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4119B1 -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119B1
KR101284119B1 KR20130043280A KR20130043280A KR101284119B1 KR 101284119 B1 KR101284119 B1 KR 101284119B1 KR 20130043280 A KR20130043280 A KR 20130043280A KR 20130043280 A KR20130043280 A KR 20130043280A KR 101284119 B1 KR101284119 B1 KR 101284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uardian
guardian terminal
service providing
notif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4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욱
이택우
Original Assignee
이택우
김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우, 김형욱 filed Critical 이택우
Priority to KR2013004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119B1/ko
Priority to PCT/KR2014/003050 priority patent/WO2014171662A1/ko
Priority to CN201410160879.6A priority patent/CN104113819A/zh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에 대한 피보호자 단말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장치와 피보호자 단말과의 접촉에 기초하여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달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NFC 태깅 장치는 피보호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 및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RESQUE SIGNAL SENDING SERVICE}
본 발명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대화를 즐기거나 전화 통화는 물론 영상 통화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상대방은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개인정보열람을 허용한 경우 스마트 단말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구조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은, 스마트 단말을 조작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구조 요청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제2013-0032515호(2013.04.02 공개)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긴급구조 요청정보를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경우,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최근 이슈가 된 다수의 살해사건과 폭력사건을 보면 피해자는 피의자의 감시하에 있어 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치매 환자와 같이 정신적 인지 능력이 전혀 없거나, 유아나 긴급 환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일신상의 이유로 위급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화를 걸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하고, 스마트 단말과 NFC 태깅 장치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전화를 하거나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에 대한 피보호자 단말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장치와 피보호자 단말과의 접촉에 기초하여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달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NFC 태깅 장치는 피보호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 및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NFC 태그의 고유 식별 번호가 저장된 ID 저장부, NFC 태그와 통신하는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할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 피보호자 단말과의 접촉 신호가 발생한 경우, 피보호자 단말에 의해 NFC 태그의 고유 식별 번호, 연락처 데이터 및 전달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기 위한 접촉 신호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NFC 태그와 스마트 단말이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구조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피의자의 감시하에 있어 피해자가 어떠한 행동을 취하기 어려울 경우일지라도 자신의 위치를 포함한 구조 요청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NFC 태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NFC 태깅 장치와 피보호자 단말이 연동되어 구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5는 도 1의 피보호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이 연동되어 구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장치(100), 피보호자 단말(20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3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피보호자 단말(200)과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 단말(200)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200)은 NFC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3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장치(100), 피보호자 단말(20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NFC 태깅 장치(100)는 피보호자 단말(200)과 접촉될 수 있고, NFC 통신을 통하여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알림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접촉은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200)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것 이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NFC 태깅 장치(100)는 NFC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블루투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 UWB, HOME RF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피보호자 단말(2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메세지나 발신 호(Calling)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피보호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피보호자 단말(200)과 연결되고,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NFC 태깅 장치(100)와의 접촉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위험 상황 정보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해당 메세지를 전송하거나 발신 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결되고, 피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생성된 위험 상황 정보를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위험 상황 정보와 함께 피호보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최근, 스마트 패드나 타블렛 PC, 스마트 폰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대화를 즐기거나 전화 통화는 물론 영상 통화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상대방은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개인정보열람을 허용한 경우 스마트 단말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경우,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최근 이슈가 된 다수의 살해사건과 폭력사건을 보면 피해자는 피의자의 감시하에 있어 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치매 환자와 같이 정신적 인지 능력이 전혀 없거나, 유아나 긴급 환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일신상의 이유로 위급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화를 걸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하고, 스마트 단말과 NFC 태깅 장치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전화를 하거나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호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발신 호 또는 메세지를 전송할 때 사용자의 위치도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구조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납치되어 이동중인 경우에도, 계속해서 사용자의 위치를 선생님이나 경찰 등과 같은 보호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NFC 태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NFC 태깅 장치와 피보호자 단말이 연동되어 구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고, 도 5는 도 1의 피보호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이 연동되어 구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정보 수신부(410), 구조 요청 수신부(430), 전달 메세지 전송부(450) 및 학습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 또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피보호자 단말(200)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전송하면, 피보호자 단말(200)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프로그램이 피보호자 단말(200)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 외에도, 온라인 마켓, 앱스토어(App Store) 등에서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300) 연결은 피보호자 단말(200)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이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300)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네트워크(3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피보호자 단말(200)과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피보호자 단말(200)에 NFC 태깅 장치(100)가 접촉되면, 피보호자 단말(200)은 피보호자 단말(2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긴급 구조 요청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네트워크(300)의 문제로 인하여 피보호자 단말(200)과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일지라도, 피보호자 단말(200)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위급한 상황을 알리는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보 수신부(410)는 피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의 연락처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에 대한 피보호자 단말(200)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부모님, 친구, 구조 센터 등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는 부모님일 수도 있고, 선생님일 수도 있고, 학교폭력신고 센터일 수도 있고, 경찰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전달 메세지인 긴급신고내용을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긴급신고내용은 사용자가 겪을 수 있는 상황을 미리 예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전달 메세지는 피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생성될 수 있고, 전달 메세지와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수집한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GPS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피보호자 단말(200)이 실내에 위치한 경우를 대비하여 피보호자 단말(200)이 연결된 네트워크(300)의 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0)의 위치는 예를 들어 Wi-Fi의 위치일 수 있다.
