시공하고, 바닥 배수관 장치 및 배수관을 다른 옹벽관통 슬리브에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에 상기 오수관(15) 및 배수관(16)이 설치된 세면욕실(10)에 설계된 높이로 오수관(15)과 좌변기용 엘보 상단이 노출되고 배수관(16)은 매립되도록 마감재를 타설하였다.The flat slab layered piping system construction method and the toilet seat frame used in the system first, Figure 3 and Figure 4 show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yered pipe system implemented in the flat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layered piping system in the flat slab, first, the
다음에, 상기 오수관이 노출된 부분에 도5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변기 설치틀(60)을 설치하거나 별도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오수관이 매립되도록 좌변기 안치틀(60) 또는 좌변기 안치부를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좌변기 안치틀(60) 또는 안치부에 좌변기를 설치하고 욕조 및 세면기를 배수관 장치에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세면욕실 바닥과 벽면에 타일마감을 실시함으로써 평슬라브에 층상배관 시스템을 설치하였다.Next, the toilet
도5 및 도6은 상기 평슬라브에 층상배관 시스템이 구현 가능하도록 하는 좌변기 안치틀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중앙에는 좌변기 엘보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엘보 삽입홀(62)가 형성되고, 그 삽입홀 상면에는 좌변기 받침대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좌변기 삽입홀과 연결되고 오수관의 노출된 부분이 장입되도록 오수관 장입부가 측면 또는 후방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좌변기 안치틀은 우레탄이나 강화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좌변기 하단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였다.5 and 6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toilet seat frame to enable the layered piping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lat slab, the
또한, 상기 좌변기 안치틀에 안치되는 좌변기는 통상적인 좌변기보다는 그 높이가 좌변기 안치틀의 만큼 높이가 줄여서 생산한 좌변기를 부착하며, 때에 따라서는 좌변기의 배출구 하단으로부터 외측면들을 좌변기 안치틀의 높이만큼 길게 형성하여 좌변기 안치틀이 좌변기 하부에 삽입되어 외관 상으로는 좌변기 안치틀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하였다.In addition, the left toilet seated on the toilet seat frame is attached to the toilet seat produced by reducing the height of the toilet seat frame than the normal toilet seat, and sometimes the outer surface from the bottom of the outlet of the toilet seat by the height of the toilet seat frame To form a long toilet seat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toilet seat was configured so that the toilet seat frame is not visible in appearan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좌변기 안치틀을 사용하는 평슬라브에 구현한 층상배관 시스템의 경우, 좌변기 안치틀 상부에 좌변기를 설치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표준화 되어 있는 좌변기의 높이 보다 좌변기 본체의 높이가 높아져 일반 성인이 볼일 보기 위해 앉을 경우 발이 바닥에 닫지 않아 용변을 보기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layered piping system implemented in the flat slab using the toilet seat fra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ilet seat is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upper frame, the height of the toilet seat body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standard toilet seat. When sitting to see this bowl, the feet did not close to the floor was very uncomfortable to see the toilet.
또한, 좌변기 안치틀의 측면이 노출되어 타일 등을 붙여야 할 경우 좌변기 안치들이 곡면을 이루고 있어 타일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불필요한 타일 메지가 많아져 작업이 번거롭고 미관을 해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left side of the toilet seat frame is exposed to the tiles, etc., the toilet seat settles to form a curved surface is not easy to tile work, there are a lot of unnecessary tile message has a problem that the work is cumbersome and hurt the aesthetics.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좌변기 안치틀을 사용하는 평슬라브에 구현한 층상배관 시스템의 경우, 좌변기 안치틀 상부에 좌변기를 설치하더라도 규격화된 높이의 양변기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layered piping system implemented in a flat slab using the toilet seat fram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toilet seat is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upper frame to provide a standard toilet height It is done.
또한, 좌변기 안치틀의 측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타일 작업의 공정을 줄이고 미관을 좋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to reduce the process of tile work and improve the appearance by preventing the side of the toilet seat frame expo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과 용변을 보기위한 주거 공간에 설치되는 좌변기 몸체와 저수통으로 구성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몸체의 하단부 테두리와 사이펀 배수관 하단 배수구의 높이 차가 좌변기 안치틀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형성한 좌변기 안치틀 장입부를 더 포함하여서 좌변기 안치들이 좌변기 내부 하단부에 장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seat and the toilet seat is installed in a residential space for viewing the toilet seat used in the flat slab layered piping system toilet seat, the lower edge of the toilet bowl body And a toilet seat charging slot hav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drain of the siphon drain pipe and the toilet seat frame being the same as or higher than that of the toilet seat frame, so that the toilet seats are charged at the inner bottom of the toilet. .
