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028B1 - Carpet cleaner - Google Patents
Carpet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7028B1 KR101287028B1 KR1020110019413A KR20110019413A KR101287028B1 KR 101287028 B1 KR101287028 B1 KR 101287028B1 KR 1020110019413 A KR1020110019413 A KR 1020110019413A KR 20110019413 A KR20110019413 A KR 20110019413A KR 101287028 B1 KR101287028 B1 KR 1012870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carpet
- detergent
- exhaust
- mot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0 co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션모터의 냉각배기공기를 세제압력분사에 적용하여 회전브러쉬의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세제액을 분사할 수 있는 카펫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et cleaner that can spray detergent liquid eve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rush by applying the cooling exhaust air of the suction motor to the detergent pressure spray.
Description
본 발명은 석션모터의 냉각배기공기를 세제압력분사에 적용하여 회전브러쉬의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세제액을 분사할 수 있는 카펫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et cleaner that can spray detergent liquid eve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rush by applying the cooling exhaust air of the suction motor to the detergent pressure spray.
종래 카펫 청소기로서, 특허문헌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As a carpet cleaner conventionally, what is known in a patent document is proposed.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카펫 청소기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핸들 바디(1)와, 그 핸들 바디(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이동용 바퀴(9)가 결합되어 있는 메인 헤드(2)와, 상기 핸들 바디(1)의 전방 상측에 배치되어 세제와 세척수가 혼합된 청소용액(3)이 저장되어 있는 급수통(4)과, 그 급수통(4)의 하측에 배치되어 청소영역에서 흡입되어지는 오염수(6)를 수집하기 위한 집수통(7)을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6, a conventional carpet cleaner is coupled to a
메인 헤드(2)의 하면 전방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며 카펫(11)에 끼어 있는 먼지를 쓸어내기 위한 에지테이터(agitator)(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급수통(4)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급수관(13)의 타단부가 에지테이터(1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13)의 소정위치에는 급수통(4)의 청소용액(3)을 펌핑하여 에지테이터(12)측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펌프(14)가 설치되어 있다. In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메인 헤드(2)의 전면에는 카펫(11)에 묻어있는 물을 집수통(7)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노즐(suction nozzle)(16)이 결합되어 있고, 메인 헤드(2)의 내부에는 일단부가 상기 집수통(7)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집수통(7)에 흡입된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관(17)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배기관(17)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흡입노즐(16)에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배기관(17)을 통하여 집수통(7)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모터(18)가 결합되어 있다.A
배기관(17)의 출구측이 위치하는 메인 헤드(2)의 하면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요입되게 히터안착부(2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히터안착부(2a)의 내측에는 배기관(17)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0)가 설치되어 있다.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카펫 청소기의 동작을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6,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carpet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청소가 시작되면 펌프(14)가 동작되어 급수통(4)에 저장된 청소용액(3)이 급수관(13)을 통하여 에지테이터(12)가 회전되는 카펫(11)부위로 분사되고, 그와 같이 청소용액(3)이 카펫(11)에 분사될 때 에지테이터(12)가 회전되어 카펫(11)에 끼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들을 쓸어내며 세척이 이루어진다. When the cleaning is started, the
그리고, 팬-모터(18)가 동작되어 흡입노즐(16)에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세척된 오염수가 집수통(7)으로 흡입되어지고, 오염수와 함께 집수통(7)으로 흡입된 공기는 배기관(17)을 통하여 바닥으로 배출되어 진다.Then, the fan-
또한, 상기와 같이 배기관(17)을 통하여 집수통(7)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배기관(17)의 출구측에 설치된 히터(20)에 의해 공기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그와 같이 가열된 공기가 열풍상태로 카펫(11)에 분사되므로 카펫(11)에 묻어있는 물기가 건조되어진다. In addition, when the air of the
그런데, 종래의 카펫 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rpet clean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팬-모터(18)에서 흡입된 공기를 히터(20)로 보내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하는데, 흡입된 공기 중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히터(20)가 쇼트 될 우려가 매우 크다. First, the air sucked from the fan-
둘째, 펌프(14)로 회전브러쉬인 에지테이터(12)측으로 청소용액(3)을 분사시킬 때 가급적 에지테이터(12)의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분사시켜야 카펫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에지터에터(12)의 골고루 분사를 위해서는 펌프(14)의 펌핑 용량이 매우 커져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가격도 비싸다는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단일 분사노즐관 형태로 에지테이터(12)의 길이방향 중심 부근에만 분사하여 상대적으로 세척효율이 떨어진다. Second, when spraying the
셋째, 에지테이터(12)의 전방에만 흡입노즐(16)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펫 청소기를 전후로 밀 때 먼지나 수분을 덜 흡입할 우려가 크다.
