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064B1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1064B1 KR101281064B1 KR1020120142843A KR20120142843A KR101281064B1 KR 101281064 B1 KR101281064 B1 KR 101281064B1 KR 1020120142843 A KR1020120142843 A KR 1020120142843A KR 20120142843 A KR20120142843 A KR 20120142843A KR 101281064 B1 KR101281064 B1 KR 1012810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f spring
- mobile terminal
- state
- coupling
- cra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결합되고 손쉽게 거치대로 변환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easily converted into a cradle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inclinedly.
Th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in an inclined mann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Springs;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leaf spr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leaf spring is bent in a state where the height h1 in the bent state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in the deployed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inclined relative to.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결합되고 손쉽게 거치대로 변환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easily converted into a cradle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inclinedly.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Recently, many electronic devices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ablet PCs, and smart phones, which are easy to carry and provide a lot of data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have been released.
특히 휴대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has gained much popularity by add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V, movie watching, and camera in ad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영상출력부(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In order to view data through such a mobile terminal, the image output unit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should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angle so that the user can see it well. You should lean on a place like this.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However, if the user is holding by h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ate for a long time because the shoulders and wrists go unnecessarily, and leaning against a wall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it is restricted in places.
따라서 위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어느 장소에서도 장시간 세울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장착하게 된다.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stand in any place for a long time.
이러한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1540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24928호 등에 나타나 상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uch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is shown in detail in Publication No. 10-2009-0041540, Registration No. 10-1024928, and so 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거나,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였을 경우 휴대하는데 불편한 점 등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older for the above, the structure is relatively complicated, or when combin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inconvenient to carr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였을 경우 휴대하는데에도 불편한 점이 없으며, 쉽게 거치대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etc.,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carry when combined with a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converted to a cradle to use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for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is elastically deformed in an expanded state or a bent state by an external force A leaf spring for maintaining its shape;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leaf spr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leaf spring is bent in a state where the height h1 in the bent state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in the deployed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inclined relative to.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절곡상태로 변환된다.The leaf spring is converted to the bent state by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leaf spring in the deployed state.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Y축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X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의 두께방향(Z축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진다.The leaf spring is formed in a rod shap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xis direction) in the deployed state and narrow in the width direction (Y axis direction), wherein the leaf spring is viewed in the X axis direction in the deployed state. It is convexly curved in an arc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leaf spr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양단이 전개된 막대형상의 전개상태를 이루거나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룬다.The leaf spring forms a rod-shaped deployment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deployed by an external force, or both ends are bent in an arc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된 외피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다.The coupling member includes an outer shell member surrounding the leaf spring and protruding wing portions at both sides; It is made of an adhesive member for coupling the wing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또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는 외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부재가 결합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외피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재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다.Or the coupling member, the outer shell member surrounding the leaf spring; A cover member covering the sheath member; It consists of an adhesive member for coupling the cover member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ver membe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eaf spring, the wing portion to which the adhesive member is coupled, and the shell member while interconnecting the wing member Consists of a connecting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he outer cover memb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본 발명은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결합시켜,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ase surrounding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by coupling the leaf spring, the coupling spring through the protective case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t may b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보호케이스에는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ase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wrapped around the leaf spring and the w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protruding, inserting fixed hole is coupled to the wing is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case Is formed, may be coupled to the back spr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protective case.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고정공이 형성된다.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leaf spring is inserted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and both sides of the seating recess are formed with insertion hol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radl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였을 경우 휴대하는데에도 불편한 점이 없으며, 쉽게 거치대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when combined with a portable terminal, does not have any inconvenience in carrying, and can be easily converted to a cradle.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상기 판스프링이 거치대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을 상기 휴대단말기 방향으로 밀어 전개상태로 변환시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그 부피를 줄이고 타물건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 결합한 상태로 휴대하기도 좋다.That is, the cradl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af spring is not used as a cradle, by pushing the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in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in a deployed stat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It can reduce the volume and reduce interference with other objects, and can be carried while being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을 거치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중심부를 원터치 방향으로 눌러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로 변환시킴으로써, 손쉽게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ate spring is to be used as a holder, by pressing the center of the leaf spring in a one-touch direction,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are converted into a bent stat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thereby easily supporting the mobile device inclined. Can be converted into a structure that can
