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7134B1 -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134B1
KR101287134B1 KR1020130008177A KR20130008177A KR101287134B1 KR 101287134 B1 KR101287134 B1 KR 101287134B1 KR 1020130008177 A KR1020130008177 A KR 1020130008177A KR 20130008177 A KR20130008177 A KR 20130008177A KR 101287134 B1 KR101287134 B1 KR 101287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roller support
muscle strengthening
back plate
strengthening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듀크
Original Assignee
배듀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듀크 filed Critical 배듀크
Priority to KR102013000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34B1/ko
Priority to PCT/KR2014/000469 priority patent/WO201411599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kne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62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with legs stretched and hips in 90°-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68Pr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5Supports, e.g. poles on roll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 본체에 결합된 좌판부, 좌판부 또는 본체에 힌지축 결합되어 좌판부와 이루는 각이 조절되는 등판부, 본체에 스윙(Swing)가능 하도록 힌지 결합된 스윙 아암(Arm), 본체에 결합되어 스윙 아암을 스윙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스윙 아암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지지부를 포함하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적합하게 발롤러부 및 등판부의 전후 위치, 상하이동 및 이동 각도 조절운동기구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효과적인 척추주변 근육의 근력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Chiropractic and parasp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노인과 같이 체력이 약한 사람, 비만자 또는 척추 환자 등 비교적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몸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다리, 척추 주변, 어깨, 팔 근육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키고 교정할 수 있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의 편리함에 따른 운동부족 또는 바르지 않은 자세로 인한 척추 변형은 일상생활에 있어서 종종 문제가 되고 있다. 현대인에게 있어서 척추질환은 일반적인 질병이 되고 있으며, 척추질환의 근본적인 해결 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방법은 꾸준한 운동이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 꾸준히 운동을 하기가 쉽지 않으며, 실외에서 하는 운동은 날씨나 장소 등에 제약이 있다는 점에서 장기간 지속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척추운동기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1555호)등이 제시되었다. 이 기술은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로서,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능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척추의 교정, 치료 및 척추 주변의 근육강화가 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기구는 적당한 체력과 몸무게를 갖는 사람이 사용하기에 적합하였을 뿐, 능동적으로 운동하기 어려운 체력이 약한 사람 및 비만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이러한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근육강화 운동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노인과 같이 체력이 약한 사람, 비만자 또는 척추 환자 등 비교적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자에게 몸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근육강화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요구되었다. 또한, 운동기구는 다양한 신체 조건과 신체 사이즈를 갖는 사용자들에게 적합하게 조절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1555호, 2007.04.27, 도면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인과 같이 체력이 약한 사람, 비만자 또는 척추 환자 등 비교적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몸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다리, 척추 주변, 어깨, 팔 근육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키고 교정할 수 있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는, 본체, 본체에 결합된 좌판부, 좌판부 또는 본체에 힌지축 결합되어 좌판부와 이루는 각이 조절되는 등판부, 본체에 스윙(Swing)가능 하도록 힌지 결합된 스윙 아암(Arm), 본체에 결합되어 스윙 아암을 스윙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스윙 아암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지지부를 포함한다.
