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8239B1 -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 Google Patents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239B1
KR101278239B1 KR1020060101030A KR20060101030A KR101278239B1 KR 101278239 B1 KR101278239 B1 KR 101278239B1 KR 1020060101030 A KR1020060101030 A KR 1020060101030A KR 20060101030 A KR20060101030 A KR 20060101030A KR 101278239 B1 KR101278239 B1 KR 101278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ystem
image
lens group
lens
optical ax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726A (ko
Inventor
서정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239B1/ko
Priority to US11/974,874 priority patent/US7667897B2/en
Priority to CN2007101808487A priority patent/CN101165586B/zh
Publication of KR2008003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726A/ko
Priority to US12/577,803 priority patent/US8218959B2/en
Priority to US12/621,695 priority patent/US7889435B2/en
Priority to US12/626,681 priority patent/US7933071B2/en
Priority to US12/902,583 priority patent/US866276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2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0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 G02B15/0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by changing a part
    • G02B15/06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by changing a part by changing the front par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광학계를 일체로 구비하면서도 소형화 및 박형화를 이루기 위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광축을 90도 굴절시켜 촬상소자에 영상이 맺히게 하는 제1 광학계; 및 상기 제1 광학계를 통과하는 빛의 광축 중 긴 광축의 일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가동(movable)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상기 가동 반사부재를 통하여 90도 굴절시켜 상기 촬상소자에 맺히게 하는 제2 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계와 상기 제2 광학계는 상기 가동 반사부재 이후의 광 경로상에 있는 렌즈들과 상기 촬상소자를 공유하는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Dual lens optical system and Dual lens camera compris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다초점 카메라의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W(wid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M(middl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T(tel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광각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W(wid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M(middl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T(tel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 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는 광각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W(wid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M(middl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T(tel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는 광각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제1 광학계 11: 제1 입사렌즈
12: 제1 프리즘 13: 제1 줌렌즈군
15: 제2 줌렌즈군 16: 포커싱 렌즈군
17: 촬상소자 20: 제2 광학계
21: 제2 입사렌즈 22, 122, 222: 가동 반사부재
23: 렌즈 커버 100: 듀얼 렌즈 카메라
본 발명은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한 듀얼 렌즈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넓은 범위의 초점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줌 광학계와 단초점 광학계와 같은 다른 성능의 광학계를 일체로 채용한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한 듀얼 렌즈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디지털 카메라가 점차 작고, 얇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하여 많은 카메라가 굴절 광학계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많은 디지털 카메라가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줌 광학계를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디지털 카메라가 작고 얇아질수록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공간은 줄어들기 때문에 줌 광학계만으로 조절할 수 있는 초점거리는 한계가 있다. 즉, 광학 줌 배율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디지털 줌을 채용하고 있으나, 디지털 줌은 이미지의 일부만을 확대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화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표준 범위의 초점거리를 갖는 줌 광학계와 이보다 짧은 초점거리를 갖는 단(single) 초점 광학계를 동시에 채용하면 광학 줌 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서로 다른 광학계를 모두 채용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첫번째 방법은 하나의 촬상소자와 복수 개의 광학계를 구비하고 각 광학 계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고, 두번째 방법은 복수 개의 촬상소자와 복수 개의 광학계를 구비하는 방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10-254055호에는 상기 첫번째 방법을 사용한 광학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를 참고하면, 제1 반사미러(4)에 의하여 제1 광학계(1)를 통과한 빛이 촬상소자(7)에 입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b를 참고하면, 제1 반사미러(4)가 하방으로 향함으로써 제2 반사미러(5)에 의하여 제2 광학계(2)를 통과한 빛이 촬상소자(7)에 입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c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반사미러(4, 5)가 하방으로 향함으로써 제3 광학계(3)를 통과한 빛이 제3 반사미러(6)에 의하여 촬상소자(7)에 입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채용하고자 하는 광학계(1, 2, 3)가 내부에 모두 구비되어야 하므로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두번째 방법을 사용한 광학계는 상기 첫번째 방법보다 부품수가 더욱 증가함으로써 재료비 절감과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줌 배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줌 광학계와 단초점 광학계를 일체로 채용하면서도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한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한 듀얼 렌즈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ⅰ)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광축을 90도 굴절시켜 촬상소자에 영상이 맺히게 하는 제1 광학계; 및 (ⅱ) 상기 제1 광학계를 통과하는 빛의 광축 중 긴 광축의 일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가동(movable)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상기 가동 반사부재를 통하여 90도 굴절시켜 상기 촬상소자에 맺히게 하는 제2 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계와 상기 제2 광학계는 상기 가동 반사부재 이후의 광 경로상에 있는 렌즈들과 상기 촬상소자를 공유하는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시한다.
