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390B1 - Device for motorized access passageways - Google Patents
Device for motorized access passageway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9390B1 KR101289390B1 KR1020120093588A KR20120093588A KR101289390B1 KR 101289390 B1 KR101289390 B1 KR 101289390B1 KR 1020120093588 A KR1020120093588 A KR 1020120093588A KR 20120093588 A KR20120093588 A KR 20120093588A KR 101289390 B1 KR101289390 B1 KR 1012893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te
- gate door
- link
- rotary
- rotary 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상기 프레임에 조립되는 제1 및 제2회전링크;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로드;
상기 구동로드의 일단과 상기 제1회전링크에 조립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링크의 정,역회전을 단속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는, 게이트 도어를 개폐하는 내부링크의 회전이 좌,우 대칭을 이루게 됨으로써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고 내부링크에 작용하는 작용력이 감소하여 게이트 장치의 고장이 줄어들고 수명이 증가하며 유지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통로의 개방 및 폐쇄시에 게이트 도어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고, 게이트 도어의 신속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출입자가 몰리더라도 출입통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링크의 연결구조로 인하여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어도 게이트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게 됨으로써, 출입자의 증감에 따라 게이트 장치에 대한 전원의 인가 및 차단만으로 출입구에 복수로 구비된 게이트 장치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내부링크에 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게이트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게이트 도어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First and second rotary links assembled to the frame;
A drive motor installed under the frame;
A driving ro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 connecting rod assembled to one end of the driving rod and the first rotary link;
A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or second rotary link; And
And a contact member having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limit switches.
In the gate device for access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inner link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door is symmetrical left and right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motor and to reduce the action force acting on the inner link to reduce the failure of the gate device and life This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is effective.
In addi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gate door is maintained at the same time when the access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rapid rotation of the gate door is possible, so that access control can be made smoothly even if the accessor is crowded.
In addition, du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ner link, the gat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without a separate locking device, so that a plurality of gate devices are provided at the entrance only by applying and blocking power to the gate device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ccessor. It becomes operational.
In addition, by installing a shock absorber on the inner link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without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gate door through a simple operation, so that the rotation of the gate door can be made smoothly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입인원을 통제하는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윙 타입의 게이트 도어를 회전시키는 내부링크의 회전구간이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져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고 내부구조에 작용하는 충격력이 감소하는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 device for controlling the entrance and exit, 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section of the inner link for rotating the swing-type gate door left and right symmetrical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motor and the impact force acting on the internal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reasing gate control device.
일반적으로, 기밀이 요구되는 자료를 취급하여 출입자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요구되는 기업체 및 관공서와 같은 단체의 출입구, 또는 유료로 운영되며 다수의 출입자가 이용하는 지하철 및 놀이공원과 같은 시설물의 출입구에는 관리인이나 보안요원이 출입자를 일일이 확인하여 출입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수의 출입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출입이 허가된 다수의 출입자가 마그네틱 티켓이나 RF카드 등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출입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게이트 장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the entrance of an organization such as a corporation or a government office that requires strict control over visitors by handling confidential data, or the entrances of facilities such as subways and amusement parks that are operat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operated by a large number of visitors. In order to prevent security personnel from delaying access time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a large number of visitors, security personnel can use the magnetic ticket or RF card to automatically access the access passage. A gate device that opens or closes is installed.
종래에는 턴 타입 게이트(Turn Type Gate)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게이트 도어(Gate Door)의 개폐방식에 따라 슬라이드 타입 게이트(Slide Type Gate), 스윙 타입 게이트(Swing Type Gate)와 같은 다양한 구조의 게이트 장치도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turn type gate has been mainly used, and recently,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gate and a swing type gate according to a gate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are used. Gate devices are also used.
특히, 스윙 타입 게이트는 모터의 정,역회전을 이용해 게이트 도어를 구동하여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 장치로서, 종래의 스윙 타입 게이트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스윙 타입 게이트는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와 연결된 게이트 도어(1)를 개방상태(실선표시) 또는 폐쇄상태(점선표시)로 이동시켜 출입통로를 개폐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swing type gate is a gate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an access passage by driving a gate door us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a motor, and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wing type gate is illustrated in FIG. 1.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swing type gate moves the gate door 1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to an open state (solid line display) or a closed state (dashed line display) to open and close the access passage.
