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9019B1 - 소켓 어댑터 - Google Patents

소켓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019B1
KR101279019B1 KR1020110127694A KR20110127694A KR101279019B1 KR 101279019 B1 KR101279019 B1 KR 101279019B1 KR 1020110127694 A KR1020110127694 A KR 1020110127694A KR 20110127694 A KR20110127694 A KR 20110127694A KR 101279019 B1 KR101279019 B1 KR 10127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ase
region
upper cover
clamp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405A (ko
Inventor
박용열
Original Assignee
(주) 컴파스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컴파스 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컴파스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12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0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0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도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에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 베이스;와, 중앙부가 개방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삽입되며, 양측 저면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바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상기 상부커버에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상부커버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도록, 상기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클램프몸체와, 상기 연결바의 위치에 따라 상기 클램프몸체의 일단의 위치가 변하도록 상기 클램프몸체의 타단과 상기 연결바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변축과 상기 클램프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변축방향으로 근접한 위치의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프몸체의 회동시 축이 되는 고정축이 구비된 클램프;와,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변축이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하되, 상기 장공은 상기 디바이스와 접촉하는 클램프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가상의 영역인 제1영역, 상기 제1영역 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과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되는 제3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가변축은 상기 클램프의 단부가 상기 디바이스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로 이격될 때 까지 제2영역, 제3영역, 제2영역, 제1영역을 순서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소켓 어댑터로 폭넓은 규격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소켓 어댑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소켓 어댑터{Socket adapter}
본 발명은 소켓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클램프를 회동시키는 연결부에 클램프의 일단이 연결되는 가변축의 이동이 가능한 장공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소켓 어댑터로 폭넓은 규격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소켓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PROM, 플래쉬메모리, 낸드플래쉬, 마이크로콘트롤러등과 같은 디바이스(메모리칩)에 소정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머(롬라이터)가 필요하게 되는 바, 상기한 프로그래머에 디바이스를 삽입 및 취출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의 형식에 맞는 별도의 소켓 어댑터가 필요하게 된다.
즉, 디바이스는 단자의 형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바, 상기한 단자(PLCC, DIP, SDIP, TSOP, BGA등)의 종류에 맞춰서 소켓 어댑터를 선정하여 프로그래머에 장착한 후, 상기한 소켓 어댑터에 디바이스를 삽입하여 프로그램을 로딩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의 프로그래머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핀(110)이 설치되고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켓(111)이 상부에 설치된 제1기판(112)과, 상기한 소켓(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핀(113)이 저면에 설치되고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BGA 패턴(114)이 형성된 제2기판(115)과, 상기한 제2기판(115)에 고정되고 그립퍼(120)와 제2기판(115)의 BGA 패턴(114) 사이에 개재된 도전패드(130)와, 상기한 도전패드(130)와 BGA 패턴(114)의상면에 위치되고 디바이스(미도시)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그립퍼(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그립퍼(120)는 저면에 고정 볼트(122)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부재(121)와, 상기한 베이스부재(1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가압부재(122)와, 상기한 가압부재(122)가 승강할 때 회전 운동을 하면서 디바이스를 그립하도록 가압부재(122)의 내측면에 구성된 클램프(123)와, 상기한 가압부재(60)와 베이스부재(121)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클램프(123)는 가압부재(122)가 눌리면 상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상태에서 디바이스를 삽입하게 되며, 상기한 디바이스를 삽입한 후에는 다시 가압부재(122)가 스프링(124)에 의해 상향되면서 클램프(123)가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디바이스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그립퍼(120)는 오토매틱 핸들러(자동화된 프로그래머 장치)에 투입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핸들러가 그립퍼(120)를 누르거나 해제시키면서 디바이스에 자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로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는 두께 0.6mm 내지 1.5mm의 디바이스가 사용되며, 이외에도 0.5mm, 2mm, 3mm 등 다양한 규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소켓어댑터의 클램프(123), 스프링(124) 등 내부 설계는 각각의 디바이스 규격에 따라 설계를 달리하여 제작된다.