본 발명의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를 평슬라브에 구현한 층상배관 시스템에 적용하면 일반적인 좌변기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일반성인이 용변을 보는대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Applying the flat slab layered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ayered pipe system implemented in the flat slab can maintain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general toilet does not cause the adult to see the toilet.
또한,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의 측면을 가리기 위한 별도의 타일 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이 간단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tile work is not required to cover the side of the toilet seat frame used in the flat slab layered piping system, the work may be simple and may not damage the aesthetics.
도1은 일반적인 세면욕실의 평면도.
도2는 종래의 다운 슬라브 공법을 이용한 세면욕조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평슬라브 공법에 적용한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평슬라브 공법에 적용한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평슬라브 공법에 적용한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평슬라브 공법에 적용한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lan view of a typical toile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yered piping system of the toilet tub room using a conventional down slab method.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yered piping system of the washbasin applied to the flat slab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ayered piping system of the washroom applied to the flat slab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oilet seat frame used in the layered piping system of the washroom applied to the flat slab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oilet seat frame used in the layered piping system of the washbasin applied to the flat slab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70)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좌변기는 바닥에 설치되는 좌변기 몸체(71)와 그 좌변기 몸체(71) 상단 후미에 설치되는 저수통(72)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변기 몸체(71)는 물을 저장하고 용변이 담기는 저수부(73)와, 상기 저수부(73)와 연결되며 저수부(73)의 오수를 사이펀 현상에 의해 배출하기 위한 사이펀 배수관(74)과, 상기 사이펀 배수관 하단 외관 테두리가 하향 연장 형성되어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을 구성하는 좌변기 안치틀을 장입시키기 위한 좌변기 안치틀 장입부(75)로 구성된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이때, 상기 좌변기의 전체적인 높이 및 저수부의 높이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사이펀 배수관(74) 끝단의 높이를 좌변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좌변기 안치틀의 높이만큼 높게 형성한다. 즉 좌변기 안치틀 장입부(75)의 높이를 좌변기 안치틀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또한, 좌변기 안치틀 장입부를 바닥 타일을 부착한 후 설치할 경우 타일의 높이 만큼 좌변기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변기 안치틀 장입부(75)의 높이를 좌변기 안치틀 높이에서 타일 두께를 뺀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overall height of the toilet seat and the height of the reservoir is formed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general toilet seat, and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siphon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toilet seat from rising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tile when installing the toilet seat loading unit after the floor tile is attached, the height of the toilet
또한, 상기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70)의 높이를 일반 좌변기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저수부(73)의 깊이를 얕게 하거나, 사이펀 배수관(74)의 전체 높이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orm the height of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70)는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브(A) 바닥에 하수와 오수 배출을 위한 배수관을 형성한 후, 설계된 높이 즉, 하수관이 덮일 수 있도록 마감재(B)로 몰탈이나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상부가 노출된 오수관(15)과 좌변기 엘보 상부에 좌변기 안치틀을 좌변기 엘보 상단이 노출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70)를 좌변기 안치틀(60)이 장입되도록 설치한 다음, 마감재 상부에 타일과 기타 위생도기들을 설치함으로써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게 된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0 : 세면욕실 11 : 여닫이문
12,12a : 좌변기 13 : 세면기
14 : 욕조 15 : 좌변기용 오수관
16 : 하수용 배수관 17 : 배수관 장치
20 : PD실 21 : 오수용 섹스트아
22 : 하수용 섹스티아 30 : 평 슬라브
40 : 다운 슬라브 50 : 방 또는 거실
60 : 좌변기 안치틀 61,61a : 오수관 장입부
62 : 엘보 삽입홀 63 : 좌변기 받침대
70 :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
71 : 좌변기 몸체 72 : 저수통
73 : 저수부 74 : 사이펀 배수관
75 : 좌변기 안치틀 장입부 10: washbasin bathroom 11: opening door
12,12a: toilet seat 13: washbasin
14
16: sewer drain pipe 17: drain pipe device
20: PD room 21: Oh Soo sex
22: sewage sextia 30: flat slab
40: down slab 50: room or living room
60: toilet seat set 61,61a: sewage pipe charging portion
62: elbow insertion hole 63: left toilet seat
70: toilet seat for flat slab layered piping
71: toilet seat body 72: reservoir