그러나, 종래의 스윙 타입 게이트는 게이트 도어를 개폐하는 내부링크의 회전구조(A↔B)가 출입통로측에 치우쳐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출입통로가 폐쇄되는 경우(A→B)에는 내부링크와 지면에 대략 수직한 각도로 연결되어 있던 게이트 도어(1)가 상측으로 치우쳐서 회전되어야 하므로 반복사용시 강화유리 등의 무거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도어(1)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에 많은 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wing type gat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structure (A↔B) of the inner link that opens and closes the gate door is biased toward the access passage side, so that when the access passage is closed (A → B), Since the gate door 1, which was connected at an angl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hould be rotated upward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large load was applied to the motor to rotate the gate door 1 made of a heavy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during repeated use. .
한편, 개방상태로 전환시(B→A)에 게이트 도어(1)는 하측으로 편향된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게이트 도어(1)가 인입되는 게이트 케이싱(2)의 내부구조에 게이트 도어(1)에 의한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구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완충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switching to the open state (B → A), the gate door 1 is rotated to be biased downward, so that the gate door 1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출입통로측으로 편향된 내부링크의 회전구조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가 상향회전되어 출입통로가 폐쇄되는 경우와 하향회전되어 출입통로가 개방되는 경우간에 회전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difference in rotational speed occurs between the case where the gate door is rotated upward by the rotation structure of the inner link biased toward the access passage side and the access passage is closed when the gate passage is closed downward.
아울러, 종래의 스윙 타입 게이트는 게이트 도어(1)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가 별도로 더 설치되어야 하므로 게이트 장치의 내부구성이 복잡해지고 생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wing type gate ha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ate device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because the locking device for maintaining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gate door (1)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전술한 종래 게이트 장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게이트 도어를 회전시키는 내부링크의 회전구간이 출입통로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대략 좌,우 대칭을 이루게 함으로써 내구성이 증가하고 게이트 도어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gate device, the durability is increased by making the rotation section of the inner link for rotating the gate door to be approximately left and right symmetry without defle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ccess passage. The rotation speed of the gate door is kept the same.
또한, 출입통로의 개방 또는 폐쇄위치에서 추가적인 잠금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게이트 도어를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게이트 도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gat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without additional installation of an additional locking device in the opening or closing position of the access passage,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gate door is adjusted without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상기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간부와, 상기 게이트 도어에 힌지 조립되는 종동부와, 연결링크로 서로 연결되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회전링크;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part rotatably assembled to a pair of fixed shafts arranged up and down at intervals on the frame, the driven part hinged to the gate door, and a driving part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link. First and second rotary links;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일정각도 이내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A drive motor installed below the frame and rotating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로드;A driving ro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상기 구동로드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회전링크의 구동부에 조립되는 커넥팅로드;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ing rod and assembled at the other end to a driving unit of the first rotary link;
상기 고정샤프트에 인접하여 대칭형태로 배치되어 제1 또는 제2회전링크의 정,역회전을 단속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및A pair of limit switches disposed in a symmetrical form adjacent to the fixed shaft to control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or second rotary link; And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링크와 일체로 조립되어 함께 회전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air of contact surface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limit switch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first or second rotary link and rotated toge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로드의 정,역회전작동구간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는 상기 구동로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댐퍼가 구비되며, 상기 게이트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와 힌지 조립되는 게이트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링크의 중간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힌지 조립되는 신축가능한 완충부재가 더 구비된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dampers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rod is provided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sections of the drive rod, the one side edge of the gate door A gate bracket hingedly assembl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link is provided, and a stretchable shock absorbing member hing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link and one side of the frame is further provided.
아울러,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커넥팅로드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지점을 지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1 또는 제2댐퍼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게이트 도어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로드의 정,역회전작동구간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는 상기 구동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driving rod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open state or the closed state of the gate door by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or second damper installed at a position passing through a point located in line with the connecting rod.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rod is provided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of the reverse rotation operation section.
