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821B1 - Packing box - Google Patents
Pack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0821B1 KR101290821B1 KR1020120014930A KR20120014930A KR101290821B1 KR 101290821 B1 KR101290821 B1 KR 101290821B1 KR 1020120014930 A KR1020120014930 A KR 1020120014930A KR 20120014930 A KR20120014930 A KR 20120014930A KR 101290821 B1 KR101290821 B1 KR 1012908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cover
- product
- packaging
- selection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2—Containers provided with decoration or information elements which are displaced to display the contents
- B65D5/5226—Containers provided with decoration or information elements which are displaced to display the content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or l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상자의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으면서 포장지 자체의 형상과 모양을 제품과 연동하여 다양함 미감을 가지도록 하여 포장품질을 높이면서 포장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박판으로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절곡에 의하여 베이스의 전방에 결합 되어 베이스와 함께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와 커버의 양측에서 절곡에 의하여 베이스와 커버에 대하여 직각으로 세워져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베이스 및 커버와 함께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을 장착하여 커버 전방으로 노출되어 전시하거나 또는 베이스와 커버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납되어 포장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xpressing a variety of designs on the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while having a variety of aesthetics by interlocking the shape and shape of the wrapping paper itself with the product packaging to serve as an exhibition to provide the ease of packaging while improving the packaging quality As for the box,
A base provided with a thin plate, a cover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and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ase by bending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roduct together with the base, and being bent at both sides of the base and the cover. The side wall is formed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the cover to form a space together with the base and the cover in a stat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produc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to mount the product and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ver, or the base and the cover a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lection plate that is stored in the space to form and selects the packaging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귀금속, 악세사리 등과 같은 제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전시 가능하게 하면서 구매자가 선택시 바로 포장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개선한 포장상자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that also serves as an exhib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n improved packaging box that enables a buyer to switch to a packaging state at the time of selection, while being able to display a product such as precious metals and accessories. will be.
일반적으로 반지, 목걸이, 팔찌, 귀걸이와 같은 귀금속과 악세사리는 크기에 비하여 고가이기 때문에 별도의 유리나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상태의 전시대를 이용하여 제품을 전시하게 된다.In general, precious metals and accessories such as rings, necklaces, bracelets, and earrings are expensive compared to their sizes, so products are displayed using a transparent display stand such as glass or acrylic.
상기와 같이 전시된 제품을 이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마음에 드는 것이 있을 경우에는 직접 볼 수 있도록 요청하여 전시대로부터 인출하게 되고, 인출된 제품을 상세하게 살펴 구매의사가 있을 경우에는 포장을 요청함으로써 해당 제품을 별도의 포장지에 포장한 상태로 인계받게 된다.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products displayed as above and ask them to see them directly if there is something they like, and withdraw them from the exhibition stand. The product will be taken over in a separate package.
상기와 같은 귀금속 또는 악세사리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는, 개,폐 되면서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자에 수납한 후 별도의 포장지로 한번 더 외부포장을 수행한 후 다시 포장용 가방에 수납하는 형태, 해당 제품을 봉투 형태의 포장지에 단순하게 수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The packaging paper for packaging the precious metal or accessories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a box made of a hard material while being opened and closed, and then packaged again in a packaging bag after carrying out an external packaging with a separate packaging paper, and a corresponding product. It is a situation that is made to simply store in a wrapping paper of the envelope form.
상기와 같이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용 상자는 제품의 형상이나 모양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육면체 형상과 작은 크기의 봉투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입장에서 볼 때 쉽게 식상함을 느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ckaging box for packaging the product is made of only a hexagonal shape and a small sized bag regardless of the shape or shape of the product, so it can be easily felt from a user's point of view.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장지의 재질을 달리하여 기존의 포장지와 차별화를 꾀하는 것은 물론, 고급 질감을 가지는 재질로 포장지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 역시 통상적인 형상에 색상과 재질만 다른 것이어서 새로운 느낌이 장기간 지속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ackaging material is mad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wrapping paper by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wrapping paper, and the wrapping pap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quality texture. The situation is not sustainable.
