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4824B1 -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 - Google Patents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824B1
KR101284824B1 KR1020120117888A KR20120117888A KR101284824B1 KR 101284824 B1 KR101284824 B1 KR 101284824B1 KR 1020120117888 A KR1020120117888 A KR 1020120117888A KR 20120117888 A KR20120117888 A KR 20120117888A KR 101284824 B1 KR101284824 B1 KR 101284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plate
plate
seesaw
presser
elastic be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이
Priority to KR102012011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8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2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힌지축을 축점으로 시소운동하는 누름구의 하측에 돌출된 누름대의 하측에 지지대의 선단에 안치되는 안치홈이 구성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누름대의 하단과 탄지되는 탄성절곡부가 구성된 'U'자의 판형으로 구성되는 통전판으로 구성되는 시소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절곡부는 안치홈의 전측에 구성되는 전시소유지판과, 안치홈의 후측에 전시소유지판에 마주보게 또는 어긋나게 이격 구성되는 후시소유지판으로 구성되는 시소유지판이 구성되고; 상기 누름대가 전시소유지판과 후시소유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과열 또는 과전류에 의하여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의 접점이 접점되어 단락이 곤란한 경우, 과열에 의하여 탄성절곡부가 변형이 되어 누름대의 선단과 탄성절곡부의 상부면이 이격된 경우 및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탄성절곡부가 탄성을 상실한 경우라 하더라도 누름커버를 스위칭하면 누름대가 시소유지판을 가압 접촉하여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단자의 접점을 강제 단락시켜 통전판이 스위칭되거나 탄성절곡부를 강제 시소운동시켜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의 접점과 단락이 되게 하는 효과 등이 있다.

Description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 {Seesaw switch of plate springtype with support plate}
본원 발명은 전원을 단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축을 축점으로 시소운동하는 누름구의 하측에 돌출된 누름대의 하측에 지지대의 선단에 안치되는 안치홈이 구성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누름대의 하단과 탄지되는 탄성절곡부가 구성된 'U'자의 판형으로 구성되는 통전판에 있어서 탄성절곡부에 입설되는 시소유지판을 구성하여 누름구와 통전판의 엇갈림 시소운동으로 인하여 누름대가 시소유지판을 가압 접촉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지게 하는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전기구, 가전용품 등에서 전원을 단속하거나 차량의 편의시설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보편적으로 시소스위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시소스위치는 통상적으로 전등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소켓을 갖는 멀티 탭에 사용되어 전류를 온/오프시켜 전등 또는 소켓으로 전류의 공급을 단속하거나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에 있어서 유리창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하여 유리창을 개폐하기 위하여 유리창의 상하 이동을 작동하기 위하여 전류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시소스위치는 본체 내측의 단자와 통전판이 본체 상측으로 노출된 누름구의 시소 방향에 따라 단속되게 함으로써, 전원의 신속하고 편리한 단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시소스위치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또는 제2가동접점)의 분리와 접촉으로 전류의 단전과 통전을 조절하여 사용 중에 접점이 전기회로와 직접 연결이 되어 단자와 전류가 연결되어 전류 흐름을 직접 통제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시소스위치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7383호(2007. 12. 13.)