롤러 지지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스윙 아암에 고정되는 제1 롤러지지부와 제2 롤러지지부를 포함하고, 스윙 아암은 제1 롤러지지부가 이동하는 제1 슬라이딩홈과, 제2 롤러지지부가 이동하는 제2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홈과 제2 슬라이딩홈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스윙 아암은 제1 슬라이딩홈과 제2 슬라이딩홈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지지부는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본체와 등판부 사이에 결합 되어 등판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제2 구동부는, 일단부가 본체 또는 등판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봉, 본체 또는 등판부 중 스크류봉과 결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힌지 결합되고 스크류봉과 나사결합을 하는 너트부 및 상기 스크류봉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등판부에 힌지 결합되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등판부의 하부면에 모서리를 따라 고정된 손잡이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좌판부의 일측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에 의하면, 체력이 약한 사람 및 비만자등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운동기구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사용자의 효과적인 척추주변 근육의 근력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판부의 각을 조절하고 롤러 지지부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면, 종아리 근육과 허벅지 근육을 자극시켜 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운동 기구 동작시 손잡이봉의 잡는 위치에 따라 팔근육과 어깨 근육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a 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의 제2 구동부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의 스윙 아암(Arm)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기댄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1)는, 체력이 약한 사람, 비만자, 척추 환자 등과 같이 비교적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몸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근육강화운동을 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1)는 본체(100), 제2 구동부(200), 좌판부(300), 등판부(400), 손잡이봉(500), 조작패널(600), 제1 구동부(700) 및 스윙 아암(Arm)(8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1)의 전체적인 골격을 유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좌판부(300), 등판부(400), 제1 구동부(700) 및 스윙 아암(800)이 결합된다. 본체(100)는 하부에 바퀴(101)가 부착되어 있어 이동이 가능하다.
좌판부(300)는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등판부(400)는 좌판부(300) 및 본체(100)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등판부(400)는 좌판부(300)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된다. 등판부(400)는 본체(100) 및 좌판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 제3 힌지축(310)에 의해 결합되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등판부(400)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자세 또는 앉아있는 자세 등에 맞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등판부(400)는 운동 목적에 따라 그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등판부(400)가 자동으로 각도 조절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한편, 좌판부(300)는 앉은 자세 또는 누운 자세에서 엉덩이가 위치하며, 엎드린 자세에서 대퇴부위가 위치하는 곳으로서, 사용자에게 편암함을 주기 위해 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쿠션(cushion)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좌판부(300) 상부면의 일측에는 걸림턱부(320)가 돌출되어 있다.
걸림턱부(320)는 사용자가 좌판부(300)에 앉아서 운동을 할 때 엉덩이가 좌판부(300)로부터 빠져나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다. 걸림턱부(320)는 좌판부(30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좌판부(300)의 말단부에 부착하는 착탈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스윙 아암(800)은 본체(100)에 스윙(swing)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스윙 아암(800)은 사용자가 발, 다리, 팔 등을 올려 놓고 스트레칭이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스윙 아암(800)은 제1 구동부(7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스윙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스윙 아암(800)에는 사용자가 발, 다리, 팔 등을 다양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롤러 지지부(810, 820)가 결합되어 있다. 두 개의 롤러 지지부(810, 820)는 스윙 아암(8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 구동부(700)는 본체(100)에 결합되어 스윙 아암(800)을 스윙 구동한다. 제1 구동부(7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구동력을 스윙 아암(80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기어, 체인,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부(700)는 조작패널(6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스윙 아암(800)의 작동 각도, 속도, 횟수, 구동 토크, 스윙 패턴 등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등판부(400) 하부면의 모서리를 따라 손잡이봉(500)이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봉(500)은 사용자가 등판부(400)어 앉거나 누워서 운동을 할 때 양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손잡이봉(500)은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좌판부(300) 또는 등판부(4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양 어깨에 힘을 주게 되어 어깨의 근력 강화에도 도움을 준다.
손잡이봉(500)은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어 등판부(400)의 모서리를 따라 고정고리(510)로 고정되며, 등판부(400)의 측부 또는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조작패널(600)은 제1 구동부(700)와 제2 구동부(200)를 제어하여 스윙 아암(800)과 등판부(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패널(600)은 본체(100) 또는 등판부(4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구동부(700)와 제2 구동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조작 버튼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제2 구동부와 등판부의 동작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의 제2 구동부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제2 구동부(200)는 구동모터(214), 스크류봉(212), 너트부(211)를 포함한다.
스크류봉(212)은 본체(100)에 제1 힌지축(213)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너트부(211)에 의해 등판부(4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스크류봉(212)은 구동모터(214)에 의해 회전되며, 제1 힌지축(2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모터(214)와 스크류봉(212) 기어, 체인, 벨트 등의 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봉(21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류봉(212)의 외주면에는 너트부(211)가 결합된다.