상기 제1 광학계는,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들어오는 제1 입사렌즈; 상기 빛의 광축을 90도 굴절시키는 제1 프리즘; 광축을 따라 서로 이동하면서 줌 배율(zoom ratio)을 변화시키도록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제1 줌렌즈군과 제2 줌렌즈군;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맺히는 촬상소자; 및 상기 제2 줌렌즈군과 상기 촬상소자 사이에서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상기 촬상소자에 잘 맺히도록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싱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계는, 상기 제1 광학계의 굴절된 광축과 수직한 광축으로부터 입사하는 빛이 상기 촬상소자에 맺히도록 상기 제1 줌렌즈군과 제2 줌렌즈군 사이의 광축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가동 반사부재;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상기 제1 광학계의 굴절된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반사부재쪽으로 들어오는 제2 입사렌즈; 상기 제2 줌렌즈군; 및 상기 촬상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광학계는 줌 광학계이고, 상기 제2 광학계는 상기 제1 광학계의 초점거리보다는 짧은 단초점 광학계일 수 있다.
가동 반사부재는 프리즘이거나 반사미러일 수 있다. 또한, 제2 입사렌즈에 들어오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렌즈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반사부재가 상기 제1 줌렌즈군과 상기 제2 줌렌즈군 사이의 광축상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제2 입사렌즈를 차단하고, 상기 가동 반사부재가 상기 제1 줌렌즈군과 상기 제2 줌렌즈군 사이의 광축상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제2 입사렌즈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ⅰ)상기한 듀얼 렌즈 광학계; (ⅱ)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 및 (ⅲ)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를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W(wide) 모드일 때, 도 3b는 M(middle) 모드일 때, 도 3c는 T(tele) 모드일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는 제1 광학계(10)와 제2 광학계(20)를 채용한다. 제1 광학계(10)의 일 실시예는 줌 광학계이고, 제2 광학계(20)의 일 실시예는 광각 단초점 광학계이다.
제1 광학계(10)는 제1 입사렌즈(11), 제1 프리즘(12), 제1 줌렌즈군(13), 제2 줌렌즈군(15), 포커싱 렌즈군(16), 및 촬상소자(17)를 구비한다. 제1 프리즘(12)은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진행 경로의 축, 즉 광축을 90도 굴절시킨다. 제1 줌렌즈군(13)과 제2 줌렌즈군(15)은 각각 광축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초점거리를 조절하고 줌 배율을 결정한다. 포커싱 렌즈군(16)은 광축을 따라 이동함 으로써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촬상소자(17)에 잘 맺히도록 초점을 조절한다. 도면에는 포커싱 렌즈군(16)이 하나의 렌즈로 도시되어 있지만, 둘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촬상소자(17)는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받아 각 픽셀별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소자(17)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광학계(10)는 줌 광학계이다. 줌 광학계는 제1 줌렌즈군(13)과 제2 줌렌즈군(15)의 움직임에 따라 W, M, T 모드로 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초점거리는 초점이 무한대의 상에 맞추어진 경우에 렌즈와 필름 사이의 거리이다. 35mm 필름 카메라로 환산하였을 때, 표준 초점거리는 40mm ~ 100mm 정도이다. W 모드는 초점 거리가 예를 들면 39mm로 짧아서 화각이 넓고, 따라서 보이는 시야가 넓어진다. 초점거리가 표준보다 짧으므로 광각(wide angle)이 된다. 반대로, T 모드는 초점 거리가 예를 들면 144.3mm로 상대적으로 길어서 화각이 좁고, 따라서 보이는 시야가 좁아진다. T 모드는 초점거리가 표준보다 길므로 망원이 된다. T 모드에서는 W 모드의 초점거리에 비해 초점거리가 3배 증가하였으므로 광학 줌 배율이 3배가 된다. 따라서 시야는 좁아지지만 좁은 시야를 동일한 사진 면적에 표시하기 때문에 피사체가 확대되어 보인다.