Third, since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석션모터의 냉각배기바람을 세제분사에 적용하여 소형의 펌프를 사용하더라도 회전브러쉬의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세제를 분사하여 세척범위를 넓혀 세척효율도 매우 향상시킨 카펫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by applying the cooling exhaust wind of the suction motor to the detergent spray, evenly spraying the detergent eve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brush to widen the washing range wash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pet cleaner with a very improved efficienc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카펫 청소기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rpet cleaner according to
회전브러쉬; 세척액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회전브러쉬에 의해 상기 세척액과 상기 카펫의 먼지가 혼합되어 있는 액체를 집수통으로 석션하면서 상기 회전브러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석션 모터;를 포함하되, Rotary brush; A pump for pumping the washing liquid; And a suction motor which transfers rotational power to the rotary brush while suctioning the liquid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and the dust of the carpet are mixed by the rotary brush into a water collecting tank.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액은, 상기 석션모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회전브러쉬의 전방 또는 후방의 카펫을 향해 또는 상기 회전브러쉬를 향해 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shing liquid pumped by the pump is scattered toward the carpet in front of or behind the rotary brush or toward the rotary brush by the exhaust of the suction motor.
이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소형 펌프로도 회전브러쉬의 회전축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세제를 분사하여 세탁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i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석션 모터의 석션배기바람을 펌프의 펌핑 압력에 더 부가함으로써, 펌프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않아 본체의 체적을 콤팩트하게 하면서도 회전브러쉬의 회전축 길이방향으로 골고루 세제를 분사하여 카펫의 세제 닿는 면적을 넓혀 세탁효율을 높일 수 있다. By adding the suction exhaust wind of the suction motor to the pumping pressure of the pump, the volume of the main body can be made compact without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pump, and the detergent is evenly spra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rush to increase the detergent contact area of the carpet.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1개의 석션 모터로 회전브러쉬와 송풍팬의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장치의 콤팩트화를 구현하면서 히팅부재에 외부의 바람을 송풍하여 수분에 따른 쇼트 등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카펫 건조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imultaneously driving the rotary brush and the blower fan with one suction moto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act carpet of the device while preventing the short due to moisture by blowing the outside wind to the heating member to implement a stable carpet drying.
또한, 전용의 건조 드라이어를 안정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카펫의 전용 건조 기능을 담당하는 제1배기구와 세제액의 온도를 높여 세제가 잘 풀려 회전브러쉬로 문지를 때 더 잘 세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부가적으로 건조 기능도 하는 제2배기구로 분기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dedicated drying dryer stably,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exhaust vent and detergent liquid responsible for the dedicated drying function of the carpet, the detergent is released well, and when washing with a rotary brush, it is possible to obtain a better washing effect. Can branch to a second vent that also functions as a drying function.
또한, 전후에서 회전브러쉬가 카펫을 문질러 세탁효율을 더욱 배가하고, 특히 송풍팬의 회전동력을 받기 때문에 석션 모터 1개로도 2개의 회전브러쉬와 송풍팬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rear rotary brush rubs the carpet to further double the washing efficiency, and in particular, since the rotary fan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the suction brush can drive two rotary brushes and the blower fan at the same time.
또한, 석션 모터의 냉각배기바람을 카펫에 더 분사시킴으로써, 습한 카펫의 건조에 도움을 주어 세척 효율을 더욱더 높여준다. In addition, by further spraying the cooling exhaust wind of the suction motor to the carpet, it helps to dry the wet carpet to further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또한, 회전브러쉬의 전후에 전방 석션 덕트와 후방 석션 덕트가 배치됨으로써, 전후로 밀고 당기면서 청소할 때 덜 먼지나 수분을 석션하는 것을 차단하여 세척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suction duct and the rear suction duct is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rotating brush,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by blocking suction of less dust or moisture when cleaning while pushing and pulling back and forth.
또한, 전후방 덕트가 분기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집수통에서 각각 접속되는 것보다 전체적인 스페이스를 덜 차지하게 하고, 분기점을 석션 모터의 케이싱으로 받치게 함으로써 후방 석션 노즐과 더불어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되고 분기점의 실링 효과도 더 좋다.
