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5388B1 - 빔 조향 장치 - Google Patents

빔 조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388B1
KR101285388B1 KR1020090127290A KR20090127290A KR101285388B1 KR 101285388 B1 KR101285388 B1 KR 101285388B1 KR 1020090127290 A KR1020090127290 A KR 1020090127290A KR 20090127290 A KR20090127290 A KR 20090127290A KR 101285388 B1 KR101285388 B1 KR 10128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steering
steering apparatus
unit structure
unit
structur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461A (ko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388B1/ko
Priority to US12/900,689 priority patent/US20110148704A1/en
Publication of KR2011007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38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2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2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 H01Q15/10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comprising three-dimensional array of impedance discontinuities, e.g. holes in conductive surfaces or conductive discs forming artificial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4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electric or magnetic characteristics of reflect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associated with the radiating element
    • H01Q3/46Active lenses or reflecting array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매질상에 배열되는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들의 배열 구조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빔을 조향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안테나 등에 빔 조향 장치를 적용시 제작이 용이하고, 소형화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빔 조향, 매질, 투과 계수, 안테나

Description

빔 조향 장치{Beam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빔 조향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도체 또는 유전체 또는 자성체의 배열을 이용한 빔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일반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9-F-033-01, 과제명: 메타 전자파 구조를 이용한 전파(RF) 스펙트럼 개선 기술 연구].
통상적으로,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광학 분야에서는 프리즘이나 반사 거울 등을 이용하여 빔(빛)의 진행 방향을 변경시켜 빔을 조향한다. 프리즘을 이용할 경우 프리즘을 통과한 빔(빛)은 공기와 프리즘의 굴절률 차와 프리즘의 각도로 인해 일정한 방향으로 꺾이게 된다. 반사 거울을 이용할 경우 다수 개의 거울에 빔(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빔(빛)을 보낸다.
비가시 광선을 이용하는 분야 예컨대, 마이크로파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안테나 분야 등에서는 여러 가지 모양의 반사판을 이용해 빔을 조향한다. 예컨대, 반사판 안테나의 경우 피딩용 혼 안테나를 출발한 전자파는 여러 가지 모양의 반사판에 의해 반사된 후 특정 방향을 향하게 된다. 반사판의 모양은 평판형, 코너형, 포물선 형 등 다양하다.
한편, 빔 조향에 반사판을 이용하지 않고, 위상 배열 안테나를 이용해 빔을 조향할 수도 있다, 위상 배열 안테나는 다수의 안테나들의 위상 배열을 통해 빔을 조향하는 것으로, 각각의 안테나 소자들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과 크기를 전체 빔의 조향 방향 및 크기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빔을 조향한다.
최근 들어서는 인공자기도체(AMC: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의 반사 위상을 조절하여 빔의 조향하는 방법들도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를 매질상에 특정 구조로 배열함으로써 빔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는 빔 조향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빔 조향 장치가 매질상에 배열되는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들의 배열 구조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빔을 조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매질상에 배열되는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들의 배열 구조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빔을 조향할 수 있어, 종래의 위상 배열을 이용한 빔 조향 기술에서 필요한 복잡한 신호 급전 네트워크, 신호 위상 천이기, 전력 분배기 등이 필요 없으므로, 안테나 등에 빔 조향 장치를 적용시 제작이 용이하고, 소형화할 수 있고, 제작 단가 절감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빔 조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해 보면, +z 방향으로 입사된 전자파(Incident wave) 즉 빔이 빔 굴절 장치(100)를 지나면서 θ1 또는 θ2의 방향으로 조향되어 전송됨을 볼 수 있다. 이 때, 빔의 조향 각도 θ1 또는 θ2는 x축 또는 y축과 평행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임의의 방향으로 빔이 휘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100)는 매질(110)과, 구조체 집합(120)을 포함한다.
매질(110)은 유전체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구조체 집합(120)은 매질(110)상에 직렬 배열되는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121)들을 포함한다. 이 때, 단위구조체(121)가 도체 또는 유전체 또는 자성체일 수 있고,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투과 계수는 단위구조체(121)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121)들을 매질(110)상에 직렬 배열함으로 써 단위구조체(1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투과 계수는 단위구조체(121)의 형상이나 재질 등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한편, 다수의 구조체 집합(120)이 행 또는 열 배열을 이루도록 매질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해 보면,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121)들을 포함하는 구조체 집합(120)이 다수개 행 배열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100)는 매질(110)에 배열되는 단위구조체(121)들의 크기나 형상 또는 재질 등에 따라 고유의 투과 계수 크기 및 위상을 갖게 된다. 빔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시키기 위해서는 빔(전파)의 면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 빔(전파)의 면 형성에 필요한 만큼의 위상차를 갖도록 각 단위구조체(121)의 투과 계수를 설계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전파를 굴절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 집합(120)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일방향으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 집합(120)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좌에서 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한 빔 조향 장치(100)는 단일 방향으로 빔이 조향되도록 한 실시예로, 크기가 큰(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크기가 작은(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좌에서 우로 크기가 점점 작은 단위구조체들을 차례로 배열한 구조체 집합(120)이 다수의 열 배열된 형태로, 빔 조향 장치(100)를 통과한 빔은 +x 방향(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굴절되어 조향된다.
