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827B1 - 스위치 제어 장치, 스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컨버터 - Google Patents
스위치 제어 장치, 스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컨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4827B1 KR101284827B1 KR1020070049136A KR20070049136A KR101284827B1 KR 101284827 B1 KR101284827 B1 KR 101284827B1 KR 1020070049136 A KR1020070049136 A KR 1020070049136A KR 20070049136 A KR20070049136 A KR 20070049136A KR 101284827 B1 KR101284827 B1 KR 101284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level
- switch
- output
- signal gen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9)
-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의 스위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상기 스위치가 턴 온 되는 제1 시점부터 제1 기간 동안 제1 레벨을 유지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상기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와 상기 제1 신호 중 레벨이 높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신호 생성부; 및상기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제3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PWM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상기 PWM 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제어 전극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어 신호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상기 제2 기간의 길이를 짧게 변화시키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시점 이전에,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2 레벨인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신호 생성부는,애노드로 상기 출력 신호에 대응되는 제4 신호를 입력받아 캐소드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다이오드; 및캐소드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제2 신호 생성부의 출력단의 접점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상기 제1 신호 생성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접점과 제1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고,상기 제2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인 스위치 제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압은 접지 전압인 스위치 제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스위치의 소스단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인 스위치 제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PWM 제어부는,상기 제3 신호가 상기 제2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보다 높으면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장치는 하나의 칩으로 형성되는 스위치 제 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장치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형성되고, 상기각각의 칩은 하나의 패키지 또는 각각의 패키지로 형성되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의 스위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상기 스위치가 턴 온 되는 제1 시점부터 제1 기간 동안 제1 레벨을 유지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상기 제1 레벨보다 낮고 상기 제2 레벨보다 높은 제3 레벨 신호와 상기 제1 신호 중 높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신호 생성부; 및상기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제3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PWM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상기 PWM 제어부로부터 상기 스위치의 제어 전극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레 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레벨에서 상기 제2 레벨까지 하강하는 상기 제1 신호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어 신호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상기 상기 제1 신호의 기울기를 가파르게 변화시키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시점 이전에,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2 레벨인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2 신호 생성부는,애노드가 상기 제3 레벨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2 신호 생성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애노드가 상기 제1 신호 생성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3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3 신호가 상기 제2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보다 크면 제4 레벨이고 작으면 제5 레벨인 제4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제어부로 전달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PWM 제어부는,상기 제4 신호가 상기 제4 레벨이면,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제4 레벨은 하이 레벨이고, 상기 제5 레벨은 로우 레벨인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장치는 하나의 칩으로 형성되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장치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형성되고, 상 기각각의 칩은 하나의 패키지 또는 각각의 패키지로 형성되는 스위치 제어 장치.
-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의 스위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스위치가 턴 온 되는 제1 시점부터 제1 기간 동안 제1 레벨을 유지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1 신호 및 상기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 중 레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제3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제2 기간의 길이는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레벨에 따라 변경되는 스위치 제어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신호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상기 제2 기간의 길이를 짧아지도록 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출력 신호에 대응되되,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스위치 제어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시점 이전에,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2 레벨인 스위치 제어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3 신호가 상기 제2 신호보다 높으면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의 스위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스위치가 턴 온 되는 제1 시점부터 제1 기간 동안 제1 레벨을 유지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1 레벨보다 낮고 상기 제2 레벨보다 높은 제3 레벨 신호 중 레벨이 높은 신호를 선택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제3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비교하 는 단계; 및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1 레벨에서 상기 제2 레벨로 하강하는 상기 제1 신호의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스위치 제어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신호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상기 제1 신호의 기울기를 가파르게 변화시키는 스위치 제어 방법.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시점 이전에,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2 레벨인 스위치 제어 방법.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3 신호가 상기 제2 신호보다 높으면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 스위치;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에너지를 출력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전달 소자; 및상기 출력 에너지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가 턴 온 되는 제1 시점부터 제1 기간 동안 제1 레벨을 유지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에서 상기 피드백 신호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 제어 장치는,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및 상기 출력 에너지에 대응하는 피드백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 및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제1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PWM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PWM 제어부는,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제1 신호보다 높으면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는 컨버터.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을 유지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신호 생성부;상기 피드백 전압을 변환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 신호 생성부; 및상기 제3 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 중 레벨이 높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어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컨버터.
