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7463B1 -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 Google Patents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463B1
KR101287463B1 KR1020120115268A KR20120115268A KR101287463B1 KR 101287463 B1 KR101287463 B1 KR 101287463B1 KR 1020120115268 A KR1020120115268 A KR 1020120115268A KR 20120115268 A KR20120115268 A KR 20120115268A KR 101287463 B1 KR101287463 B1 KR 101287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face
portions
cov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림
Original Assignee
이청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림 filed Critical 이청림
Priority to KR102012011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463B1/ko
Priority to PCT/KR2013/003134 priority patent/WO201406188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의복용 주머니는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 가이드 면 및 덮개 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은 개구 및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면은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및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된다. 상기 덮개 면은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Description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POCKET AND CLOTHE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복용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물건 분실 방지를 위한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의 및 하의 등의 의복은 지갑, 동전 및 핸드폰 등을 포함하는 각종 물건들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개의 주머니를 포함한다. 상기 주머니의 일반적인 형태는 의복의 본체를 절단하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물품을 담을 수 있는 헝겊을 상기 의복 내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절단부에서 상기 헝겊을 봉제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주머니의 문제점은 단순한 포켓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의복을 착용하는 사람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상기 주머니에 보관된 물건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남성용 의복이나 트레이닝 복과 같은 의복의 경우, 착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상체를 숙일 때, 또는 물구나무 서거나 몸을 옆으로 뉘일 때 상기 주머니 입구의 개방 정도는 상당히 커지며, 이에 따라 주머니에 보관 중인 물건이 외부로 빠져나가기 쉽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머니의 입구 부분에 지퍼, 벨크로 테이프(또는 찍찍이) 또는 단추 등의 개폐 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주머니의 입구 부분이 착용자의 자세나 위치에 따라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주머니 개폐 수단들은 주머니를 형성하기 위한 의복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며, 주머니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착용자가 상기 개폐 수단을 먼저 개방시켜야 하는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주머니가 별도로 상기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의복의 외관적 디자인을 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의복 착용자의 별도의 동작 없이 물건을 주머니에 보관하고, 일단 보관된 물건은 주머니에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는 개구 및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및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는 가이드 면;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 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는 개구 및 주머니 공간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및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는 가이드 면;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덮개 면;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2 덮개 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복의 외관이나 미감을 해치지 않고 보관된 물건의 분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물건 분실 방지 수단에 비해 주머니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상기 의복용 주머니의 내부에서 개구 쪽을 바라본 단면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의복용 주머니의 개구 쪽을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의복용 주머니의 덮개 면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의복용 주머니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으로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파선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 또는 면의 경계를 나타내고, 일점 쇄선은 부착 선 또는 봉제 선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특히, 도 1은 의복용 주머니(1)의 내부에서 개구 쪽을 바라본 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의복용 주머니(1)의 개구 쪽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의복용 주머니(1)는 제 1 주머니 면(10), 제 2 주머니 면(20), 가이드 면(30) 및 덮개 면(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10, 20)은 서로 부착되어 개구(11) 및 저장 공간(12)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10, 20)은 개구(11)를 형성하기 위한 일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서로 봉제되어, 상기 일 부분은 개구(11)를 형성할 수 있고, 봉제된 나머지 부분은 저장 공간(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면(30)은 제 1 부분(31), 제 2 부분(32),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31, 32)을 연결하는 제 3 및 제 4 부분(33, 34)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면(30)은 상기 개구(11)에서 상기 제 1 부분(31)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면(30)은 상기 개구(11)에서 상기 제 1 부분(31)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봉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2 부분(32)은 상기 저장 공간(12)을 향한다.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3 및 제 4 부분(33, 34)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3 및 제 4 부분(33, 34)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봉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면(30)은 제 1 부분(31)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부착되지만, 상기 제 3 및 제 4 부분(33, 34)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부착됨으로써, 후술될 덮개 면(40)과 함께 상기 저장 공간(12)에 보관된 물건이 주머니(1)의 개구(11)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어렵게 한다.
