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982B1 -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Travel-Combined Motions of an Excavator - Google Patents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Travel-Combined Motions of an Exca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6982B1 KR101276982B1 KR1020060035314A KR20060035314A KR101276982B1 KR 101276982 B1 KR101276982 B1 KR 101276982B1 KR 1020060035314 A KR1020060035314 A KR 1020060035314A KR 20060035314 A KR20060035314 A KR 20060035314A KR 101276982 B1 KR101276982 B1 KR 101276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aulic
- driving
- traveling
- hydraulic pump
- excav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3—Controlling the travelling speed of vehicles, e.g. adjusting travelling speed according to implement loads, control of hydrostatic transmis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4—Pressure relief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엔진의 출력으로 복수의 유압펌프를 구동하고, 이들 복수의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로써 주행모터와 프론트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를 동시에 작동시켜 이루어지는 주행복합동작시 주행속도가 감소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유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plurality of hydraulic pumps with the output of one engine, and the traveling speed is not reduced during the combined driving operation by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traveling motor and the actuator for the front work device with the pressure oil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hydraulic pumps. It relates to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본 발명은 굴삭기의 주행여부를 검출하는 주행여부 검출수단과,상기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의 유압공급라인 상에 설치된 릴리프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밸브는 상기 주행여부 검출수단이 상기 굴삭기의 주행을 검출한 경우, 상기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의 릴리프 압력을 감소시키는 가변릴리프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whether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excavator is running, and a relief valve installed on the hydraulic supply line of the hydraulic pump for the front work device, wherein the relief valve is running whether the running detection means of the excavator If it is det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relief valve for reducing the relief pressure of the hydraulic pump for the front work device.
굴삭기, 가변릴리프밸브, 주행복합동작, 주행속도 Excavator, Variable Relief Valve, Combined Travel Motion, Travel Spe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유압회로도,1 is a schematic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a traveling combined motion of a conventional excavator;
도 2는 종래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에서 주행모터에 압유를 제공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압력-유량 선도, 2 is a pressure-flow diagram of a variable displacement hydraulic pump providing pressure oil to a traveling motor in a hydraulic system of a conventional excavator;
도 3은 종래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에서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의 릴리프밸브의 릴리프압력선도,3 is a relief pressure diagram of the relief valve of the hydraulic pump for the front work device in the hydraulic system of the conventional excavato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유압회로도,4 is a schematic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a traveling combined motion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릴리프압력선도, 5 is a relief pressure diagram of the embodiment of FIG.
도 6은 도 4의 실시예의 주행용 유압펌프들의 압력-유량 선도, FIG. 6 is a pressure-flow diagram of the hydraulic pump for driving of the embodiment of FIG. 4;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개략적인 유압회로도이다.Figure 7 is a schematic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the combined traveling motion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의 제3실시예의 개략적인 유압회로도이다.Figure 8 is a schematic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combined motion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엔진 11: 제1유압펌프10: engine 11: first hydraulic pump
12: 제2유압펌프 11A,12A: 유량제어기구12: 2nd
13: 제3유압펌프 20: 컨트롤밸브13: 3rd hydraulic pump 20: control valve
21: 좌주행 제어스풀 21A,21B: 수압부21: left
22: 좌주행 유압모터 23: 우주행 제어스풀22: left traveling hydraulic motor 23: space control spool
23A,23B: 수압부 24: 우주행 유압모터23A, 23B: Hydraulic section 24: Space travel hydraulic motor
25: 붐제어스풀 26: 암제어스풀25: boom control spool 26: arm control spool
27: 붐실린더 28: 암실린더27: boom cylinder 28: dark cylinder
30: 유압공급라인 31: 프론트 공급제어밸브30: Hydraulic supply line 31: Front supply control valve
T: 탱크 32: 배출라인T: tank 32: discharge line
33: 가변릴리프밸브 33A: 수압부33:
Ptl1,Ptl2,Ptr1,Ptr2: 주행파일롯압 34: 주행신호압 검출라인Ptl1, Ptl2, Ptr1, Ptr2: Travel Pilot Pressure 34: Travel Signal Pressure Detection Line
35: 주행신호 감지센서 36: 솔레노이드 밸브35: driving signal sensor 36: solenoid valve
37: 솔레노이드부37: solenoid par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을 제어하는 유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엔진의 출력으로 복수의 유압펌프를 구동하고, 이들 복수의 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압유로써 주행모터와 프론트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를 동시에 작동시켜 이루어지는 주행복합동작시 주행속도가 감소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유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a traveling complex operation of an excavator, and in particular, to drive a plurality of hydraulic pumps with the output of one engine, and the hydraulic moto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hydraulic pumps, the actuator for the driving motor and the front work device. It relates to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so that the running speed is not reduced during the combined travel operation by operating the simultaneous operation.