본 발명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는, 게이트 도어를 개폐하는 내부링크의 회전이 좌,우 대칭을 이루게 됨으로써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고 내부링크에 작용하는 작용력이 감소하여 게이트 장치의 고장이 줄어들고 수명이 증가하며 유지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gate device for access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inner link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door is symmetrical left and right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motor and to reduce the action force acting on the inner link to reduce the failure of the gate device and life This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is effective.
또한, 출입통로의 개방 및 폐쇄시에 게이트 도어의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고, 게이트 도어의 신속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출입자가 몰리더라도 출입통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gate door is maintained at the same time when the access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rapid rotation of the gate door is possible, so that access control can be made smoothly even if the accessor is crowded.
또한, 내부링크의 연결구조로 인하여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어도 게이트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게 됨으로써, 출입자의 증감에 따라 게이트 장치에 대한 전원의 인가 및 차단만으로 출입구에 복수로 구비된 게이트 장치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ner link, the gate door is automatically locked without a separate locking device, so that a plurality of gate devices are provided at the entrance only by applying and blocking power to the gate device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ccessor. It becomes operational.
아울러,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지 않고도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내부링크에 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게이트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게이트 도어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shock absorber on the inner link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without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gate door through a simple operation, so that the rotation of the gate door can be made smoothly do.
도 1은 종래 게이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개방된 상태의 잠금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작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폐쇄된 상태의 잠금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작용상태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ventional gate device.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cess passage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cess passage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or closed.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access passage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action state showing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access passage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 state.
Figure 8 is a partial action state showing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access passage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In addition, in the figure shown by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was applied about the part of the same nam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개방된 상태의 잠금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의 출입통로가 폐쇄된 상태의 잠금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ccess passage of an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FIG. 5 illustrates that an access passage of an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or closed.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cess passage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gate device for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 locking structure of the access passage of the open state, Figure 8 is the access passage of the access control ga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A front view of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state.
도 2 내지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출입구에 상기 게이트 장치(100)의 케이싱(110)과 출입통로(190)를 개폐하는 게이트 도어(13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10) 내부의 프레임(1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간부(13)와 연결링크(16)로 서로 연결되는 구동부(15) 및 상기 게이트 도어(130)에 힌지 조립되는 종동부(14)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가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150) 하부에는 회전축에 구동로드(20)가 결합되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로드(20)와 상기 제1회전링크(11)를 연결하는 커넥팅로드(3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링크(11,12)의 정,역회전을 단속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40)가 제1 또는 제2회전링크(11,12)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40)에 접촉되는 접촉부재(50)는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링크(11,12)와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구동로드(20)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댐퍼(61,62)와 한 쌍의 위치감지센서(8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크(16)와 상기 프레임(150)을 연결하는 완충부재(70)를 포함한다.2 to 6, the access