의 판 스프링 구조의 통전판을 갖는 텀블러 스위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를 구비하고 그 본체의 상측에는 횡상의 힌지공을 형성하며, 본체의 내측 저면에는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가 위치하며, 본체의 상측에는 양측으로 힌지축이 돌출되고 하부 중앙에는 누름대가 돌출된 누름구를 형성하여 그 힌지축을 힌지공에 삽입 형성하며, 누름구의 상부에는 누름커버를 삽입 형성하며, 본체의 내부공간 바닥면에는 상향 돌출된 지지대를 형성하고, 그 지지대의 선단에는 상향 밴딩된 안치홈을 갖는 통전판을 거치 형성하되, 그 통전판의 양단에는 단자와 접지되는 접점을 형성하고, 그 통전판의 일측에는 상향 절곡된 탄성절곡부를 형성하며, 탄성절곡부의 단부에는 상기 누름대의 하단이 위치하는 계지홈을 형성하여, 누름커버의 시소운동에 따라 통전판이 누름대의 위치에 따라 지지대를 축점으로 시소운동되게 구성하여, 그 접점이 단자와 단속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텀블러 스위치는 과열 또는 과전류 시에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가 접점되어 누름커버를 스위칭하더라도 단락이 잘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과열에 의하여 탄성절곡부가 변형이 된 경우에는 누름대의 선단과 탄성절곡부의 상부면이 이격되어 사용자가 누름커버를 스위칭하더라도 누름대가 탄성절곡부를 시소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누름대의 선단과 탄성절곡부의 상부면이 이격된 경우에는 누름대가 탄성절곡부를 시소운동을 시키지 못하여 스위칭 작용이 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탄성절곡부가 탄성을 상실하게 되면 누름대가 탄성절곡부의 시소운동을 완전하게 시키지 못하여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의 접점이 간헐적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탄성절곡부에 안치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후에 입설 구성되는 시소유지판을 구성하고 누름대가 시소유지판 사이에 위치하여 누름대의 시소운동시에 누름대가 시소유지판을 가압 접촉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탄성절곡부가 변형되거나 탄성을 상실하더라도 탄성절곡부의 시소운동이 원할하게 되고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가 과열 등에 의하여 접점되더라도 누름대가 강제적으로 탄성절곡부가 시소운동이 되게 하여 탄성절곡부에서 전원 단락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는 힌지축을 축점으로 시소운동하는 누름구의 하측에 돌출된 누름대의 하측에 지지대의 선단에 안치되는 안치홈이 구성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누름대의 하단과 탄지되는 탄성절곡부가 구성된 'U'자의 판형으로 구성되는 통전판으로 구성되는 시소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절곡부는 안치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후에 입설 구성되는 시소유지판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시소유지판이 탄성절곡부의 일부를 절곡하여 입설 구성되거나 별도 제작된 'ㄴ'자 판형을 용접하여 입설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시소유지판은 안치홈의 전측에 구성되는 전시소유지판과, 안치홈의 후측에 전시소유지판에 마주보게 또는 어긋나게 이격 구성되는 후시소유지판이 동일한 수량으로 구성되고; 상기 누름대가 전시소유지판과 후시소유판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시소유지판은 안치홈의 전측에 구성되는 전시소유지판과, 안치홈의 후측에 전시소유지판에 어긋나게 이격 구성되는 후시소유지판이 상이한 수량으로 구성되되, 적은 수량의 시소유지판이 많은 수량의 시소유지판의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누름대가 전시소유지판과 후시소유판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는 과열 또는 과전류에 의하여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의 접점이 접점되어 단락이 곤란한 경우에도 누름커버를 스위칭하면 누름대가 시소유지판을 가압 접촉하여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단자의 접점을 강제 단락시켜 통전판이 스위칭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과열에 의하여 탄성절곡부가 변형이 되어 누름대의 선단과 탄성절곡부의 상부면이 이격된 경우에도 누름커버를 스위칭하면 누름대가 시소유지판을 가압 접촉하여 통전판이 스위칭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탄성절곡부가 탄성을 상실한 경우에도 누름 대가 시소유지판을 가압 접촉하여 탄성절곡부를 강제 시소운동시켜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의 접점과 단락이 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스위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스위치의 측단면도.
도 3: 본원 발명에 따른 통전판의 사시도.
도 4: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스위치의 일측방향 작동도.
도 5: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스위치의 타측방향 작동도.
도 6: 본원 발명에 따른 탄성절곡부가 누름대에서 이격된 상태에서의 작동도.
도 7: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유지판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8: 본원 발명에 따른 절취공이 상이한 위치의 시소유지판의 사시도.
