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5850B1 -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850B1
KR101285850B1 KR1020110055607A KR20110055607A KR101285850B1 KR 101285850 B1 KR101285850 B1 KR 101285850B1 KR 1020110055607 A KR1020110055607 A KR 1020110055607A KR 20110055607 A KR20110055607 A KR 20110055607A KR 101285850 B1 KR101285850 B1 KR 101285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mounting portion
driver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588A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8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조작 없이 무인차량을 기계식 주차장까지 자동이송시켜 주차시키므로 운전자의 차량 주차과정이 단순화되어 기계식 주차장에대한 운전자의 거부감을 없애고 주차시 발생되는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차시 운전자는 미리 하차하게 되고 하차 후 자동으로 차량이 주차되므로 운전미숙으로 또는 주차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자동차가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를 주차타워의 출입문 안팎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entrance and exit of vehicle}
본 발명은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계식 주차설비의 외부에서 내부로 차량을 넣고, 내부의 차량을 외부로 빼는 과정이 운전자 없이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자동차가 대중적으로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차 이용률 및 자동차 보급률이 매년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자동차 관련 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 중 하나가 주차이다.
번화한 도시와 같이, 한 건물 또는 한 시설에 대한 자동차 이용 인구가 많은 반면에 제공될 수 있는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경우, 주차 공간의 확보는 자동차 이용자 간에 첨예한 중요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차 관련 문제는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문제로 발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주차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주차 설비의 주목적은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부수적인 목적으로 간단한 구조 및 시스템, 조작의 편의성, 신속한 입고 및 출고, 저렴한 공사 비용 등이 있다. 종래의 주차 설비는 승강기식, 수직 순환식, 다층 순환식, 수평 순환식, 카트식, 승강횡행식 및 턴-테이블식 등이 있으며, 이들 주차 설비는 설치 장소, 이용 인구 및 사용 조건에 따라 필요한 주차 설비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인 주차시설인 경우에는 운전자가 위차위치에 직접차량을 주차하면 주 차가 완료되지만 기계식 주차시설인 경우는 주차메카니즘이 복잡해진다.
즉, 기계식 주차시설에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주차대상인 차량을 직접 운전하여 주차시설내로 차량을 진입시킨 후 하차한다. 운전자가 하차하면 리프트가 가동되어 차량의 주차가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주차시설은 운전자가 직접 주차구역내로 진입하여야 하는 등 안전사고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 조작 없이 무인차량을 기계식 주차장까지 자동이송시켜 주차시키므로 운전자의 차량 주차과정을 단순화시켜 기계식 주차장에의 주차 거부감을 없애고 주차 시 발생되는 안전문제를 해결하는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주차시 운전자는 주차 건물 밖에서 미리 하차하게 되고 하차 후 자동으로 차량이 기계식 주차장으로 주차되므로 운전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해소되는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미 설치된 기계식 주차시설에 적용 가능한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차타워의 안팎으로 차량을 자동 출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자동차가 탑재되는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를 주차타워의 출입문 안팎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를 포함하는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의 조작 없이 무인차량을 기계식 주차장까지 자동 이송시켜 주차시키므로 운전자의 차량 주차과정이 단순화되며 동시에 기계식 주차에 대한 운전자의 거부감을 없애고 주차 시 발생되는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차 시 운전자는 미리 하차하게 되고 하차 후 자동으로 차량이 주차되므로 운전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해소될 뿐 아니라, 이미 설치된 모든 기계식 주차시설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른 본 발명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저면도이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차타워(10)의 안팎으로 차량(20)을 자동 출입시키기 위한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차량(20)이 탑재되는 탑재부(100)와, 상기 탑재부(100)를 주차타워(10)의 출입문(11) 안팎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탑재부(100)는 차량(20)이 탑재될 수 있도록 넓은 장방형의 파레트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탑재부(100)는 상기 주차타워(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면서, 그 상부에 위치한 차량(20)을 주차타워(10)로 입고시키거나, 주차타워(10)에서 출고시킨다.