또한,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주기적으로 정보 수신부(410)에서 수집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네트워크(300)와 피보호자 단말(200) 간의 스페이스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오차 범위를 줄일 수 있다.
구조 요청 수신부(430)는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20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전달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조 요청 신호는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수집한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 요청 신호는 정보 수신부(410)에 미리 저장되었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수집될 수도 있고, 정보 수신부(410)에 기 저장된 위치 정보의 가장 최근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구조 요청 신호는 피보호자 단말(200)이 스마트 단말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사진 정보 및 음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태깅 장치(100)에 의해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구조 요청 신호를 생성할 때, 피보호자 단말(200)이 촬영한 동영상, 사진,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사진, 음성을 생성할 때에는 피의자가 인지할 수 없도록, 피보호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켜지 않거나 소리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피의자가 인지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피보호자 단말(200)은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동영상, 사진, 음성을 생성하고, 구조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생성된 정보를 구조 요청 수신부(4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피의자에게 붙잡히기 전까지 어디에 위치하고 있었는지, 주변 환경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어 추적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200)이 촬영을 할 경우에는, 피보호자 단말(200)이 감지한 빛의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인 경우에만 촬영을 허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예를 들어, 피보호자 단말(200)이 가방 내부에 있는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가방 내부 사진만 찍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달 메세지 전송부(450)는,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20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전달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하나의 점으로 표현될 수도 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는 선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시각이 아침 8시 30분이라고 가정하면, 그 전에는 어디에 있었는지 시간과 장소를 표현할 수 있고, 그 후에는 어디에 있는지에 대하여 시간과 장소를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이동 경로를 표시하므로 미아나 치매 환자, 피의자에게 잡힌 피해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고, 탐문이나 수사, 및 수색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깅 장치(100)는 피보호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의 연락처 및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의 전화 번호, 전달 메세지가 입력되고, "Write Tag" 아이콘을 누른 후 NFC 태깅 장치(100)를 피보호자 단말(200)에 접촉하면, NFC 태깅 장치(100)는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200)에 접촉되면, 피보호자 단말(200)은 진동 및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아나 치매 환자의 경우, 자신의 처지와 상황을 알려야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200)에 접촉되면,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진동 및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주변에 피보호자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미아의 경우, "저 길을 잃어버렸어요. ***-*****으로 전화해주세요"라는 음성을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치매 환자의 경우, "저는 치매 환자입니다. 가까운 경찰서로 데려가 주세요"라는 음성을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200)에 접촉되면, 경찰서나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전송되게 되므로, 경찰이나 보호자가 이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미아나 치매 환자가 해당 음성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경우, 폭력의 표적이 될 수 있으므로, 피보호자 단말(200)과 경찰서 간의 거리를 고려하고, 경찰의 스마트 단말이나 경찰차와 피보호자 단말(200)이 일정 거리 내인 경우에만 해당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2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구조 요청을 전송한 후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호 발신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매 노인이나 환자의 경우, 주변 사람들이 보호자의 전화번호를 찾는데 꽤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치매 노인이나 환자의 경우, NFC 태깅 장치(100)가 피보호자 단말(200)에 접촉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500)로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긴급 메세지를 전송함과 동시에, 보호자에게 전화하기 아이콘을 더 포함하여 바로 보호자에게 전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c를 참조하면, 전달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전달 메세지에 포함된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피보호자 단말(500)의 위치를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피보호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학교 폭력 신고, 치매/미아/환자 신고, 피보호자 단말 정보 입력,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 정보 입력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매/미아/환자 신고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경우, 전달 메세지 전송 메세지와 보호자에게 전화하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학습부(470)는 피보호자 단말(200)의 이동 경로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집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전달 메세지를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전송할 때, 피보호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학습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폭력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면 일정 패턴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중에는 학교를 8:00시까지 등교하고, 방과 후인 4:00 이후에는 학원으로 이동하고, 10:00에는 독서실로 이동하며, 새벽 1:00에는 집으로 오는 일정한 패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보호자 단말(200)은 이러한 패턴을 일정 기간 동안 학습하고, 사용자의 이동 경로 패턴을 전달 메세지에 포함시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보호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학습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 상에 두 경로가 오버레이되도록 표시될 수도 있으며, 시계열적으로 이동 위치가 표시될 수도 있다.