도 9: 본원 발명에 따른 용접 입설된 시소유지판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의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스위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의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스위치의 측단면도, 도 3의 본원 발명에 따른 통전판의 사시도, 도 4의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스위치의 일측방향 작동도, 도 5의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스위치의 타측방향 작동도, 도 6의 본원 발명에 따른 탄성절곡부가 누름대에서 이격된 상태에서의 작동도, 도 7의 본원 발명에 따른 시소유지판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8의 본원 발명에 따른 절취공이 상이한 위치의 시소유지판의 사시도 및 도 9의 본원 발명에 따른 용접 입설된 시소유지판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에 의하여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힌지축(11)을 축점으로 시소운동하는 누름구(10)의 하측에 돌출된 누름대(12)의 하측에 지지대(5)의 선단에 안치되는 안치홈(31)이 구성된 지지부(34)와 지지부(34)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누름대(12)의 하단과 탄지되는 탄성절곡부(33)가 구성된 'U'자의 판형으로 구성되는 통전판(30)으로 구성되는 시소유지판(35)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상기 탄성절곡부(33)에 탄성절곡부(33)의 일부를 절곡하여 입설 구성되거나 별도 제작하여 용접 입설 구성되는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이 구성된다.
본원 발명은 내부공간(1)을 갖는 본체(2)가 구성되며, 상기 본체(2)는 상부와 하부가 별도로 제작되어 일체형으로 결합 구성되어 대략 장방형의 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부 본체 내부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중앙에 지지대(5)가 구성되고 통전판(30)이 안치되며 단자(4, 4')가 삽입 구성되고, 상부 본체 내부에는 누름커버(20)가 안치되고 누름커버(20)의 하부에 누름구(10)가 구성된다.
상기 누름구(10)의 상부는 상부 본체 내부에 위치되고 누름구(10)의 하부에 돌출된 누름대(12)가 상부 본체에서 하부 본체 내부까지 돌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본체는 누름커버(20)가 안치되는 부분은 정방형으로 구성되면서 외부와의 넓게 관통되고 누름대(12)가 관통되는 하측 부분은 정방형으로 구성되되 적게 관통된다.
즉, 상기 상부 본체의 상측은 누름커버(20)의 크기에 해당하는 공간이 형성되나 하측은 누름대(12)의 시소이동 거리와 누름대(12)의 폭에 지장이 없도록 누름대(12)의 시소운동에 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어 누름커버(20)의 공간보다 작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2)의 상측 내면의 중앙에는 횡상의 힌지공(3)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2)의 저면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4, 4')가 이격되어 관통 삽입 구성된다.
상기 누름구(10)는 상부 중앙 외면에는 누름커버(20)의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요홈이 구성되어 누름커버(20)의 하부에 구성된 결합돌부가 결합요홈에 삽입되어 누름커버(20)가 누름구(10)에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누름구(10)는 상부 양측 외면의 중앙에는 힌지축(11)이 돌출 구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외부로 누름대(12)가 돌출 구성된다.
상기 누름구(10)의 힌지축(11)이 본체(2)의 힌지공(3)에 삽입되어 누름구(10)가 상부가 힌지공(3)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하게 되고 누름구(10) 상부의 힌지 회전에 의하여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누름대(12)도 회전하게 되나 누름대(12)의 하부 돌출 구성에 의하여 누름대(12)의 끝단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누름커버(20)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전후가 상하 작동하게 되면 누름커버(20)에 결합 고정된 누름구(10)의 힌지 작동에 의하여 누름대(12)의 끝단이 시소운동을 한다.
상기 지지대(5)는 하부 본체(2)의 내부공간(1) 바닥면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폭 방향의 판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대(5)의 선단에는 통전판(30)이 안치된다.
상기 통전판(30)은 'U'자형으로 절곡 판형으로 구성되되 절곡부를 중심으로 지지부(34)와 탄성절곡부(33)로 구분되되, 지지부(34)의 중앙에는 횡단 방향으로 상부로 절곡된 안치홈(31)이 구성되고, 탄성절곡부(33)의 중앙 부근의 상부면에는 이격되는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으로 이격 구성되는 시소유지판(35)이 구성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대(5)의 선단에 지지부(34)의 안치홈이 거처되고 탄성절곡부(33)가 지지부(34)의 상측에 위치되며 시소유지판(35)이 누름대(12) 방향으로 위치되어 누름대(12)의 선단이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사이의 위치되어 탄성절곡부(33)의 상부면과 접촉되게 통전판(30)이 지지대(5)의 선단에 안치된다.
