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9122B1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122B1
KR101279122B1 KR1020090113973A KR20090113973A KR101279122B1 KR 101279122 B1 KR101279122 B1 KR 101279122B1 KR 1020090113973 A KR1020090113973 A KR 1020090113973A KR 20090113973 A KR20090113973 A KR 20090113973A KR 101279122 B1 KR101279122 B1 KR 10127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tarder
image display
display pane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530A (ko
Inventor
백인수
강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122B1/ko
Priority to US12/952,436 priority patent/US8760505B2/en
Priority to CN2010106238458A priority patent/CN102075775B/zh
Publication of KR2011005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7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polarizing the light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원 평면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영상표시장치는 2D 영상과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패널;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 또는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을 인가하는 구동회로; 상기 2D 영상 구현을 위한 2D 모드, 또는 상기 3D 영상 구현을 위한 3D 모드로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라인 바이 라인 형식으로 배치된 제1 리타더와 제2 리타더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표시패널로부터의 3D 영상을 제1 편광 성분과 제2 편광 성분으로 분할하며,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이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기수 또는 우수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화소들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얼라인되는 패턴드 리타더를 구비하고; 상기 3D 영상 구현시, 상기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블랙 이미지가 표시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2차원 평면 영상(이하, '2D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이하,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양안시차방식(stereoscopic technique) 또는 복합시차지각방식(autostereoscopic technique)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한다.
양안시차방식은 입체 효과가 큰 좌우 눈의 시차 영상을 이용하며,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이 있고 두 방식 모두 실용화되고 있다. 안경방식은 직시형 표시소자나 프로젝터에 좌우 시차 영상의 편광 방향을 바꿔서 또는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하고, 편광 안경 또는 액정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은 일반적으로 좌우 시차 영상의 광축을 분리하기 위한 패럴렉스 베리어 등의 광학판을 표시 화면의 앞에 또는 뒤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안경방식은 도 1과 같이 표시패널(3) 위의 편광 안경(6)에 입사되는 빛의 편광특성을 절환하기 위한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5)를 포함할 수 있다. 안경방식은 표시패널(3)에 좌안 이미지(L)와 우안 이미지(R)를 교대로 표시하고 패턴드 리타더(5)를 통해 편광 안경(6)에 입사되는 편광특성을 절환한다. 이를 통해, 안경방식은 좌안 이미지(L)와 우안 이미지(R)를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표시패널(3)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도면부호 '2' 및 '4'는 선편광을 선택하기 위해 표시패널(3)의 상하부면에 부착되는 편광판을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안경방식에서는 상/하 시야각 위치에서 발생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로 인해 3D 영상의 시인성이 떨어진다. 그 결과, 통상의 안경방식에서 양호한 화질의 3D 영상을 볼 수 있는 상/하 시야각은 매우 좁다. 크로스토크는 상/하 시야각 위치에서 좌안 이미지(L)가 좌안 패턴드 리타더 영역뿐만 아니라 우안 패턴드 리타더 영역도 통과하고 또한, 우안 이미지(R)가 우안 패턴드 리타더 영역뿐만 아니라 좌안 패턴드 리타더 영역도 통과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이에, 도 2와 같이 표시패널의 블랙 매트릭스(BM)와 대응되는 패턴드 리타더 영역에 블랙 스트라이프(BS)를 형성하여 상/하 시야각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3D 영상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한 방안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85983호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도 2에서, 일정 거리(D)에서 관찰시, 이론적으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지 않는 시야각(α)은 표시패널의 블랙 매트릭스(BM) 사이즈, 패턴드 리타더의 블랙 스트라이프(BS) 사이즈, 및 표시패널과 패턴드 리타더 간 스페이서(S)에 의존하게 된다. 시야각(α)은 블랙 매트릭스(BM) 사이즈와 블랙 스트라이프(BS) 사이즈가 커질수록 또한, 표시패널과 패턴드 리타더 간 스페이서(S)가 작을수록 넓어진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3D 영상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패턴드 리타더의 블랙 스트라이프는 표시패널의 블랙 매트릭스와 상호 작용하여 모아레(Moire)를 발생시킴으로써, 2D 영상 구현시 2D 영상의 시인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도 3은 블랙 스트라이프가 적용된 표시소자로부터 4m 떨어진 지점에서 47인치 크기의 표시소자 샘플을 관찰한 결과로서, 2D 영상 구현시 관찰 위치(A,B,C)에 따라 모아레가 각각 90mm, 150mm, 및 355mm로 시인됨을 보여준다.