그런데, 이런 줌 광학계에서 광학 줌 배율은 제1 줌렌즈군(13)과 제2 줌렌즈군(15)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정해지는데, 디지털 카메라가 소형화 및 박형화 되면서 이런 광학 줌 배율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는 추가적으로 제2 광학계(20)를 채용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제2 광학계(20)는 광각 단초점 광학계이다. 단초점 광학계는 렌즈 커버(23), 제2 입사렌즈(21), 제2 프리즘(22), 제1 줌렌즈군(13), 제2 줌렌즈군(15), 포커싱 렌즈군(16), 및 촬상소자(17)를 구비한다. 렌즈 커버(23)는 제2 입사렌즈(21)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렌즈 커버(23)의 작동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렌즈 커버(23)가 하나의 플레이트이고,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렌즈 커버(23)가 제2 입사렌즈(21)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방법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렌즈 커버(23)는 카메라 셔터(shutter) 처럼 여러 조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각들이 소정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제2 입사렌즈(21)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방법일 수 있다.
사용자가 단초점 광학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렌즈 커버(23)를 제2 입사렌즈(21)를 개방하고, 제2 프리즘(22)이 제1 줌렌즈군(13)과 제2 줌렌즈군(15) 사이의 광축 상으로 배치된다. 제2 프리즘(22)의 구동 방향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이 될 수 도 있다. 프리즘의 구동은 압전 모터(piezoelectric motor)와 같은 전동 기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직선 운동이 가능한 다른 많은 전동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프리즘(22)이 제1 줌렌즈군(13)과 제2 줌렌즈군(15) 사이의 광축에 배치되면, 제2 프리즘(22)은 제2 입사렌즈(21)를 통하여 들어온 빛을 90도 굴절시켜 촬상소자(17)쪽으로 향하게 함과 동시에, 제1 입사렌즈(11)를 통하여 들어온 빛을 차 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초점 광학계의 일 실시예로서, 그 초점거리가 줌 광학계의 W 모드에서의 초점거리보다 더 짧은 광각 단초점 광학계를 사용한다. 이때, 단초점 광학계의 초점거리는 24mm일 수 있다. 따라서, 화각이 더 넓어서 동일한 사진 면적에 더 많은 피사체를 찍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는 줌 광학계(10)와 단초점 광학계(20)를 일체로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줌 광학계만 사용하였을 때의 줌 배율보다 더 넓은 범위의 광학 줌 배율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 광학계(10)와 제2 광학계(20)는 가동 반사부재인 제2 프리즘(22) 이후의 광 경로상에 있는 부품들, 예를 들면 제2 줌렌즈군(15), 포커싱 렌즈군(16), 및 촬상소자(17)를 서로 공유한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들에 비해 부품의 수가 줄어들고, 설계 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다. 즉, 종래의 방법에 비해 더 작고 얇은 디지털 카메라에서 높은 광학 줌 배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2d와의 차이점은 가동 반사부재가 제2 프리즘(22)이 아니라 반사미러(122)라는 점이다. 도 3a 내지 3d와 도 4a 내지 4d와의 차이점은 반사미러(122)의 설치 위치 및 렌즈 커버(23)의 구비 여부이다.
먼저, 도 2a 내지 2d 및 도 3a 내지 3d에 도시된 듀얼 렌즈 광학계는 제2 프리즘(22) 대신에 반사미러(122)를 채용한다. 줌 광학계(도 2a 내지 2c 및 도 3a 내지 3c에 도시됨)가 사용되는 경우, 반사미러(122)는 제1 줌렌즈군(13)과 제2 줌렌즈군(15) 사이의 광축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제2 입사렌즈(21)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렌즈 커버(23)가 제2 입사렌즈(21)를 차단한다. 따라서,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은 제1 입사렌즈(11)를 통해 들어와서 제1 프리즘(12)에 의해 90도 굴절되고, 제1 줌렌즈군(13)과 제2 줌렌즈군(15) 및 포커싱 렌즈군(16)을 통과한 뒤 촬상소자(17)에 맺힌다.