상기 누름대(12)의 하부 선단에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사이의 탄성절곡부(33)의 상부면이 위치하게 되고, 통전판(30)이 누름대(12)와 지지대(5) 사이에서 'U'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중심으로 탄지된다.
상기 지지대(5)의 선단에는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안치홈(31)을 갖는 통전판(30)을 거치 형성하되, 통전판(30)의 양단에는 단자(4, 4')와 접지되는 접점(32, 32')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4,4')는 판형으로 구성되면서 하부 본체의 저면 또는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단자(4,4')의 내부 끝단에는 통전판(30)의 접점(32, 32')과 접지되는 접점이 구성되고 단자(4,4')의 외부 끝단은 하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타 구성과 접지된다.
즉, 상기 단자(4,4')의 외부 끝단은 전류가 공급되어 작동되는 제어기, 모터 또는 전등 등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제어기, 모터 또는 전등 전류가 통전되게 한다.
상기 누름커버(20)의 시소운동에 따라 누름커버(20)에 결합된 누름구(10)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게 되면서 누름구(10)의 하측에 돌출된 누름대(12)가 돌출된 길이 비례하여 누름커버(20)보다 더 큰 시소운동을 한다,
상기 누름대(12)의 시소운동에 의하여 통전판(30)이 누름대(12)의 위치에 따라 안치홈(31)을 중심 즉 지지대(5)를 축점으로 하여 시소운동하여 통전판(30)의 양단에 형성된 접점(32, 32')이 단자(4, 4')의 접점과 접속과 단락을 하게 되어 단자(4, 4')를 단속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누름대(12)의 시소운동 시에 누름대(12)가 탄성절곡부(33)의 상부면에 형성된 시소유지판(35) 내 즉,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아니하게 되면서 전시소유지판(35-1) 또는 후시소유지판(35-2)을 밀착하여 밀어 내어 통전판(30) 전체가 시소운동을 하여 접점(32, 32')이 단자(4, 4')의 접점과 접속되거나 단락된다.
상기 시소유지판(35)을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통전판(30)에는 지지부(34)와 탄성절곡부(33)가 구성되면서 탄성절곡부(33)에는 지지부(34)의 안치홈(31)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후에 입설 구성되는 시소유지판(35)이 구성된다.
상기 시소유지판(35)은 탄성절곡부(33)의 일부를 절곡하여 절곡된 부분을 상부로 입설되게 구성하거나 'ㄴ'자형으로 별도로 구성하여 하측 부분을 탄성절곡부(33)의 상면에 용접하여 입설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소유지판(35)이 일부 절곡에 의하여 입설 구성되는 경우에는 입설된 크기 만큼 탄성절곡부(33)에 절취공(36)이 형성되고 용접하여 입설되는 구성보다 시소유지판(35)에 해당은 만큼의 무게가 경감된다.
상기 도 7 및 도 8과 같이 절곡 구성되는 시소유지판(35)은 절취공(36)을 시소유지판(35)의 사이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사이에 위치되게 절곡할 수 있고 후시소유지판(35-2)은 탄성절곡부(33) 끝단부 방향 및 전시소유지판(35-1)은 끝단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게 절곡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사이에 절취공(36)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누름대(12)가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사이에서 시소운동을 할 때 누름대(12)의 선단이 절취공(36)에 의하여 간섭을 받을 수 있으므로 누름대(12)의 선단이 절취공(36)의 간섭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 도 7과 같이 절취공(36)을 후시소유지판(35-2)은 탄성절곡부(33) 끝단부 방향 및 전시소유지판(35-1)은 끝단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게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와 같이 별도로 구성되는 'ㄴ'자형의 시소유지판(35)은 탄성절곡부(33)의 상부면에 용접되는 'ㄴ'자형의 저부는 누름대(12)가 위치하지 아니하는 부분의 탄성절곡부(33)의 상부면에 위치되게 구성한다.
만약, 별도로 구성되는 'ㄴ'자형의 시소유지판(35)의 'ㄴ'자형의 저부가 누름대(12)가 위치하는 부분의 탄성절곡부(33)의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면 누름대(12)의 시소운동 시에 누름대(12)의 저면과 'ㄴ'자형의 저부의 상부면이 단으로 구성되어 누름대(12)의 시소운동에 간섭을 받게 된다.