덧붙여서, 도 5d를 참조하면, 교통 사고를 포함한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길을 가던 사용자가 갑자기 쓰러지거나 교통사고를 당하여 의식이 없는 경우, 사용자를 발견한 발견자는 발견자 자신의 스마트 단말을 NFC 태깅 장치(100)에 접촉시킴으로서 환자의 정보, 환자의 증상, 혈액형, 보호자 연락처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견자는 보호자에게 연락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이때, 발견자의 위치는 보호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발견자의 스마트 단말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NFC 태깅 장치(100)가 발견자의 스마트 단말에 태깅되는 경우, NFC 태깅 장치(100)에 의해, 발견자의 스마트 단말은 OS로 호출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견자의 스마트 단말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웹페이지를 호출할 수 있고, 발견자에게는 발견자의 위치 공개를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세스를 허용하시면 보호자의 전화번호가 공개되고, ***님의 위치가 전송됩니다"라는 메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발견자가 발견자의 스마트 단말을 통하여 위치 공개에 동의한 경우, 도 5c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5e를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200)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을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와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일신상의 이유로 위급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화를 걸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하고, 스마트 단말과 NFC 태깅 장치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전화를 하거나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호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발신 호 또는 메세지를 전송할 때 사용자의 위치도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구조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도 2, 4 및 5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NFC 태깅 장치(100)는 ID 저장부(110), 정보 저장부(130), 접촉 신호 감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ID 저장부(110)는 NFC 태그의 고유 식별 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는,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200) 간의 통신 연결이 생성되었을 때, 다른 NFC 태깅 장치를 피보호자 단말(200)에서 읽어들여 통신이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정보 저장부(130)는 NFC 태그와 통신하는 피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의 연락처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전송할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접촉 신호 감지부(150)는 피보호자 단말(200)에 접촉 신호가 발생한 경우, 피보호자 단말(200)에 의해 NFC 태그의 고유 식별 번호, 연락처 데이터 및 전달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NFC 태깅 장치(100)는 사람의 팔, 목, 다리, 허리 중 적어도 하나에 착용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3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2, 4 및 5를 통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보호자 단말(200)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의 연락처와 전달 메세지를 입력받는다(S6100). 그리고 나서, 피보호자 단말(200)은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연락처 및 전달 메세지를 전송한다(S6200).
NFC 태깅 장치(100)와 피보호자 단말(200)은 NFC 통신으로 연결되고, NFC 태깅 장치(100)는 피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S640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피보호자 단말(200)의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6400).
또한, 피보호자 단말(200)은 NFC 태그가 피보호자 단말(200)에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6500), NFC 태그가 피보호자 단말(200)에 접촉된 경우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켜(S660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한다(S661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S6700), 수집된 정보를 포함시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6710).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메세지 및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6800). 이때, 피보호자 단말(200)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된 피보호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690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S6910),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6930).
마지막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500)은 피보호자의 이동 패턴과 오버레이된 피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6950).
이와 같은 도 6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5를 통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6100~S695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S6100~S695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에 대한 피보호자 단말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한다(S7100).
그리고 나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장치와 피보호자 단말과의 접촉에 기초하여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7200).