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rear ducts are arranged in a branched form, they occupy less overall space than connected in the sump, and the branch points are supported by the casing of the suction motor, so that they are s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together with the rear suction nozzles. The sealing effect is also bett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펫 청소기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베이스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 및 분리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좌우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석션덕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베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에어 드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11-11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2는 석션모터의 외형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전방 석션덕트는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4는 세제분사노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5는 세제를 분사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6은 종래 카펫 청소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저면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arpe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2 in Fig.
3 and 4 are combined and disassembled perspective views of the base assembly of FIG. 1.
5 and 6 are left and right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of Figure 3 is removed.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duct is removed from FIG. 5.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6.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of FIG. 8 is removed.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dryer.
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1-11 of FIG. 10; FIG.
Figure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uction motor.
Figur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uction duct.
1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etergent spray nozzle;
1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oute for spraying detergent.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rpet cleaning.
17 is a bottom view of FIG. 16.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펫 청소기의 외형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베이스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좌우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석션덕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베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드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11-11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2는 석션모터의 외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3은 전방 석션덕트는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세제분사노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세제를 분사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arpet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combined and illustrating the base assembly of FIG. 1. 5 and 6 are left and right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se of FIG. 3 is remov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duct is removed in FIG. 5, and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6.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of FIG. 8 is remove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yer, 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1-11 of FIG. 10, and FIG. 12 is a view of a suction motor. 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Figure 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uction duct, Figure 1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ergent spray nozzle, Figure 1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th for spraying deterg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펫 청소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 어셈블리(10)와, 베이스 어셈블리(10)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어셈블리(30)로 이루어진다. Carpe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consists of a
베이스 어셈블리(10)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수통(200)과, 본체(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러쉬(300)와, 먼지나 수분 또는 먼지가 혼합되어 있는 액체를 석션 덕트(250)를 통해 집수통(200)으로 석션하는 석션모터(400)와, 본체(100) 내에 장착되는 드라이어(500)와, 석션모터(400)의 회전동력을 회전브러쉬(300) 및 드라이어(500)에 제공하는 제1동력전달부재(470) 및 제2동력전달부재(480)로 이루어진다. The