단초점 광학계(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렌즈 커버(23)가 제2 입사렌즈(21)를 개방시키고 반사미러(122)가 제1 줌렌즈군(13)과 제2 줌렌즈군(15) 사이의 광축상에 위치되도록 회동된다. 이때, 입사된 빛이 촬상소자(17)쪽으로 정확히 진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사미러(122)가 광축에 대하여 정확히 45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듀얼 렌즈 광학계는 도 3a 내지 3d에 도시된 듀얼 렌즈 광학계와 달리 반사미러(122)가 제2 입사렌즈(21)쪽으로 배치되고, 렌즈 커버(23)를 구비하지 않는다. 줌 광학계(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사미러(122)는 제1 줌렌즈군(13)과 제2 줌렌즈군(15) 사이의 광축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반사미러(122)가 제2 입사렌즈(21)를 통해 들어온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차단하므로 렌즈 커버(23)가 필요하지 않다.
반면, 단초점 광학계(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사미러(122)가 제1 줌렌즈 군(13)과 제2 줌렌즈군(15) 사이의 광축상에 위치되도록 45도 회동된다. 따라서, 제1 입사렌즈(11)로 입사된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은 반사미러(122)에 의해 차단되고, 제2 입사렌즈(21)로 입사된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만이 반사미러(122)에 의해 90도 굴절되어 촬상소자(17)쪽으로 진행한다. 이때, 입사된 빛이 촬상소자(17)쪽으로 정확히 진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사미러(122)가 광축에 대하여 정확히 45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시하는 도면이다. 듀얼 렌즈 카메라(100)는 듀얼 렌즈 광학계(10, 20), 제어부(미도시) 및 메모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view finder)(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광학계의 촬상소자(17)는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받아 각 픽셀마다의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소자(17)에서 나온 전기적인 신호는 신호전달수단, 예를 들면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제어부로 들어간다. 제어부는 이를 연산하고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만들고, 이를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 및/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10, 20)를 구비한 듀얼 렌즈 카메라(100)는 각 광학계(10, 20)가 소정의 부품들을 공유함으로써 작고 얇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재료비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렌즈 광학계 및 듀얼 렌즈 카메라는 줌 광 학계와 단초점 광학계를 일체로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줌 광학계만 사용하였을 때의 줌 배율보다 더 넓은 범위의 광학 줌 배율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제1 광학계와 제2 광학계는 가동 반사부재 이후의 광 경로상에 있는 부품들, 예를 들면 제2 줌렌즈군, 포커싱 렌즈군, 및 촬상소자를 서로 공유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부품의 수가 줄어들고, 설계 공간의 제약을 덜 받음으로서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하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의 광축을 90도 굴절시켜 촬상소자에 영상이 맺히게 하는 제1 광학계; 및
    상기 제1 광학계를 통과하는 빛의 광축 중 긴 광축의 일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가동(movable) 반사부재를 구비하고,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상기 가동 반사부재를 통하여 90도 굴절시켜 상기 촬상소자에 맺히게 하는 제2 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계와 상기 제2 광학계는 상기 가동 반사부재 이후의 광 경로상에 있는 렌즈들과 상기 촬상소자를 공유하는 듀얼 렌즈 광학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계는,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들어오는 제1 입사렌즈; 상기 빛의 광축을 90도 굴절시키는 제1 프리즘; 광축을 따라 서로 이동하면서 줌 배율(zoom ratio)을 변화시키도록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제1 줌렌즈군과 제2 줌렌즈군;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맺히는 촬상소자; 및 상기 제2 줌렌즈군과 상기 촬상소자 사이에서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상기 촬상소자에 잘 맺히도록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싱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계는,
    상기 제1 광학계의 굴절된 광축과 수직한 광축으로부터 입사하는 빛이 상기 촬상소자에 맺히도록 상기 제1 줌렌즈군과 제2 줌렌즈군 사이의 광축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가동 반사부재;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 상기 제1 광학계의 굴절된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가동 반사부재쪽으로 들어오는 제2 입사렌즈; 상기 제2 줌렌즈군; 및 상기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듀얼 렌즈 광학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반사부재는 반사면을 가진 제2 프리즘이고, 상기 제2 프리즘은 상기 긴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듀얼 렌즈 광학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렌즈에 들어오는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렌즈 커버를 더 포함하는 듀얼 렌즈 광학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는 선택적으로 제2 입사렌즈와 피사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듀얼 렌즈 광학계.