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772B1 - 항염증, 진통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증, 진통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4772B1 KR101284772B1 KR1020110049147A KR20110049147A KR101284772B1 KR 101284772 B1 KR101284772 B1 KR 101284772B1 KR 1020110049147 A KR1020110049147 A KR 1020110049147A KR 20110049147 A KR20110049147 A KR 20110049147A KR 101284772 B1 KR101284772 B1 KR 1012847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present
- inflammatory
- functional food
- m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적양배추, 사과껍질 및 울금을 각각 추출한 후, 이들을 적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적정량의 용량범위에서 항산화 효과, 염증성 부종 완화 효과, 급성 및 만성염증 억제효과, 염증유발 효소인 Lipoxygenase, Cyclooxygenase-2 및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 억제효과, COX-2 및 Type I collagenase의 활성저해효과, 염증유발인자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IL-1β(interleukin 1-beta), IL-6(interleukin 6) 및 Prostaglandins의 생성억제효과 등이 우수한 소염진통제 및 관절염의 예방 및 증상개선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는 SC50값을 ppm의 농도로 나타낸 그래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H2O2를 50% 소거하는 SC50값을 ppm의 농도로 나타낸 그래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에 유도되는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COX-2 효소를 50% 저해하는 IC50값을 ppm의 농도로 나타낸 그래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MIA(mono sodium iodoacetate)에 의한 만성염증 동물모델의 혈액에서 리포옥시제나제 효소의 활성을 시료의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저해하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카라기난에 의한 급성염증 동물모델의 부종이 일어난 족부위에서 TNF-α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MIA에 의한 만성염증 동물모델의 염증이 일어난 슬관절부위에서 TNF-α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카라기난에 의한 급성염증 동물모델의 부종이 일어난 족부위에서 IL-1β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MIA에 의한 만성염증 동물모델의 염증이 일어난 슬관절부위에서 IL-1β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카라기난에 의한 급성염증 동물모델의 부종이 일어난 족부위에서 IL-6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MIA에 의한 만성염증 동물모델의 염증이 일어난 슬관절부위에서 IL-6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에 유도되는 프로스타그란딘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MIA에 의한 만성염증 동물모델의 염증이 일어난 슬관절부위에서 프로스타그란딘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Type I collagenase를 50% 저해하는 IC50값을 ppm의 농도로 나타낸 그래프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카라기난에 의한 급성염증 동물모델의 발부종 억제효과를 시간대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카라기난에 의한 급성염증 동물모델의 발부종 억제효과를 6시간 후 발부종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에 유도되는 5-리포옥시게니제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면역세포화학염색을 실시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에 유도되는 iNOS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면역세포화학염색을 실시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에 유도되는 COX-2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면역세포화학염색을 실시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1000배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혼합추출물과 비교물질이 MIA에 의한 만성염증 동물모델의 염증이 일어난 슬관절 연골의 조직형태학적 변화를 hematoxylin과 eosin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400배 확대하여 관찰한 도면이다.
Claims (12)
- 삭제
- 적양배추 추출물과 사과껍질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이 1 : (0.1 ~ 5) : (0.1 ~ 50)의 중량비로 각각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진통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캡슐, 환, 과립, 분말, 캔디, 껌, 정제, 음료, 시럽 형태 중 어느 하나에 투여되는 항염증, 진통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9147A KR101284772B1 (ko) | 2011-05-24 | 2011-05-24 | 항염증, 진통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9147A KR101284772B1 (ko) | 2011-05-24 | 2011-05-24 | 항염증, 진통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0996A KR20120130996A (ko) | 2012-12-04 |
KR101284772B1 true KR101284772B1 (ko) | 2013-07-17 |
Family
ID=4751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9147A Active KR101284772B1 (ko) | 2011-05-24 | 2011-05-24 | 항염증, 진통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477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3211A (ko) | 2021-08-30 | 2023-03-08 | 박영훈 | 고깔양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27888B2 (en) | 2012-05-11 | 2016-12-27 | Gemvax & Kael Co., Ltd. |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EP3333180B1 (en) | 2012-05-11 | 2019-08-21 | KAEL-GemVax Co.,Ltd |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EP2875826B1 (en) | 2012-05-11 | 2017-08-23 | KAEL-GemVax Co.,Ltd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epsis |
KR101799904B1 (ko) | 2012-07-11 | 2017-11-22 |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 세포 투과성 펩티드, 그를 포함한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한 조성물 |
US20150125438A1 (en) | 2012-07-20 | 2015-05-07 | Sang Jae Kim |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
RU2677277C2 (ru) | 2013-06-07 | 2019-01-16 | Джемвакс Энд Каэл Ко., Лтд. | Биологические маркеры, которые могут быть использованы в иммунотерапии рака |
TWI539960B (zh) | 2013-06-21 | 2016-07-01 | 凱爾傑姆維克斯有限公司 | 激素分泌調節劑、包括其的組成物以及其用途 |