예를들어, 1.0mm의 디바이스 규격에 맞는 소켓 어댑터에 0.5mm의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0.5mm용 클램프(123) 사용시, 가압부재(122)에 의하여 클램프(123)는 디바이스를 항상 가압하는 상태로 있게 되는데, 디바이스를 장착 해제할 경우 지속적으로 도전패드(130)를 가압하기 때문에 데미지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포고핀 형태의 전도체는 클램프(123)와 맞닿는 부분이 휘거나 파손되는 단점이 있고 스프링(124)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 패드 형태의 전도체는 클램프(123)로부터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패드 내부의 실리콘이 터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디바이스의 두께에 따라 소켓 어댑터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디바이스 장착 해제시 전도체에 데미지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클램프(123)의 별도 제작에 의한 제작 비용이 발생하고, 클램프(123)를 제작하기 위한 시간이 낭비되어 작업 효율에 있어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5258호(2006.11.06) "번인보드의 프리어댑터 소켓용 소켓 개방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바이스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클램프를 회동시키는 연결부에 클램프와 연결된 가변축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장공을 형성하여, 디바이스 장착 해제시 전도체에 접촉하는 클램프의 끝단에 의한 하중을 감소 또는 제거함으로써, 하나의 소켓 어댑터로 폭넓은 규격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소켓 어댑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도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에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 베이스;와, 중앙부가 개방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삽입되며, 양측 저면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바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상기 상부커버에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상부커버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도록, 상기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클램프몸체와, 상기 연결바의 위치에 따라 상기 클램프몸체의 일단의 위치가 변하도록 상기 클램프몸체의 타단과 상기 연결바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변축과 상기 클램프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변축방향으로 근접한 위치의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프몸체의 회동시 축이 되는 고정축이 구비된 클램프;와,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변축이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하되, 상기 장공은 상기 디바이스와 접촉하는 클램프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가상의 영역인 제1영역, 상기 제1영역 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과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되는 제3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가변축은 상기 클램프의 단부가 상기 디바이스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로 이격될 때 까지 제2영역, 제3영역, 제2영역, 제1영역을 순서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어댑터.
또한, 상기 가변축은 상기 디바이스의 장착 해제시 상기 장공내에서 위치가 변동함으로써, 상기 클램프몸체의 일단이 상기 전도체를 가압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도체와 접촉하는 상기 클램프몸체의 끝단은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클램프를 회동시키는 연결부에 클램프의 연결된 가변축이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장공을 형성하여, 디바이스 장착 해제시 전도체에 접촉하는 클램프의 끝단에 의한 하중을 감소 또는 제거함으로써, 하나의 소켓 어댑터로 폭넓은 규격의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소켓 어댑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소켓 어댑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소켓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켓 어댑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소켓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어댑터는 기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커버(20)와, 베이스(10)와 상부커버(20)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0)와, 디바이스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클램프(40)와, 디바이스의 안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0)와, 디바이스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10)는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심부가 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디바이스가 삽입되는 베이스몸체(11)와, 후술하는 상부커버(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2)과, 후술하는 클램프(40) 및 연결바(24)가 배치되는 작동공간(13)과, 베이스(10)의 기판 고정 및 후술하는 탄성부재의 체결을 위한 결합공(14)과, 결합공(14)에 체결되는 볼트(15) 및 베이스몸체(11)의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6)를 포함한다.
걸림턱(12)은 각 측변의 중간 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고, 함몰된 공간의 최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부커버(20)의 걸림턱(22)과 맞물림으로써 베이스(10)와 상부커버(2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걸림턱(12)은 대향하는 두 변에만 형성되고 대향하는 다른 두변은 함몰되어 상부커버(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작동공간(13)은 후술하는 연결바(24)와 클램프(40)의 작동 및 배치를 위한 공간으로서, 베이스몸체(11)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개구영역의 양단부에 각각 함몰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고정축(42)이 설치되는 축공(13a)이 베이스몸체(11)를 관통하여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결합공(14)은 베이스몸체(11)의 각 모서리에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볼트(15)의 결합시 소정깊이의 결합공(14)을 하방으로 관통하여 베이스몸체(11)의 하면으로 돌출됨으로써 기판에 볼트(15)가 체결되어 고정되며, 후술하는 탄성부재(30)가 결합될 수 있는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기(16)는 베이스몸체(11)의 하면 중간부가 함몰되고 함몰된 각각의 모서리에 4개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후술하는 고정틀(51)이 결합되어 가이드부(50)를 고정하게 된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커버(20)는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고, 디바이스가 삽입되며 후술하는 클램프(40)의 개방 상태를 방해하지 않도록 중심부가 열십자(十) 형상으로 개구된다.