또한, 상기 판스프링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의 안쪽에 손가락을 넣어 사용자가 이동중에도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mobile terminal while moving by putting a finger inside the leaf spring in the state that the leaf spring is b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판스프링을 A-A'선과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전개상태와 절곡상태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전개상태와 절곡상태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line B-B' of the leaf spring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to a deployed state and a bent state by coupling to a portable terminal;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inclinedly supported by using the holder for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eployed state and a bent state by coupling to a portable terminal;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 of FIG. 9;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판스프링을 A-A'선과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전개상태와 절곡상태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te shown in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ring taken along line A-A 'and B-B', and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eployed state and a bent state by coupling to a portable terminal.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inclinedly supported by using th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되어 지면에 대하여 휴대단말기(3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00)과, 결합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상기 판스프링(100)은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이러한 상기 판스프링(100)은, 전개상태에서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Y축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상태에서 X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100)의 두께방향(Z축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위와 같은 구조의 상기 판스프링(100)은 도 4(a)에 도시된 전개상태에서 중심부를 누르는 외력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절곡상태로 변환된다.The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판스프링(100)은 양단이 전개되도록 누르는 외력에 의해 막대형상의 전개상태를 이루거나, 상기 판스프링(100)의 중심부를 누르는 외력에 의해 양단이 휴대단말기(300)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룬다.In more detail, the
즉, 상기 판스프링(100)이 전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판스프링(100)의 중심부를 누르면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은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을 그리며 휘어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상태로 변환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판스프링(100)이 절곡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을 상기 휴대단말기(300) 방향으로 누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은 다시 막대 형상의 전개상태로 변환되어 그 상태를 유지한다.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center of the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판스프링(100)을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킨다.The
이러한 상기 결합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210)와 접착부재(250)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외피부재(210)는 가죽, 천, 실리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100)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외피부재(210)가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FIG. 1 and FIG. 2, the
상기 접착부재(250)는 양면테이프, 본드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날개부(212)를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킨다.The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되어 휴대단말기(3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거치대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이를 위해, 상기 판스프링(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300)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게 된다.To this end, the
본 발명의 거치대(10)가 장착된 휴대단말기(300)를 도 5(a)에 도시된 가로방향 또는 도 5(b)에 도시된 세로방향으로 배치하여, 그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상기 휴대단말기(300)를 감싸는 보호케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판스프링(100)을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결합시켜,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100)을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키게 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보호케이스는 종래의 공지된 일반적인 케이스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It is sufficient that the protective case is made of a conventionally known general case.
또한,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이 원호형상으로 절곡되는바, 절곡된 상기 판스프링(100)의 안쪽에 손가락 등을 넣어 휴대단말기(300)를 파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하면서도 휴대단말기(3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판스프링(100)이 거치대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을 상기 휴대단말기(300) 방향으로 밀어 전개상태로 변환시켜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그 부피를 줄이고 타물건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00)을 거치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중심부를 원터치 방향으로 눌러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단이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로 변환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300)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거치대(10)는 휴대단말기(300)에 항상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100)이 손쉽게 전개상태 및 절곡상태로 변환될 수 있고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바, 휴대성 및 사용성이 우수하다.Therefore,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100)의 안쪽에 손가락을 넣어 사용자가 이동중에도 휴대단말기(3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inside of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하여 전개상태와 절곡상태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is coupled to a portable terminal and elastically deformed into a deployed state and a bent state.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판스프링(100)은 동일하고 결합부재(200)에 차이가 있는바, 이하 상기 결합부재(2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6 to 8, the
상기 결합부재(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220)와, 커버부재(230)와, 접착부재(25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도 6에서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상기 외피부재(2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도시되지 않았다.In FIG. 6, the
상기 외피부재(220)는 실리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스프링(100)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싼다.The
이때, 상기 판스프링(100)과 외피부재(200)는 인서트사출 등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커버부재(230)는 상기 외피부재(220)를 덮는 것으로써, 날개부(232)와 연결부(234)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날개부(232)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측 즉 Y축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부재(250)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된다.The
상기 연결부(234)는 2개의 상기 날개부(232)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써, 상기 외피부재(220)의 상면을 가로질러 배치된다.The connecting
상기 날개부(232)와 연결부(234)는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234)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배치된 방향으로 결합공(23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외피부재(220)에는 상기 결합공(23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위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221)가 상기 결합공(23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이때, 상기 결합돌기(221)는 상기 외피부재(220)의 재질인 실리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어, 상기 결합돌기(221)가 상기 결합공(235)에서 쉽게 분리이탈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221)는 별도의 고강도 재질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상기 접착부재(250)는 양면테이프, 본드 등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230) 자세하게는 상기 날개부(232)를 상기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킨다.The
본 실시예의 거치대(10)는 제1실시예와 같이 보호케이스(260)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C of FIG.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on line.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10)는, 판스프링(100), 결합부재(200) 및 보호케이스(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상기 판스프링(10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결합부재(200) 및 보호케이스(260)에 차이가 있는바, 이하 상기 결합부재(200) 및 보호케이스(2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도 9에서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상기 결합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도시되지 않았다.In FIG. 9, the
상기 결합부재(2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24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10 and 11, the
이때,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날개부(242)가 탄성변형될 수 있으면서도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날개부(242)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길이방향 즉 X축방향으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휴대단말기(300)를 감싸는 상기 보호케이스(260)에는 상기 날개부(24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고정공(26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보호케이스(260)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100)을 휴대단말기(300)의 배면에 결합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보호케이스(260)의 배면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26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61)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고정공(262)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위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100)이 삽입 배치되는 상기 안착홈(26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100)이 전개된 상태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By forming the
상기 날개부(242)를 상기 삽입고정공(262)에 삽입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날개부(242)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삽입고정공(262)에 삽입하면, 삽입된 후 상기 걸림턱이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삽입고정공(262)에 걸리게 되어 상기 판스프링(100)을 상기 보호케이스(26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As a method of inserting and fixing the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ther matter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cradl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mitted.