굴삭기중 부하가 상대적으로 작은 작업에 사용되는 소형 굴삭기는 통상 3개의 유압펌프를 구비하고, 이들 3개의 유압펌프들을 1개의 엔진에 연결하여 구동한다. 이러한 소형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은 상기 3개의 유압펌프에서 각각 토출되는 압유를 주행모터와 복수개의 프론트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에 배분하여 주행 또는 프론트작업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주행과 프론트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주행복합동작을 수행하게 된다.A small excavator used for a relatively light load of an excavator generally includes three hydraulic pumps, and is driven by connecting these three hydraulic pumps to one engine. The hydraulic system of such a small excavator distributes the hydraulic oil discharged from each of the three hydraulic pumps to the driving motor and the actuators for the front work device to perform the driving or the front work alone, or the combined travel operation in which the driving and the front work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Will be performed.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소형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01)과, 엔진(101)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용량형 제1유압펌프(102), 가변용량형 제2유압펌프(103) 및 정용량형 제3유압펌프(104)와, 이들 3개의 유압펌프(102,103,104)에서 토출되는 압유를 복수개의 유압액츄에이터(105,106,107,108)에 분배하여 주행과 프론트작업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스풀(111,112,113,114,120)을 구비한 컨트롤밸브(1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hydraulic system of the conventional compact excavator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상기 제1유압펌프(102)와 제2유압펌프(103)는 각각 컨트롤밸브(110)의 좌주행 제어스풀(111)과 우주행 제어스풀(112)을 통하여 좌주행 유압모터(105)와 우주행 유압모터(106)에 압유를 제공하고, 제3유압펌프(104)는 프론트공급 제어밸브(120)를 통하여 붐실린더, 암실린더, 버켓실린더, 도저실린더 등과 같은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액츄에이터(107,108)들에 연결되어 작업종류에 따라 이들 유압액츄에이터(107,108)들에 압유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The first
그리고, 제3유압펌프(104)의 토출압유를 상기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액츄에이터(107,108)에 제공하는 유압라인(121)에는 릴리프밸브(123)가 구비되어 상기 제3유압펌프(104)의 토출압력이 소정의 압력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In addition, a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소형 굴삭기의 유압시스템에서는 상기 3개의 유압펌프(102,103,104)들이 하나의 엔진(101)의 출력에 함께 구동되므로, 주행용 유압모터(105,106)에 공급되는 제1유압펌프(102)와 제2유압펌프(103)의 토출유량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유압펌프(104)의 토출압력에 따라 변동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hydraulic system of a small excavator, the three
그런데 상기 릴리프밸브(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을 하는 경우나 주행을 하지 않는 경우에 릴리프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또한 도 2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압펌프(102)와 제2유압펌프(103)의 토출유량은 제3유압펌프(104)가 무부하상태(P3_idle)인 경우와 제3유압펌프(104)가 릴리프상태(P3_relief)인 경우 사이에서 변동한다. 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그 결과 주행만을 하거나 주행-프론트 복합동작을 하면서 프론트작업부하가 그다지 크지 않아 제3유압펌프(104)의 토출압력이 릴리프조건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의 실선그래프(Y)로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유압펌프(102)와 제2유압펌프(103)의 토출유량은 감소하지 않아 주행속도가 감소하지 않는다.As a result, when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third
그러나 제3유압펌프(104)의 토출압력이 최대로 상승하여 릴리프조건(P3_relief)일 때, 예컨대 버켓에 중량을 싣고 주행을 하거나, 도저로 흙을 밀면서 주행을 하거나, 급경사지에서 암을 경사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암을 당기면서 주행을 하여 경사지를 따라 차량을 견인하는 동작을 하는 경우와 같이 프론트작업의 부하가 큰 상태에서 주행복합동작을 하는 경우에, 도 2의 점선 그래프(X)로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유압펌프(102)와 제2유압펌프(103)의 토출유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주행용 유압펌프(105,106)에 공급되는 유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주행과 프론트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주행복합동작의 경우 주행속도가 현저히 떨어져 주행복합동작의 성능이 나쁜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when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third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소형 굴삭기가 가진 단점을 해결하여, 주행복합동작의 경우에 주행속도 감소현상을 해소하여 주행복합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compact excavator, and to provide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a combined driving motion that can improve the combined driving performance by eliminating the traveling speed reduction phenomenon in the combined driving ope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의 주행을 위한 주행모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주행용 유압펌프와, 상기 주행용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주행모터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주행제어스풀과, 상기 굴삭기의 프론트작업장치를 구동하는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를 구비한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의 