이와는 달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조체 집합(120)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우에서 좌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조체 집합(120)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상에서 하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조체 집합(120)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하에서 상으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상,하,좌,우 단일방향으로 빔을 조향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구조체 집합(120)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를 중심으로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대칭구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 집합(120)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를 중심으로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좌우 대칭구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한 빔 조향 장치(100)는 양 방향으로 빔이 조향되도록 한 실시예로, 중앙에 크기가 큰(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가 배치되고, 이를 중심으로 좌우로 점점 크기가 작은(투과 계수가 큰) 단위구조체들을 차례로 배열한 구조체 집합(120)이 다수의 열 배열된 형태로, 빔 조향 장치(100)를 통과한 빔은 +x, -x 방향(도면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굴절되어 조향된다.
이와는 달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조체 집합(120)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를 중심으로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상하 대칭구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조체 집합(120)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를 중심으로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방사 대칭구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상하 양방향 또는 좌우 양방향 또는 전방향으로 빔을 조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에 도시한 빔 조향 장치(100)는 임의의 방향으로 빔을 조향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로, 크기가 큰(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크기가 작은(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좌에서 우로 크기가 점점 작은 단위구조체들을 차례로 배열한 구조체 집합(120)이 다수의 열 배열된 형태인 점에서는 도 2 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같으나, 도 2 와는 달리 각 구조체 집합(120)에 배열되는 단위구조체들의 크기가 상에서 하로 방향으로 볼때 점점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구현한 것으로, 빔 조향 장치(100)를 통과한 빔은 임의의 (+x,-y) 방향(도면에서 우하측 방향)으로 굴절되어 조향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 집합(120)이 각 단위구조체(121)들간에 연결되어 빔 조향 방향을 조절하는 보조체(12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체(122)는 수동(Passive) 소자 예컨대, 저항(Resistor) 등의 저항성 소자 또는 캐패시터(Capacitor) 등의 용량성 소자 또는 인덕터(Inductor) 등의 유도성 소자를 포함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보조체(122)가 다이오드(Diode), 버렉터(Varactor) 등의 능동(Active) 소자나, 바이어스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이 실시예는 구조체 집합(120)에 포함되는 단위구조체(121)들간에 연결되는 보조체(122)의 특성 변화 예컨대, 저항 특성 또는 용량 특성 또는 유도 특성 등의 변화를 통해 각 단위구조체(121)들의 투과 계수 위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빔 조향 방향을 조절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도 6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100)의 단위구조체 패턴 형태를 예시한 도면들로, 도 6 은 매질(110)의 상부면에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121)들이 패턴된 형태이고, 도 7 은 매질(110)의 하부면에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121)들이 패턴된 형태이고, 도 8 은 매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121)들이 패턴된 형태이고, 도 9 는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한 빔 조향 장치(100)가 다수개 적층된 형태이다. 도 9 에서 도면 부호 200은 빔 조향 장치(100)들의 적층에 사용되는 스페이서(Spacer)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를 안테나 시스템에 응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에 도시한 안테나 시스템을 참조해 보면, 빔 조향 장치(100)와 접지(300) 사이에 다이폴 안테나(400)를 설치한 구조로, 안테나로부터 방사된 빔(전파)은 빔 조향 장치(100)에 의해 조향되어 원하는 방향으로 방사된다.
도 11 은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안테나의 최대 복사 이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 을 참조해 보면, 단층으로 된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안테나와, 이층으로 적층된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안테나와,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안테나의 최대 복사 이득은 크게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해도 안테나의 최대 복사 이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도 12 는 단층으로 된 빔 조향 장치와 이층으로 적층된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안테나의 복사 주 빔 방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 를 참조해 보면, 단층으로 된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안테나 보다 이층으로 적층된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안테나가 주 빔(Main beam)의 굴절 각도가 더 커 훨씬 더 많이 조향됨을 알 수 있다.
도 13 은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안테나의 복사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 은 도 11 의 경우에 대하여 최대 복사 주파수에서의 복사 패턴을 의미한다.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각이 'Theta=0도'인 방향으로 복사하던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안테나가 단층의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할 경우 조향각 'Theta=30도'로, 이층으로 적층된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할 경우 조향각 'Theta=53도'로 빔을 조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는 매질상에 배열 되는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들의 배열 구조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빔을 조향할 수 있어, 종래의 위상 배열을 이용한 빔 조향 기술에서 필요한 복잡한 신호 급전 네트워크, 신호 위상 천이기, 전력 분배기 등이 필요 없으므로, 안테나 등에 빔 조향 장치를 적용시 제작이 용이하고, 소형화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빔 조향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빔 조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단위구조체 패턴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단위구조체 패턴 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단위구조체 패턴 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의 단위구조체 패턴 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빔 조향 장치를 안테나 시스템에 응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 은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안테나의 최 대 복사 이득을 예시한 도면
도 12 는 단층으로 된 빔 조향 장치와 이층으로 적층된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안테나의 복사 주 빔 방향을 예시한 도면
도 13 은 빔 조향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안테나의 복사 패턴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빔 굴절 장치 110 : 매질
120 : 구조체 집합 121 : 단위구조체
122 : 보조체 200 : 스페이서
300 : 접지 400 : 안테나