본체(100)는 베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30)로 이루어진다. The
상부 케이스(130)의 상방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션 덕트(250)가 안착되는 안착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A
상부 케이스(130)의 일측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구(134)가 형성되어 있어, 주로 본체(100) 내로 외부 공기가 유동하게 한다.
상부 케이스(130)의 후방에는 집수통(200)이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At the rear of the
수용홈(133)의 양측과 바닥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가이드 돌기(135)가 형성되고, 집수통(200)에는 측면 가이드 돌기(135)에 끼워져 가이드 되는 측면 가이드 홈(235)이 형성되어 있다. Side guide
이 구성에 의해, 집수통(200)은 수용홈(133)에 위에서 아래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고 다른 방향에 대해서는 구속되어 안정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By this configuration, the
또한, 상부 케이스(130)의 후방 양측에는 바퀴(150)와, 핸들(30)의 넥(90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부쉬(139)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t both rear sides of the
또한, 장착 부쉬(139)의 관통공은 후술되는 펌프(800)의 세제공급튜브와 PCB(650)의 케이블이 본체(100) 내로 인출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of the mounting
석션덕트(250)의 전방은 베이스(110)의 전방에 체결되고, 석션덕트(250)의 후방에는 도 13과 같이 체결리브(255)가 형성되어, 안착홈(131)의 후방 측에 형성된 체결공(141)에 끼워져 피스에 의해 결합된다. 석션덕트(250)의 후방에는 실링(143)에 의해 집수통(200)의 석션흡입구(210)에 접하게 된다. The front of the
석션덕트(250)의 전방은 석션 노즐(251)을 구성하고, 이 석션 노즐(251)을 통해 먼지나 수분을 석션하여 석션 덕트(250)와 석션흡입구(210)를 통해 집수통(200)에 집수하고, 석션 공기는 석션배기구(220)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The front of the
석션 노즐(251)은 회전브러쉬(300)의 바로 앞쪽에 배치되는 전방 석션 노즐(251)을 구성한다. The
또한, 석션 노즐(251)의 최전단에는 전방을 향해 경사각이 높아지는 경사판(25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이 경사판(253)은 카펫의 털을 앞으로 눕히는 효과가 있어, 좁은 석션 노즐(251)이 카펫의 턱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The
또한, 회전브러쉬(300)의 바로 뒤쪽에 후방 석션 노즐(261)을 갖는 후방 석션 덕트(26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후방 석션 덕트(260)의 선단인 후방 석션 노즐(261) 측이 베이스(110)에 체결되고, 후방 석션 덕트(260)의 후단(265)은 전방 석션 덕트(250)의 후단측 하면에 형성되는 석션분기공(257)에 접속하게 된다. The
즉, 후방 석션 덕트(260)의 후단(265)은 안착홈(131)에 형성된 관통공(132)에 끼워져 후방 석션 덕트(260)의 후단에 접속하게 된다. That is, the
이러한 석션 덕트의 분기 구조로 인하여, 전방 석션 덕트(250)는 본체(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후방 석션 덕트(260)는 본체(100) 내에 배치된다. Due to the branching structure of the suction duct, the
이와 같은 전후방 석션 노즐(251)(261)의 배치는 카펫 청소기를 전후로 밀 때 수분을 덜 석션하는 구간을 완전히 없애 청소효율을 현저히 높인다. The arrangement of the front and
한편, 후방 석션 덕트(260)의 후단(265)측은 관통공(132)에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된 석션모터(400)의 석션모터케이싱(410)에 형성된 받침리브(450)에 의해 받쳐지는 구조를 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이와 같은 내외부의 석션덕트(250)(260)를 분기시켜 석션하게 함으로써, 집수통(200)과의 접속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전체적으로 본체(100)의 컴팩트화 하는데 기여한다. By branching and suctioning the
회전브러쉬(300)는 베이스(110)의 장착브라켓(111)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브라켓(111)은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The
회전브러쉬(300)와 석션모터(400)는 제1동력전달부재(4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The
제1동력전달부재(47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션모터(400)의 회전축(401) 일단에 설치된 제1구동풀리(471)와, 회전브러쉬(300)의 회전축(301) 일단에 설치된 제1피동풀리(473)와, 제1구동풀리(471)와 제1피동풀리(473)를 연결하는 제1벨트(475)로 구성하여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first
한편, 드라이어(500)는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히팅 공기를 카펫에 분사하는 장치로서, 도 6,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팬(510)과, 송풍팬(510)에 송풍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부재(530), 석션 모터(400)의 회전동력을 송풍팬(510)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재(48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송풍팬(510)에는 회전축(511)이 설치되고, 회전축(511)은 제1베어링지지대(513)와 제2베어링지지축(515)에 지지되어 있다. A
송풍팬(510)은 후술되는 유로관(540)의 흡기구(541) 측에 체결되는 팬케이싱(516) 내에 배치되고, 제2베어링지지축(515)은 팬케이싱(516)의 흡입 도입구(518)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blowing
히팅부재(530)는 흡기구(541)와 배기구(543)를 갖는 유로관(540)과, 흡기구(541)와 배기구(543) 사이의 유로관(540) 내에 배치되는 히터(또는 전열선)(550)를 포함한다. The
제2동력전달부재(480)는 석션모터(400)의 동일한 회전축(401)에 설치되는 제2구동풀리(481)와, 송풍팬(510)의 회전축(511)에 설치되는 제2피동풀리(483)와, 제2구동풀리(481)와 제2피동풀리(483)를 연결하는 제2벨트(485)를 포함한다. The second
따라서, 송풍팬(510)이 석션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 팬케이싱(516)의 흡입 도입구(518)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유로관(540)의 흡입구(541)와 히터(550)를 거쳐 공기를 가열한 후 배기구(543)로 배기한다. Therefore, when the
