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6771B1 - 접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밑창 - Google Patents

접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771B1
KR101276771B1 KR1020077021706A KR20077021706A KR101276771B1 KR 101276771 B1 KR101276771 B1 KR 101276771B1 KR 1020077021706 A KR1020077021706 A KR 1020077021706A KR 20077021706 A KR20077021706 A KR 20077021706A KR 101276771 B1 KR101276771 B1 KR 10127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ments
sole
deformation
tangential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577A (ko
Inventor
한스 게오륵 브라운슈와일라
Original Assignee
글리덴 로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리덴 로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글리덴 로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10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4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th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6Running shoes; Track sh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선방향의 앞뒤로 탄성적으로 상당히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밑창(1), 특히 운동화(2)용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발바닥이 경사져 있고 다소 미끄러지고 있을 때에도 우수한 완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된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임계 변형 이상인 상태일 때, 밑창은 접선방향 변형에 대하여 잘 휘어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런 식으로, 달리는 사람은 각각의 발로 밟는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발을 내디딜 수 있다. 달리는 주자는 후퇴하지 않고 밟는 지점으로부터 밀치고 나갈 수 있다. 따라서, 밑창에서 부드럽게 미끄러져 나아가는 효과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밑창의 접선방향의 탄성 변형도는 하나 이상의 제1 요소(3a)에 의해 유발되고, 변형된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임계 변형의 정도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임계 변형 이상의 접선방향의 변형과 관련된 밑창의 강성은 하나 이상의 제2 요소(3b)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요소(3a, 3b)는 독립적으로 설계될 수 있고, 크기가 결정될 수 있고, 또한 생산될 수 있으며, 구조와 형성 및 변형 가능성이 광범위하다. 밑창의 뒤꿈치 및/또는 발의 볼 부분 내의 특정 영역은 하나 이상의 제1 요소(3a)에 의해 달라질 수 있고, 또한 특정 영역은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2 요소(3b)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Description

접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밑창{OUTSOLE WITH TANGENTIAL DEFORMATION}
본 발명은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동화용 밑창으로서, 접선방향의 전후로도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그 접선방향 변형이 소정 범위로 제한되는 밑창에 관한 것이다.
접선방향으로의 변형은, 예를 들어 밑창 또는 바닥면의 접선 방향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전단력에 의해 초래되는 변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압축력에 의해 초래되는 밑창 또는 바닥면에 대한 수직방향의 변형과는 구별되어야한다. 접선방향은 수평 방향과 일치하며, 수직 방향은 수평 기판에서의 수직방향과 일치한다.
삭제
탄성적으로 굴복하는 밑창은 여러가지 다양한 구조로 잘 알려져 있고, 상이한 강도를 갖는 탄성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공기나 겔 패딩으로 채워진 밑창도 또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달릴 때 일어나는 응력을 완충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달리는 사람의 운동 시스템, 특히 관절을 보호하여 편안하게 달릴 수 있게 한다.
현재 구할 수 있는 대부분의 스포츠용 운동화는 탄성을 가지며, 이러한 탄성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또는 밑창이 압축되는 바닥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쿠션 작용이 이루어지나, 수평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는 비교적 잘 휘지 않고 발을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내디딜 때에는 충분히 꺽이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밑창의 수평방향의 큰 변형도는 일종의 부드럽게 미끄러져 나가는 효과(swimming effect)를 일으키기 때문이며, 이는 달리는 사람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달리는 사람은 또한 각각의 스텝에 의해 일정 거리를 잃게 되는데 그 이유는 부딪히는 지점으로부터 밀려나가는 동안 밑창이 우선 발이 닿는 곳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약간 변형되기 때문이다. 물론 종래의 운동화에서도 부드럽게 미끄러져 나가는 효과가 어느 정도 발생한다. 이러한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밀어내는 작용이 일어나는 대부분의 운동화 밑창의 전방 영역은 비교적 단단하고 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면, WO 03/102430에도 또한 개시되어 있는, 상기한 유형의 밑창은, 한편으로 명백한 접선방향 변형성을 가지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변형을 제한하는 강성을 가짐으로써, 부드럽게 미끄러져 나가는 효과를 방지하고 있다. 달리는 사람은 밑창이 최대 변형에 도달한 후에는 각각의 스텝 지점 또는 응력이 가해지는 지점에서 안정된 자세를 가지며, 이로부터 달리는 사람은 거리의 손실 없이 다시 밀어낼 수 있다.