주행여부를 검출하는 주행여부 검출수단; 및 상기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의 유압공급라인 상에 설치된 릴리프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밸브는 상기 주행여부 검출수단이 상기 굴삭기의 주행을 검출한 경우, 상기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의 릴리프 압력을 감소시키는 가변릴리프밸브이며,상기 주행여부 검출수단은, 운전자가 주행조작수단을 조작시 출력되는 주행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주행신호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릴리프밸브는, 상기 주행신호 감지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릴리프 압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raveling hydraulic pump for supplying the hydraulic oil to the traveling motor for traveling of the excavator, and the traveling control spool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hydraulic oil supplied from the traveling hydraulic pump to the traveling motor; And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a traveling compound operation of an excavator equipped with a hydraulic pump for a front working device for supplying pressure oil to a hydraulic cylinder for driving the front working device of the excavator, the traveling system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excavator is traveling; And a relief valve installed on a hydraulic supply line of the hydraulic pump for the front work device, wherein the relief valve is a relief pressure of the hydraulic pump for the front work device when the traveling state detecting means detects the traveling of the excavator. The variable relief valve for reducing the, The running whether detection means, the driving signal detection sensor for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by detecting the driving signal output when the driver operating the driving operation means, The variable relief valv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olenoid portion for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relief pressure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riving signal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유압펌프는 상기 주행모터와 상기 프론트작업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압유를 공급하되, 주행과 프론트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행모터에 우선적으로 상기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aulic pump for driving supplies pressure oil to at least one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front work device, when the driving and front work at the same time to supply the pressure oil to the traveling motor preferentially It is desirable to.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는 정용량형 펌프이고, 상기 주행용 유압펌프는 가변용량형 펌프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ydraulic pump for the front work device is a fixed displacement pump, the traveling hydraulic pump is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부하가 높은 프론트작업과 주행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주행복합동작의 경우에 1개의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유압펌프중 프론트작업장치에 압유를 공급하는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낮추어 줌으로써 주행모터를 구동하는 나머지 주행용 유압펌프의 토출유량 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주행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주행복합동작시 주행복합동작 성능이 개선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operation of supplying the pressure oil to the front operation apparatus of the plurality of hydraulic pumps driven by one engine in the case of the combined travel operation of performing the front operation with high workload and the traveling operation at the same time By lower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hydraulic pump for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charge speed by relatively increas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remaining driving hydraulic pump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driving compound operation during the driving compound ope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a traveling composite motion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유압회로도이다. 도 4에서는 복수개의 프론트작업장치와 이들 프론트작업장치제어용 유압실린더중 붐실린더와 암실린더만을 예시하고 나머지 유압실린더와 이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스풀을 생략한다.4 is a schematic hydraulic circuit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combined travel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only the boom cylinder and the female cylinder are illustrated among the plurality of front working devices and the hydraulic cylinders for controlling the front working device, and the remaining hydraulic cylinders and the control spool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cylinders are omit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엔진(10)과, 상기 엔진(10)에 의해 구동되는 3개의 유압펌프(11,12,13)가 구비된다. 상기 3개의 유압펌프(11,12,13)중 2개의 유압펌프, 즉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는 주행모터(22,24)를 구동시키기 위한 주행용 유압펌프로서, 각각의 유량제어기구(11A,12A)에 의해 토출유량이 가변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유압펌프, 즉 제3유압펌프(13)는 프론트작업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로서, 정용량형 유압펌프이다.As shown in FIG. 4, one