상기 누름구(10)와 통전판(30)의 엇갈림 시소운동으로 인하여 누름대(12)가 시소유지판(35)을 가압 접촉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상기 시소유지판(35)은 탄성절곡부(33)에서 지지부(34)의 안치홈(31)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후에 입설 구성되되 안치홈의 전측에 구성되는 전시소유지판(35-1)과, 안치홈(31)의 후측에 구성되는 후시소유지판(35-2)이 이격 구성된다.
상기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수량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이 마주보게 즉 나란하게 이격 구성되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후시소유지판(35-1, 35-2)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면 영문자 'Z'와 같이 된다.
상기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수량을 동일하게 이격 구성하여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을 어긋나게 이격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후시소유지판(35-1, 35-2)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면 톱니와 같은 지그재로로 연결된다.
상기 시소유지판(35)을 안치홈(31)의 전측에 구성되는 전시소유지판(35-1)과, 안치홈(31)의 후측에 구성되는 후시소유지판(35-2)의 수량을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이 어긋나게 구성하되 적은 수량의 시소유지판(35)이 많은 수량의 시소 유지판(35)의 사이에 구성되게 한다.
수량이 상이한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을 마주보게 이격 구성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전시소유지판(35-1) 또는 후시소유지판(35-2)에는 상대하는 전시소유지판(35-1) 또는 후시소유지판(35-2)이 불비되어 누름대(12)의 시소운동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시소유지판(35-1)이 1개로 구성되고 후시소유지판(35-2)이 2개로 구성될 경우에는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을 마주보게 구성하면 후시소유지판(35-2)의 어느 하나의 전측에 전시소유지판(35-1)이 구성되지 아니하여 누름대(12)가 전측으로 시소운동을 할 때 누름대(12)의 일부가 편심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시소스위치에 있어서 그 통전판(30)의 구조 즉, 탄성절곡부(33)의 계지홈 대신에 시소유지판(35)을 구성하여 계지홈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상기 통전판(30)과 누름구(10) 및 단자(4, 4')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1)을 갖는 본체(2)의 선단에는 양측으로 힌지공(3)이 형성되어 있어, 그 힌지공(3)에 누름구(10)의 힌지축(11)을 삽입하게 되면 누름구(10)는 힌지축(11)을 축점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누름구(10)의 하부 중앙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누름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구(10)의 상측에는 별도의 누름커버(20)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커버(20)의 일측 또는 타측을 손가락으로 압압하게 되면 누름구(10)의 힌지축(11)을 축점으로 하여 스위치의 단락 또는 접속 방향으로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작동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상기 본체(2)의 내부공간(1) 하부 중앙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5)가 형성되고, 지지대(5)의 선단에는 절곡 형성된 통전판(30)이 거치된다.
상기 통전판(30)의 지지부(34) 중앙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안치홈(31)이 절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통전판(30)은 안치홈(31)에 의하여 지지대(5)의 선단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탄성절곡부(33)가 지지부(34)의 상측에 위치되며 시소유지판(35)이 누름대(12) 방향으로 위치되어 누름대(12)의 선단이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사이의 위치되어 탄성절곡부(33)의 상부면과 접촉되게 통전판(30)이 지지대(5)의 선단에 안치되면서 절곡된 절곡부의 스프링 작용에 의하여 탄지된다.
또한, 상기 통전판(30)의 지지부(34)의 양단 하부에 형성된 접점(32, 32')은 본체(2) 내부공간(1)의 바닥부에 형성된 단자(4, 4')의 접점과 대향 이격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측의 접점(32, 32')이 하강하게 되면 대향 측의 단자(4, 4')의 접점과 접촉으로 하여 전원을 단락 또는 접속을 하게 된다.
상기 통전판(30)은 'U'자형으로 절곡 판형으로 구성되되 절곡부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탄성절곡부(33)를 갖게 되는데, 그 탄성절곡부(33)의 중부에는 지지부(34)의 안치홈(31)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후에 입설 구성되는 시소유지판(35)이 구성되어 시소유지판(35)의 중앙부에는 누름구(10)의 누름대(12) 하단이 접촉되어 위치한다.