10 : 거치대, 100 : 판스프링,
200 : 결합부재, 210 : 외피부재, 212 : 날개부, 220 : 외피부재, 221 : 결합돌기, 230 : 커버부재, 232 : 날개부, 234 : 연결부, 235 : 결합공, 242 : 날개부, 250 : 접착부재, 260 : 보호케이스, 261 : 안착홈, 262 : 삽입고정공,
300 : 휴대단말기,10: holder, 100: leaf spring,
200: coupling member, 210: shell member, 212: wing portion, 220: shell member, 221: coupling protrusion, 230: cover member, 232: wing portion, 234: connection portion, 235: coupling hole, 242: wing portion, 250 : Adhesive member, 260: Protective case, 261: Seating groove, 262: Insertion fixing hole,
300: mobile terminal,
Claims (9)
전개상태에서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Y축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절곡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양단이 전개된 막대형상의 전개상태를 이루거나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X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의 두께방향(Z축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된 외피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In th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deployed state and narrow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ed to an expanded state or bent state by the external force to maintain the shape and ;
It comprises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leaf spring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leaf spring is converted into a bent state by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leaf spring in the deployed state,
The leaf spring forms a rod-like deployment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developed by an external force, or both ends are bent in an arc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leaf spring is convexly curved convex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leaf spring,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viewed from the X-axis direction in the unfolded state.
The leaf spring supports the mobile terminal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 bent state in which the height h1 in the bent state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in the unfolded state.
The coupling member
An outer shell member surrounding the leaf spring and protruding wing portions at both sides; Th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dhesive member for coupling the wing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전개상태에서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Y축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절곡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양단이 전개된 막대형상의 전개상태를 이루거나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X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의 두께방향(Z축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는 외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를 덮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접착부재가 결합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외피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재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In th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deployed state and narrow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ed to an expanded state or bent state by the external force to maintain the shape and ;
It comprises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leaf spring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leaf spring is converted into a bent state by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leaf spring in the deployed state,
The leaf spring forms a rod-like deployment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developed by an external force, or both ends are bent in an arc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leaf spring is convexly curved convex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leaf spring,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viewed from the X-axis direction in the unfolded state.
The leaf spring supports the mobile terminal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 bent state in which the height h1 in the bent state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in the unfolded state.
The coupling member
An outer shell member surrounding the leaf spring; A cover member covering the sheath member; It is made of an adhesive member for coupling the cover member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ver member is composed of a w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eaf spring is coupled to the adhesive member, the connecting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l member while interconnecting the wing portion,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outer shell member is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formed in the coupl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결합시켜,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ase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The coupling member is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couple the leaf spring to the back of the protective case, the leaf spring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protective case.
전개상태에서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Y축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보호케이스와;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보호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절곡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양단이 전개된 막대형상의 전개상태를 이루거나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상태에서 X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의 두께방향(Z축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호케이스에는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케이스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In th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oupl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d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deployed state and narrow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elastically deformed to an expanded state or bent state by the external force to maintain the shape and ;
A protective case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It comprises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leaf spring to the protective case,
The leaf spring is converted into a bent state by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leaf spring in the deployed state,
The leaf spring forms a rod-like deployment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developed by an external force, or both ends are bent in an arc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leaf spring is convexly curved convexly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leaf spring,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viewed from the X-axis direction in the unfolded state.