특히, 포장용 상자와 봉투의 외면을 다시 포장지로 포장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시하고 판매하는 것에 비하여 포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판매가 힘든 실정이다.In particular, since it takes a lot of time to repack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and the envelope in a wrapping paper, it takes a lot of time to pack compared to the exhibition and sale, so it is difficult to sell efficiently.
근자에 들어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장지에 제품을 내장하여 포장된 상태로 제품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예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developed and used to visually identify a product in a packaged state by embedding the product in a wrapping paper.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s follows.
종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지(1)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하드한 재질로 구비되는 베이스(2)의 표면에 투명한 비닐지로 된 용기(3)의 내부에 제품(4)을 수용한다.The wrapping paper 1 serving as a display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accommodates the
상기 용기(3)는 스테플러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베이스(2)와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2)의 상단부는 전방으로 절곡하여 용기(3)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마감부(5)를 둔다.The
상기 마감부(5)의 표면에는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상표 또는 제품에 대한 설명)를 인쇄 또는 부착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포장지(1)를 걸어서 전시할 수 있도록 걸이홀(6)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On the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전시를 겸하는 포장지는, 단순하게 판상부재의 표면에 비닐지에 제품을 수용시킨 후 걸어서 전시하고, 이용자가 이를 구매할 경우 제품을 가지는 포장지를 봉투 또는 가방에 담아서 전달하는 형태를 띠게 된다.Packaging paper that serves as an exhibition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is simply a product received in plastic paper on the surface of the plate-like member and then displayed on foot, and when the user purchases it, the package paper having the product is delivered in an envelope or bag. Will be
이러한 종래의 포장지를 베이스와 용기의 재질이 고급스럽지 못하고 용기에 수용된 제품의 부피 때문에 용기가 불룩하게 튀어나와 미관이 좋지 않으면서 저가의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고급 귀금속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이미테이션 제품이나 악세사리와 같은 일부 제품에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Such a conventional wrapping paper is not luxurious in the material of the base and the container, and because of the volume of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 container pops out bulging and the aesthetics are not good. It is a situation that is limited to some products.
이로 인하여 귀금속과 같은 고급 제품들의 들의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투명한 전시실을 통하여 전시하고, 선택된 제품을 2중 또는 3중으로 포장하여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high-quality products such as precious metals are displayed in a transparent exhibition room as in the prior art, and have adhered to the traditional method of packaging the selected products in double or triple and delivering them to users.
이와 같이 전통적인 방식의 경우에는 전시와 포장을 구분하여야 하기 때문에 포장에 불필요하게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전시를 겸할 수 있도록 한 포장지의 경우에는 전시 판매의 용이성은 제공할 수 있으나, 포장상태를 고급화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고급화가 어려운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traditional metho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unnecessarily expensive and time-consuming investment is required in the packaging because the display and the packaging must be distinguishe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upgrade the packaging, which is difficult to upgrad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박판으로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절곡에 의하여 베이스의 전방에 결합 되어 베이스와 함께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와 커버의 양측에서 절곡에 의하여 베이스와 커버에 대하여 직각으로 세워져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베이스 및 커버와 함께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을 장착하여 커버 전방으로 노출되어 전시하거나 또는 베이스와 커버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납되어 포장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판으로 구성하여,I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base is provided with a thin plate,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e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ase by bending to accommodate the product with the base A cover forming a space, sidewalls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base and the cover by bending at both sides of the base and the cover to form a space together with the base and the cover in an overlapping state, and integrally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It consists of a selection plate that can be installed by exposing the product to the front of the cover and being displayed or stor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base and the cover to select the packaging state.
포장상자의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으면서 포장지 자체의 형상과 모양을 제품과 연동하여 다양함 미감을 가지도록 하여 포장품질을 높이면서 포장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While various designs can be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ease of packaging while improving the packaging quality by bringing the shape and shape of the packaging paper itself into a variety of aesthetics.