즉, 상기 누름구(10)의 누름대(12) 하단이 이격 구성되는 전시소유지판(35-1)과 후시소유지판(35-2)의 사이에 위치되어 누름커버(20)를 일측 혹은 타측으로 압입하면 누름대(12)는 힌지축(11)을 축점으로 하여 하부 방향 돌출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누름대(12)의 회전 이 동력은 탄성절곡부(33)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결국 그 통전판(30)은 지지대(5)의 상부에서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과열 또는 과전류에 의하여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의 접점이 접점되어 단락이 곤란한 경우, 도 6과 같이 과열에 의하여 탄성절곡부가 변형이 되어 누름대의 선단과 탄성절곡부의 상부면이 이격된 경우 및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탄성절곡부가 탄성을 상실한 경우라 하더라도 누름커버를 스위칭하면 누름대가 시소유지판을 가압 접촉하여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단자의 접점을 강제 단락시켜 통전판이 스위칭되거나 탄성절곡부를 강제 시소운동시켜 탄성절곡부의 접점과 외부로부터 삽입된 단자의 접점과 단락이 되게 하는 효과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내부공간 2: 본체
3: 힌지공 4,4': 단자
5: 지지대 10: 누름구
11: 힌지축 12: 누름대
20: 누름커버 30: 통전판
31: 안치홈 32,32': 접점
33: 탄성절곡부 34: 지지부
35: 시소유지판 35-1: 전시소유지판
35-2: 후시소유지판 36: 절취공

Claims (4)

  1. 상부 본체 내부에는 안치되는 누름커버와, 누름커버의 하부에 힌지축을 축점으로 시소운동하는 누름구와, 누름구의 하측에 돌출된 누름대의 하측에 지지대의 선단에 안치되는 안치홈이 구성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누름대의 하단과 탄지되는 탄성절곡부가 구성된 'U'자의 판형으로 구성되는 통전판으로 구성되는 시소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하부 본체의 내부공간 바닥면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폭 방향의 판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절곡부는 안치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후에 입설 구성되고;
    상기 탄성절곡부의 일부를 절곡하여 입설 구성되거나 별도 제작된 'ㄴ'자 판형을 용접하여 입설 구성되는 시소유지판이 구성되고;
    상기 시소유지판은 안치홈의 전측에 구성되는 전시소유지판과, 안치홈의 후측에 전시소유지판에 어긋나게 이격 구성되고 전시소유지판의 수량과 상이한 수량으로 구성되는 후시소유지판이 구성되고;
    상기 전·후시소유지판 중에서 적은 수량의 전시소유지판 또는 후시소유지판이 많은 수량의 전시소유지판 또는 후시소유지판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누름대가 전시소유지판과 후시소유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누름구와 통전판의 엇갈림 시소운동으로 인하여 누름대가 전시소유지판 또는 후시소유판을 가압 접촉하여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17888A 2012-10-23 2012-10-23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8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88A KR101284824B1 (ko) 2012-10-23 2012-10-23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88A KR101284824B1 (ko) 2012-10-23 2012-10-23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824B1 true KR101284824B1 (ko) 2013-07-10

Family

ID=4899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8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4824B1 (ko) 2012-10-23 2012-10-23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82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66B1 (ko) * 2016-04-12 2016-11-09 주식회사 메가테크 누름 스위치
CN110277269A (zh) * 2019-05-31 2019-09-24 广东福田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强脱结构的开关
CN113013689A (zh) * 2021-02-27 2021-06-22 公牛集团股份有限公司 开关插座
CN114446699A (zh) * 2021-12-28 2022-05-06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翘板按键开关