또한,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구조 요청 신호와 피보호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달 메세지를 전송한다(S7300). 이때, NFC 태깅 장치는 피보호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 및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7의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목록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가 실행하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에 대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 장치와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의 접촉에 기초하여 발생된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조 요청 신호와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전달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FC 태깅 장치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의 연락처 및 상기 전달 메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기 설정된 기간동안 수집하여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달 메세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할 때,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학습된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요청 신호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서 수집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깅 장치가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 접촉되면,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진동 및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호 발신을 실시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메세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은, 상기 전달 메세지에 포함된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의 위치를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학교 폭력 신고, 치매/미아/환자 신고, 피보호자 단말 정보 입력,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 정보 입력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치매/미아/환자 신고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경우, 상기 전달 메세지 전송 메세지와 보호자에게 전화하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피보호자 단말과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 상기 NFC 태깅 장치가 접촉되면, 상기 피보호자 단말은, 상기 피보호자 단말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긴급 구조 요청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인,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청구항 1 내지 6,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20130043280A 2013-04-19 2013-04-19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84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280A KR101284119B1 (ko) 2013-04-19 2013-04-19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14/003050 WO2014171662A1 (ko) 2013-04-19 2014-04-08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CN201410160879.6A CN104113819A (zh) 2013-04-19 2014-04-21 危险情况报警服务提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280A KR101284119B1 (ko) 2013-04-19 2013-04-19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119B1 true KR101284119B1 (ko) 2013-07-10

Family

ID=4899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32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4119B1 (ko) 2013-04-19 2013-04-19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84119B1 (ko)
CN (1) CN104113819A (ko)
WO (1) WO201417166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467B1 (ko) 2014-07-01 2014-09-04 대한민국 재난 상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연계된 개인 인식용 단말기
KR101547948B1 (ko) 2013-10-26 2015-09-03 주식회사 보형 모바일 사용자의 위급상황 오신호 알림을 방지하는 위급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KR101753522B1 (ko) * 2016-03-31 2017-07-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코드화된 단축키를 이용한 사고시나리오기반 고속 대화형 선상사고대응 체계시스템
KR20240053383A (ko) 2022-10-17 2024-04-24 주식회사 넥스팟솔루션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8981B (zh) * 2014-11-14 2017-06-2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基于智能手机平台的校园霸凌检测方法
KR102381371B1 (ko) * 2015-12-10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5684057A (zh) * 2016-01-06 2016-06-15 汤美 一种校园及时纠纷处理和及时救援系统
CN106211069A (zh) * 2016-07-01 2016-12-07 立德高科(昆山)数码科技有限责任公司 将被监护人走失信息发送至附近监护人终端的方法及系统
CN106303961A (zh) * 2016-08-11 2017-01-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自动报警方法及设备
CN110728822A (zh) * 2019-10-09 2020-01-24 中兴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围栏系统报警的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57B1 (ko) 2004-03-02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90002320A (ko) * 2007-06-27 2009-01-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KR20110006347A (ko)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위치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53337B1 (ko) * 2012-12-21 2013-04-10 이준하 위치확인이 가능한 미아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7436A (ja) * 2001-09-12 2003-03-20 Nec Corp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装置
CN100450179C (zh) * 2006-05-30 2009-01-07 浙江工业大学 基于全方位计算机视觉的独居老人家庭安保装置
CN102006352A (zh) * 2009-08-31 2011-04-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终端的报警控制器、报警方法及报警系统
CN102768790B (zh) * 2012-07-13 2014-11-26 南京物联传感技术有限公司 Nfc报警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57B1 (ko) 2004-03-02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90002320A (ko) * 2007-06-27 2009-01-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치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KR20110006347A (ko)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위치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53337B1 (ko) * 2012-12-21 2013-04-10 이준하 위치확인이 가능한 미아방지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948B1 (ko) 2013-10-26 2015-09-03 주식회사 보형 모바일 사용자의 위급상황 오신호 알림을 방지하는 위급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KR101437467B1 (ko) 2014-07-01 2014-09-04 대한민국 재난 상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연계된 개인 인식용 단말기
KR101753522B1 (ko) * 2016-03-31 2017-07-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코드화된 단축키를 이용한 사고시나리오기반 고속 대화형 선상사고대응 체계시스템
WO2017171277A1 (ko) * 2016-03-31 2017-10-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코드화된 단축키를 이용한 사고시나리오기반 고속 대화형 선상사고대응 체계시스템
KR20240053383A (ko) 2022-10-17 2024-04-24 주식회사 넥스팟솔루션 Qr 코드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3819A (zh) 2014-10-22
WO2014171662A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119B1 (ko)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41555B1 (ko) 위험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RU2513920C2 (ru) Система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rfid метки
KR101110639B1 (ko) 세이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94370B2 (ja) 救助要請システム
WO2011119273A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surveillance of persons and/or surroundings
US11688261B2 (en) Body-worn alert system
KR20140124606A (ko)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KR102207713B1 (ko) 사용자의 상태 정보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68523B1 (ko) 물리적 버튼을 이용한 긴급상황 신고 서비스 제공 방법
JP3167778U (ja) 弱者見守りシステム
KR20190049187A (ko) 사용자의 위험 상태 공유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 타이머를 실행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31900A (ko) 비콘 기반 미싱 객체 찾기 시스템, 미싱 객체 찾기 방법, 그 컴퓨터 프로그램 및 미싱 객체 찾기 서버
KR20110035420A (ko)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위험 알림 방법
KR101031732B1 (ko) 위기 관리 시스템
JP2008311844A (ja)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130209A (ja) 行動管理装置、情報端末、行動管理方法、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02739B1 (ko) 메신저 앱을 활용한 실종 또는 분실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11063A (ko)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프로그램 및 보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8282249A (ja) 見守り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3197684A (ja) 端末装置、及び安否確認システム
Girinath et al. IoT based threat detection and location tracking for women safety
Kanagaraj et al. Cheeka: A mobile application for personal safety
KR20160029560A (ko)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Leema et al. Women Safety Android Application with Hardwa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