먼저, 출입구에 설치되는 케이싱(110) 내부의 프레임(150) 하부에는 회전축에 구동로드(20)가 결합되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출입 바코드 또는 RF 신호를 감지하여 일정각도 범위의 정,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120)의 회전축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구동로드(20)의 타단부는 원호형상의 경로를 따라 왕복이동된다.First, a
상기 커넥팅로드(30)의 일단은 구동모터(120)의 정,역회전에 의해 원호형상의 경로를 따라 왕복회전되는 구동로드(20)의 타단부에 힌지 조립되고, 타단은 제1회전링크(11)의 구동부(15)의 단부에 힌지 조립되어 구동로드(20)의 회전운동을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상기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는, 중간부(13)가 구동모터(1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고정샤프트(141,14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구동부(15)는 서로 연결링크(16)로 연결되며 종동부(14)는 게이트 도어(130)와 힌지 조립된다. 그리고, 연결링크(16)와 연결되는 제1회전링크(11)의 구동부(15)는 커넥팅로드(30)와 연결되어 커넥팅로드(30)의 왕복이동을 제1 및 제2고정샤프트(141,142)를 중심으로 하는 종동부(14)의 왕복회전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의 종동부(14)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도어(130)는 출입통로(190)를 개폐하기 위한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상기 리미트 스위치(40)는 한 쌍의 제1 및 제2리미트스위치(41,42)로 구성되고, 제2고정샤프트(142)의 상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2회전링크(12)의 정,역회전을 단속한다. 즉, 제2회전링크(12)와 일체로 제2고정샤프트(142)에 조립되는 상기 접촉부재(50)는 리미트 스위치(40)의 접촉부와 접촉되는 제1 및 제2접촉면(51,52)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링크(12)의 정,역회전이 완료되는 각도에서 제1 및 제2리미트스위치(41,42)의 접촉부에 제1 및 제2접촉면(51,52)이 각각 접촉되며, 이에 따라 게이트 도어(130)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에 대한 신호를 자동제어장치에 전달하게 된다.The limit switch 40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41, 42), and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상기 제1 및 제2댐퍼(61,62)는 상기 구동로드(20)의 정,역회전구간의 양측 즉, 출입통로(190)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로드(20)가 왕복회전하는 구간을 한정한다. 즉, 상기 구동로드(20)와 커넥팅로드(30)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에 힌지 조립되는 상기 게이트 도어(130)가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 이상의 각도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동로드(20)의 왕복회전구간 양단부에 구간을 한정하고 회전력을 완충하는 제1 및 제2댐퍼(61,62)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댐퍼(60)는 댐퍼브래킷(63)에 위치조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프레임(150)에 설치된다.The first and
또한, 게이트 도어(130)가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회전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댐퍼(61,62)가 구비됨으로써 게이트 도어(130)가 자동으로 잠기게 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게이트 장치(100)는 게이트 도어(130)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구동로드(20)와 커넥팅로드(30)의 특징적인 연결구조와 제1 및 제2댐퍼(61,62)의 조합구조를 통하여 게이트 도어(130)가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잠김구조는, 서로 연결된 구동로드(20)와 커넥팅로드(30)가 구동모터(120)의 회전에 의해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120)의 중심축으로부터 커넥팅로드(30)가 연결되는 제1회전링크(11)의 구동부(15)까지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며,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에 연결되는 게이트 도어(130)가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회전되는 작동구조를 가진다. 이때, 구동로드(20)와 커넥팅로드(30)는 게이트 도어(130)가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회전되기 직전에 구동로드(20)의 중심선과 커넥팅로드(30)의 중심선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지점을 지나서 구동로드(20)가 제1 및 제2댐퍼(61,62)에 접촉되게 된다. 즉, 구동로드(20)의 중심선과 커넥팅로드(30)의 중심선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지점을 지나게 되면 구동모터(120)의 중심축으로부터 커넥팅로드(30)가 연결되는 제1회전링크(11)의 구동부(15)까지의 길이변화가 증가에서 감소로 또는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됨으로써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의 회전방향이 바뀌게 되고, 이때 구동로드(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제1 및 제2댐퍼(61,62)가 구비됨으로써 게이트 도어(130)가 자동으로 잠기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도 7을 참조하면, 게이트 도어(130)가 출입통로(190)의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회전되면 제1리미트스위치(41)가 접촉부재(50)의 제1접촉면(51)에 접촉됨으로써 구동모터(120)의 회전이 정지되며,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가지는 게이트 도어(130)의 하중이 구동로드(20)와 커넥팅로드(30)의 연결구조와 제1 또는 제2댐퍼(61,62)의 조합된 구조에 작용함으로써 게이트 도어(130)의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게이트 도어(130)가 개방상태로 회전된 후 구동모터(120)가 정지하게 되면, 게이트 도어(130)의 하중에 의하여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팅로드(30)는 구동로드(2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커넥팅로드(30)와 힌지 연결되는 구동로드(30)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레버의 우측에 제2댐퍼(62)가 구비됨으로써 구동로드(20)의 시계방향 회전이 단속되고, 따라서 상기 게이트 도어(130)는 출입통로(19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게이트 도어(130)가 