둘째, 3D 영상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블랙 스트라이프는 2D 영상의 휘도를 크게 떨어뜨리는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를 초래한다. 이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블랙 스트라이프(BS) 패턴에 의해 표시패널의 픽셀(Pixel)이 일정부분 가리워져, 2D 영상 구현시 블랙 스트라이프(BS)가 형성되지 않은 도 4의 (a)의 경우에 비해 빛의 투과량이 대략 30% 정도 감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D 영상의 시인성과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3D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2D 영상과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패널;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 또는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을 인가하는 구동회로; 상기 2D 영상 구현을 위한 2D 모드, 또는 상기 3D 영상 구현을 위한 3D 모드로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라인 바이 라인 형식으로 배치된 제1 리타더와 제2 리타더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표시패널로부터의 3D 영상을 제1 편광 성분과 제2 편광 성분으로 분할하며,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이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기수 또는 우수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화소들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얼라인되는 패턴드 리타더를 구비하고; 상기 3D 영상 구현시, 상기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블랙 이미지가 표시된다.
상기 제1 및 제2 리타더의 각 수직 피치는 상기 화소들 각각의 수직 피치의 2배로 설정된다.
상기 3D 영상 구현시,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에 대응되지 않는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수평라인들에 배치된 화소들에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수 평라인 단위로 교대로 표시된다.
상기 제1 리타더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리타더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 중 나머지 하나가 표시된다.
상기 제1 리타더와 제2 리타더는 위상 지연축이 서로 직교한다.
상기 제1 리타더는 상기 제1 편광 성분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리타더는 상기 제2 편광 성분을 투과시킨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3D 모드하에서, 내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블랙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3D 데이터 포맷의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1 수평라인분씩 교대로 재배열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한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2D 모드하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2D 데이터 포맷의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패턴드 리타더를 구성하는 제1 리타더와 제2 리타더의 각 수직피치를 화소 수직피치의 2배로 설정하고,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을 우수(또는 기수)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화소들의 중앙에 얼라인 시킨 후, 3D 영상 구현시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 블랙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2D 영상의 시인성과 휘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3D 영상의 시인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 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표시소자(11), 콘트롤러(12), 구동회로(14), 패턴드 리타더(18), 및 편광 안경(20)등을 구비한다. 표시소자(11)는 액정표시소자,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무기 전계발광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등의 평판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소자(11)를 액정표시소자로 구현하는 경우에, 영상표시장치는 영상표시패널(10)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17)과, 영상표시패널(10)과 패턴드 리타더(18)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편광필름(Polarizer)(16a)과, 영상표시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17)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편광필름(16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표시소자(11)가 액정표시소자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패턴드 리타더(18) 및 편광 안경(20)은 3D 구동소자로서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양안 시차를 구현한다.
영상표시패널(10)은 두 장의 유리기판들과, 이들 사이에 협지된 액정층을 갖 는다. 하부 유리기판에는 TFT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가 형성된다. TFT 어레이는 R, G 및 B 데이터전압이 공급되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어 게이트펄스(또는 스캔펄스)가 공급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들(또는 스캔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마다 형성되는 다수의 TFT들(Thin Film Transistor), 액정셀들에 데이터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화소전극들, 및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의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등을 포함한다. 상부 유리기판에는 컬러필터 어레이(Color Filter Array)가 형성된다. 컬러필터 어레이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을 포함한다. 화소전극과 대향하여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전극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 유리기판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에 형성된다. 상부 유리기판에는 상부 편광필름(16a)이 부착되고 하부 유리기판에는 하부 편광필름(16b)이 부착되며, 상부 및 하부 유리기판에는 액정과 접하는 내면에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유리기판들 사이에는 액정셀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
영상표시패널(10)은 2D 모드(Mode_2D)에서 콘트롤러(12)의 제어하에 2D 영상을 표시하고, 3D 모드(Mode_3D)에서 콘트롤러(12)의 제어 하에 3D 영상을 표시한다.