한편, 상기 수평이송부(200)는 상기 탑재부(100)를 주차타워(10)의 출입문(11) 안팎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탑재부(100)가 상기 주차타워(10)의 내외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공급한다. 상기 수평이송부(200)는 상기 탑재부(100)를 수평이동시키는 범위에서 직선운동 가능한 리니어모터를 비롯하여 공지의 다양한 구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차량(20)을 주차타워(10)의 내부로 입고할 경우, 차량(20)을 직접 주차타워(10)의 내부로 운전하고 들어가야 했던 종래와는 달리, 운전자가 주차타워(10)의 출입문(11) 앞에 설치된 탑재부(100) 까지만 차량(20)을 운전하고 가면, 상기 출입문(11)을 개페하는 도어(12)가 개방되고, 운전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상기 탑재부(100)가 주차타워(10)의 내부로 차량(20)을 이송시킨다. 반대로, 주차타워(10)에 보관된 차량(20)을 외부로 출고할 경우, 차량(20)을 빼내기 위해 직접 주차타워(10)의 내부로 들어가야 했던 종래와는 달리, 운전자가 주차타워(10)의 출입문(11)에서 대기하고 있으면, 탑재부(100)가 주차타워(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차량(20)을 운송하여 운전자는 주차타워(10)의 외부에서 차량(20)을 운전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입고된 차량(20)은 상기 차량(20)이 탑재된 탑재부(100)와 함께 지지판(14)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지판(14)을 승강 또는 회전시키는 승강장치(13)의 작용으로 주차공간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이송부(200)는 상기 탑재부(100)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210)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100)는 상기 가이드롤러(210)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저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가이드홈(110)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롤러(210)는 지면(30)과 탑재부(10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상기 탑재부(100)의 이송과정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의 경우, 상기 가이드롤러(210)에 의한 탑재부(100)의 구름동작이 보다 안정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탑재부(100)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롤러(210)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10)을 상기 탑재부(100)의 주행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롤러(21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여 다수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이드홈(110)은 상기 가이드롤러(210)와 대응하도록 탑재부(100) 저면의 양측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면(30)과 탑재부(100) 사이의 마찰을 감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롤러방식을 선택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치 아니하고, 탑재부(100)를 지면(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토록 하는 미끄럼베어링 등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마찰감소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이송부(200)는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230)와, 상기 탑재부(100)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30)와 맞물려 수평이동하는 랙기어(24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20)는 상기 탑재부(100)를 주차타워(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이송시켜야하기 때문에 양방향 모터로 구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방향으로 구동하는 2가지 타입의 모터로 구비되어야 한다. 즉, 상기 모터(2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탑재부(100)는 주차타워(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송되고, 상기 모터(2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탑재부(100)는 주차타워(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송하는 것이다.
피니언기어(230)는 상기 모터(22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220)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랙기어(240)는 상기 탑재부(100)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30)와 맞물려 수평이동한다. 즉, 상기 피니언기어(230)와 랙기어(240)는 상기 모터(2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하여 상기 탑재부(100)를 수평이송하게끔 작용한다. 또한, 상기 모터(220)와 피니언기어(230) 사이에는 감속기가 장착되어 회전속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탑재부(100)는 상면에 차량(20)의 바퀴(21)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안착홈(120)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120)은 탑재부(100)의 상단에 위치한 차량(20)이 주차타워(10)의 내외부로 이송하는 과정이나, 주차타워(10)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과정에서 자우로 흔들이지 않고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차량(20)의 네 바퀴에 해당되는 위치에만 요입 형성되거나, 상기 가이드홈(110)과 같이 상기 탑재부(100)의 주행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요입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탑재부(100)는 상면에 상기 차량(20)의 바퀴(21)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안착홈(120)을 형성하는 파레트(101)와, 상기 파레트(101)의 하단에 배치되고, 그 저면에 상기 가이드롤러(210)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가이드홈(110)을 형성하며, 상기 피니언기어(230)와 맞물려 수평이동하는 랙기어(240)가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캐리어(10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캐리어(102)가 상기 파레트(101) 및 그 상단에 탑재된 차량(20)을 주차타워(10)의 내부로 이송하면, 상기 파레트(101)와 차량(20)은 주차타워(20)의 내부에 보관되고, 상기 캐리어(102)만 밖으로 빠져나온다. 반대로 상기 캐리어(102)가 주차타워(10)의 내부로 들어가면 그 상단에 차량(20)이 탑재된 파레트(101)가 실리고 주차타워(10)의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탑재부(100)의 구성이 파레트(101)와 캐리어(102)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주차타워(10)의 안팎으로 차량(20)을 이송하는 캐리어(102)에만 랙기어(240)를 부착하면 되기 때문에 수많은 파레트(101)에 랙기어(240)를 부착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그에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파레트(101) 밑에 위치하는 캐리어(102)의 폭은 파레트(101)보다 적게하여 기존 파레트(101) 사용 주차장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이송부(200)는 지면(30)에 함몰되게 형성된 설치홈(31)에 설치되고, 상기 탑재부(100)는 그 상면이 상기 지면(30)과 수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지면(30)에 요입하게 형성된 설치홈(31)을 형성한 뒤, 그 요입공간에 수평이송부(200)와 탑재부(100)를 설치하게 되면, 수평이송부(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탑재부(100)는 지면(30)과 수평하기 때문에 차량(20)을 탑재부(100)로 탑재하거나, 탑재부(100)에 탑재된 차량(20)을 지면(30)으로 빼내는 과정이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치홈(31)의 바닥면에는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롤러(210)가 장착된 롤러베이스(250)가 안착된다.