이와 같이 배기한 가열 공기는 카펫의 바닥을 향해 분사하기 때문에, 축축한 카펫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가열하기 때문에 수분에 따른 히터(550)의 쇼트를 방지한다. Since the exhausted air is blown toward the bottom of the carpet, the damp carpet is not only dried quickly but also sucks and heats outside air to prevent shorting of the
특히, 석션 모터(400) 1개로 석션, 회전브러쉬(300)의 회전 및 송풍팬(510)의 회전을 모두 동시에 구현하기 때문에 송풍팬(510)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는 필요 없다. In particular, since one
송풍팬(510)의 구동(회전)은 특별히 큰 힘을 요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회전브러쉬(300)를 회전시키는 석션모터(400)의 회전축(401)에서 나오는 회전동력을 그대로 받아서 송풍팬(510)에 전달해주면 충분하다. Since the driving (rotation) of the
특히 본 실시예에서 있어서 배기구(543)는 유로관(540)의 직하방으로 히팅 공기를 배기하는 제1배기구(545)와, 전방 석션노즐(251)과 전방 회전브러쉬(300) 사이의 하면으로 히팅 공기를 유도하는 제2배기구(547)로 분기하여 사용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즉, 제1배기구(545)는 카펫 전용 건조 배기구이고, 제2배기구(547)는 회전브러쉬(300)에 분사되는 세제액이 카펫에 묻었을 때 그 묻은 세제액을 가열하여 온도를 높여 세제액이 잘 풀어지는 효과가 있어 카펫의 세탁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건조 기능도 겸하게 한다. (찬물에 세탁하는 것보다 뜨거운 물에 세탁하는 것이 세제가 더 잘 풀리는 효과를 어느 정도 얻고자 함)That is, the
이러한 기능 분배를 위해, 제1배기구(545)는 제2배기구(547) 보다 그 횡단면을 넓게 하여, 가열 공기 중 60~70%는 제1배기구(545)로, 40~30%은 제2배기구(547)로 배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this function distribution, the
제1배기구(545)에는 베이스(110)에 체결되는 제1배기덕트(5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배기구(545)의 가열 공기가 넓은 범위로 분사시키게 한다. The
제1배기덕트(546)에는 팬케이싱(516)과 제1베어링지지대(513)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지지대(546a)(546b)가 형성되어 있다. The
제2배기구(547)는 베이스(110)에 체결되는 제2배기덕트(548)에 튜브(미도시)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한편, 베이스(110)의 후방에는 후방 회전브러쉬(310)가 더 설치되고, 후방 회전브러쉬(310)는 제3동력전달부재(490)에 의해 송풍팬(510)의 회전축(511)의 회전동력을 전달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후방 회전브러쉬(310)도 단면이 반원 형상이 장착브라켓(1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제3동력전달부재(490)는 송풍팬(510)의 동일한 회전축(511)에 설치되는 제3구동풀리(491)와, 후방 회전브러쉬(310)의 회전축(311)에 설치되는 제3피동풀리(493)와, 제3구동풀리(491)와 제3피동풀리(493)를 연결하는 제3벨트(495)를 포함한다. The third
이와 같이, 석션 모터(400) 1개로 석션 동작을 통해 전후방 회전브러쉬(300)(310) 및 송풍팬(510)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As such, the
따라서, 장치를 소형화시키면도 전후방 회전브러쉬(300)(310)가 동시에 카펫을 문지르기 때문에 카펫의 청소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apparatus is downsized, the front and rear rotary brushes 300 and 310 simultaneously rub the carpet, thereby increas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carpet.
석션모터(400)는 습식 석션모터(400)로서 도 12와 같이 석션용 임펠러(미도시)와 모터부(미도시), 임펠러와 모터부를 탑재한 석션모터케이싱(410)으로 구성하여 있다. The
모터부(미도시)는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403)와, 이 구동모터(403)를 냉각하는 냉각팬(미도시)으로 구성하여 있다. The motor part (not shown) is comprised by the
석션모터케이싱(410)은 임펠러를 감싸는 임펠러케이싱(430)과 모터부를 감싸는 모터케이싱(440)로 이루어진다. The
모터케이싱(440)은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41)와 공기배출구(443)로 구성하여 있다. The
또한, 모터케이싱(440)에는 전술한 받침리브(450)가 상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모터부에는 모터(403)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팬(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는데, 냉각팬은 구동모터(403)의 동일 회전축(401)에 설치되어 냉각팬의 회전으로 통풍구(134)로 들어온 공기를 공기유입구(441)로 유입시킨 후 구동모터(403)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냉각시킨 따뜻한 가열 공기를 공기배출구(443)로 배출된다. In the motor unit, a cooling fan (not shown) is mounted to cool the
공기배출구(443)로 배출되는 가열 공기도 외부 공기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베이스(110)를 바닥으로 분사시키면 카펫의 건조 기능도 더 담당할 수 있다. Since the heated air discharged to the
임펠러케이싱(430)에는 석션유입구(431)와 석션유출구(433)가 형성되어 있다. A
석션유입구(431)는 상부케이스(130)에 형성된 연결관(435)을 통해 집수통(200)의 석션배기구(220)에 서로 통하게 된다. The
따라서, 석션모터(400)가 구동하면,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석션노즐(251 또는/및 261)을 통해 먼지나 수분이 흡입되어 석션덕트(250 또는/및 260), 석션흡입구(210)를 거쳐 집수통(200)으로 유입되고, 집수통(200) 내의 공기는 석션배기구(220), 연결관(435), 석션유입구(431) 및 석션유출구(433)로 나간다. Therefore, when the
특히, 석션유출구(433)에서 나오는 석션배기(또는 석션배기바람)는 후술된 펌프(800)에 의해 펌핑된 세척액을 회전브러쉬(300 또는/및 310)의 전방 또는 후방의 카펫을 향해 또는 회전브러쉬(300 또는/및 310)를 향해 분사되어 비산되게 한다. In particular, the suction exhaust (or suction exhaust wind) coming out of the
전방 회전브러쉬(300)가 있는 베이스(110)의 장착브라켓(111) 상면에는 전방 세제분사노즐(710)이 체결 설치되고, 후방 회전브러쉬(310)가 있는 베이스(110)의 장착브라켓(113) 상면에는 후방 세제분사노즐(730)이 배치된다. The front
장착브라켓(111)(113)에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장공(112)(114)이 설치되어, 이 장공(112)(114)을 통해 세제가 통과하여 회전브러쉬(300)(310)에 분사하게 한다.