Claims (16)

  1. 삭제
  2. 매질과;
    상기 매질상에 직렬 배열되는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들을 포함하되,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일방향으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구조체 집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집합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좌에서 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집합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우에서 좌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집합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상에서 하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집합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부터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하에서 상으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7. 매질과;
    상기 매질상에 직렬 배열되는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들을 포함하되,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를 중심으로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대칭구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구조체 집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집합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를 중심으로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좌우 대칭구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집합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를 중심으로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상하 대칭구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집합이:
    투과 계수가 낮은 단위구조체를 중심으로 투과 계수가 높은 단위구조체까지 방사 대칭구조로 투과 계수가 다른 단위구조체들이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매질과;
    상기 매질상에 직렬 배열되는 투과 계수가 다른 다수의 단위구조체들과, 각 단위구조체들간에 연결되어 빔 조향 방향을 조절하는 보조체들을 포함하는 구조체 집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계수는:
    단위구조체의 크기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구조체가:
    도체 또는 유전체 또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이:
    유전체 또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조향 장치.
KR1020090127290A 2009-12-18 2009-12-18 빔 조향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8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290A KR101285388B1 (ko) 2009-12-18 2009-12-18 빔 조향 장치
US12/900,689 US20110148704A1 (en) 2009-12-18 2010-10-08 Beam stee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290A KR101285388B1 (ko) 2009-12-18 2009-12-18 빔 조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61A KR20110070461A (ko) 2011-06-24
KR101285388B1 true KR101285388B1 (ko) 2013-07-10