너트부(21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크류봉(212)과 나사 결합을 한다. 너트부(211)는 스크류봉(212)이 회전하면 스크류봉(2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스크류봉(212)과 너트부(211)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강구(Steel ball)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봉(212)이 회전하면 너트부(211)가 스크류봉(212)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통칭하여 볼 스크류 결합이라 칭한다. 스크류봉(212)과 너트부(211)의 나사산의 형상이나, 그 사이에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요소가 개재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기술은 모두 볼 스크류 결합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구동모터(214)는 스크류봉(212)을 회전 구동하며, 제1 힌지축(213)으로 본체(100)에 힌지 결합된다. 구동모터(214)는 조작패널(600)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통하여 제어되며, 스크류봉(21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너트부(211)를 이동시킨다. 너트부(211)가 스크류봉(21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너트부(211)에 고정된 등판부(400)는 고정 각도가 조절된다.스크류봉(212)을 축으로 너트부(212)가 왕복 직선운동을 하면서, 등판부(400)의 제2 힌지축(215)에 가해지는 힘은 너트부(211)에 표시되어 있는 a방향의 힘 및 b방향의 힘으로 설명될 수 있다.
a방향의 힘은 구동모터(214)에 의하여 너트부(211)가 스크류봉(212)의 일 단으로 나아갈 때 생기는 힘이며, b방향의 힘은 a 방향의 힘이 제2 힌지축(215) 에 작용되어 등판부(400)를 올릴 수 있는 힘으로 변환된 힘이다.
도 3a는 좌판부(300)와 등판부(400)가 수평을 이루는 상태를 나타낸다. 구동모터(214)가 구동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너트부(211)의 a 방향 힘과 b 방향의 힘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등판부(40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스크류봉(212)은 등판부(400)면을 기준으로 경사각 θ1만큼 경사져 있으며 구동모터(214)와 너트부(211)가 이격거리 d1만큼 이격 되어 있다.
도 3b는 등판부(400)가 움직여 고정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다. 너트부(211)는 구동모터(214)로부터 이격거리 d2만큼의 이격되어 있으며, 스크류봉(212)은 등판부(400)의 면을 기준으로 경사각 θ2만큼 경사를 이루고 있다.
구동모터(214)가 스크류봉(212)을 회전시키면, 너트부(211)는 스크류봉(212)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너트부(211)에 작용되는 힘은 a방향 힘이며, a 방향 힘은 수평 방향 힘과 수직 방향 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수직 방향의 힘인 b 방향 힘은 등판부(400)를 들어올리는 힘이 된다. 따라서, 너트부(211)가 이동함에 따라 등판부(400)는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b는 너트부(211)의 이동에 의해 등판부(400)가 A 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 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모터(214)와 너트부(211)의 이격 거리(d)의 값이 커질수록 너트부(211)에 의하여 등판부(400)에 가해지는 b 방향의 힘이 커져 경사각(θ) 값이 커지게 되어 등판부(400)가 A 방향으로 이동하며, 구동모터(214)와 너트부(211)의 이격 거리(d)의 값이 작아질수록 너트부(211) 로 부터 등판부(400)에 가해지는 b 방향의 힘이 작아져 스크류봉(212)이 등판부(400)면을 기준으로 경사각(θ) 값이 작아지게 되어 등판부(400)가 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14)와 너트부(211)의 이격 거리(d), 등판부(400)의 제2 힌지축(215)에 전달되는 너트부(211)의 b 방향의 힘은 등판부(400)면을 기준으로 경사된 스트류봉(212)의 경사각(θ)과 비례 관계에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스윙 아암의 구조와 동작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의 스윙 아암(Arm)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스윙 아암(800)은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가 각각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홈(801)과 제2 슬라이딩홈(802)을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홈(801)과 제2 슬라이딩홈(802)은 스윙 아암(800)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홈으로서,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가 각각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운동하는 방식 등에 따라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홈(801)과 제2 슬라이딩홈(802)은 X1과 X2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딩홈(801)이 제2 슬라이딩홈(802)에 인접하여 위치하되, 제1 슬라이딩홈(801)과 제2 슬라이딩홈(802)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딩홈(802)이 제1 슬라이딩홈(801) 보다 X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슬라이딩홈(801)이 제2 슬라이딩홈(802) 보다 X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딩홈(801)과 제2 슬라이딩홈(802)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눈금은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가 교대로 운동을 하는 경우, 각자 자신에게 맞도록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자신에 맞는 위치를 기억하고 있으면,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의 조절을 한번에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는 제1 롤러 고정쇠(803)와 제2 롤러 고정쇠(804)로 스윙 아암(800)에 고정된다. 