또한, 상부커버(20)는 베이스(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후술하는 클램프(40)를 가압하여 회동시키는 부재로써, 베이스(1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암(21)과, 후술하는 탄성부재(30)가 결합되는 결합공(23)과, 후술하는 클램프(40)을 회동시키는 연결바(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암(21)은 베이스몸체(11)의 각 측변의 함몰된 부분과 정합하도록 형성되어 상부커버(20)의 수직방향 승강 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베이스몸체(11)에 형성된 걸림턱(12)과 대응하는 측변의 걸림암(21)의 끝단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맞물림으로써 이탈을 방지한다.
결합공(23)은 상부커버(20)의 하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30)가 결합되어 탄성을 인가한다.
연결바(24)는 상부커버(20)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 영역의 하면 양측에 한 쌍씩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끝단에는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장공(25)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30)는 베이스(10)와 상부커버(20)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인가하는 부재로서, 베이스(10)에 형성된 결합공(14)와 상부커버(20)에 형성된 결합공(23)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베이스(10)를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10)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커버(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력을 항시 인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램프(40)는 회동함에 따라 디바이스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부재로서, 클램프몸체(41)와, 클램프몸체(42)의 중간부가 베이스(10)에 형성된 축공(13a)에 고정축(42)과 함께 고정되어 회전축의 중심이 되며, 일단은 연결바(24)에 형성된 장공(25)에 가변축(43)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디바이스와 직접 접촉하여 가압한다.
이때, 클램프몸체(41)의 타단의 끝단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디바이스 제거시 후술하는 전도체(P)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감소시킨다.
상부커버(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결바(24)가 이동하게 되고, 가변축(43)이 장공(25) 내부에서 축 이동을 하며 클램프몸체(41)를 회동시킨다.
이때, 장공(25) 내에서 가변축(43)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부커버(20)을 가압하여 클램프(40)를 완전 개방할 경우, 종래의 일반 축공에 비하여 개방 범위가 넓어져 큰 크기의 디바이스도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50)는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어 중앙부가 개구되며 각 내측면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면이 형성되어 디바이스 삽입시 정확한 위치에 디바이스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베이스(10)의 개구 영역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부(50)와 같은 크기의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가이드부(50)가 결합되고 각각의 모서리에 홈(52)이 마련된 사각틀 형상의 고정틀(51)이 구비되어, 베이스(10)의 함몰된 하면에 마련된 결합돌기(16)와 홈(52)이 각각 맞물려 결합함으로써 가이드부(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감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도체(P)는 기판과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패드형 전도체 또는 포고핀 형태의 전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패드형 전도체의 경우 고정틀(51)의 홈과 같이 각 모서리에 홈을 형성하여 고정틀(51)을 대체함으로써, 패드형 전도체 타입의 소켓 어댑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소켓 어댑터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소켓 어댑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부커버(20) 가압시 클램프(40)의 이동과 장공(25)내의 가변축(43)의 위치 이동을 (a)부터 (f)까지 가압함에 따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부커버(20)를 하방으로 가압시 클램프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되고, 장공(25) 내에서 가변축(4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상부커버(20) 가압 해제시 클램프(40)의 이동과 장공(25)내의 가변축(43)의 위치 이동을 (a)부터 (f)까지 가압함에 따라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장착 해제하기 위하여 상부커버(2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해제할 경우 클램프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되고, 장공(25) 내에서 가변축(4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결바(24)에 형성된 장공(25)에 의하여 가변축(43)의 이동 범위가 종래의 단일 축공에 비하여 넓기 때문에, 보다 더 큰 디바이스의 삽입 및 해제에 있어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다.
한편, 소켓 어댑터는 디바이스 크기에 따라 축의 위치와 클램프(40) 등의 규격 변경에 의하여 다양하게 제작되는 바, 상술한 클램프(40) 및 가변축(43) 이동 위치는 상술한 도면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종래의 단일 구멍으로 형성되는 축공에 결합된 클램프(40)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본 발명에 따라 장공(25)에 의한 클램프(40)는 실선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1.0mm의 디바이스에 맞춰 제작된 소켓 어댑터에 0.5mm 규격의 디바이스용 클램프(40)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를 장착 해제하면 탄성부재(30)에 의하여 종래의 단일 축공과 결합한 클램프(40)의 이동 경로는 전도체(P)에 점선으로 표시된다.
위의 경우, 전도체(P)에 하중이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결국 파손된다.