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즘이 상기 제1 줌렌즈군과 상기 제2 줌렌즈군 사이의 광축상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제2 입사렌즈를 차단하고, 상기 제2 프리즘이 상기 제1 줌렌즈군과 상기 제2 줌렌즈군 사이의 광축상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제2 입사렌즈를 개방하는 듀얼 렌즈 광학계.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반사부재는 상기 제1 줌렌즈군과 제2 줌렌즈군 사이의 광축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회동가능한 반사미러인 듀얼 렌즈 광학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사렌즈에 들어오는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렌즈 커버를 더 포함하는 듀얼 렌즈 광학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미러가 상기 제1 줌렌즈군과 상기 제2 줌렌즈군 사이의 광축상에 배치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제2 입사렌즈를 차단하고, 상기 반사미러가 상기 제1 줌렌즈군과 상기 제2 줌렌즈군 사이의 광축상에 배치될 때에는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제2 입사렌즈를 개방하는 듀얼 렌즈 광학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계는 줌 광학계이고, 상기 제2 광학계는 상기 제1 광학계의 초점거리보다는 짧은 초점거리를 가지는 단초점 광학계인 듀얼 렌즈 광학계.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 소자인 듀얼 렌즈 광학계.
  12. 상기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듀얼 렌즈 광학계;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연산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KR1020060101030A 2006-10-17 2006-10-17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Expired - Fee Related KR101278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030A KR101278239B1 (ko) 2006-10-17 2006-10-17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US11/974,874 US7667897B2 (en) 2006-10-17 2007-10-16 Dual lens optical system and dual lens camera having the same
CN2007101808487A CN101165586B (zh) 2006-10-17 2007-10-17 双透镜光学系统和具有该双透镜光学系统的双透镜照像机
US12/577,803 US8218959B2 (en) 2006-10-17 2009-10-13 Dual lens optical system and dual lens camera having the same
US12/621,695 US7889435B2 (en) 2006-10-17 2009-11-19 Imaging device having a dual lens optical system
US12/626,681 US7933071B2 (en) 2006-10-17 2009-11-26 Dual lens optical system and digital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2/902,583 US8662762B2 (en) 2006-10-17 2010-10-12 Compact lens optical system and digital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030A KR101278239B1 (ko) 2006-10-17 2006-10-17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726A KR20080034726A (ko) 2008-04-22
KR101278239B1 true KR101278239B1 (ko) 2013-06-24

Family

ID=3930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0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8239B1 (ko) 2006-10-17 2006-10-17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667897B2 (ko)
KR (1) KR101278239B1 (ko)
CN (1) CN1011655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751B1 (ko) * 2017-01-24 2017-07-11 주식회사 나무가 휴대폰 듀얼카메라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9435B2 (en) * 2006-10-17 2011-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device having a dual lens optical system
KR101278239B1 (ko) * 2006-10-17 2013-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US8662762B2 (en) * 2006-10-17 2014-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act lens optical system and digital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5128245B2 (ja) * 2007-11-13 2013-01-23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925854A (zh) * 2008-01-28 2010-12-22 奥林巴斯株式会社 摄像主体部以及具备该摄像主体部的摄像装置
CN102124406A (zh) * 2008-01-28 2011-07-13 奥林巴斯株式会社 光学单元、摄像单元、摄像主体部以及具有它们的摄像装置
CN101932972B (zh) * 2008-02-14 2012-05-30 奥林巴斯株式会社 摄像主体部以及具有该摄像主体部的摄像装置
US20100182400A1 (en) * 2009-01-16 2010-07-22 World Golf Tour, Inc. Aligning Images
JP5409028B2 (ja) * 2009-01-30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分割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光学系、撮像装置
EP2442167A3 (en) * 2009-06-16 2012-10-17 Intel Corporation Camera applications in a handheld device
WO2010148363A2 (en) * 2009-06-18 2010-12-23 Theia Technologies, Llc Compact dome camera
KR101070865B1 (ko) * 2010-01-08 2011-10-10 김성한 광학식 터치스크린용 카메라 모듈
US8749892B2 (en) 2011-06-17 2014-06-10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Auto-focus actuator for field curvature correction of zoom lenses
WO2013005376A1 (ja) * 2011-07-04 2013-0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実像式ズーム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影装置