제1 롤러 고정쇠(803)와 제2 롤러 고정쇠(804)는 눈금이 위치하는 면에 위치하고,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는 눈금의 반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는 자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롤러로 형성되어, 스윙 아암(800)이 회전하더라도 사용자의 신체와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즉, 스윙 아암(800)이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밀려 올라거나 당겨져 좌판부(3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롤러 고정쇠(803)와 제2 롤러 고정쇠(804)는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를 각각 스윙 아암(800)에 고정할 뿐 아니라,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의 회전을 제한할 수도 있다.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는 각각 스윙 아암(800)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의 운동 방식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기댄 자세에서 사용 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관절을 접고 펴는 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목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위치에 제2 롤러 지지부(820)를 고정한다. 이때, 제1 롤러 지지부(810)는 불필요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스윙 아암(800)의 끝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조작패널(600)을 이용하여 스윙 아암(800)의 스윙 범위, 속도 및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스윙 아암(800)의 스윙 조건은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 관절 운동을 하는 경우, 스윙 아암(800)의 스윙 각도를 수평을 기준으로 무릎 관절이 접힐 수 있는 각도를 한도로 조절할 수 있다.
노인이나 무릎이 약한 환자인 경우, 스윙 아암(800)의 이동 각도를 작게 조절하고 스윙 속도도 매우 느리게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무릎에 조금 더 강한 자극을 주고자 하는 사용자의 경우, 스윙 아암(800)의 이동 각도를 크게 조절하고 스윙 속도도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통상, 엎드린 자세에서는 좌판부(300)와 등판부(400)를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좌판부(300)와 등판부(400)에 편하게 엎드려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손잡이봉(500)을 파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제1 롤러 지지부 및 제2 롤러 지지부의 사이에 사용자의 발목을 넣어 제1 롤러 지지부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발 뒤꿈치가 접하며, 제2 롤러 지지부에 일 영역에 사용자의 발 등이 접하도록 함으로써, 발목 운동과 무릎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엎드린 자세에서 스윙 아암(800)에 발목을 올려놓고 자동적인 스윙 동작 또는 수동적인 스윙 동작에 의해 운동을 할 경우, 근육강화의 효과는 달라질 수 있으나 공통적으로 사용자의 대퇴사두근, 대둔근, 슬개건 등이 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무릎 관절을 쭉 펴고 고관절, 척추 및 척추 주변 근육을 자극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위치에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를 고정한다. 사용자의 발 뒤꿈치가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는 사용자의 다리의 길이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한다.
한편, 사용자는 조작패널(600)을 이용하여 스윙 아암(800)의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윙 아암(800)과 등판부(400)가 이루는 각이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무릎과 허리의 스트레칭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무릎관절과 고관절의 운동도 병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무릎이나 고관절 수술을 한 환자인 경우, 무릎과 고관절의 재활이 가능해진다. 스윙 아암(800)은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스윙 범위, 시간, 패턴 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재활에도 큰 효과가 있다.