본 발명은 포장상자에 제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전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시상태에서 바로 포장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하여 포장에 따르는 수고와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포장지의 질감을 고급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포장되는 제품의 가지를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box that can be switched directly from the exhibition state to the packaging state while performing the exhibition in the state of receiving the product in the packaging box to improve the texture of the wrapping paper while reducing the effort and cost of packaging. It is an invention having various effects such as to increase the branches of the product being packaged.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를 도시한 포장상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를 도시한 전시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지를 도시한 구성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state showing a packaging box serving as an exhibition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box serving as an exhibition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velopment of the packaging box serving as an exhibition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packaging box serving as a display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a packaging box serving as a display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rapping paper serving as a display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를 도시한 포장상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를 도시한 전시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의 전개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state showing a packaging box serving as an exhibition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box serving as a display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packaging box serving as a display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5 is a display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packaging box, which also serves as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100)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합성수지) 계통의 재질이면서 얇은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101)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01)의 하단에는 베이스(101)의 전방에 결합 되어 베이스(101)와 함께 제품(102)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103)을 형성하는 커버(104)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101)의 상단에는 제품(102)을 장착하여 커버(104) 전방으로 노출되어 전시하거나 공간(103)에 수납되어 포장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판(105)으로 구성한다.The
상기 베이스(101)와 커버(104)의 연결부위는 절곡선(106)을 형성하여 베이스(101)에 대하여 커버(104)가 쉽게 개,폐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101)와 커버(104)의 양측에는 공간(103)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절곡선(106)에 의하여 베이스(101)와 커버(104)에 대하여 직각으로 세워져 서로 겹칠 수 있도록 측벽(107)을 형성한다.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상기 베이스(101)와 커버(104)에 형성되는 측벽(107)에는 각각 절취선(108)에 의하여 끼움돌기(109)와 끼움홈(110)을 형성하여 서로 겹쳐진 상태의 측벽(107)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베이스(101)의 상단과 커버(104)의 하단에는 베이스(101)에 커버(104)를 결합하였을 때 전시대의 걸고리에 걸어서 유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돌출되는 걸이대(1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걸이대(111)에는 걸이공(112)을 형성한다.When the
상기 베이스(101)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이대(111)는 선택판(105)의 중앙에 는 절취선(108)을 형성하고 양측은 절곡선(106)을 형성하여 선택판(105)을 접으면 걸이대(111)가 노출되도록 한다.The
상기 선택판(105)의 중도에는 제품(102)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113)을 형성하고, 선택판(105)의 끝단에는 커버(104) 외면에 밀착되어 제품(102)을 전시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104)에 형성되는 끼움홈(114)과 결합 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115)를 형성한다.In the middle of the
상기 커버(104)의 중도(선택판에 형성되는 장착홀과 동일한 위치)에는 확인창(116)을 형성하여 선택판(105)이 공간(103)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제품(102)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A
상기 베이스(101)와 커버(104)의 형상을 본 발명에서는 조립 완성시 상,하측에 비하여 중앙부의 폭이 좁은 형태를 띠고, 측벽(107)은 상,하측에 비하여 중앙부의 폭이 넓은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 도지하지 않은 다양한 형상으로도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상기 커버(104)에 형성하는 확인창(116) 역시 전시 또는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102)의 종류에 맞게 그 형상을 다양하게 실시하여 제품(102)과 연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자명하다 할 것이다.It is also apparent that the
또한, 제품(102)이 장착되는 선택판(105)에는 다양한 색채로 표현하거나 이종(異種)의 질감을 가지는 재질을 더 부착하여 장착되는 제품을 돋보이게 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tate of use of the