EP2607846B1 (en) * 2011-12-19 2017-08-23 Kabushiki Kaisha TOPCON Surveying apparatus
JP6021534B2 (ja) * 2012-09-04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6139713B2 (ja) 2013-06-13 2017-05-31 コアフォトニクス リミテッド デュアルアパーチャズームデジタルカメラ
US9857568B2 (en) 2013-07-04 2018-01-02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assembly
CN108519655A (zh) 2013-07-04 2018-09-11 核心光电有限公司 小型长焦透镜套件
CN108718376B (zh) 2013-08-01 2020-08-14 核心光电有限公司 具有自动聚焦的纤薄多孔径成像系统及其使用方法
US9392188B2 (en) 2014-08-10 2016-07-12 Corephotonics Ltd. Zoom dual-aperture camera with folded lens
US10288840B2 (en) 2015-01-03 2019-05-14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module and a camera utilizing such a lens module
KR102430566B1 (ko) * 2015-02-03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이를 작동하는 작동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CN111175926B (zh) 2015-04-16 2021-08-20 核心光电有限公司 紧凑型折叠式相机中的自动对焦和光学图像稳定
KR102263924B1 (ko) 2015-08-13 2021-06-11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비디오 지원 및 스위칭/비스위칭 동적 제어 기능이 있는 듀얼-애퍼처 줌 카메라
US10798205B2 (en) * 2016-04-13 2020-10-06 Facebook, Inc. Cache system for live broadcast streaming
EP3292685B1 (en) 2016-05-30 2019-06-05 Corephotonics Ltd. Rotational ball-guided voice coil motor
CN105959525B (zh) * 2016-06-16 2019-01-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控制方法、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KR102646151B1 (ko) 2016-06-19 2024-03-0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듀얼 애퍼처 카메라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동기화
WO2018007981A1 (en) 2016-07-07 2018-01-11 Corephotonics Ltd.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CN110140078B (zh) 2016-12-28 2021-11-19 核心光电有限公司 具有延伸光折叠元件扫描范围的折叠相机结构
KR102612454B1 (ko) 2017-01-12 2023-12-0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컴팩트 폴디드 카메라
KR20220013000A (ko) * 2017-02-23 2022-02-04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폴디드 카메라 렌즈 설계
CN114137790A (zh) * 2017-03-15 2022-03-04 核心光电有限公司 具有全景扫瞄范围的系统、移动电子装置及其方法
CN107426560A (zh) * 2017-06-22 2017-1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装置、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2666902B1 (ko) 2017-11-23 2024-05-16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컴팩트 폴디드 카메라 구조
CN110352371B (zh) 2018-02-05 2022-05-13 核心光电有限公司 减少高度容余的折叠摄像装置
US11640047B2 (en) 2018-02-12 2023-05-02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EP4109174A1 (en) 2018-04-23 2022-12-28 Corephotonics Ltd. An optical-path folding-element with an extended two degree of freedom rotation range
WO2019216682A1 (ko) * 2018-05-11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JP6982217B2 (ja) * 2018-05-14 2021-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2枚レンズ光学系、ビーム・コンバイニング・モジュール、プロジェクター、及び2枚レンズ光学系の組み立て方法
US10884237B2 (en) 2018-05-23 2021-01-05 Lg Electronics Inc. Camera with an image sens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based on input light reflected by a prism apparatus and passing through lens apparatus,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WO2019225979A1 (en) * 2018-05-23 2019-11-28 Lg Electronics Inc. Camera and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102135096B1 (ko) * 2018-05-23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US20200012069A1 (en) * 2018-07-06 2020-01-09 Fuzhou Rockchip Electronics Co., Ltd. Structures and Methods for Capturing Images b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Linear Movement Switching Mechanism
US11635596B2 (en) 2018-08-22 2023-04-25 Corephotonics Ltd. Two-state zoom folded camera
CN111131687B (zh) * 2018-10-31 2021-09-2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图像输出方法及摄像机
EP4471485A3 (en) 2019-01-03 2025-01-15 Corephotonics Ltd. Multi-aperture cameras with at least one two state zoom camera
CN111866330A (zh) * 2019-04-30 2020-10-30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CN112130303B (zh) * 2019-06-24 2021-12-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变焦镜头、变焦方法及存储介质