국제특허공보 WO 03/102430에는, 밑창이 접선방향 변형성을 가지면서 이러한 변형이 소정 범위로 제한하기 위한 강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의 상이한 예들이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의 관형 중공 요소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수직방향과 또한 특히 접선방향의 변형하에서, 완전히 앞뒤로 압축될 수 있고, 그런 후 상부 및 하부 쉘 사이의 마찰에 의해 더 이상의 접선방향으로의 변형이 제한된다.
이와 달리, 유럽특허 EP 1264556에 개시된 스포츠 운동화용 밑창은 더 부드러운 외부층과 더 단단한 내부층을 가지고, 단단한 내부층의 돌출부가 부드러운 외부층을 관통하여 지지부 형태로 외부층을 넘어 돌출되어 있다. 이 밑창은 접선방향의 변형가능성이 제공되지 않으며, 오히려 돌출된 단단한 지지부에 의해 접선방향 변형성은 방지된다.
프랑스특허 FR 2709929에 개시된 밑창도 비슷한 구조를 가지며, 내부층에 날카로운 금속 피크(peak)가 제공되어 있다.
영국특허 UK 2285569에는 유연한 제1 요소 및 단단한 제2 요소를 갖는 밑창을 갖는 트레이닝 신발을 개시하고 있는데, 제1 요소는 뒤꿈치 방향의 후방 쪽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고, 하중을 받치는 단단한 제2 요소들 사이에서 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하에서 변형된다. 그러나, 제2 요소에 대한 그 배열구조 때문에 제1 요소의 전방으로의 변형은 불가능하다.
일본특허 JP 5309001은, 모든 접선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고 공동이 제공된 돌출부들을 가지는 내부 영역이 제공된 밑창을 갖는 신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밑창의 내부 영역은 단단한 하부 립을 갖는 엣지 영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중공 돌출부가 전방으로 변형됨으로써 하중이 흡수된다.
독일실용신안 G 8126601은, 후방으로 향하는 단단한 강모를 갖는 브러쉬형 부품이 삽입된 밑창을 갖는 신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강모는 후방을 향함으로서 전방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빠르게 전방으로 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강모는 전방으로 변형될 수 없다.
미국특허 US 3,299,544는 전방 뒤꿈치 영역에 후방으로 향하는 횡단 립이 제공된 밑창을 갖는 신발을 개시하고 있다. 립과 비교하여, 후방 엣지 영역은 약간 더 낮은 접시부를 형성한다. 일반적인 달리는 상태에서, 립은 접시부보다 먼저 지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동시에 접시부가 지면과 접촉할 때까지 뒤로 휘어지게 되어 있어, 립이 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독일특허 DE 29818243은 발이 닿을 때 뒤로 구부려지며 뒤꿈치 방향으로 접혀서 나머지 밑창과 접촉하는 요소를 가지는 밑창을 갖는 신발을 개시하고 있다.