한편, 사용자는 등판부(400)에 누운 자세에서 손잡이봉(500)을 파지할 경우, 어깨 및 팔 근육을 이완하고 긴장시키는 효과가 있어 어깨 및 팔 근육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운동을 통하여 사용자는 복근, 배근, 광배근, 종아리근의 근육에 대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사용자가 기댄 자세에서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판부(400)에 비스듬히 기댄 자세에서 고관절을 접고 펴는 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목을 놀려 놓을 수 있는 위치에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를 고정한다. 제1 롤러 지지부(810)와 제2 롤러 지지부(820)를 X1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무릎을 약간 굽힌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등판부(400)는 좌판부(300)와 일정한 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관절이 약한 환자이거나 무릎이 약한 환자인 경우, 무릎을 편안하게 굽힌 상태에서 고관절의 굴절 각도를 작게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등판부(400)에 등을 기대고 누운 상태에서 양팔을 위로 올려 손잡이봉(500)을 파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신의 체중을 양팔로 지탱함으로써, 팔과 어깨 근육을 자극할 수 있다.
스윙 아암(800)과 등판부(400)는 조작패널(600)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조작패널(600)은 등판부(400)에 힌지 결합되어 Y1-Y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하기 편한 방향으로 조작패널(6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운동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의 예시적인 사용 방법에 불과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운동 및 치료 목적과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100: 본체 101: 바퀴
200: 제2 구동부 211: 너트부
212: 스크류봉 213: 제1 힌지축
214: 구동모터 215: 제2 힌지축
300: 좌판부 310: 제3 힌지축
320: 걸림턱부 400: 등판부
500: 손잡이봉 510: 고정 고리
600: 조작패널 700: 제1 구동부
800: 스윙 아암 801: 제1 슬라이딩홈
802: 제2 슬라이딩홈 803: 제1 롤러 고정쇠
804: 제2 롤러 고정쇠 810: 제1 롤러 지지부
820: 제2 롤러 지지부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좌판부;
    상기 좌판부 또는 상기 본체에 힌지축 결합되어 상기 좌판부와 이루는 각이 조절되는 등판부;
    상기 본체에 스윙(Swing)가능 하도록 힌지 결합된 스윙 아암(Arm);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스윙 아암을 스윙 구동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스윙 아암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지지부를 포함하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 강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스윙 아암에 고정되는 제1 롤러지지부와 제2 롤러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 아암은 상기 제1 롤러지지부가 이동하는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롤러지지부가 이동하는 제2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척추교정 및 척주주변 근육 강화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 강화 운동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은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눈금이 형성된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 강화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부는 상기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 강화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등판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등판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등판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봉;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등판부 중 상기 스크류봉 결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봉과 나사결합을 하는 너트부; 및 상기 스크류봉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 강화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패널을 더 포함하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 강화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의 하부면에 모서리를 따라 고정된 손잡이봉을 더 포함하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 강화 운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의 일측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부를 더 포함하는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 강화 운동기구.