3D 모드(Mode_3D) 하에서, 영상표시패널(10)의 기수번째(또는 우수번째) 수 평라인에 배치된 화소들에는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이 인가되고, 영상표시패널(10)의 우수번째(또는 기수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화소들에는 블랙계조전압이 인가된다. 블랙계조전압은 수직으로 인접한 3D 이미지들 사이에 표시되어 3D 이미지들 간 표시 간격을 넓힌다. 그 결과, 3D 모드(Mode_3D)에서 상/하 시야각이 넓게 확보되어 3D 영상의 시인성이 개선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패턴드 리타더 상에 별도의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2D 모드(Mode_2D) 하에서, 영상표시패널(10)의 모든 화소들에는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이 인가된다. 패턴드 리타더 상에 별도의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2D 모드(Mode_2D)에서 모아레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발명은 2D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2D 영상 구현시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구동회로(14)는 영상표시패널(10)의 데이터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와, 영상표시패널(10)의 게이트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회로는 3D 모드(Mode_3D) 하에서 콘트롤러(12)의 제어하에 3D 데이터 포맷의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래치하고, 이 래치된 데이터를 감마보상전압을 이용하여 3D 데이터 포맷의 RGB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콘트롤러(12)의 제어하에 디지털 블랙 데이터를 래치하고, 이 래치된 데이터를 감마보상전압을 이용하여 블랙계조전압으로 변환한다. 데이터 구동회로는 콘트롤러(12)의 제어 하에 이 RGB 데이터전압과 블랙계조전압을 영상표시패널(10)의 데이터라인들 에 1 수평기간을 주기로 교대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회로는 2D 모드(Mode_2D) 하에서 콘트롤러(12)의 제어하에 2D 데이터 포맷의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래치하고, 이 래치된 데이터를 감마보상전압을 이용하여 2D 데이터 포맷의 RGB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 후 영상표시패널(10)의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는 콘트롤러(12)의 제어하에 영상표시패널(10)의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펄스를 공급하여 데이터전압이 인가되는 영상표시패널(10)의 수평 라인을 선택한다.
콘트롤러(12)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유저의 2D/3D 모드선택신호나, 또는 입력 영상신호로부터 추출된 2D/3D 식별코드에 응답하여 2D 모드(Mode_2D) 또는 3D 모드(Mode_3D)로 구동회로(14)를 제어한다. 3D 모드(Mode_3D)에서, 콘트롤러(12)는 내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블랙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3D 데이터 포맷의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1 수평라인분씩 교대로 재배열하여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한다. 2D 모드(Mode_2D)에서, 콘트롤러(12)는 2D 데이터 포맷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한다.
콘트롤러(12)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도트클럭, 데이터 인에이블 등의 타이밍 신호들을 이용하여 구동회로(14)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콘트롤러(12)는 6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의 프레임들 사이에 보간 프레임을 삽입하고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체배하여 60 ×N(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회로(1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7)은 다수의 광원들을 포함하여 영상표시패널(10)에 빛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17)은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17)은 영상표시패널(10)의 아래에 다수의 광학시트들과 확산판이 적층되고 확산판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17)은 영상표시패널(10)의 아래에 다수의 광학시트들과 도광판이 적층되고 도광판의 측면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광원들은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또는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EEFL)와 같은 선광원들로 구현될 수 있고,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점광원들로 구현될 수 있다.
패턴드 리타더(18)는 유리기판, 투명 플라스틱 기판, 및 필름 중 어느 하나 를 베이스 기재로 하여 그 위에 패터닝 될 수 있다. 패턴드 리타더(18)가 형성된 베이스 기재는 접착제를 통해 상부 편광필름(16a)에 부착된다. 패턴드 리타더(18)는 도 6과 같이 위상 지연축이 서로 직교하며 라인 바이 라인 형식으로 배치되는 제1 리타더(RT1)와 제2 리타더(RT2)를 포함하여 3D 영상을 편광으로 분할한다.
제1 리타더(RT1)는 패턴드 리타더(18)의 기수 라인에 형성되어 상부 편광필름(16a)을 통해 입사되는 빛 중에서 제1 편광(선평광 또는 원편광) 성분을 투과시킨다. 제2 리타더는 패턴드 리타더(18)의 우수 라인에 형성되어 상부 편광필 름(16a)을 통해 입사되는 빛 중에서 제2 편광(선평광 또는 원편광) 성분을 투과시킨다. 일 예로 제1 리타더(RT1)는 좌원편광(또는 우원편광)을 투과하는 편광필터로 구현될 수 있고, 제2 리타더(RT2)는 우원편광(또는 좌원편광)을 투과하는 편광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타더(RT1,RT2)의 각 수직 피치(P1)는 화소 수직 피치(P2)의 2배로 설정된다. 패턴드 리타더(18)는 제1 및 제2 리타더(RT1,RT2)의 경계 부분이 기수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화소들의 중앙 또는, 우수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화소들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영상표시패널(10) 상에 얼라인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드 리타더(18)는 제1 및 제2 리타더(RT1,RT2)의 경계 부분이 우수번째 수평라인(HL#2,HL#4,HL#6,...)에 배치된 화소들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얼라인 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패턴드 리타더(18)는 제1 및 제2 리타더(RT1,RT2)의 경계 부분이 기수번째 수평라인(HL#1,HL#3,HL#5,...)에 배치된 화소들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얼라인 될 수도 있다. 3D 영상 구현시, 제1 리타더(RT1)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좌안 이미지(또는 우안 이미지)가 표시되고, 제2 리타더(RT2)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우안 이미지(또는 좌안 이미지)가 표시되며, 제1 및 제2 리타더(RT1,RT2)의 경계 부분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블랙 이미지가 표시된다. 2D 영상 구현시, 모든 화소들에는 2D 이미지가 표시되며, 패턴드 리타더(18)는 상부 편광필름(16a)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편광으로 분할함이 없이 그대로 투과시킨다.