상기 제1유압펌프(11)는 컨트롤밸브(20)의 좌주행 제어스풀(21)을 거쳐 좌주행 유압모터(22)에 연결되고, 제2유압펌프(12)는 컨트롤밸브(20)의 우주행 제어스풀(23)을 거쳐 우주행 유압모터(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는 각각 좌주행모터(22)와 우주행모터(24)에 압유를 제공하여 굴삭기 의 주행동력을 제공한다.The first
상기 제3유압펌프(13)는 붐제어스풀(25)과 암제어스풀(26)을 통하여 각각 붐실린더(27)와 암실린더(28)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3유압펌프(13)의 압유를 붐제어스풀(25)과 암제어스풀(26)로 제공하는 유압공급라인(30)상에는 프론트 공급제어밸브(31)가 구비되어 제3유압펌프(13)의 압유를 상기 붐제어스풀(25)이나 암제어스풀(26)쪽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게 되어 있다. The third
또, 상기 프론트 공급제어밸브(31)의 상류측 유압공급라인(30)에는 탱크(T)로 연결되는 배출라인(32)이 분기되고, 상기 배출라인(32)에는 제3유압펌프(13)의 토출압력을 일정한 압력이상 초과하지 않도록 릴리프시키는 릴리프밸브(33)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상기 릴리프밸브(33)는 릴리프 압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릴리프밸브로 구성되고, 일측에 구비된 수압부(33A)는 주행여부 검출수단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행여부 검출수단은 상기 주행제어스풀(21,23)의 수압부(21A,21B)(23A,23B)에 작용하는 주행파일롯압(Ptl1,Ptl2,Ptr1,Ptr2)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여 상기 가변릴리프밸브(33)의 수압부(33A)에 제공하는 주행신호압 검출라인(34)으로 구성된다. The
따라서, 주행조작수단(도시생략)으로 주행조작을 하면, 파일롯펌프(도시생략)의 주행파일롯압이 주행파일롯라인을 통하여 주행제어스풀(21,23)의 일측 수압부(21A,21B,23A,23B)에 작용하여 주행제어스풀(21,23)을 주행위치로 절환시키고, 이에 따라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의 압유가 주행제어스풀(21,23)을 거 쳐 주행 유압모터(22,24)에 제공되어 주행동작을 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driv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driving operation means (not shown), the traveling pilot pressure of the pilot pump (not shown) is supplied to one side
이 때, 상기 주행파일롯라인의 주행파일롯압은 주행신호압 검출라인(34)을 통하여 검출되어 제3유압펌프(13)의 유압공급라인(30)에 구비된 가변릴리프밸브(33)의 수압부(33A)에 작용함으로써 가변릴리프밸브(33)의 릴리프압력을 도 5의 "A"에서 "B"로 낮추어 주게 된다. At this time, the traveling pilot pressure of the traveling pilot line is detected through the traveling signal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의 압력-유량 곡선은 점선으로 표시된 "X"곡선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되는 곡선"Y"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의 '압력-유량 곡선'변화에 따라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의 토출유량은 주행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상태, 즉 점선으로 표시되는 그래프"X"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증대된다. 즉, 주행과 프론트작업의 복합동작시 주행동력을 제공하는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의 토출유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주행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주행복합동작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the pressure-flow curves of the firs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복합의 제2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유압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주행여부 검출수단에 있어서 구성이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은 생략하고, 구성이 다른 주행여부 검출수단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7 shows a schematic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traveling complex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Only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ng means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주행여부 검출수단은, 컨트롤밸 브(20)의 주행제어스풀(21,23)의 수압부(21A,21B,23A,23B)에 작용하는 주행파일롯압을 검출하여 가변릴리프밸브(33)의 수압부(33A)에 전달하는 주행신호압 검출라인(34)과, 주행조작수단(도시생략)으로부터 주행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주행신호 감지센서(35)와, 상기 주행신호 감지센서(35)에서 제공하는 전기적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주행신호압 검출라인(34)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6)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the travel detection means acts 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주행조작수단을 조작하여 주행신호를 출력하면, 파일롯펌프(도시생략)의 주행파일롯압이 주행파일롯라인을 통하여 주행제어스풀(21,23)의 일측 수압부에 작용하여 주행제어스풀(21,23)을 주행위치로 절환시키고, 이에 따라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의 압유가 주행제어스풀(21,23)을 거쳐 주행 유압모터(22,24)에 제공되어 주행을 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ing signal is operated by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the driving pilot pressure of the pilot pump (not shown)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pilot line. The driving control spools 21 and 23 are switched to the traveling position by acting on one side hydraulic pressure unit of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이 때, 주행신호 감지센서(35)는 주행조작수단의 주행신호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36)의 솔레노이드부(36A)에 인가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36)를 개방위치로 절환시킨다. 