KR102655434B1 (ko) * 2019-08-13 2024-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폴디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CN112689783B (zh) 2019-08-21 2022-04-12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大传感器格式的低镜头总长
US12072609B2 (en) 2019-09-24 2024-08-27 Corephotonics Ltd. Slim pop-out cameras and lenses for such cameras
CN112738363B (zh) * 2019-10-28 2023-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路切换方法及装置、监控模组、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656538B2 (en) 2019-11-25 2023-05-23 Corephotonics Ltd. Folded zoom camera module with adaptive aperture
US20210176397A1 (en) * 2019-12-05 2021-06-10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image sensor for multiple optical paths
US11949976B2 (en) 2019-12-09 2024-04-02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mart panoramic image
CN111093018B (zh) * 2019-12-27 2021-04-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成像模组及终端
CN113132576A (zh) * 2019-12-31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方法、摄像模组和电子设备
US11681139B2 (en) 2020-03-19 2023-06-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394860B2 (en) 2020-04-03 2022-07-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ptical path imaging techniques and shared emitter for active depth sensing techniques
KR20220003550A (ko) 2020-04-26 2022-01-10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홀 바 센서 보정을 위한 온도 제어
CN111474809B (zh) 2020-04-30 2021-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651275B (zh) 2020-05-17 2023-10-27 核心光电有限公司 全视场参考图像的图像拼接
EP4191332B1 (en) 2020-05-30 2024-07-03 Corephotonic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super macro image
US11637977B2 (en) 2020-07-15 2023-04-25 Corephotonics Ltd. Image sensors and sensing methods to obtain time-of-flight and phase detection information
US11910089B2 (en) 2020-07-15 2024-02-20 Corephotonics Lid. Point of view aberrations correction in a scanning folded camera
US11946775B2 (en) 2020-07-31 2024-04-02 Corephotonics Ltd. Hall sensor—magnet geometry for large stroke linear position sensing
KR20250038813A (ko) 2020-07-31 2025-03-19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폴디드 매크로-텔레 카메라 렌즈 설계
CN116626960A (zh) 2020-08-12 2023-08-22 核心光电有限公司 用于光学防抖的方法
CN117331202A (zh) 2020-09-18 2024-01-02 核心光电有限公司 弹出式变焦相机及相机系统
KR102486408B1 (ko) 2020-11-05 2023-01-09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2개의 광학 경로 폴딩 요소 시야 스캐닝에 기초한 스캐닝 텔레 카메라
KR102534057B1 (ko) * 2020-11-30 2023-05-1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WO2022118176A1 (en) 2020-12-01 2022-06-09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 with continuously adaptive zoom factor
EP4091008B1 (en) 2021-01-25 2024-11-20 Corephotonics Ltd. Slim pop-out wide camera lenses
WO2022200965A1 (en) 2021-03-22 2022-09-29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s with continuously adaptive zoom factor
KR102638173B1 (ko) 2021-06-08 2024-02-19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슈퍼-매크로 이미지의 초점면을 틸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카메라
JP2024524206A (ja) 2021-06-23 2024-07-05 コアフォトニクス リミテッド コンパクト折り畳み式テレカメラ
CN120178485A (zh) 2021-09-23 2025-06-20 核心光电有限公司 大光圈连续变焦折叠长焦摄像头及移动装置
CN120315168A (zh) 2021-12-14 2025-07-15 核心光电有限公司 大光圈紧凑型扫描远摄相机
US12328505B2 (en) 2022-03-24 2025-06-10 Corephotonics Ltd. Slim compact len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301A (ja) * 1998-09-16 2000-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装置
US6456327B1 (en) * 1997-07-02 2002-09-24 Mustek Systems, Inc. Multi-lenses optical device
KR20050051861A (ko) * 2003-11-28 2005-06-02 주식회사 큐리텍 멀티 카메라 구조
JP2006064958A (ja) * 2004-08-26 2006-03-09 Canon Inc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3536U (ja) * 1984-06-04 1985-12-2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レンズ選択式カメラ
JPS63138886A (ja) * 1986-11-29 1988-06-10 Minolta Camera Co Ltd スチルカメラシステム
US4903218A (en) 1987-08-13 1990-02-2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onsole emulation for a graphics workstation
JPH02262632A (ja) 1989-04-03 1990-10-25 Olympus Optical Co Ltd 2焦点切換えカメラ