편광 안경(20)은 그의 좌안 및 우안에서 광흡수축이 서로 다르게 구현된다. 예들 들면, 편광 안경(20)의 좌안은 패턴드 리타더(18)로부터 입사되는 좌원편광을 투과하고 그 이외의 다른 편광 성분의 빛을 차단하며, 편광 안경(20)의 우안은 패턴드 리타더(18)로부터 입사되는 우원편광을 투과하고 그 이외의 다른 편광 성분의 빛을 차단한다. 편광 안경(20)의 좌안은 좌원편광 필터를 포함하고, 편광 안경(20)의 우안은 우원편광 필터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은 3D 모드에서 영상표시장치가 동작되는 일 예를 보여준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3D 모드(Mode_3D) 하에서 영상표시패널(10)의 기수번째 수평라인들에 배치된 화소들에는 3D 데이터 포맷의 좌안용 데이터전압(RGB(L))과 우안용 데이터전압(RGB(R))이 수평라인 단위로 교대로 인가된다. 그 결과, 2i-1(i는 양의 홀수)번째 수평라인들에 배치된 화소들에는 좌안 이미지(L)가 표시되고, 2i+1 번째 수평라인들에 배치된 화소들에는 우안 이미지(R)가 표시된다. 좌안 이미지(L)와 우안 이미지(R)는 각각 제1 리타더(RT1)와 제2 리타더(RT2)에 의해 편광 성분으로 분할된다. 제1 리타더(RT1)를 투과한 좌안 이미지(L)는 편광 안경(20)의 좌안으로 투과되고, 제2 리타더(RT2)를 투과한 우안 이미지(R)는 편광 안경(20)의 우안으로 투과됨으로써 3D 영상이 구현된다.
3D 모드(Mode_3D) 하에서 영상표시패널(10)의 우수번째 수평라인들에 배치된 화소들에는 블랙계조전압(BD)이 인가됨으로써 블랙 이미지가 표시된다. 블랙 이미지는 수직으로 인접하여 표시되는 좌안 이미지(L)와 우안 이미지(R)의 표시 간격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3D 모드(Mode_3D)에서 상/하 시야각이 넓게 확보되어 3D 시인성이 크게 개선된다.
도 9는 2D 모드에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2D 모드(Mode_2D) 하에서 영상표시패널(10)의 모든 화소들에는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RGB)이 인가된다. 이 데이터전압(RGB)에 의한 2D 이미지는 패턴드 리타더(18)를 그대로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현시된다. 패턴드 리타더(18)에는 별도의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2D 영상의 휘도 저하 및 시인성 저하는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3D 시야각에 따른 3D 영상의 크로스토크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횡축은 3D 영상의 상(+)/하(-) 시야각[deg]을, 종축은 3D 크로스토크 값[%]을 각각 나타낸다.