이에 따라 주행신호압 검출라인(34)은 개방되어 주행파일롯압을 가변릴리프밸브(33)의 수압부(33A)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가변릴리프밸브(33)는 릴리프압력을 도 5에 도시된 "A"에서 "B"로 낮추어 주게 된다. At this time, the travel signal sensor 35 detects the travel signal of the travel operation means and applies it to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유압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주행여부 검출수단에 있어서 구성이 다를 뿐이므로, 역시 주행여부 검출수단에 대하여만 상 세히 설명하기로 한다.8 shows a schematic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only in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ng means,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ng means will also be described in detail. Shall be.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주행여부 검출수단은, 주행조작수단(도시생략)으로부터 주행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주행신호 감지센서(35)를 포함하며, 가변릴리프밸브(33)는 상기 주행신호 감지센서(35)에서 제공하는 전기적 신호의 유무에 따라 가변릴리프밸브(33)의 릴리프 압력을 직접 변화시키는 솔레노이드부(37)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the driving condition detecting means includes a driving signal detecting sensor 35 which detects the driving signal from the driving operation means (not shown)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주행조작수단을 조작하여 주행신호를 출력하면, 파일롯펌프(도시생략)의 주행파일롯압이 주행파일롯라인을 통하여 주행제어스풀(21,23)의 일측 수압부에 작용하여 주행제어스풀(21,23)을 주행위치로 절환시키고, 이에 따라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의 압유가 주행제어스풀(21,23)을 거쳐 주행 유압모터(22,24)에 제공되어 주행을 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ing signal is operated by outputting the driving signal, the driving pilot pressure of the pilot pump (not shown) is driven through the driving pilot line. The driving control spools 21 and 23 are switched to the traveling position by acting on one side hydraulic pressure unit of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이 때, 주행신호 감지센서(35)는 주행조작수단의 주행신호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부(37)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며, 솔레노이드부(37)의 작동에 의해 가변릴리프밸브(33)는 릴리프압력을 도 5에 도시된 "A"에서 "B"로 낮추어 준다.At this time, the driving signal detecting sensor 35 detects the driving signal of the driving operation means and applie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는 앞선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행시 주행신호에 의해 제3유압펌프(13)의 릴리프압력을 낮추어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의 토출유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주행과 프론트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주행복합동작의 경우에 주행속도의 감소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주행복합동작 성능을 향상시킨다.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주행용 유압펌프인 제1유압펌프(11)와 제2유압펌프(12)는 압유를 주행모터(22,24)로 공급할 뿐만 아니라 프론트작업장치를 구동하는 유압실린더인 붐실린더(27)와 암실린더(28)로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변릴리프밸브(33)에 의해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실린더(27,28)에 공급되는 압유의 압력이 지나치게 감소하는 것을 보상해줄 필요가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다만 주행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므로 주행용 유압펌프가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것은 보조적인 것이며, 그 압유 공급의 우선순위는 주행모터가 되어야 한다.Meanwhile,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은, 주행여부 검출수단과 이에 연동하는 가변릴리프밸브를 구비하여 굴삭기가 주행할 때 프론트작업장치용 유압펌프의 릴리프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부하가 높은 프론트작업과 주행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주행복합동작의 경우에 주행모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의 토출유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주행복합동작시 주행속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행복합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combined motion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vel relief means and a variable relief valve interlocked therewith, so that the relief pressure of the hydraulic pump for the front work device can be adjusted when the excavator travels. In the case of a compound driving operation which simultaneously performs a high load front operation and a driving operation,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hydraulic pump supplying the hydraulic motor to the driving motor is relatively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the driving speed from being reduced during the driving compound operation. It can improve operation performance.