그러나, 도 8의 실선에 해당하는 본원 발명의 클램프(40)는 단일 축공에 의한 클램프(40)와 달리, 장공(25)에 가변축(43)이 연결되어 클램프(40)의 끝단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장공(25)의 상부에 위치한 가변축(43)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배치됨으로써 전도체(P)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중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축(43)이 장공(25) 내부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설계 방식에 따라 일정범위의 디바이스 두께에 상관없이 클램프(40)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디바이스 별 클램프(40) 설계 및 제작을 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베이스 11: 베이스몸체 12: 걸림턱
13: 작동공간 13a: 축공 14: 결합공
15: 볼트 16: 작동돌기 20: 상부커버
21: 걸림암 22: 걸림턱 23: 결합공
24: 연결바 25: 장공 30: 탄성부재
40: 클램프 41: 클램프몸체 42: 고정축
43: 가변축 50: 가이드부 51: 고정틀
52: 홈 P: 전도체

Claims (3)

  1. 전도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에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삽입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 베이스;
    중앙부가 개방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삽입되며, 양측 저면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바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커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상기 상부커버에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상부커버의 승강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도록, 상기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클램프몸체와, 상기 연결바의 위치에 따라 상기 클램프몸체의 일단의 위치가 변하도록 상기 클램프몸체의 타단과 상기 연결바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변축과 상기 클램프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변축방향으로 근접한 위치의 베이스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클램프몸체의 회동시 축이 되는 고정축이 구비된 클램프;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변축이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하되, 상기 장공은 상기 디바이스와 접촉하는 클램프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가상의 영역인 제1영역, 상기 제1영역 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과 동일한 높이 상에 배치되는 제3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가변축은 상기 클램프의 단부가 상기 디바이스와 접촉한 상태에서 최대로 이격될 때 까지 제2영역, 제3영역, 제2영역, 제1영역을 순서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와 접촉하는 상기 클램프몸체의 끝단은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어댑터.
  3. 삭제
KR1020110127694A 2011-12-01 2011-12-01 소켓 어댑터 Active KR10127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94A KR101279019B1 (ko) 2011-12-01 2011-12-01 소켓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94A KR101279019B1 (ko) 2011-12-01 2011-12-01 소켓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405A KR20130061405A (ko) 2013-06-11
KR101279019B1 true KR101279019B1 (ko) 2013-07-02

Family

ID=4885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94A Active KR101279019B1 (ko) 2011-12-01 2011-12-01 소켓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0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360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소켓
US9625522B2 (en) 2014-10-31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or structure and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12527B1 (ko) * 2024-10-21 2025-05-27 주식회사 서준 테스트소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5985A (ko) * 2009-04-21 2010-10-29 (주)동인테크 롬 라이터용 아이씨 소켓
KR20110011762A (ko) * 2009-07-24 2011-02-09 (주) 컴파스 시스템 프로그래머용 소켓 어댑터의 그립퍼
JP4822887B2 (ja) * 2006-03-15 2011-11-2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2887B2 (ja) * 2006-03-15 2011-11-2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20100115985A (ko) * 2009-04-21 2010-10-29 (주)동인테크 롬 라이터용 아이씨 소켓
KR20110011762A (ko) * 2009-07-24 2011-02-09 (주) 컴파스 시스템 프로그래머용 소켓 어댑터의 그립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5522B2 (en) 2014-10-31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or structure and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same
KR20160081360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소켓
KR101647443B1 (ko) 2014-12-31 2016-08-10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405A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8889B2 (en) Socket for reducing size and operating force
KR20080024227A (ko) 집적 회로 테스트 소켓
KR101479257B1 (ko) 테스트 소켓을 포함한 소켓 구조체
KR20130111066A (ko) 반도체 칩 패키지 테스트 소켓
KR101279019B1 (ko) 소켓 어댑터
JP2006294308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0787741B1 (ko) 프로그래머용 소켓 어댑터
US6634891B1 (en) Reworking device for removing electrical elements mounted on motherboard
KR19980070504A (ko) 전기부품용 소켓
KR100773194B1 (ko)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용 소켓
US8550826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having reinforcing member for supporting loading device
US20040175986A1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assembly with mounting base
JP4942639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0503683B1 (ko) 케이지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를 탑재하는 집적 회로탑재 소켓
KR20110011762A (ko) 프로그래머용 소켓 어댑터의 그립퍼
JPH0536870A (ja) Icソケツト
WO2020166498A1 (ja) ソケット
JP6669533B2 (ja) コンタクトピンおよ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6445340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842037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939801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4786414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2678521B1 (ko) 반도체 칩용 테스트 소켓
KR101466042B1 (ko) 반도체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1209947B1 (ko) 실리콘 컴파운드 스프링 패드와 이를 채용한 소켓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