KR1020130008177A 2013-01-24 2013-01-24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KR101287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177A KR101287134B1 (ko) 2013-01-24 2013-01-24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PCT/KR2014/000469 WO2014115994A1 (en) 2013-01-24 2014-01-16 Chiropractic and parasp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177A KR101287134B1 (ko) 2013-01-24 2013-01-24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134B1 true KR101287134B1 (ko) 2013-07-17

Family

ID=4899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177A KR101287134B1 (ko) 2013-01-24 2013-01-24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7134B1 (ko)
WO (1) WO201411599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617B1 (ko) 2014-12-11 2015-11-11 김시영 좌판 회전식 운동기구
CN105266452A (zh) * 2015-11-30 2016-01-27 方丽丽 一种矫姿椅
CN105266451A (zh) * 2015-11-11 2016-01-27 方丽丽 一种便于书写的矫姿椅
KR102049217B1 (ko) * 2019-06-03 2020-01-08 주식회사 브이엔제이그랜드 전신 스트레칭 장치
CN113476798A (zh) * 2021-08-02 2021-10-08 张桃琳 一种用于肩部舒展的训练器
CN114849163A (zh) * 2022-04-16 2022-08-05 南昌工学院 一种具有人员防护功能的体育拉筋器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4819B (zh) * 2018-12-28 2020-06-01 巫東和 鐘擺式下肢按摩機構
CN114159733B (zh) * 2021-12-13 2022-09-30 哈尔滨体育学院 一种游泳腰部练习辅助设备及使用方法
CN115006135A (zh) * 2022-06-30 2022-09-06 谢开兴 一种康复护理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590A (en) 1997-09-29 1998-11-10 Chiu; Ching-Chih Backbone stretching exerciser
KR200222694Y1 (ko) 2000-12-04 2001-05-15 박술갑 부자유 환자의 운동용 베드
JP2002017796A (ja) 2000-07-07 2002-01-22 Hirano Tekkosho:Kk 介護補助具
KR100902602B1 (ko) 2009-04-30 2009-06-11 박한철 요추관절 재활치료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590A (en) 1997-09-29 1998-11-10 Chiu; Ching-Chih Backbone stretching exerciser
JP2002017796A (ja) 2000-07-07 2002-01-22 Hirano Tekkosho:Kk 介護補助具
KR200222694Y1 (ko) 2000-12-04 2001-05-15 박술갑 부자유 환자의 운동용 베드
KR100902602B1 (ko) 2009-04-30 2009-06-11 박한철 요추관절 재활치료 운동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617B1 (ko) 2014-12-11 2015-11-11 김시영 좌판 회전식 운동기구
CN105266451A (zh) * 2015-11-11 2016-01-27 方丽丽 一种便于书写的矫姿椅
CN105266452A (zh) * 2015-11-30 2016-01-27 方丽丽 一种矫姿椅
KR102049217B1 (ko) * 2019-06-03 2020-01-08 주식회사 브이엔제이그랜드 전신 스트레칭 장치
WO2020246725A1 (ko) * 2019-06-03 2020-12-10 주식회사 브이엔제이그랜드 전신 스트레칭 장치
CN113476798A (zh) * 2021-08-02 2021-10-08 张桃琳 一种用于肩部舒展的训练器
CN114849163A (zh) * 2022-04-16 2022-08-05 南昌工学院 一种具有人员防护功能的体育拉筋器及其使用方法
CN114849163B (zh) * 2022-04-16 2023-10-03 南昌工学院 一种具有人员防护功能的体育拉筋器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5994A1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CN113274247B (zh) 一种康复训练设备
CN110237501B (zh) 踝关节训练适配件及康复训练设备
JP5314596B2 (ja) 腹部運動装置
US5529560A (en) Stretch therapy apparatus for physical fitness, rehabilitation and medical treatment
KR100902602B1 (ko) 요추관절 재활치료 운동기구
CN110664584B (zh) 康复训练床
JP2010511425A5 (ko)
US8882802B2 (en) Chiropractic machine
PL173405B1 (pl) Urządzenie do leczenia, fizykoterapii, rehabilitacji i treningu kręgosłupa i innych części ciała ludzkiego
US10470961B2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passive physical rehabilitation
KR101964039B1 (ko) 고령자 맞춤형 하지 통합 재활 운동기구
US7976446B2 (en) Exercise apparatus
KR20180060065A (ko) 재활운동기구
KR20150049848A (ko) 노약자 및 장애인 근력회복을 위한 주관절 재활장치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CN209437611U (zh) 一种适用于后表线肌群的按摩拉伸装置
US20100311554A1 (en) Upper torso exercise apparatus
US20230233396A1 (en)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of use
AU772090B2 (en) Stretch therapy apparatus
JPH0743836U (ja) ストレッチ器具
KR100540208B1 (ko) 허리 교정기구
JP2023119062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RU3197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го лечения
KR20130081434A (ko) 척추 교정용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