세제분사노즐(710)(73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112)(114)에 배치되게 체결되는 노즐분배덕트(711)(731)와, 노즐분배덕트(711)(731)에 형성되는 노즐 인렛(713)(733)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노즐분배덕트(711)(713)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노즐구(712)(732)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있다.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이러한 노즐구(712)(732)의 길이방향 배치는 회전브러쉬(300)(310)의 길이방향에 걸쳐 세제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갖게 되어, 카펫의 클리닝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of the nozzle holes 712 and 732 has a direction that can evenly spray the detergent ov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그런데, 펌프(800)의 펌핑 압력으로 다수의 노즐구(712)(732)로 세제를 분사하려면, 펌프(800)의 펌핑 압력이 매우 높아야 하는데 이런 경우 펌프(800)의 용량이 커져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단가가 오르는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However, in order to spray detergent to the plurality of nozzle holes 712 and 732 at the pumping pressure of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석션유출구(433)로 나가는 석션배기바람을 펌프(800)의 펌프 압력에 부가시킴으로써 위와 같은 트러블을 해소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bove trouble can be eliminated by adding the suction exhaust wind to the
즉, 도 15과 같이, 펌프(800)는 노즐 인렛(713)(733)과 튜브 등으로 연결되는데, 이 튜브에 석션유출구(433)를 튜브로 연결 접속시킴으로써, 석션배기바람의 압력을 펌핑 압력에 분가시켜 다수의 노즐구(712)(732)로 세제를 원활히 분사시킬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5, the
베이스(110)에는 도 8과 같이, 제1배기덕트(546) 및 제2배기덕트(548)에 나오는 제1 및 제2히팅배기바람을 통과시키는 제1 및 제2통과공(115)(116), 공기배출구(443)에 나오는 냉각공기바람을 통과시키는 제3통과통(117)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다른 한편, 핸들 어셈블리(30)는 하우징(600)과, 하우징(6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제통(700)과, 하우징(600) 내에 장착되는 펌프(800)와, 하우징(600)과 본체(110)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넥(900)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하우징(600)은 전방 하우징(610)과 후방 하우징(630)이 체결 형성되어 있다. The
하우징(600)의 하단에는 넥(900)이 설치되고, 하우징(600)의 상단에는 손잡이용 봉(670)이 설치된다. A
하우징(600) 내부에는 펌프(800)가 탑재되어 있다. The
또한, 하우징(600) 내에는 PCB(650)가 장착되어 있고, 펌프(800), 석션 모터(400) 및 드라이어(500)를 구동 제어한다. In addition, a
후방 하우징(630)의 외주면에는 세제통(70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펌프(800)는 세제통(700)의 세제액을 펌핑하여 전후방세제분사노즐(710)(730)로 분사시킨다. The
이때, 석션유출구(433)에서 나오는 석션배기바람을 더 추가하여 세제액을 전후방세제분사노즐(710)(730)로 분사시킴으로써 소형의 펌프(800)로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노즐구(712)(732)로 골고루 강제 분사할 수 있다. At this time, by adding a suction exhaust wind from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석션모터(400)와 드라이어(500)를 구동하는 파워와, 펌프(800)의 파워는 별도로 구성하여 있어, 세제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for driving the
펌프(800) 미작동시 드라이어(500)는 회전브러쉬(300)(310)와 더불어 카펫의 털이 잘 세워지게 하는 드라이어 기능을 한다.(이것은 머리를 빗질하면서 드라이어로 드라이하여 원하는 형태로 머리를 만드는 것과 같은 원리임).Whe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or modifi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10 : 베이스 어셈블리 100 : 본체
110 : 베이스 111,113 : 장착브라켓