상기 롤러베이스(250)는 주차타워(10)의 외부에도 배치되지만, 주차타워(10) 내부의 지지판(14) 상단에도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롤러베이스(250)는 그 상부가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20)이 탑재된 탑재부(100)가 주차타워(10)의 안팎으로 매끄럽게 이송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210)는 상기 롤러베이스(250)에 장착되고, 상기 탑재부(100)는 그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0)의 작용으로 가이드롤러(210)를 따라 이송할 수 있지만, 상기 롤러베이스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탑재부의 저면에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롤러베이스(250)에는 상기 모터(220) 및 피니언기어(230)가 수납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수납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의 조작 없이 무인차량을 기계식 주차장까지 자동이송시켜 주차시키므로 차량의 주차공정이 줄어들고 주차시 발생되는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차시 운전자는 미리 하차하게 되고 하차 후 자동으로 차량이 주차되므로 운전미숙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해소될 뿐 아니라, 이미 설치된 기계식 주차시설에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주차타워 20 : 차량
100 : 탑재부 101 : 파레트
102 : 캐리어 110 : 가이드홈
120 : 안착홈 200 : 수평이송부
210 : 가이드롤러 220 : 모터
230 : 피니언기어 240 : 랙기어
250 : 롤러베이스

Claims (7)

  1. 주차타워의 안팎으로 차량을 자동 출입시키기 위한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차량이 탑재되고, 저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탑재부;
    상기 탑재부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롤러가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고, 지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설치홈에 안착되는 롤러베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탑재부를 주차타워의 출입문 안팎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부는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탑재부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수평이동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상면에 차량의 바퀴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안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상면에 상기 차량의 바퀴가 끼워지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안착홈을 형성하는 파레트;
    상기 파레트의 하단에 배치되고, 그 저면에 상기 가이드롤러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수평이동하는 랙기어가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KR1020110055607A 2011-06-09 2011-06-09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KR101285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07A KR101285850B1 (ko) 2011-06-09 2011-06-09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607A KR101285850B1 (ko) 2011-06-09 2011-06-09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88A KR20120136588A (ko) 2012-12-20
KR101285850B1 true KR101285850B1 (ko) 2013-07-12

Family

ID=4790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607A KR101285850B1 (ko) 2011-06-09 2011-06-09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277B (zh) * 2019-07-22 2022-06-21 郑州叮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系统
KR102456880B1 (ko) 2020-09-25 2022-10-20 (주)한국전자기술 회의 참석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023B1 (ko) * 1989-12-30 1992-05-22 금성기전 주식회사 입체주차 설비의 자동입출고 장치
KR200218264Y1 (ko) 2000-10-14 2001-03-15 송성강 주차장치
JP2007056469A (ja) 2005-08-22 2007-03-08 Nissei Ltd 自動車の入出庫システム及び入出庫方法
KR20080082525A (ko) * 2007-03-08 2008-09-11 조원대 기계식 2단 주차기의 팔레트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023B1 (ko) * 1989-12-30 1992-05-22 금성기전 주식회사 입체주차 설비의 자동입출고 장치
KR200218264Y1 (ko) 2000-10-14 2001-03-15 송성강 주차장치
JP2007056469A (ja) 2005-08-22 2007-03-08 Nissei Ltd 自動車の入出庫システム及び入出庫方法
KR20080082525A (ko) * 2007-03-08 2008-09-11 조원대 기계식 2단 주차기의 팔레트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88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4410B2 (en) Vehicle shuttle
KR100841487B1 (ko) 주차시스템의 수평이송장치
KR101606422B1 (ko) 자동화주차장의 턴테이블
EP2266912A1 (en) Conveyor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of passengers/goods
KR100775853B1 (ko) 원형주차타워
KR20090122360A (ko) 회전식 차량 로딩 플렛폼을 구비한 하나의 주차 공간에 두 차량을 주차하는 주차 장치
KR20210011578A (ko) 평면왕복식 주차장치
CN104763188A (zh) 一种立体停车库
CN104947980A (zh) 一种双塔式多层无避让立体车库及其存取车方法
KR20230001083A (ko) 주차기의 타이어 스톱퍼장치
KR101285850B1 (ko)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RU2514311C1 (ru) Парк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4680720B2 (ja) 自動車の入出庫システム
CN104775646A (zh) 无避让式立体停车库
CN112942930A (zh) 垂直循环立体车库及具有其的充电中心
CN105735695A (zh) 一种旋转式停车库
CN214942898U (zh) 垂直循环立体车库及具有其的充电中心
JP2942944B2 (ja) 駐車塔のターン装置
JPH0447114B2 (ko)
CN212154316U (zh) 一种立体式小型轿车停车装置
JP2001065185A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0277286B1 (ko) 주차 설비의 차량 이동 대차
JP4369823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572274B2 (ja) 垂直循環式駐車設備
KR102674930B1 (ko) 주차용 차량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4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011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1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