포장상자(100)가 전개된 상태에서는 베이스(101)와 커버(104)에 형성되는 측벽(107)을 절곡선(106)을 통하여 절곡하여 베이스(101)와 커버(104)에 대하여 직각으로 세우고, 베이스(10)의 하단에 절곡선(106)을 절곡하여 커버(104)를 베이스(104)으로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한다.In the unfolded state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104)의 측벽(107)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09)를 베이스(101)의 측벽(107)에 형성되는 끼움홈(110)에 결합하여 제 형상을 유지하면서 베이스(101)와 커버(104) 및 측벽(107)에 의하여 제품(102)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103)이 형성되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그런 다음, 베이스(101)의 상단에 연결되는 선택판(105)을 절곡선(106)을 통하여 전방으로 절곡시키면, 연결위치 중앙부에 형성된 절취선(108)을 통하여 걸이대(111)가 노출됨과 아울러 커버(104)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이대(111)와 일치된다.Then, when th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품(102)을 선택판(105)에 형성되는 장착홀(113)에 장착한 후, 전시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택판(105)을 커버(104)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끼움돌기(115)를 끼움홈(114)에 결합시켜 선택판(105)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걸이대(111)에 형성된 걸이공(112)을 통하여 전시대에 걸어서 전시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이 경우에는 포장치(100)의 내부에는 제품이 없고 커버(104)의 전방에 결합 된 선택판(105)에 제품(102)에 장착되어 이용자들이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구매를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거이다.In this case, there is no product inside the
그리고, 이용자들이 구매를 위하여 선택된 제품의 경우에는, 포장상자(100)에 그대로 포장하게 되는 데, 베이스(101)에 결합 된 커버(104)를 개방한 후 제품(102)을 장착한 선택판(105)을 절곡하여 베이스(101)의 내면에 밀착한다.And, in the case of a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for the purchase, it will be packaged as it is in the
선택판(105)의 밀착이 완료된 후에는 개방하였던 커버(104)를 다시 베이스(101)의 전방과 결합시켜 측벽(107)에 형성된 끼움돌기(109)를 끼움홈(110)과 결합시켜 결속함으로써 제품(102)은 베이스(101)와 커버(104)가 형성하는 공간(103)에 수용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After the adhesion of the
이와 같이 제품(102)이 공간(103)에 위치하고 있더라도 제품(102)이 위치한 커버(104)에는 확인창(1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확인창(116)을 통하여 포장된 상태에서도 제품(102)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even if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포장상자의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으면서 포장지 자체의 형상과 모양을 제품과 연동하여 다양함 미감을 가지도록 하여 포장품질을 높이면서 포장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express a variety of designs on the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to provide a variety of aesthetics in conjunction with the shape and shape of the packaging paper itself to provide a variety of aesthetics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ackaging, such as ease of packaging Has an advantage.
100; 포장지
101; 베이스
104; 커버
105; 선택판
107; 측벽
111; 걸이대
113; 장착홀
116; 확인창100; wrapping paper
101; Base
104; cover
105; Selection
107; Side wall
111; Hanger
113; Mounting hole
116; Confirmation window
Claims (5)
상기 베이스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절곡에 의하여 베이스의 전방에 결합 되어 베이스와 함께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와 커버의 양측에서 절곡에 의하여 베이스와 커버에 대하여 직각으로 세워져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베이스 및 커버와 함께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제품을 장착하여 커버 전방으로 노출되어 전시하거나 또는 베이스와 커버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납되어 포장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판과;
상기 베이스와 커버의 연결부위, 베이스와 커버에 형성하는 측벽 연결부위 는 절곡선에 의하여 베이스에 대하여 커버 및 측벽이 개,폐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와 커버에 형성되는 측벽에 절취선으로 형성하여 서로 겹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돌기와 끼움홈;
상기 베이스의 상단과 커버의 하단에는 베이스에 커버를 결합하였을 때 걸고리에 걸어서 유지할 수 있도록 걸이공을 가지는 걸이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이대는 선택판 중앙에 절취선을 형성하고 양측은 절곡선을 형성하여 선택판을 접으면 걸이대가 노출되게 하여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를 구성하고;
상기 선택판의 중도에는 제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선택판의 끝단에는 커버 외면에 밀착되어 제품을 전시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결합 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에는 선택판이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제품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를 겸하는 포장상자.A base provided with a thin plate;
A cover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and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ase by bending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roduct together with the base;
Sidewalls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base and the cover by bending at both sides of the base and the cover to form a space together with the base and the cover in an overlapping state;