상기 덮개 면(40)은 일 부분(41)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면(40)의 일 부분(41)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봉제될 수 있다. 상기 덮개 면(40)은 상기 일 부분(41)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2 내지 제 4 부분(32, 33, 34)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 면(4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2 부분(32)을 전체적으로 덮고,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3 및 제 4 부분(33, 34)의 일부를 덮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덮개 면(40)을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덮개 면(40)은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2 내지 제 4 부분(32, 33, 34)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 면(40)은 상기 제 2 부분(32)의 전부를 덮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의복용 주머니(1)의 덮개 면(40)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의복 착용자가 상기 의복용 주머니(1)로 물건을 집어넣는 상황을 가정하자. 상기 의복 착용자는 물건을 손으로 쥐고, 손을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주머니(1) 안으로 집어넣을 것이다. 의복 착용자가 물건을 쥔 손을 상기 개구(11)로 집어 넣으면, 착용자의 손에 의해 상기 덮개 면(40)은 제 1 방향(A)을 향하도록 접힐 수 있다. 물건이 저장 공간(12)에 보관되고고 착용자의 손이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주머니(1)를 빠져 나오는 경우, 상기 덮개 면(40)은 상기 제 1 방향(A)을 향한 채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 후, 착용자가 다양한 움직임을 취하는 경우, 상기 저장 공간(12)에 보관된 물건은 상기 개구(11) 쪽, 즉, 상기 덮개 면(40)과 가이드 면(30) 쪽으로 쏠릴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 면(40)은 상기 물건이 지나가면서 제 2 방향(B)을 향하여 상기 가이드 면(30)을 덮게 된다. 따라서, 물건은 상기 덮개 면(40), 상기 덮개 면(40)에 의해 덮여 있고 제 3 및 제 4 부분(33, 34)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에 부착된 상기 가이드 면(30) 및 상기 제 1 주머니 면(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물건이 상기 덮개 면(40) 및 상기 덮개 면(40)에 의해 덮인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2 부분(32)을 통과하여 상기 개구(11)를 통해 주머니(1)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1 부분(31)이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부착되지만, 상기 제 3 및 제 4 부분(33, 34)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부착된다. 또한, 상기 덮개 면(40)이 개구(11)와 연결되는 상기 제 2 부분(32)을 덮고 있으므로, 물건이 상기 제 2 부분(32)을 통해 개구(11)로 빠져나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1)는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체결 수단이 없더라도, 착용자의 물리적인 행동(예를 들어, 손을 주머니로 집어 넣어 물건을 꺼내는 행위)에 의하지 않고서는 상기 저장 공간(12)에 보관된 물건이 상기 의복용 주머니(1)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1)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제 1 주머니 면(10)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주머니 면(10)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개구(11)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1 부분(31)을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부착한다. 제 2 주머니 면(20)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3 및 제 4 부분(33, 34)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20)으로 부착된다.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10, 20)이 서로 부착되기 전이므로, 상기 제 2 주머니 면(20)에 부착된 상기 가이드 면(30)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덮개 면(40)의 일 부분(41)은 상기 덮개 면(40)의 다른 부분(42, 43, 44)이 상기 가이드 면(30)을 덮을 수 있도록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부착된다. 이후, 상기 제 1 주머니 면(10)과 제 2 주머니 면(20)의 가장자리(13, 23)를 부착함으로써, 개구(11)와 저장 공간(12)을 형성하면 상기 의복용 주머니(1)가 완성될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설명된 제조 과정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제조 순서, 주머니 면의 형태, 가이드 면 및 덮개 면의 형태 등은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는 위와 같이 단순한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고,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다른 소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주머니 및 의복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2)는 상기 덮개 면(40)의 부착 방식이 변경되었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덮개 면(40)의 일 부분(41)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으로 봉제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 5에서, 상기 덮개 면(40)의 일 부분(41)은 탄성 소재의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부착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의복용 주머니(2)는 2개 이상의 탄성 소재의 연결 수단(51, 5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수단(51, 52)은 상기 덮개 면(40)의 일 부분(41)과 상기 제 2 주머니 면(20)에 걸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수단(51, 52)은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상기 덮개 면(40)이 제 1 방향(A)을 향하도록 접히더라도, 상기 덮개 면(40)이 스스로 제 2 방향(B)으로 향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한다. 따라서, 저장 공간(12)에 보관된 물건이 상기 덮개 면(40) 및 가이드 면(30) 쪽으로 이동할 때, 상기 덮개 면(40)이 상기 제 2 방향(B)으로 보다 수월하게 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 공간(12)에 보관된 물건이 상기 개구(11)를 통해 주머니(2)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한다.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연결 수단(51, 52)은 예를 들어, 고무밴드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3)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상기 덮개 면(40)의 일 부분(41)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봉제되고, 상기 일 부분(41)에서 연장되는 측면 부분(44)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함께 봉제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 면(40)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ㄱ 자 형태로 봉제(61)될 수 있다. 