출입통로(190)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회전되면 제2리미트스위치(42)가 접촉부재(50)의 제2접촉면(52)에 접촉됨으로써 구동모터(120)의 회전이 정지되며, 개방상태와 마찬가지로 게이트 도어(130)의 하중이 구동로드(20)와 커넥팅로드(30)의 연결구조와 제1 또는 제2댐퍼(61,62)의 조합된 구조에 작용함으로써 게이트 도어(130)의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게이트 도어(130)가 폐쇄상태로 회전된 후 구동모터(120)가 정지하게 되면, 게이트 도어(130)의 하중에 의하여 제1 및 제2회전링크(11,12)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팅로드(30)는 제1회전링크(11)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커넥팅로드(30)와 힌지 연결되는 구동레버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레버의 우측에 제1댐퍼(61)가 구비됨으로써 구동레버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단속되고, 따라서 상기 게이트 도어(130)는 출입통로(190)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when the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80)는 구동로드(20)의 정,역회전구간 양측 말단부의 원주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로드(20)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개방 또는 폐쇄상태로 회전된 게이트 도어(130)는 리미트 스위치(40)의 단속에 의해 구동모터(120)가 정지하게 되고, 자체하중에 의해 제1 또는 제2댐퍼(61,6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 또는 제2댐퍼(61,62)에 접촉된 구동로드(20)의 원주방향 바깥쪽에 제1 및 제2위치감지센서(81,82)가 구비됨으로써 제1 또는 제2댐퍼(61,62)에 접촉해 있는 구동로드(20)를 감지하고, 이 데이터를 자동제어장치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위치감지센서(80)는 위치조절가능하도록 센서브래킷(83)에 결합되어 프레임(150)에 설치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80)는 포토 센서나 레이저센서 또는 초음파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80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both ends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section of the
상기 완충부재(70)는 게이트 도어(130)의 개폐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프레임(150)과 제1 또는 제2회전링크(11,1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게이트 장치(100)는 구동모터(120)의 정,역회전에 의해 게이트 도어(13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게이트 도어(130)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또는 제2회전링크(11,12)와 프레임(150)을 완충부재(70)로 연결함으로써 게이트 도어(130)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완충부재(70)는 코일 스프링에 비교하여 높은 하중과 긴 스트로크(Stroke)를 얻을 수 있고, 긴 행정에서도 일정한 반발력을 유지하며, 팽창 및 압축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가스스프링(71)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게이트 장치(100)가 건물 등의 출입구에 다수 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한 쌍의 게이트 장치(100)가 서로 마주보도록 연결되어 한 쌍의 게이트 도어(1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폐됨으로써 양측에 출입통로(190)를 형성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게이트 장치(100)의 출입통로(190)측에는 게이트 도어(130)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개폐되도록 출입통로(19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위치감지센서(160)가 설치된다.
When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alternatives, and equival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게이트 장치 110 : 케이싱
120 : 구동모터 130 : 게이트도어
131 : 도어브래킷 140 : 고정샤프트
141 : 제1고정샤프트 142 : 제2고정샤프트
150 : 프레임 10 : 회전링크
20 : 구동로드 30 : 커넥팅로드
40 : 리미트스위치 50 : 접촉부재
60 : 댐퍼 70 : 완충부재
80 : 위치감지센서 11 : 제1회전링크
41 : 제1리미트스위치 12 : 제2회전링크
42 : 제2리미트스위치 13 : 중간부
43 : 스위치브래킷 14 : 종동부
51 : 제1접촉면 15 : 구동부
52 : 제2접촉면 16 : 연결링크
61 : 제1댐퍼 81 : 제1위치감지센서
62 : 제2댐퍼 82 : 제2위치감지센서
63 : 댐퍼브래킷 83 : 센서브래킷
71 : 가스스프링 190 : 출입통로100: gate device 110: casing
120: drive motor 130: gate door
131: door bracket 140: fixed shaft
141: first fixed shaft 142: second fixed shaft
150: frame 10: rotation link
20: driving rod 30: connecting rod
40
60: damper 70: buffer member
80: position detection sensor 11: the first rotation link
41: first limit switch 12: the second rotary link
42: second limit switch 13: middle part
43: switch bracket 14: driven part
51: first contact surface 15: drive unit
52: second contact surface 16: connection link
61: first damper 81: the first position detection sensor
62: second damper 82: second position detection sensor
63: damper bracket 83: sensor bracket
71: gas spring 190: access passage
Claims (6)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샤프트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간부와, 상기 각각의 중간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 도어에 힌지 조립되는 종동부와, 상기 각각의 중간부 타측에 구비되어 연결링크로 서로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제1회전링크 및 제2회전링크;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일정각도 이내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로드;
상기 구동로드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회전링크의 구동부에 조립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고정샤프트에 인접하여 대칭형태로 배치되어 제1회전링크 또는 제2회전링크의 정,역회전을 단속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링크 또는 제2회전링크와 일체로 조립되어 함께 회전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A gate device comprising a casing provided at an entrance and a swing type gate door installed to open and close an access passage in a frame provided inside the casing.
