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819B1 - 전단고무스프링을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단고무스프링을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9819B1 KR101289819B1 KR1020130004845A KR20130004845A KR101289819B1 KR 101289819 B1 KR101289819 B1 KR 101289819B1 KR 1020130004845 A KR1020130004845 A KR 1020130004845A KR 20130004845 A KR20130004845 A KR 20130004845A KR 101289819 B1 KR101289819 B1 KR 101289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hear
- vertical load
- bearing block
- rubber sp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상부구조물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중간지지부재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상부부재가 구조물 지지부에 대해 좌우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예를 나타낸 구조물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구조물 지지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구조물 지지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상부부재가 왼쪽으로 수평변위 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구조물 지지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구조물 지지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전단고무스프링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20: 하부부재 130: 수직하중 지지부
131: 제1지지체 141: 제2지지체
150: 제3지지체 160: 중간지지부재
170: 전단고무스프링
Claims (14)
-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구조물에 대해 수평변위를 일으킨 상기 상부구조물에 대한 복원기능을 가지는 구조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체로부터 상기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구조물 쪽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1지지체에 대한 수평이동의 제한을 받는 제2지지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구조물이 상기 하부구조물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의 경사를 허용하는 수직하중 지지부;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 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부재;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부재;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에 대한 상기 상부부재 또는 상기 하부부재의 수평방향 변위에 탄성적으로 저항하며 수평방향으로 변위된 상기 상부부재 또는 상기 하부부재의 수평방향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전단고무스프링; 및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에 대해 항상 일정한 수평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의 상기 일단과 연결된 것은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에 대해 적어도 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은 상기 중간지지부재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는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의 상기 일단과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에 고정되어 있거나 경사만 허용되고 수평변위는 할 수 없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은 상기 중간지지부재 상측과 하측 모두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둘 모두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에 대해 적어도 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은 내부에 심재들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탄성고무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은 내부에 심재들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탄성고무, 상기 탄성고무 상면에 고정된 상고정판 및 상기 탄성고무 저면에 고정된 하고정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은 탄성고무와 심재가 계단을 이루며 층상으로 쌓아올려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 중 하나는 강체(剛體)로 된 베어링블록이고 나머지 하나는 중앙부에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을 갖는 고무로 된 디스크이고,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상기 베어링블록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무로 된 디스크는 상기 베어링블록에 일단이 결합된 전단핀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단핀의 타단은 상기 베어링 블록 반대편에 설치된 상기 하부부재 또는 상기 상부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단핀의 양단 중 일단은 이 일단이 결합된 것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이 타단이 결합된 것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블록의 수평이동은 방해하면서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상부부재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허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 중 하나는 강체(剛體)로 된 베어링블록이고 나머지 하나는 중앙부에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을 갖는 고무로 된 디스크이고,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상기 베어링블록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무로 된 디스크는 상기 베어링블록에 일단이 결합된 전단핀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단핀의 타단은 상기 베어링 블록 반대편에 설치된 하고정판 또는 상고정판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단핀의 양단 중 일단은 이 일단이 결합된 것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이 타단이 결합된 것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블록의 수평이동은 방해하면서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상부부재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허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 중 하나는 하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삽입부를 갖는 강체로 된 베어링블록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상기 돌출삽입부와 마주하는 것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탄성고무이고,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상기 베어링블록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삽입부가 삽입된 상기 홈은 