The leaf spring supports the mobile terminal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a bent state in which the height h1 in the bent state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in the unfolded state.
The coupling member surrounds the leaf spring and wings are protruded on both sides,
The protection case is provided with a fixed insertion hole is coupled to the wing is inserted, th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upling the leaf spring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protective case.
상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8,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leaf spring is inserted,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fixing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groo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2843A KR101281064B1 (en) | 2012-12-10 | 2012-12-10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2843A KR101281064B1 (en) | 2012-12-10 | 2012-12-10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1064B1 true KR101281064B1 (en) | 2013-07-09 |
Family
ID=4899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28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1064B1 (en) | 2012-12-10 | 2012-12-10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1064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12667A1 (en) * | 2013-01-18 | 2014-07-24 | 크루셜텍 주식회사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KR200478291Y1 (en) | 2015-02-10 | 2015-09-30 | 박진우 | support for cellphone |
KR20160003392A (en) | 2014-07-01 | 2016-01-11 | 이을호 | Holder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 thereof |
KR20160098008A (en) | 2015-02-10 | 2016-08-18 | 박진우 | Cradle for mobile phone |
KR20160144035A (en) * | 2015-06-08 | 2016-12-16 | 주식회사 하이맥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KR20170021040A (en) | 2015-08-17 | 2017-02-27 | 신승진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7555Y1 (en) * | 1999-10-25 | 2000-04-15 | 강용식 | Carriage structure of cellular phone |
KR200424288Y1 (en) * | 2006-06-02 | 2006-08-17 | (주)중앙티앤씨 | Belt clip for mobile phone |
US20090095854A1 (en) * | 2007-09-06 | 2009-04-16 | Paul Wilbur Forbes | Formable Stand System |
KR20100009162U (en) * | 2009-03-10 | 2010-09-20 | 주식회사 뉴빛 | Stand of portable terminal |
-
2012
- 2012-12-10 KR KR1020120142843A patent/KR10128106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7555Y1 (en) * | 1999-10-25 | 2000-04-15 | 강용식 | Carriage structure of cellular phone |
KR200424288Y1 (en) * | 2006-06-02 | 2006-08-17 | (주)중앙티앤씨 | Belt clip for mobile phone |
US20090095854A1 (en) * | 2007-09-06 | 2009-04-16 | Paul Wilbur Forbes | Formable Stand System |
KR20100009162U (en) * | 2009-03-10 | 2010-09-20 | 주식회사 뉴빛 | Stand of portable terminal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12667A1 (en) * | 2013-01-18 | 2014-07-24 | 크루셜텍 주식회사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KR20160003392A (en) | 2014-07-01 | 2016-01-11 | 이을호 | Holder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 thereof |
KR200478291Y1 (en) | 2015-02-10 | 2015-09-30 | 박진우 | support for cellphone |
KR20160098008A (en) | 2015-02-10 | 2016-08-18 | 박진우 | Cradle for mobile phone |
KR101838874B1 (en) * | 2015-02-10 | 2018-03-15 | 박진우 | Cradle for mobile phone |
KR20160144035A (en) * | 2015-06-08 | 2016-12-16 | 주식회사 하이맥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KR101709636B1 (en) * | 2015-06-08 | 2017-02-24 | 주식회사 하이맥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KR20170021040A (en) | 2015-08-17 | 2017-02-27 | 신승진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1064B1 (en)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
US20190326767A1 (en) |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 |
KR100802558B1 (en) | Step hinge | |
US20120326003A1 (en) |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 |
US20140077669A1 (en) | Cover for mobile terminal | |
US8029302B1 (en) | Strap with charging and data transmitting function | |
TWM514711U (en) | Protective cover | |
US20130313252A1 (en) | Protective shell | |
KR101629434B1 (en) | Magic strap | |
KR200470332Y1 (en) | Mobile apparatus case | |
KR20160018306A (en) |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EP2947782A1 (en)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EP2215731A2 (en) |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 |
KR100702709B1 (en) | Step hinge and personal mobile device using it | |
KR101967449B1 (en) |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 |
KR20120008365U (en) | Supporting case for display device | |
KR101002367B1 (en) | Multifunctional Cradle for Mobile Devices | |
KR200461377Y1 (en) | A case for tablet pc | |
KR200478291Y1 (en) | support for cellphone | |
KR101168644B1 (en) | c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838874B1 (en) | Cradle for mobile phone | |
KR101169232B1 (en)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e phone | |
KR20120003972U (en) | Protecting case for a mobile terminal | |
KR20160092074A (en) | Card insertion type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160001771U (en) | Stand for portab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3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