상기 덮개 면(40)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ㄱ 자 형태로 봉제(61)되는 경우, 상기 덮개 면(40)이 제 1 방향(A)으로 접혔다가 상기 제 2 방향(B)으로 복원되려는 힘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공간(12)에 보관된 물건이 상기 가이드 면(30)과 상기 덮개 면(40) 사이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복용 주머니(3)는 탄성 소재의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복용 주머니(3)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수단(62, 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수단(62, 63))은 상기 덮개 면(40)의 일 부분(41)과 다른 부분(42)에서 상기 덮개 면(40)과 상기 제 2 주머니 면(20)에 걸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수단(62)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봉제된 상기 측면 부분(44)과 반대 방향 측면(43)으로부터 상기 덮개 면의 제 1 부분(41)과 상기 제 2 주머니 면(20)에 걸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수단(63)은 상기 덮개 면(40) 중에서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봉제되지 않는 부분(43, 44)에서 상기 덮개 면(40)과 상기 제 2 주머니 면(20)에 걸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수단(62, 63)은 ㄱ 자 형태로 봉제된 부분의 반대 쪽에서 상기 덮개 면(40)과 상기 제 2 주머니 면(20)에 걸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수단(63)은 착용자가 물건을 상기 주머니(3) 안으로 집어넣더라도, 상기 덮개 면(40)이 상기 제 1 방향(A)으로 접히지 않고, 상기 가이드 면(30)을 덮고 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4)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4)는 복수의 덮개 면을 구비한다. 상기 의복용 주머니(4)는 제 1 및 제 2 덮개 면(71, 7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덮개 면(71)은 일 부분(71-1)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2 부분(32) 및 제 3 부분(33)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상기 제 2 덮개 면(72)은 일 부분(72-1)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20)과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2 부분(32) 및 제 4 부분(34)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앞서 설명되었던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덮개 면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덮개 면(40)이 상기 가이드 면(30)의 상기 제 2 부분(32)을 전체적으로 덮기 때문에, 착용자가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주머니 안으로 손을 넣거나 뺄 때 다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즉, 착용자는 상기 개구(11)로 손을 집어 넣고, 상기 가이드 면(30)과 상기 덮개 면(40)을 통해 상기 저장 공간(12)에 도달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상기 덮개 면(40)이 ㄱ 자 형태로 봉제되거나 연결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착용자는 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4)는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면(71, 72)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면(30)을 각각 덮는 경우, 착용자의 손이 상기 가이드 면(30)과 덮개 면(71, 72)을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상기 저장 공간(12)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면(71, 72)은 착용자의 손이 상기 주머니 안팎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면서도, 저장 공간(12)에 보관된 물건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하는 의복용 주머니(4)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5)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의복용 주머니(5)는 도 7에 도시된 주머니(4)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덮개 면(81, 82)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면(81, 82)은 도 7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덮개 면(71, 72)보다 더 긴 길이 및/또는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면(81, 82)은 상기 가이드 면(30)의 제 2 부분(32)을 덮는 부분(81-1, 82-1)이 서로 중첩될 수 있는 길이 및/또는 크기를 갖는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 면을 분리하여 상기 가이드 면을 덮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면(71, 72)이 도 3의 제 1 방향(A)으로 접힐 때,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면(71, 72) 사이의 공간이 열려서 물건이 상기 열린 공간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의복용 주머니(5)는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면(81, 82)이 제 1 방향(A)으로 접히더라도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면(81, 82) 사이에 열린 공간이 발생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주머니는 모든 종류의 의복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의복용 주머니는 예를 들어, 상의, 하의, 내의, 외의, 신사복, 트레이닝복, 여성복 등 주머니를 갖는 모든 종류의 의복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수정되어 다른 실시예들로 통합 또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 1 주머니 면 11: 개구
12: 저장 공간 20: 제 2 주머니 면
30: 가이드 면 40: 덮개 면
51/52/62/63: 연결 수단 61: ㄱ 자 형태의 봉제
71-1/81-1: 제 1 덮개 면 71-2/81-2: 제 2 덮개 면

Claims (8)

  1. 개구 및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및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는 가이드 면;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면의 상기 일 부분은 탄성을 갖는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는 의복용 주머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면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ㄱ 자 형태로 봉제되는 의복용 주머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면의 다른 일 부분은 탄성을 갖는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는 의복용 주머니.