112,114 : 장공 115,116,117 : 통과공
130 : 상부케이스 131 : 안착홈
132 : 관통공 133 : 수용홈
134 : 통풍구 135 : 측면 가이드 돌기
139 : 장착 부쉬 141 : 체결공
143 : 실링 150 : 바퀴
200 : 집수통 210 : 석션흡입구
220 : 석션배기구 235 : 측면 가이드 홈
250 : (전방)석션덕트 251 : (전방)석션노즐
253 : 경사판 255 : 체결리브
257 : 석션분기공 260 : (후방)석션덕트
261 : (후방)석션노즐 300 : (전방)회전브러쉬
301 : 회전축 310 : 후방 회전브러쉬
311 : 회전축 400 : 석션모터
401 : 회전축 403 : 구동모터
410 : 석션모터케이싱 430 : 임펠러케이싱
431 : 석션유입구 433 : 석션유출구
435 : 연결관 440 : 모터케이싱
441 : 공기유입구 443 : 공기배출구
450 : 받침리브
470,480,490 : 제1,2,3동력전달부재 471,481,491 : 제1,2,3구동풀리
471,483,493 : 제1,2,3피동풀리 471,485,495 : 제1,2,3벨트
500 : 드라이어 510 : 송풍팬
511 : 회전축 513 : 제1베어링지지대
515 : 제2베어링지지축 516 : 팬케이싱
518 : 흡입 도입구 530 : 히팅부재
540 : 유로관 541 : 흡기구
543 : 배기구 545 : 제1배기구
546 : 제1배기덕트 546a,546b : 받침지지대
547 : 제2배기구 548 : 제2배기덕트
550 : 히터(전열선) 30 : 핸들 어셈블리
600 : 하우징 610,630 : 전후방 하우징
650 : PCB 650 : 손잡이용 봉
700 : 세제통 710,730 : 전후방세제분사노즐
711,731 : 노즐분배덕트 712,732 : 노즐구
713,733 : 노즐 인렛 800 : 펌프
900 : 넥10: base assembly 100: main body
110: base 111,113: mounting bracket
112,114: long hole 115,116,117: through hole
130: upper case 131: seating groove
132: through hole 133: receiving groove
134: vent hole 135: side guide projection
139: mounting bush 141: fastening hole
143: sealing 150: wheels
200: reservoir 210: suction inlet
220: suction exhaust 235: side guide groove
250: (front) suction duct 251: (front) suction nozzle
253: inclined plate 255: fastening rib
257: suction branch 260: (rear) suction duct
261: (rear) suction nozzle 300: (front) rotating brush
301: rotation axis 310: rear rotation brush
311: rotating shaft 400: suction motor
401: rotating shaft 403: drive motor
410: suction motor casing 430: impeller casing
431: suction inlet 433: suction outlet
435
441: air inlet 443: air outlet
450: support rib
470,480,490: 1st, 2nd, 3rd power transmission member 471,481,491: 1st, 2nd, 3rd driving pulley
471,483,493: 1,2,3 driven pulley 471,485,495: 1,2,3 belt
500: dryer 510: blowing fan
511: rotating shaft 513: first bearing support
515: second bearing support shaft 516: pan casing
518: suction inlet 530: heating member
540: flow path 541: intake vent
543: exhaust port 545: first exhaust port
546:
547: secondary exhaust 548: secondary exhaust duct
550: heater (heating wire) 30: handle assembly
600: housing 610,630: front and rear housing
650: PCB 650: handle rod
700:
711,731 nozzle distribution duct 712,732 nozzle
713,733: Nozzle Inlet 800: Pump
900: neck
Claims (1)
세척액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회전브러쉬에 의해 상기 세척액과 카펫의 먼지가 혼합되어 있는 액체를 집수통으로 석션하면서 상기 회전브러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석션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브러쉬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브러쉬의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노즐구를 갖는 세제분사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액은, 상기 석션모터의 배기에 의해 상기 세제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회전브러쉬의 전방 또는 후방의 카펫을 향해 또는 상기 회전브러쉬를 향해 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 청소기.