패턴드 리타더를 포함하여 3D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조에서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좌안 이미지는 좌안 리타더만 통과하고 우안 이미지는 우안 리타더만 통과하여야만 양호한 화질의 3D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정면이 아닌 상/하 시야각 위치에서 관찰시 좌안 이미지가 좌안 리타더뿐만 아니라 우안 리타더도 통과하고 또한, 우안 이미지가 우안 리타더뿐만 아니라 좌안 리타더도 통과할 수 있으므로, 3D 크로스토크(C/T)가 발생하게 된다. 3D 크로스토크(C/T)는 아래의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2180326-pat00001
여기서 'LBlackRWhite'은 좌안 픽셀에 블랙, 우안 픽셀에 화이트를 표시하는 패 턴에서의 휘도 값이고, 'LWhiteRBlack'은 좌안 픽셀에 화이트, 우안 픽셀에 블랙을 표시하는 패턴에서의 휘도 값이다. 'Black'은 전체 픽셀에 블랙을 표시한 후 측정한 휘도 값이다. 통상,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 3D 크로스토크(C/T)의 값이 7% 이하일 때의 시야각을 양호한 화질의 3D 영상을 얻을 수 있는 3D 시야각으로 정의한다. 그 결과, 7%의 3D 크로스토크(C/T) 값은 양호한 3D 영상을 얻기 위한 3D 시야각을 판단하는 데 있어 임계치가 되게 된다. 다만, 이 임계치(7%)는 영상표시장치의 모델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10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3D 크로스토크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Critical Value)(예컨대, 7%) 이하의 시야각 범위(VA1)에서는 사용자가 양호한 화질의 3D 영상을 볼 수 있는 데 반해, 3D 크로스토크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7%)를 초과하는 시야각 범위(VA2)에서는 좌우안 이미지의 중첩으로 인해 사용자가 양호한 화질의 3D 영상을 볼 수 없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의 상 편측 시야각을 종래 기술들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횡축은 3D 영상의 상(上) 편측 시야각(°)을, 종축은 3D 영상의 크로스토크 비율(%)을 각각 나타낸다.
도 11에서, 그래프 'A'는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80㎛의 표시 간격을 갖고 패턴드 리타더에 블랙 스트라이프를 형성하지 않은 종래 기술 1의 상(上) 편측 시야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3D 크로스토크의 임계치(예컨대, 7%)를 만족하는 상(上) 편측 시야각 범위가 0°~ 4°정도로 매우 좁다. 그래프 'C'는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80㎛의 표시 간격을 갖고 패턴드 리타더에 210㎛ 폭을 갖는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을 형성한 종래 기술 2의 상(上) 편측 시야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3D 크로스토크의 임계치(예컨대, 7%)를 만족하는 상(上) 편측 시야각 범위가 0°~ 10°정도로 상대적으로 넓어진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 2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시야각 확보를 위한 별도의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인해 2D 영상의 시인성 및 휘도가 크게 저하된다.
반면, 본 발명은 3D 영상 구현시 별도의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 없이도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의 표시 간격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2D 영상의 시인성과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도 11의 그래프 'B'와 같이 3D 크로스토크의 임계치(예컨대, 7%)를 만족하는 상(上) 편측 시야각 범위를 0°~ 7°정도까지 넓힐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안경방식의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 영상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의 블랙 매트릭스에 대응되는 패턴드 리타더 영역에 블랙 스트라이프를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종래 영상표시장치에서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인해 모아레가 발생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종래 영상표시장치에서 블랙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인해 빛의 투과량이 줄어드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영상표시패널과 패턴드 리타더의 얼라인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3D 모드에서 영상표시장치가 동작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
도 9는 2D 모드에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3D 시야각에 따른 3D 영상의 크로스토크값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의 상 편측 시야각을 종래 기술들과 비교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영상표시패널 11 : 표시소자
12 : 콘트롤러 14 : 구동회로
16a,16b : 편광필름 17 : 백라이트 유닛
18 : 패턴드 리타더 20 : 편광 안경

Claims (8)

  1. 2D 영상과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패널;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2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 또는 3D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전압을 인가하는 구동회로;
    상기 2D 영상 구현을 위한 2D 모드, 또는 상기 3D 영상 구현을 위한 3D 모드로 상기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라인 바이 라인 형식으로 배치된 제1 리타더와 제2 리타더를 포함하여 상기 영상표시패널로부터의 3D 영상을 제1 편광 성분과 제2 편광 성분으로 분할하며,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이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기수 또는 우수번째 수평라인에 배치된 화소들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얼라인되는 패턴드 리타더를 구비하고;
    상기 3D 영상 구현시, 상기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블랙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타더의 각 수직 피치는 상기 화소들 각각의 수직 피치의 2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구현시, 제1 및 제2 리타더의 경계 부분에 대응되지 않는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수평라인들에 배치된 화소들에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수평라인 단위로 교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타더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리타더에 대응되는 수평라인의 화소들에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 중 나머지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타더와 제2 리타더는 위상 지연축이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타더는 상기 제1 편광 성분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리타더는 상기 제2 편광 성분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3D 모드하에서, 내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블랙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3D 데이터 포맷의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1 수평라인분씩 교대로 재배열하여 상기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2D 모드하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2D 데이터 포맷의 RGB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90113973A 2009-11-24 2009-11-24 영상표시장치 KR10127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973A KR101279122B1 (ko) 2009-11-24 2009-11-24 영상표시장치
US12/952,436 US8760505B2 (en) 2009-11-24 2010-11-23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plane image and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CN2010106238458A CN102075775B (zh) 2009-11-24 2010-11-24 图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973A KR101279122B1 (ko) 2009-11-24 2009-11-24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530A KR20110057530A (ko) 2011-06-01