- 제38항에 있어서,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어 신호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상기 제2 기간의 길이를 짧아지도록 하는 컨버터.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시점 이전에,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제2 레벨인 컨버터.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제1 레벨보다 낮은 컨버터.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피드백 신호 생성부는 애노드로 상기 피드백 전압에 대응되는 제4 신호를 입력받아 캐소드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상기 제1 신호 출력부는 캐소드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및 상기 제1 신호 생성부의 출력단의 접점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상기 제3 신호 생성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4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신호 출력부는,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접점과 제1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고,상기 제1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인 컨버터.
- 제4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압은 접지 전압인 컨버터.
- 제4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압은 상기 스위치의 소스단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인 컨버터.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 전달 소자는 트랜스 포머이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트랜스 포머의 1차측 코일에 연결되어 있는 컨버터.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 전달 소자는 인덕터이고, 상기 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인덕터에 연결되어 있는 컨버터.
- 스위치;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입력 에너지를 출력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전달 소자; 및상기 스위치가 턴 온 되는 제1 시점부터 제1 기간 동안 제1 레벨을 유지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제2 신호와 상기 제1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48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 제어 장치는,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 생성부; 및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제1 신호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PWM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49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을 유지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레벨에서 상기 제2 레벨보다 낮은 제3 레벨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하 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제3 신호 생성부;상기 제2 레벨에 대응되는 제4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2 레벨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레벨 신호 생성부; 및상기 제3 신호와 상기 제2 레벨 신호 중 레벨이 높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50항에 있어서,상기 제1 시점 이전에,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제3 레벨인 컨버터.
- 제50항에 있어서,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어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레벨에서 상기 제3 레벨로 하강하는 상기 제3 신호의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컨버터.
- 제52항에 있어서,상기 제3 신호 생성부는,상기 제어 신호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상기 제3 신호의 기울기를 가파르게 변화시키는 컨버터.
- 제50항에 있어서,제2 레벨 신호 생성부는 애노드가 상기 제4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에 연결되고 캐소드로 상기 제2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상기 제1 신호 출력부는 캐소드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및 상기 제1 신호 생성부의 출력단의 접점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상기 제3 신호 생성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컨버터.
- 제50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 제어 장치는,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제1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제1 신호 생성부의 출력 신호보다 크면 제4 레벨이고 작으면 제5 레벨인 제5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제어부로 전달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컨버터.
- 제55항에 있어서,상기 PWM 제어부는,상기 제5 신호가 상기 제4 레벨이면,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 시키는 컨버터.
- 제56항에 있어서,상기 제4 레벨은 하이 레벨이고, 상기 제5 레벨은 로우 레벨인 컨버터.
- 제48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 전달 소자는 트랜스 포머이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트랜스 포머의 1차측 코일에 연결되어 있는 컨버터.