또한 주행여부 검출수단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변릴리프밸브의 수압부에 균일한 주행파일롯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식으로 가변릴리프밸브를 제어할 수 있어 보다 정밀도가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the traveling status detec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olenoid val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niform driving pilot pressure to the hydraulic pressure portion of the variable relief valve, and to control the variable relief valve electronically, thereby improving accuracy.
나아가 가변릴리프밸브가 솔레노이드부를 구비한 경우, 솔레노이드부가 릴리프 압력을 직접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압회로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when the variable relief valve is provided with a solenoid por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hydraulic circuit is simplified since the solenoid portion can directly adjust the relief pressur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5314A KR101276982B1 (en) | 2006-04-19 | 2006-04-19 |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Travel-Combined Motions of an Exca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5314A KR101276982B1 (en) | 2006-04-19 | 2006-04-19 |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Travel-Combined Motions of an Exca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3573A KR20070103573A (en) | 2007-10-24 |
KR101276982B1 true KR101276982B1 (en) | 2013-06-19 |
Family
ID=3881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53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6982B1 (en) | 2006-04-19 | 2006-04-19 |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Travel-Combined Motions of an Exca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69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06666B2 (en) | 2013-03-28 | 2016-10-12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Excavator |
WO2016093393A1 (en) * | 2014-12-10 | 2016-06-16 |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 Hydraulic circuit of construction equipment |
JP6752183B2 (en) * | 2017-09-07 | 2020-09-09 | 日立建機株式会社 | Hydraulic work machi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16940A (en) * | 1994-11-04 | 1995-08-15 | Daikin Ind Ltd | Hydraulic drive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JPH08128077A (en) * | 1994-10-29 | 1996-05-21 | Samsung Heavy Ind Co Ltd | Heavily equipped rectilinear propagation travel gear |
JPH10131237A (en) * | 1996-10-30 | 1998-05-19 | Yutani Heavy Ind Ltd | Control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
KR20000006756U (en) * | 1998-09-21 | 2000-04-25 | 김형벽 | Automatic booster when driving excavator |
-
2006
- 2006-04-19 KR KR1020060035314A patent/KR1012769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28077A (en) * | 1994-10-29 | 1996-05-21 | Samsung Heavy Ind Co Ltd | Heavily equipped rectilinear propagation travel gear |
JPH07216940A (en) * | 1994-11-04 | 1995-08-15 | Daikin Ind Ltd | Hydraulic drive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JPH10131237A (en) * | 1996-10-30 | 1998-05-19 | Yutani Heavy Ind Ltd | Control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
KR20000006756U (en) * | 1998-09-21 | 2000-04-25 | 김형벽 | Automatic booster when driving exca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3573A (en) | 2007-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12077B2 (en) | Power regeneration mechanism for hydraulic work machines | |
US7743611B2 (en) | Backhoe hydraulic system | |
JP4271194B2 (en) | Hydraulic drive control device | |
GB2581069A (en) | Hydraulic drive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 |
WO2015064026A1 (en) | Hydraulic shovel drive system | |
KR100749316B1 (en) | Hydraulic circuit | |
JP6005185B2 (en) | Hydraulic drive un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JP2008286397A (en) | Traveling device for crawler type construction machine | |
KR20120123109A (en) | Hydraulic work machine | |
WO2014115527A1 (en) | Hydraulic pressure drive device | |
US20180291935A1 (en) | Hydraulic drive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 |
KR101747519B1 (en) | Hybrid construction machine | |
JP4817974B2 (en) | Power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JP2019199726A (en) | Driving system of hydraulic shovel | |
US10006472B2 (en) | Construction machine | |
KR101276982B1 (en) |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Travel-Combined Motions of an Excavator | |
KR100797315B1 (en) |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complex operation of traveling and front work of excavator | |
JP2006161510A (en) | Backhoe hydraulic circuit structure | |
EP3779212B1 (en) | Hydraulic circuit for work vehicle | |
KR101669680B1 (en)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CN108884843B (en) | Excavator and control valve for excavator | |
KR101182552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hydraulic pump in a wheel type excavator | |
JP2007192347A (en) | Hydraulic control device of working machine | |
JP2007120512A (en) |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working machine | |
JPH04285303A (en) | Hydraulic circuit for improving operability in load sens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4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