KR101279122B1 true KR101279122B1 (ko) 2013-06-26

Family

ID=4403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973A KR101279122B1 (ko) 2009-11-24 2009-11-24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60505B2 (ko)
KR (1) KR101279122B1 (ko)
CN (1) CN102075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5546B (zh) * 2010-11-30 2016-08-1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裝置以及液晶顯示裝置的驅動方法
GB2486806B (en) * 2010-12-20 2014-12-10 Lg Displa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KR101739139B1 (ko) * 2010-12-30 2017-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
JP5768424B2 (ja) * 2011-03-22 2015-08-2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864448B1 (ko) * 2011-07-06 2018-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CN102253526B (zh) * 2011-07-08 2013-01-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
US20130010217A1 (en) * 2011-07-08 2013-01-1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68057B1 (ko) * 2011-09-28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방법
KR101849177B1 (ko) * 2011-11-11 2018-06-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0598A (ko) 2011-11-30 2013-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578695B1 (ko) * 2011-12-02 2015-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안경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651203B (zh) 2012-02-28 2014-06-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1859483B1 (ko) * 2012-03-06 2018-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591069B (zh) * 2012-03-27 2014-08-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立体影像显示装置
KR101977241B1 (ko) * 2012-05-23 2019-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드 리타더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블랙 스트립을 구비한 편광 필름
US9800862B2 (en) * 2012-06-12 2017-10-2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System and methods for visualizing information
CN102722033B (zh) * 2012-06-14 2014-06-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三维显示装置及三维显示系统
KR101370416B1 (ko) * 2012-07-02 2014-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789094A (zh) * 2012-07-26 2012-11-2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立体影像显示系统
WO2014144989A1 (en) 2013-03-15 2014-09-18 Ostendo Technologies, Inc. 3d light field displays and methods with improved viewing angle depth and resolution
KR102098151B1 (ko) * 2013-11-26 2020-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CN104038754B (zh) * 2014-06-07 2016-08-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显示图像的方法
CN104751768A (zh) * 2015-04-24 2015-07-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器、显示驱动方法和显示系统
CN106060440A (zh) * 2016-06-30 2016-10-26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电视机以及3d图像显示方法
KR102558106B1 (ko) * 2018-05-30 2023-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가상 현실/증강 현실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5983A (ja) * 2000-12-13 2002-06-28 Arisawa Mfg Co Ltd 3d映像表示体形成用フィルム及び3d映像表示装置
KR20070120282A (ko) * 2006-06-19 2007-12-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080062922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0267B2 (ja) * 2003-08-30 2010-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プルビューディスプレイ
KR20070006116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완전시차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0813977B1 (ko) * 2005-07-08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해상도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1255210B1 (ko) * 2006-05-04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59011B1 (ko) * 2006-09-15 2013-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해상도 다시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99728B1 (ko) * 2007-01-24 2013-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영상 호환용 고효율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6795B1 (ko) * 2007-05-30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이 가능한 백라이트를 이용한 풀해상도의2차원/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0140235A (ja) * 2008-12-11 2010-06-2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5983A (ja) * 2000-12-13 2002-06-28 Arisawa Mfg Co Ltd 3d映像表示体形成用フィルム及び3d映像表示装置
KR20070120282A (ko) * 2006-06-19 2007-12-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080062922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5775B (zh) 2013-06-12
US8760505B2 (en) 2014-06-24
CN102075775A (zh) 2011-05-25
US20110122239A1 (en) 2011-05-26
KR20110057530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12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354329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25571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27912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268966B1 (ko) 영상표시장치
US8519908B2 (en) Image display device
US10048506B2 (en) Stereoscopic 3D display device
KR10173913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268965B1 (ko) 영상표시장치
US8743298B2 (en) Display device
KR101679076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310383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800897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US1006113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0590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7959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20070986A (ko) 영상표시장치
KR101279662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11712A (ko) 멀티영상표시장치
US20150124007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KR101948894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