An intermediate part rotatably assembled to a pair of fixed shafts disposed up and down at intervals on the frame, and a driven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intermediate part and hinge-assembled to the gate door, respectively A pair of first rotary links and second rotary link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part and including a driving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link;
A drive motor installed below the frame and rotating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A driving ro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ing rod and assembled at the other end to a driving unit of the first rotary link;
A pair of limit switches disposed in a symmetrical form adjacent to the fixed shaft to control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rotary link or the second rotary link; And
And a pair of contact surface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limit switches, the contact members being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first rotary link or the second rotary link and rotating together.
상기 구동로드의 정,역회전작동구간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는 상기 구동로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Gate control device for access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dampers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rod is provided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section of the drive rod.
상기 게이트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회전링크 및 제2회전링크와 힌지 조립되는 게이트 브래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Gate control device for access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edge of the gate door is provided with a gate bracket hinged with the first rotary link and the second rotary link.
상기 제1회전링크 또는 제2회전링크의 중간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힌지 조립되는 신축가능한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Gate control device for access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flexible buffer member hinged to eac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rotary link or the second rotary link and one side of the frame.
상기 구동로드는 상기 커넥팅로드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지점을 지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1 또는 제2댐퍼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게이트 도어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rod is supported by the first or second damper installed at a position passing through a point which is located in line with the connecting rod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open state or closed state of the gate door Gate device for
상기 구동로드의 정,역회전작동구간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는 상기 구동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The method of claim 1,
Gate control device for access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e rod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peration section of the drive r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3588A KR101289390B1 (en) | 2012-08-27 | 2012-08-27 | Device for motorized access passageway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3588A KR101289390B1 (en) | 2012-08-27 | 2012-08-27 | Device for motorized access passageway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9390B1 true KR101289390B1 (en) | 2013-07-29 |
Family
ID=4899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3588A Active KR101289390B1 (en) | 2012-08-27 | 2012-08-27 | Device for motorized access passageway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9390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0708B1 (en) * | 2014-09-17 | 2014-11-21 | 주식회사 지엘앤티 | Passing control apparatus for gate |
KR101468684B1 (en) * | 2014-09-17 | 2014-12-11 | 주식회사 지엘앤티 | Passing control apparatus for gate |
KR101747102B1 (en) | 2017-02-13 | 2017-06-14 | 주식회사 스마트코어 | Apparatus for a gate with enhanced security |
KR102085455B1 (en) * | 2018-10-29 | 2020-03-05 | 김병기 | swing type gate apparatus |