KR102415973B1 (ko) * 2021-12-28 2022-07-05 주식회사 위너스 스위치
KR102415972B1 (ko) * 2021-12-28 2022-07-05 주식회사 위너스 스위치
KR102797291B1 (ko) 2024-08-21 2025-04-21 제일일렉트릭(주) 무빙터미널 사이드 고착을 이용한 지연스위치
KR102797300B1 (ko) 2024-10-10 2025-04-21 제일일렉트릭(주) 나선형 바이메탈 플런저 고착을 이용한 지연스위치
KR102797294B1 (ko) 2024-08-21 2025-04-21 제일일렉트릭(주) 솔레노이드 플런저 고착을 이용한 지연스위치
KR102797297B1 (ko) 2024-10-10 2025-04-21 제일일렉트릭(주) 바이메탈 직결 플런저 고착을 이용한 지연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43Y2 (ja) * 1990-03-16 1995-03-29 株式会社精工舎 開閉スイッチ装置
KR100281727B1 (ko) * 1993-08-13 2001-02-15 존 씨. 메티유 멈춤부를 갖는 패들 브레이드 스위치 어샘블리
KR200353744Y1 (ko) * 2004-03-18 2004-06-22 진미연 텀블러 스위치의 가동단자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143Y2 (ja) * 1990-03-16 1995-03-29 株式会社精工舎 開閉スイッチ装置
KR100281727B1 (ko) * 1993-08-13 2001-02-15 존 씨. 메티유 멈춤부를 갖는 패들 브레이드 스위치 어샘블리
KR200353744Y1 (ko) * 2004-03-18 2004-06-22 진미연 텀블러 스위치의 가동단자 구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66B1 (ko) * 2016-04-12 2016-11-09 주식회사 메가테크 누름 스위치
CN110277269A (zh) * 2019-05-31 2019-09-24 广东福田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强脱结构的开关
CN113013689A (zh) * 2021-02-27 2021-06-22 公牛集团股份有限公司 开关插座
CN114446699A (zh) * 2021-12-28 2022-05-06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翘板按键开关
KR102415973B1 (ko) * 2021-12-28 2022-07-05 주식회사 위너스 스위치
KR102415972B1 (ko) * 2021-12-28 2022-07-05 주식회사 위너스 스위치
CN114446699B (zh) * 2021-12-28 2023-09-12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翘板按键开关
KR102797291B1 (ko) 2024-08-21 2025-04-21 제일일렉트릭(주) 무빙터미널 사이드 고착을 이용한 지연스위치
KR102797294B1 (ko) 2024-08-21 2025-04-21 제일일렉트릭(주) 솔레노이드 플런저 고착을 이용한 지연스위치
KR102797300B1 (ko) 2024-10-10 2025-04-21 제일일렉트릭(주) 나선형 바이메탈 플런저 고착을 이용한 지연스위치
KR102797297B1 (ko) 2024-10-10 2025-04-21 제일일렉트릭(주) 바이메탈 직결 플런저 고착을 이용한 지연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824B1 (ko) 시소유지판이 구성된 판스프링 구조의 시소스위치
CN103489685B (zh) 具有轴向控制装置的电子器件
EP1811615B1 (en) Safety Lampholder and Method for Avoiding Accidental Electric Shock Caused by Lampholder
CA2029196C (en) Slide switch
CN109449037A (zh) 一种摆杆开关
KR101799856B1 (ko)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
KR20120118402A (ko) 은 접점이 없는 고출력 스위치
US3978303A (en) Leaf spring switch
CN203165772U (zh) 一种按钮开关
RU2003113533A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контакт
US6759608B2 (en) Electrical switch
CN204204703U (zh) 一种使用扭簧为端子的开关
CN204011182U (zh) 一种新型开关座
KR101313333B1 (ko) 다각형 구조의 가동단자를 갖는 시소스위치
CN215451936U (zh) 一种新型结构的电分接单元
CN207489732U (zh) 一种按钮开关
CN104577556B (zh) 一种带开关保护的插座
JP5306278B2 (ja) 短絡防止多連結スイッチ
CN219144008U (zh) 一种基于物联网的远程控电装置
CN104851698B (zh) 用于开关柜配电开关的手电动操作机构
CN218004642U (zh) 一种微型开关的导电结构
CN203312210U (zh) 具有电流过载保护功能的安全开关
CN222281830U (zh) 一种具有导通限位结构的电源开关
KR200425188Y1 (ko) 소형 이극 시소 스위치
CN210628146U (zh) 按钮开关按压机构及按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