73: reservoir 74: siphon drain pipe
75: toilet seat insert
Claims (2)
상기 좌변기 몸체의 하단부 테두리와 사이펀 배수관 하단 배수구의 높이 차가 좌변기 안치틀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한 좌변기 안치틀 장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
In the toilet seat consisting of the toilet seat and the reservoir installed in the residential space for viewing the toilet and the toilet seat used in the flat slab layered piping system,
And a toilet seat insert hav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toilet bowl body and the bottom drain of the siphon drain pipe,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toilet seat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8026A KR101291882B1 (en) | 2011-08-05 | 2011-08-05 | Toilet Stool on Floor of Flat Slab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8026A KR101291882B1 (en) | 2011-08-05 | 2011-08-05 | Toilet Stool on Floor of Flat Slab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5797A KR20130015797A (en) | 2013-02-14 |
KR101291882B1 true KR101291882B1 (en) | 2013-07-31 |
Family
ID=4789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80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1882B1 (en) | 2011-08-05 | 2011-08-05 | Toilet Stool on Floor of Flat Slab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18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52748A (en) | 2023-10-12 | 2025-04-21 | 주식회사 유진엔텍 | Connection pipe structure connected to toilet sea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224Y1 (en) * | 1991-09-05 | 1995-08-04 | 이재창 | Support for setting up toilet stool |
JPH11222914A (en) * | 1998-02-05 | 1999-08-17 | Takiron Co Ltd | Catch basin and base seat for catch basin |
JP2002220868A (en) * | 2001-01-25 | 2002-08-09 | Sekisui Chem Co Ltd | Toilet apparatus |
KR20110009765A (en) * | 2009-07-23 | 2011-01-3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Toilet bowl with tiltable seat |
-
2011
- 2011-08-05 KR KR1020110078026A patent/KR1012918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224Y1 (en) * | 1991-09-05 | 1995-08-04 | 이재창 | Support for setting up toilet stool |
JPH11222914A (en) * | 1998-02-05 | 1999-08-17 | Takiron Co Ltd | Catch basin and base seat for catch basin |
JP2002220868A (en) * | 2001-01-25 | 2002-08-09 | Sekisui Chem Co Ltd | Toilet apparatus |
KR20110009765A (en) * | 2009-07-23 | 2011-01-3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Toilet bowl with tiltable sea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52748A (en) | 2023-10-12 | 2025-04-21 | 주식회사 유진엔텍 | Connection pipe structure connected to toilet s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5797A (en) | 2013-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75701A (en) | Prefab washbasin for floor piping | |
KR101218810B1 (en) | 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 |
KR101564993B1 (en) | Drain Assembled Bathroom Floor Board | |
KR101716876B1 (en) | prefabricated Bathroom Floor Board | |
KR101081970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On-floor drainage piping system of bathroom in multistory building | |
KR101313848B1 (en) | Drainage System on Floor of Flat Slab Type and Toilet Stool Sleeve Using the Same | |
KR100913781B1 (en) | Floor drain pipe system for washbasin for installing stratified drainage system | |
KR101291882B1 (en) | Toilet Stool on Floor of Flat Slab Type | |
KR101064614B1 (en) | 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 |
KR101393529B1 (en) | Lay in state Device for Pipe Laying on Floor | |
KR100926825B1 (en) | Bathroom structure of multi-storey building | |
KR101677028B1 (en) | Drainage System on Floor of Flat Slab Type and Toilet Stool Institution Cast Using the Same | |
KR20110108200A (en) | 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 |
KR101229734B1 (en) | Drain trap for on-floor drainage piping system | |
KR101234877B1 (en) | Drain trap for on-floor drainage piping system | |
KR102104940B1 (en) | Execution Method Bathroom Above Floor Pipe of Remodel a House | |
KR100981324B1 (en) | Washbasin installation method and floor washroom for installing stratified drainage system | |
KR100918851B1 (en) | Frame for Installing Drain Pipe on Floor | |
KR101058940B1 (en) | Drainpipe for layered piping | |
KR101290817B1 (en) | 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of discharge apparatus for leachate water | |
KR101073851B1 (en) | Drainage Device on Floor Having | |
KR20150127331A (en) | Bathroom Above Floor Pipe of Remodel a House | |
KR101089087B1 (en) | Stratified plumbing plate | |
KR101630236B1 (en) | waterproof cap for draining trap | |
KR20160035876A (en) | Drain Assembled Bathroom Floor 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