KR930010597A (ko) 1991-11-08 1993-06-22 이헌조 카메라의 화상처리 광학계 장치
KR950007036B1 (ko) 1991-12-31 1995-06-26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듀얼카메라용 광학계 구조
US5940126A (en) * 1994-10-25 1999-08-17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ple image video camera apparatus
JPH10254055A (ja) 1997-03-10 1998-09-25 Minolta Co Ltd 多焦点カメラ
JP2001238098A (ja) * 2000-02-25 2001-08-31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6532035B1 (en) * 2000-06-29 2003-03-11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ation of close-up imaging capability in a mobile imaging system
US6992699B1 (en) * 2000-08-02 2006-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amera device with selectable image paths
US7764320B1 (en) * 2002-12-02 2010-07-27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imaging system for multimode camera with different focal length lens and fixed or moveable image sensors
US6924948B2 (en) * 2003-08-21 2005-08-02 Arc Design, Inc. Multifocal lens system for digital cameras
JP2005101729A (ja) 2003-09-22 2005-04-14 Fujinon Corp ズーム機能付きデジタルカメラ
TWI231050B (en) * 2003-09-29 2005-04-11 Primax Electronics Ltd Moveable mirror module for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taking multi angle pictures
JP4328260B2 (ja) * 2004-04-21 2009-09-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デジタル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
JP2006081089A (ja) 2004-09-13 2006-03-23 Canon Inc 撮像装置
US7889435B2 (en) * 2006-10-17 2011-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ing device having a dual lens optical system
KR101278239B1 (ko) * 2006-10-17 2013-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US20080266443A1 (en) * 2007-04-30 2008-10-30 Jung Yul Lee Camera Module
KR101617794B1 (ko) * 2009-12-15 201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소형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6327B1 (en) * 1997-07-02 2002-09-24 Mustek Systems, Inc. Multi-lenses optical device
JP2000089301A (ja) * 1998-09-16 2000-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装置
KR20050051861A (ko) * 2003-11-28 2005-06-02 주식회사 큐리텍 멀티 카메라 구조
JP2006064958A (ja) * 2004-08-26 2006-03-09 Canon Inc 撮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751B1 (ko) * 2017-01-24 2017-07-11 주식회사 나무가 휴대폰 듀얼카메라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6878A1 (en) 2010-02-04
CN101165586B (zh) 2012-12-26
US7667897B2 (en) 2010-02-23
CN101165586A (zh) 2008-04-23
KR20080034726A (ko) 2008-04-22
US8218959B2 (en) 2012-07-10
US20080088942A1 (en)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239B1 (ko)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US7889435B2 (en) Imaging device having a dual lens optical system
CN100463496C (zh) 图象传感器模块
US10359608B2 (en) Bifocal lens and imaging device including same
KR102225727B1 (ko) 소형의 접이식 카메라의 롤 보정에 의한 자동 초점 및 광학식 손떨림 방지
KR100900486B1 (ko) 촬상 장치용 광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CN110888216A (zh) 光学镜头、镜头模组以及终端
CN108432226A (zh)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电子装置
US20050189481A1 (en) Lens module and camera
WO2024046056A1 (zh) 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CN113132576A (zh) 一种摄像方法、摄像模组和电子设备
US7116488B2 (en) Optical system for zoom-camera
US20100086291A1 (en) Camera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750904B2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camera module
US20020136549A1 (en) Camera having a refractive optical system
US6975358B1 (en) Dual channel imaging device
US6038409A (en) Viewfinder optical system of thin-type camera
KR20090123546A (ko) 가동 광경로전환부를 구비하는 촬상 광학계 및 이를 채용한이동 통신 기기
JP2015118131A (ja) 撮像装置
KR200359260Y1 (ko) 광학계 구조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KR200196248Y1 (ko)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JP2004129283A (ja) 多方向撮像装置及び多方向撮像装置を搭載した電話機
JP2002350930A (ja) ファインダー系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CN113900211A (zh) 自动聚焦组件、摄像装置、电子设备和自动聚焦方法
JP2002287008A (ja) 多方向撮像装置及び多方向撮像装置を搭載した電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0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