Family

ID=4415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2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5388B1 (ko) 2009-12-18 2009-12-18 빔 조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48704A1 (ko)
KR (1) KR101285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23B1 (ko) * 2018-11-02 2020-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855B1 (ko) * 2014-09-15 202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급전 재방사 중계기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2542466B1 (ko) 2015-11-27 202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스티어링 소자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101803196B1 (ko) * 2016-06-28 2017-11-29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유전체를 이용한 고이득 안테나 빔 조향 시스템
KR101883597B1 (ko) * 2017-04-07 2018-07-3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체 패턴을 가지는 자성체를 이용한 고이득 안테나 장치
KR102063467B1 (ko) * 2018-01-10 2020-01-08 (주)스마트레이더시스템 주파수별 빔 틸트가 상이한 패치 안테나 및 레이더 장치
WO2020148809A1 (en) * 2019-01-15 2020-07-23 Nec Corporation Phase control device,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hase of electromagnetic wave
WO2020148843A1 (en) * 2019-01-17 2020-07-23 Nec Corporation Phase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096770B1 (ko) * 2019-02-26 2020-04-0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투과배열안테나 및 투과배열안테나 설계 방법
KR102422763B1 (ko) * 2021-01-05 2022-07-2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세 개의 양자화된 위상을 갖는 반사형 능동 메타표면 안테나
KR102678132B1 (ko) * 2022-08-29 2024-06-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Lc를 이용한 r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152A (ko) * 2006-07-07 2008-01-10 폰다지오네 토리노 와이어리스 안테나, 안테나 제조 방법 및 안테나 제조 장치
KR20090014279A (ko) * 2006-04-27 2009-02-09 레이스팬 코포레이션 메타물질 구조에 기반한 안테나, 장치 및 시스템
KR20090047949A (ko) * 2007-11-09 2009-05-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균일 격자구조를 가지는 인공 자기 도체 및 이를포함하는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834A (en) * 1993-12-28 1997-09-16 Hitachi, Ltd. Signal transmitting device suitable for fast signal transmission including an arrangement to reduce signal amplitude in a second stage transmission line
US5854610A (en) * 1997-11-13 1998-12-2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Radar electronic scan array employing ferrite phase shifters
JPH11160431A (ja) * 1997-11-27 1999-06-18 Olympus Optical Co Ltd 距離測定装置
KR100448609B1 (ko) * 1999-06-23 2004-09-1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무선 장치
CN1170450C (zh) * 2002-09-13 2004-10-0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对智能天线阵进行实时校准的方法
CN1176555C (zh) * 2002-12-25 2004-11-1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对智能天线阵系统进行实时校准的方法
US8792531B2 (en) * 2003-02-25 2014-07-29 Finisar Corporation Optical beam steering for tunable laser applications
US7054664B2 (en) * 2003-10-30 2006-05-3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specific downlink beamforming in a fixed beam network
US7298318B2 (en) * 2004-11-24 2007-11-20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icrowave imaging using programmable transmission array
JP4723641B2 (ja) * 2005-06-20 2011-07-13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光学的に再構成が可能な多素子デバイス
US7474262B2 (en) * 2005-07-01 2009-01-06 Delphi Technologies, Inc. Digital beamforming for an electronically scanned radar system
US8026863B2 (en) * 2006-10-11 2011-09-27 Raytheon Company Transmit/receive module communication and control architechture for active array
US20080158055A1 (en) * 2006-12-27 2008-07-03 Paynter Scott J Directive spatial interference beam control
US8400356B2 (en) * 2006-12-27 2013-03-19 Lockheed Martin Corp. Directive spatial interference beam control
US7648249B2 (en) * 2007-10-30 2010-01-19 Raytheon Company Beam-steering apparatus having five degrees of freedom of line-of-sight stee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279A (ko) * 2006-04-27 2009-02-09 레이스팬 코포레이션 메타물질 구조에 기반한 안테나, 장치 및 시스템
KR20080005152A (ko) * 2006-07-07 2008-01-10 폰다지오네 토리노 와이어리스 안테나, 안테나 제조 방법 및 안테나 제조 장치
KR20090047949A (ko) * 2007-11-09 2009-05-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균일 격자구조를 가지는 인공 자기 도체 및 이를포함하는 안테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23B1 (ko) * 2018-11-02 2020-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61A (ko) 2011-06-24
US20110148704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88B1 (ko) 빔 조향 장치
CN110574236B (zh) 一种液晶可重构多波束相控阵列
KR101922785B1 (ko) 조종 가능한, 다층 구조의 원통 모양으로 급전된 홀로그래픽 안테나를 위한 동적 편광 및 결합 제어
JP5712931B2 (ja) 構造体
CN109923735B (zh) 平板天线的定向耦合器馈电
US8350777B2 (en) Metamaterial radome/isolator
US7821473B2 (en) Gradient index lens for microwave radiation
CN105322291B (zh) 微带阵列天线
JP6958748B2 (ja) 位相制御装置、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位相制御方法
WO2010029770A1 (ja) 構造体、アンテナ、通信装置、及び電子部品
US11916291B2 (en) Nyquist sampled traveling-wave antennas
CN103474775A (zh) 一种基于动态调控人工电磁结构材料的相控阵天线
JP2008054146A (ja) アレーアンテナ
JP2007081825A (ja) 漏れ波アンテナ
JP5410559B2 (ja) リフレクトアレー及び設計方法
JP2023526456A (ja) 単層広角インピーダンス整合(waim)
US10734732B1 (en) Optically controlled reflect phased array based on photosensitive reactive elements
CN112234341B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US11670867B2 (en) Phase diversity input for an array of traveling-wave antennas
CN102820552B (zh) 一种宽频圆极化器及天线系统
JP5938012B2 (ja) 反射板及びアンテナ装置
Hodgkinson et al. Design of a reconfigurable phase gradient metasurface for beam steering applications
CN118679644A (zh) 针对相控阵天线的具有表面变化折射角的天线罩
Borhani-Kakhki et al. Metamaterial enabled FSS for beam-tilting mm-Wave antenna applications
KR100447680B1 (ko) Ftep를 형성하기 위한 이차원 다층 원형 방사 배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