Rotary brush;
A pump for pumping the washing liquid;
And a suction motor which transfers rotational power to the rotary brush while suctioning the liquid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and the dust of the carpet are mixed by the rotary brush into a water collecting tank.
Detergent spray nozzle having a nozzle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brus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brush,
The washing liquid pumped by the pump is scattered toward the carpet in front of or behind the rotary brush or toward the rotary brush through the detergent spray nozzle by the exhaust of the suction moto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9413A KR101287028B1 (en) | 2011-03-04 | 2011-03-04 | Carpet cleaner |
CN201110320071.6A CN102652659B (en) | 2011-03-04 | 2011-10-20 | Carpet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9413A KR101287028B1 (en) | 2011-03-04 | 2011-03-04 | Carpet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0487A KR20120100487A (en) | 2012-09-12 |
KR101287028B1 true KR101287028B1 (en) | 2013-07-17 |
Family
ID=4672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9413A KR101287028B1 (en) | 2011-03-04 | 2011-03-04 | Carpet clean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7028B1 (en) |
CN (1) | CN102652659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92818A (en) * | 2018-02-26 | 2019-09-03 |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
CN110192807A (en) * | 2018-02-26 | 2019-09-03 |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 The ground brush assemblies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of surface cleaning apparatus |
CN110464250A (en) * | 2018-05-10 | 2019-11-19 |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 A kind of sweeping robot and floor cleaning method |
CN110558900A (en) * | 2019-08-27 | 2019-12-13 | 青岛黄海学院 | Ground cleaning robot |
CN112438663B (en) * | 2019-08-29 | 2022-08-26 |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 Clean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8407A (en) * | 2004-01-29 | 2005-08-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arpet cleaner |
JP2010068903A (en) * | 2008-09-17 | 2010-04-02 | Sanyo Electric Co Ltd | Wet & dry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396222B1 (en) * | 2002-09-07 | 2010-04-14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 Brush suction device for a vacuum cleaner |
AU2004202941B2 (en) * | 2004-03-09 | 2006-02-02 | Lg Electronics Inc | Complex type cleaner |
US20080047093A1 (en) * | 2006-08-28 | 2008-02-28 | Gordon Evan A | Battery powered extractor |
DE102007029258A1 (en) * | 2007-06-15 | 2008-12-18 | Alfred Kärcher Gmbh & Co. Kg | Floor cleaning device |
DE102008008066A1 (en) * | 2008-02-01 | 2009-08-06 | Alfred Kärcher Gmbh & Co. Kg | Floor cleaning device |
-
2011
- 2011-03-04 KR KR1020110019413A patent/KR10128702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10-20 CN CN201110320071.6A patent/CN102652659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8407A (en) * | 2004-01-29 | 2005-08-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arpet cleaner |
JP2010068903A (en) * | 2008-09-17 | 2010-04-02 | Sanyo Electric Co Ltd | Wet & dry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652659B (en) | 2014-11-19 |
CN102652659A (en) | 2012-09-05 |
KR20120100487A (en) | 2012-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00485A (en) | Carpet cleaner | |
US20220273151A1 (en) | Extractor cleaning machine | |
KR101287028B1 (en) | Carpet cleaner | |
US20070251552A1 (en) | Dish washer | |
CN106907769B (en) |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 |
US8176649B2 (en) | Extraction cleaning with plenum and air outlets facilitating air flow drying | |
CN216020827U (en) | Be used for air-dried basic station of cleaning machines people | |
US5797163A (en) | Liquid extraction machine | |
US4138760A (en) | Carpet cleaning attachment | |
KR100539758B1 (en) | Quick-drying water cleaner | |
KR20120100486A (en) | Carpet cleaner | |
US7891049B1 (en) | Deep cleaner with heat-retaining skirt | |
KR20230017094A (en) | Cleaner | |
CN114466613A (en) |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 |
CN100486510C (en) | Carpet cleaner with drying device | |
JP4667107B2 (en) | Wet vacuum cleaner | |
EP4378367A1 (en) | Cleaner | |
KR101629305B1 (en) | A vacuum clenaer | |
KR20250008055A (en) | Vacuum cleaner nozzle with steam cleaning device | |
KR100697019B1 (en) | Motor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wet cleaner | |
KR20240020600A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