KR102694658B1 (ko) | 2013-11-22 | 2024-08-14 |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 혈관 신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ES2809251T3 (es) | 2013-12-17 | 2021-03-03 | Gemvax & Kael Co Ltd | Composición para tratar cáncer de próstata |
US9937240B2 (en) | 2014-04-11 | 2018-04-10 | Gemvax & Kael Co., Ltd. | Peptide having fibro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
ES2962532T3 (es) | 2014-04-30 | 2024-03-19 | Gemvax & Kael Co Ltd | Composición para el trasplante de órganos, tejidos o células, kit y procedimiento de trasplante |
KR102413243B1 (ko) | 2014-12-23 | 2022-06-27 |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 안질환 치료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
EP3263122B1 (en) | 2015-02-27 | 2020-05-06 | Gemvax & Kael Co., Ltd. | Peptide for preventing hearing loss,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
KR101637322B1 (ko) * | 2015-09-21 | 2016-07-08 |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 사과박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KR102694646B1 (ko) | 2016-04-07 | 2024-08-13 |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 텔로머라제 활성 증가 및 텔로미어 연장 효능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KR101869065B1 (ko) * | 2016-08-16 | 2018-06-20 |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간기능 개선과 위염 억제활성을 갖는 울금을 포함하는 벌꿀 조성물의 제조방법 |
MA52822B1 (fr) | 2021-03-23 | 2022-12-30 | Univ Sidi Mohammed Ben Abdellah | Composition à usage médical ou cosmétique incluant des lipides des graines de brassica rapa subsp rapa |
KR102702964B1 (ko) * | 2021-06-30 | 2024-09-04 |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영인바이오 | 복합효소를 사용한 발효 저분자 콜라겐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0451A (ko) * | 2000-09-12 | 2003-05-22 | 닛카우위스키가부시키가이샤 | 야생사과 열매 폴리페놀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070111921A (ko) * | 2006-05-19 | 2007-11-22 | 최경임 | 화장품 제조용 울금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
KR100832865B1 (ko) | 2007-01-02 | 2008-05-28 | 장재영 | 사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비누 |
-
2011
- 2011-05-24 KR KR1020110049147A patent/KR10128477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0451A (ko) * | 2000-09-12 | 2003-05-22 | 닛카우위스키가부시키가이샤 | 야생사과 열매 폴리페놀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070111921A (ko) * | 2006-05-19 | 2007-11-22 | 최경임 | 화장품 제조용 울금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
KR100832865B1 (ko) | 2007-01-02 | 2008-05-28 | 장재영 | 사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비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3211A (ko) | 2021-08-30 | 2023-03-08 | 박영훈 | 고깔양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0996A (ko) | 2012-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4772B1 (ko) | 항염증, 진통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
Kreft | Buckwheat phenolic metabolites in health and disease | |
Mertens-Talcott et al. | Pharmacokinetics of anthocyanins and antioxidant effects after the consumption of anthocyanin-rich acai juice and pulp (Euterpe oleracea Mart.) in human healthy volunteers | |
CA2520207C (en) | Composition comprising bamboo extract and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showing treating and preventing activity for inflammatory and blood circulation disease | |
Sabtain et al. | A narrative review on the phytochemistry, nutritional profile and properties of prickly pear fruit | |
CN104363774A (zh) | 番茄提取物用作抗高血压剂的用途以及制造水溶性无糖番茄提取物的方法 | |
KR101734979B1 (ko) | 상백피, 차가버섯 및 고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치료 또는 전이 억제용 및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 |
Sailakshmi et al. | Diospyros melanoxylon (Roxb.): A tribal fruit that maintains euglycemic state after consumption and cools oxidative stress | |
Saini et al. | Nutraceuticals are for healthy life | |
Wan et al. | Edible fruits and berries as a source of functional polyphenols: Current scene and future perspectives | |
JP6042800B2 (ja) | トマトシドaの抽出方法 | |
KR101263356B1 (ko) |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 |
CN107551001B (zh) | 一种用于防治酒精性肝损伤的中药复合物及其制法 | |
KR101277266B1 (ko) |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 |
KR101045279B1 (ko) |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 |
Pal et al. | Chia seed in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present usage and future perspectives | |
KR101692889B1 (ko) |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358197B1 (ko) |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 |
KR101018404B1 (ko) |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 |
KR20180075763A (ko) | 마치현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손상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2178199B1 (ko) |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1392333B1 (ko) |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 |
KR101018405B1 (ko) |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
KR100888068B1 (ko) | 비만 억제용 조성물 | |
KR101524348B1 (ko) | 혈액순환장애의 예방 및 증상개선을 위한 오디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