  5. 개구 및 주머니 공간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및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는 가이드 면;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덮개 면;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2 덮개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면은 상기 제 2 부분을 덮는 부분이 서로 중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의복용 주머니.
  7. 개구 및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및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는 가이드 면;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를 포함하는 의복.
  8. 개구 및 주머니 공간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주머니 면;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및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제 1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는 가이드 면;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1 덮개 면; 및
    일 부분이 상기 제 2 주머니 면과 부착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 2 덮개 면을 포함하는 의복용 주머니를 포함하는 의복.
KR1020120115268A 2012-10-17 2012-10-17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KR10128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68A KR101287463B1 (ko) 2012-10-17 2012-10-17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PCT/KR2013/003134 WO2014061885A1 (ko) 2012-10-17 2013-04-15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268A KR101287463B1 (ko) 2012-10-17 2012-10-17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463B1 true KR101287463B1 (ko) 2013-07-19

Family

ID=4899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268A KR101287463B1 (ko) 2012-10-17 2012-10-17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7463B1 (ko)
WO (1) WO20140618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26B1 (ko) 2014-01-07 2014-03-19 이청림 의복용 주머니
KR20240001863U (ko) 2023-05-09 2024-11-18 박원표 극세사천이 구비된 의복용 주머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3324B (zh) * 2021-09-18 2022-08-12 常州市林克制衣有限公司 口袋制作方法、粗糙面成型装置及层结构粘连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214A (ja) * 1991-11-07 1993-05-21 Nippon Solid Co Ltd ベロー付ポケツト
JPH0627362B2 (ja) * 1991-01-24 1994-04-13 武夫 安藤 ポケット用取付け具
KR200208681Y1 (ko) 2000-07-10 2001-01-15 이성준 분실방지 뒷주머니
JP2007016323A (ja) 2005-07-05 2007-01-25 Sanwa Tekku:Kk ポケット構造およびこれを有するズボ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118A (ja) * 2000-04-13 2001-10-26 Nobuo Kunihara 落下防止機構付きポケ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362B2 (ja) * 1991-01-24 1994-04-13 武夫 安藤 ポケット用取付け具
JPH05123214A (ja) * 1991-11-07 1993-05-21 Nippon Solid Co Ltd ベロー付ポケツト
KR200208681Y1 (ko) 2000-07-10 2001-01-15 이성준 분실방지 뒷주머니
JP2007016323A (ja) 2005-07-05 2007-01-25 Sanwa Tekku:Kk ポケット構造およびこれを有するズボ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26B1 (ko) 2014-01-07 2014-03-19 이청림 의복용 주머니
WO2015105205A1 (ko) * 2014-01-07 2015-07-16 이청림 의복용 주머니
KR20240001863U (ko) 2023-05-09 2024-11-18 박원표 극세사천이 구비된 의복용 주머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1885A1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5223B2 (en) Garment with tension closure pocket
US9282777B2 (en) Compression mobile pocket for garments
US8806666B2 (en) Non-slip pockets
US20200245702A1 (en) Garment with waistband pocket
US20130048695A1 (en) Bodyband pouch
KR102113676B1 (ko) 보안 포켓
US20170280793A1 (en) Convertible garment bag
US20130212770A1 (en) System usable in two different modes
KR101287463B1 (ko)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US2291414A (en) Self-closing safety pocket
KR101376126B1 (ko) 의복용 주머니
KR20120002777A (ko) 의류의 처짐 방지 구조
KR200441436Y1 (ko) 처짐방지기능이 구비된 이중 포켓 셔츠
KR200451050Y1 (ko) 핸드폰 주머니를 갖는 트레이닝복
KR20170044901A (ko) 주머니와 허리밴드가 내설된 티셔츠
JP3093752U (ja) フラップ付きポケット
KR20130134066A (ko) 의복용 주머니
KR200236697Y1 (ko) 골프복과 골프화를 함께 휴대할 수 있는 가방
JP3100809U (ja) 収納ベルト
WO2014038740A1 (ko) 의복용 주머니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KR20040035234A (ko) 의복용 호주머니
JP3108523U (ja) トランクス
KR20130015916A (ko) 의복용 주머니
ES1287950U (es) Funda para prendas
KR20090012690U (ko) 경사진 속주머니가 구비된 교복 재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