상기 돌출삽입부의 수평이동은 방해하면서 상기 돌출삽입부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허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하중 지지부는 오목홈이 구비된 제3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 중 하나는 하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삽입부를 갖는 강체로 된 베어링블록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3지지체의 오목홈에 삽입된 탄성고무이고,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체 또는 상기 제3지지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삽입부가 삽입된 상기 오목홈은 상기 돌출삽입부의 수평이동은 방해하면서 상기 돌출삽입부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허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 중 하나는 하방 또는 상방으로 볼록한 볼록구면을 갖는 강체로 된 볼록구면부재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볼록구면과 결합하여 상기 볼록구면부재의 수평이동은 방해하면서 상기 볼록구면부재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허용하는 오목구면을 가지는 오목구면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의 전단계수는 0.4-1.25Mpa이고, 상기 전단고무스프링은 파손이 발생되기 전까지의 최대 전단변형율이 300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4845A KR101289819B1 (ko) | 2013-01-16 | 2013-01-16 | 전단고무스프링을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4845A KR101289819B1 (ko) | 2013-01-16 | 2013-01-16 | 전단고무스프링을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9819B1 true KR101289819B1 (ko) | 2013-07-26 |
Family
ID=4899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48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9819B1 (ko) | 2013-01-16 | 2013-01-16 | 전단고무스프링을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981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0025B1 (ko) * | 2013-10-15 | 2014-06-20 | (주)알티에스 | 플라스틱 베어링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
CN106049261A (zh) * | 2016-06-16 | 2016-10-26 | 李明 | 一种桥梁用防震支座 |
KR101815654B1 (ko) * | 2017-03-20 | 2018-01-09 |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 면진장치 및 이를 위한 스포크 스프링 |
CN109056515A (zh) * | 2018-09-13 | 2018-12-21 | 北京城建十六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减震支座 |
KR20240067533A (ko) * | 2022-11-09 | 2024-05-17 | (주)동양기업 | 함정용 방진마운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3245B1 (ko) | 2006-12-06 | 2007-12-06 | 조영철 | 복수의 탄성기둥을 가지는 교좌장치 |
JP4040422B2 (ja) | 2002-10-07 | 2008-01-30 |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
-
2013
- 2013-01-16 KR KR1020130004845A patent/KR10128981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40422B2 (ja) | 2002-10-07 | 2008-01-30 |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
KR100783245B1 (ko) | 2006-12-06 | 2007-12-06 | 조영철 | 복수의 탄성기둥을 가지는 교좌장치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0025B1 (ko) * | 2013-10-15 | 2014-06-20 | (주)알티에스 | 플라스틱 베어링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
CN106049261A (zh) * | 2016-06-16 | 2016-10-26 | 李明 | 一种桥梁用防震支座 |
KR101815654B1 (ko) * | 2017-03-20 | 2018-01-09 |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 면진장치 및 이를 위한 스포크 스프링 |
CN109056515A (zh) * | 2018-09-13 | 2018-12-21 | 北京城建十六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减震支座 |
CN109056515B (zh) * | 2018-09-13 | 2024-01-02 | 北京城建十六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减震支座 |
KR20240067533A (ko) * | 2022-11-09 | 2024-05-17 | (주)동양기업 | 함정용 방진마운트 |
KR102707326B1 (ko) | 2022-11-09 | 2024-09-19 | (주)동양기업 | 함정용 방진마운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9819B1 (ko) | 전단고무스프링을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 |
CN101372843B (zh) | 摩擦型有限跷动减震柱 | |
KR101803421B1 (ko) | 중앙부 설치형 부반력키를 구비한 교량용 스페리컬 받침 | |
KR200473182Y1 (ko) |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 |
KR101232906B1 (ko) | 진동감쇠 마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 |
KR101440878B1 (ko) | 덮개판과 지지대가 구비된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 |
KR20130043856A (ko) | 강재 스프링을 이용한 교량용 디스크받침 | |
KR100783245B1 (ko) | 복수의 탄성기둥을 가지는 교좌장치 | |
CN100370087C (zh) | 滑移型多维隔震装置 | |
KR102170121B1 (ko) | 마찰진자형 교량 면진 받침 | |
KR101467458B1 (ko) | 수평강성이 보강된 마찰형 교좌장치 | |
KR20150047754A (ko) | 스프링 및 고무 댐퍼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마찰형 지진 격리받침 | |
TWI408270B (zh) | 抗上揚隔震支承、其應用之隔震方法、其應用之隔震結構及其應用之質量阻尼器 | |
CN101144293A (zh) | 防倾覆锚定滑轨装置 | |
JP5385629B2 (ja) | 免震装置 | |
CA2930193C (en) | Polygonal seismic isolation systems | |
KR102138940B1 (ko) | 쐐기를 이용한 탄성 마찰댐퍼 및 이를 이용한 댐핑구조물 | |
KR101293331B1 (ko) |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분력을 이용한 수평변위 조절기구와 교좌장치 | |
KR101051059B1 (ko) | 면진용 디스크 받침 | |
KR20140117052A (ko) |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 |
JP4566971B2 (ja) | すべり支承免震装置 | |
JP5119383B1 (ja) | 不陸調整機能を有する構造物用滑り支承装置。 | |
JP2016079799A (ja) | 制振構造 | |
JP4706958B2 (ja) | 免震構造 | |
JP2007239179A (ja) | 免震構造及びその免震構造に使用される免震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4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7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6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4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