KR102095167B1 (en) | 2019-11-13 | 2020-03-31 | 김원기 | Gate apparatus capable of auto blocking entry route |
KR102095166B1 (en) | 2019-11-13 | 2020-05-27 | 김원기 | Monitoring system of blocking apparatus for stream entry route |
CN111612953A (en) * | 2020-05-25 | 2020-09-01 | 广州万佳智能设备有限公司 |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suitable for multiple scenes |
KR102448608B1 (en) | 2022-03-25 | 2022-09-27 | 송미현 | Access control gate device with T-shaped swivel link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44309B1 (en) | 1993-09-16 | 1997-03-05 | ITALDIS INDUSTRIA S.p.A. | Device for moving sliding doors |
KR200385183Y1 (en) | 2005-02-18 | 2005-05-27 | (주)유니맥시스템 | Sliding type gate apparatus |
WO2006128694A1 (en) | 2005-05-31 | 2006-12-07 | Gunnebo Entrance Control S.P.A. | Safety device for motorized access passageways |
KR100796273B1 (en) | 2007-08-21 | 2008-01-21 | (주)지멕스 | Gate devices for ticket gates |
-
2012
- 2012-08-27 KR KR1020120093588A patent/KR10128939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44309B1 (en) | 1993-09-16 | 1997-03-05 | ITALDIS INDUSTRIA S.p.A. | Device for moving sliding doors |
KR200385183Y1 (en) | 2005-02-18 | 2005-05-27 | (주)유니맥시스템 | Sliding type gate apparatus |
WO2006128694A1 (en) | 2005-05-31 | 2006-12-07 | Gunnebo Entrance Control S.P.A. | Safety device for motorized access passageways |
KR100796273B1 (en) | 2007-08-21 | 2008-01-21 | (주)지멕스 | Gate devices for ticket gates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0708B1 (en) * | 2014-09-17 | 2014-11-21 | 주식회사 지엘앤티 | Passing control apparatus for gate |
KR101468684B1 (en) * | 2014-09-17 | 2014-12-11 | 주식회사 지엘앤티 | Passing control apparatus for gate |
KR101747102B1 (en) | 2017-02-13 | 2017-06-14 | 주식회사 스마트코어 | Apparatus for a gate with enhanced security |
KR102085455B1 (en) * | 2018-10-29 | 2020-03-05 | 김병기 | swing type gate apparatus |
KR102095167B1 (en) | 2019-11-13 | 2020-03-31 | 김원기 | Gate apparatus capable of auto blocking entry route |
KR102095166B1 (en) | 2019-11-13 | 2020-05-27 | 김원기 | Monitoring system of blocking apparatus for stream entry route |
CN111612953A (en) * | 2020-05-25 | 2020-09-01 | 广州万佳智能设备有限公司 |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suitable for multiple scenes |
KR102448608B1 (en) | 2022-03-25 | 2022-09-27 | 송미현 | Access control gate device with T-shaped swivel lin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9390B1 (en) | Device for motorized access passageways | |
KR200468123Y1 (en) | gate device for access control with open and close state locking means of gate door | |
CA2731472C (en) | Articulated mine door opening mechanism | |
ES2558332T3 (en) | Liftgate with a sliding door leaf guide | |
US3336968A (en) | Garage door with anti-jamming rollers | |
KR101520854B1 (en) | Slide Swing Type Gate Door System | |
US3247617A (en) | Two way automatic door | |
AU2017360021B2 (en) |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 |
CN210066576U (en) | Gate device of automatic ticket checker | |
KR102247796B1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lifting gate of parkinglot | |
TWI835285B (en) | Rotating device for shut-off machine | |
CN110043154A (en) | Auto-manual intelligent door axle system | |
KR102448608B1 (en) | Access control gate device with T-shaped swivel link | |
KR100697783B1 (en) | Flap drive system for ticket gates | |
KR101311975B1 (en) | Swing door device for subway gate | |
CN107724938A (en) | The elevating mechanism and shutter of shutter | |
US1209360A (en) | Door. | |
KR101071196B1 (en) | Revolving door for two-way entry with separate entrance and exit | |
KR102112164B1 (en) | sub-door automatic switching unit | |
CN203188147U (en) | Wing gate driving device | |
KR101460708B1 (en) | Passing control apparatus for gate | |
KR102127472B1 (en) | Magnet automatic door apparatus | |
KR102112601B1 (en) | Auto Gate | |
KR100785761B1 (en) | Parking blocker | |
KR200385183Y1 (en) | Sliding type gate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