- 제48항에 있어서,상기 에너지 전달 소자는 인덕터이고, 상기 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인덕터에 연결되어 있는 컨버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9136A KR101284827B1 (ko) | 2007-05-21 | 2007-05-21 | 스위치 제어 장치, 스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컨버터 |
US12/154,207 US7881083B2 (en) | 2007-05-21 | 2008-05-21 | Switch control device, switch control method, and converte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9136A KR101284827B1 (ko) | 2007-05-21 | 2007-05-21 | 스위치 제어 장치, 스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컨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2541A KR20080102541A (ko) | 2008-11-26 |
KR101284827B1 true KR101284827B1 (ko) | 2013-07-10 |
Family
ID=4007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9136A Active KR101284827B1 (ko) | 2007-05-21 | 2007-05-21 | 스위치 제어 장치, 스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컨버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881083B2 (ko) |
KR (1) | KR1012848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77072B2 (ja) * | 2019-11-13 | 2023-11-09 | 日清紡マイクロデバイス株式会社 |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
KR102714910B1 (ko) | 2022-10-07 | 2024-10-11 |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 동기 정류식 직류-직류 컨버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31064B2 (en) | 2001-02-06 | 2003-10-07 |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vercurrent protection for switch-mode power supplies |
US7035119B2 (en) | 2002-08-30 | 2006-04-25 | Sanken Electric Co., Ltd. |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
US7233504B2 (en) | 2005-08-26 | 2007-06-19 | Power Integratio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ntrol of a switching regulator |
US7613019B2 (en) | 2005-07-08 | 2009-11-03 | Power Integrations, Inc. | Method and apparatus to limit maximum switch current in a switch of a switching power supply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12401A (en) * | 1990-03-19 | 1991-04-30 | Allied-Signal Inc. | Switching power supply with foldback current limiting |
US5315498A (en) * | 1992-12-23 | 1994-05-2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pparatus providing leading leg current sensing for control of full bridge power supply |
US6201417B1 (en) * | 1994-09-02 | 2001-03-13 |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 Shaping a current sense signal by using a controlled slew rate |
US5757626A (en) * | 1996-06-21 | 1998-05-26 | Delta Electronics Inc. | Single-stage, single-switch, islolated power-supply technique with input-current shaping and fast output-voltage regulation |
US6144245A (en) * | 1998-06-29 | 2000-11-07 | Unitrode Corporation | Adaptive leading edge blanking circuit to eliminate spike on power switching transistor current sense signal |
US6219262B1 (en) * | 2000-05-08 | 2001-04-17 | Semtech Corporation | Circuit and method for adaptive leading edge blanking in pulse width modulated current mode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s |
JP3948448B2 (ja) * | 2003-10-09 | 2007-07-2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2007
- 2007-05-21 KR KR1020070049136A patent/KR101284827B1/ko active Active
-
2008
- 2008-05-21 US US12/154,207 patent/US788108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31064B2 (en) | 2001-02-06 | 2003-10-07 |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vercurrent protection for switch-mode power supplies |
US7035119B2 (en) | 2002-08-30 | 2006-04-25 | Sanken Electric Co., Ltd. |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
US7613019B2 (en) | 2005-07-08 | 2009-11-03 | Power Integrations, Inc. | Method and apparatus to limit maximum switch current in a switch of a switching power supply |
US7233504B2 (en) | 2005-08-26 | 2007-06-19 | Power Integratio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ntrol of a switching regul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2541A (ko) | 2008-11-26 |
US7881083B2 (en) | 2011-02-01 |
US20080290850A1 (en) | 2008-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112264A1 (en) |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7511929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and semiconductor device used therefor | |
KR101090037B1 (ko) | 3-단자, 저전압 펄스 폭 변조 컨트롤러 ic | |
US8670252B2 (en) | Switch controller, switch control method, converter u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10071638B (zh) | 开关电源装置以及直流电源装置 | |
US20090201705A1 (en) | Energy convert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switching control method used therein | |
KR101489962B1 (ko) | 전력 변환기, 그 스위칭 제어 장치 및 구동 방법 | |
KR101021993B1 (ko) |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와 그 스위칭 제어 장치 | |
US11239741B2 (en) | Semiconductor switch control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 |
JP5117980B2 (ja) | エネルギー伝達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伝達制御用半導体装置 | |
US8339809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 |
CN111641340B (zh) | 开关电源装置 | |
KR101091923B1 (ko) |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 바이어스 전압 생성 방법 | |
US20100033992A1 (en) |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ler and semiconductor device used for the same | |
US10615681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 |
KR101247801B1 (ko) |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 |
CN114915190A (zh) | 电源控制装置及反激式转换器 | |
JP3691498B2 (ja) | 自励式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 |
KR101284827B1 (ko) | 스위치 제어 장치, 스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컨버터 | |
JP3826804B2 (ja) | 2重化電源システム | |
JP2005027412A (ja) | 自励式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の発振制御方法 | |
US7960952B2 (en) |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switch thereof | |
Schematic | UCC28782 High-Density Active-Clamp Flyback Controller with EMI Dithering, X-Cap Discharge, and Bias Power Management | |
JP2024099139A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JP4398680B2 (ja) | 省電力電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5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5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