A selection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nd of the base to mount the product and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ver for display or to be housed in a space formed by the base and the cover to select a packaging state;
The connection part of the base and the cover, the side wall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base and the cover to open and close the cover and the side wall with respect to the base by a bend line;
Fitting protrusions and fitting grooves formed by cutting lines on sidewalls formed in the base and the cover to maintain the overlapping state;
An upper end of the base and a lower end of the cover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hook having a hook hole so as to be held on a hook whe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base;
A hanger formed at the top of the base forms a perforation line at the center of the selection plate, and both sides form a bend line to fold the selection plate so that the hanger is exposed to constitute a packing box serving as an exhibition;
A mounting hole for mounting a product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election plate;
An end portion of the selection plate formed in the fitting protrus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lection plate so as to be combined with a fitting groove formed in the cover to maintain the product in an exhibition state;
The cover is a packaging box that serves as an exhibi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onfirmation window that can visually confirm the product even when the selection plate is located in the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4930A KR101290821B1 (en) | 2012-02-14 | 2012-02-14 | Packing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4930A KR101290821B1 (en) | 2012-02-14 | 2012-02-14 | Packing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0821B1 true KR101290821B1 (en) | 2013-08-01 |
Family
ID=4921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49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0821B1 (en) | 2012-02-14 | 2012-02-14 | Pack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082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42496A (en) * | 2017-02-20 | 2017-05-31 | 上海诚艺包装科技有限公司 | Paper bag material connects bottom packing box |
KR20190055420A (en) | 2017-11-15 | 2019-05-23 | 한병욱 | An packing case for display |
KR20210017634A (en) | 2019-08-09 | 2021-02-17 | 김다연 | An packing case and the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6839Y1 (en) * | 2004-08-05 | 2004-11-06 | 방광호 | Transparent band for packing rubber bands |
KR200397987Y1 (en) * | 2005-06-01 | 2005-10-12 | 김일환 | Display of good packing unit |
-
2012
- 2012-02-14 KR KR1020120014930A patent/KR1012908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6839Y1 (en) * | 2004-08-05 | 2004-11-06 | 방광호 | Transparent band for packing rubber bands |
KR200397987Y1 (en) * | 2005-06-01 | 2005-10-12 | 김일환 | Display of good packing uni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42496A (en) * | 2017-02-20 | 2017-05-31 | 上海诚艺包装科技有限公司 | Paper bag material connects bottom packing box |
KR20190055420A (en) | 2017-11-15 | 2019-05-23 | 한병욱 | An packing case for display |
KR20210017634A (en) | 2019-08-09 | 2021-02-17 | 김다연 | An packing case and the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32624B2 (en) | Drawer type packing box | |
KR101290821B1 (en) | Packing box | |
US20140083903A1 (en) | Electronic device accessories packag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 |
KR200429695Y1 (en) | Packing case for piece cake | |
KR20120019094A (en) | Multipurpose packing box and supporter in one | |
JP7096824B2 (en) | Product package | |
KR200417987Y1 (en) | Goods packaging boxes | |
US9914561B2 (en) | Product packaging | |
JP3205929U (en) | Mirror cover and mirror | |
JP5674884B1 (en) | Jewelry storage box | |
KR20110003459U (en) | Cake box | |
KR200449015Y1 (en) | Packing box | |
JP5613541B2 (en) | Package with product display and packaging method for package with product display | |
JP3097587U (en) | Watch display stand | |
KR200382462Y1 (en) | Packing case | |
JP4183136B2 (en) | Packaging case | |
KR200468285Y1 (en) | Box for display | |
JP3110061U (en) | In-store sales promotion display tool | |
JP4547716B2 (en) | Pouch fittings | |
KR200410644Y1 (en) | Transparent Cake Packaging Box | |
KR200346019Y1 (en) | Stones for nail art and the package thereof. | |
JPH0212222Y2 (en) | ||
CN204264671U (en) | A kind of cosmetics anchor fitting | |
KR200188251Y1 (en) | Packaging box for fruits | |
KR100741487B1 (en) | Wreath with storage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