국제특허공보 WO 03/102430으로부터 알 수 있는 원리를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범위 내에서, 그리고 이에 기재된 관형 중공 요소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구체적으로 기술된 형태에서는 모든 실질적인 요구사항을 제대로 만족시킬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화 영역에서, 각각의 운동에서 요구되는 사항에 맞도록 특별하게 구성된 이러한 신발이 거의 모든 유형의 운동에 대해 제공되고 특히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밑창의 구성은 각각의 적합성에 대해 결정적이지는 않지만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국제공개공보 WO 03/102430에 개시된 유형의 밑창이 상이한 유형의 스포츠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포함하여 실제 요구사항에 경제적으로 더 잘 부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효과에 필요한 두 가지 기능, 즉 한편으로 접선방향 변형성과,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접선방향 변형을 소정 범위(최대 변형)로 제한하는 강성이, 각각 상이한 요소에 할당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요소가 서로 독립적으로 고려되고 그 치수가 결정되고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훨씬 더 많은 구조와 구성 및 변형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한 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종래의 관형 중공 요소와 같은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실질적 요구사항에 부응하여 더 양호하게 필요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수의 접선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제1 요소와 다수의 단단한 제2 요소로 나누는 것은 기본적으로 앞서 언급한 일본특허 JP 5309001에 제공되어 있으나, 여기서 제1 요소와 제2 요소는 서로 별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요소는 제1 내부 영역에 있고, 제2 요소는 내부 영역을 둘러싸는 경계 영역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위 내측 발 주자(inner foot runner) 또는 외측 발 주자(outer foot runner)(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다루어짐)는 전적으로 경계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단단한 요소에만 하중이 가해지며, 또한 밑창의 중심에만 하중이 가해지면 실질적으로 제1 요소만이 응력을 받아 부드럽게 미끄러져 나가는 효과가 발생하는데, 이는 본 발명이 피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밑창의 뒤꿈치 영역 및/또는 발의 볼(발의 넓은 앞부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를 가지는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요소를 가지는 영역이 길이방향으로(뒤꿈치로부터 발의 볼 부분까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뒤꿈치 영역 및/또는 발의 볼 영역이 지면에 닿을 때, 항상 두 기능이 서로 충분히 밀집된 시공간적인 관계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밑창의 특성은 WO 03/102430의 특징에 대응한다.
다수의 제1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은 하나 또한 다수의 제1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2 요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은 각 경우에 하나 또한 다수의 제2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WO 03/102430에 개시된 밑창과 같이, 본 발명의 밑창은 또한 달리는 동안 최대 응력이 가해지는 영역에서만, 그리고 일시적으로 최대 응력에 대해서만, 국부적으로 최대 변형에 도달하도록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밑창의 접선방향의 최대 변형은 변형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밑창의 변형은 또한 접선방향으로만 변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최대 변형은 또한 수직방향 변형에 의해서만도 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밑창의 변형가능한 두께의 20% 이상,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 두께의 50% 이상의 접선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의 변형 후에 최대 변형에 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선방향 변형은 적어도 수직방향 변형과 같다. 절대적으로, 이것은 거의 1 cm에 달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스프링 및 댐핑 경로에 대해, 본 발명의 밑창은 달릴 때 일어나는 힘과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밑창은 지면에 닿을 때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평행방향의 힘이 예를 들어 전단력에 의해 달리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굴복하도록 하여 최적으로 댐핑 작용을 한다. 종래 기술의 밑창이 제공되는 운동화에서는, 실질적으로 거의 접선방향의 변형성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신발에 뚜렷한 수직 댐핑이 제공된다 하여도 높은 응력의 피크가 발생한다. 스테핑 중, 본 발명의 밑창은 수직 변형에 의해 지배적인 수직방향의 힘도 댐핑 작용에 의해 잘 흡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밑창은 이러한 상태에서 발과 지면 사이의 서로 다른 방향의 운동에서 상이한 접선방향 변형을 함으로써 반작용을 한다. 종래에는 이 상태에서 보통 신발 내에서 발이 미끄러지며 이에 의해 종종 양말이 마찰에 의해 구멍이 나게 되거나 심지어는 물집이 잡히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의 신발은 스테핑 중 지면에 대해 발이 수행하는 이러한 움직임에 저항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신발에 의해 대개 피로가 없는 달리기가 가능하다. 한편, 밀어내는 단계에서 완전히 하중이 가해지는 동안, 본 발명의 밑창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댐핑 성질을 잃는다. 이 단계에서, 더 이상 댐핑은 필요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밀어내는데 방해가 될 뿐이다. 밀어내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밑창은 "단단한" 밑창과 같이 작용한다.
서로 다른 주자(走者)에 의하여 오랫동안 사용된 밑창의 마모 패턴은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응력과 관련하여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특징적 달리기 스타일 때문이며, 이러한 달리기 스타일은 각 주자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또한 달리는 거리가 상이하게 때문에 발생한다. 예를 들어, 단거리 주자는 주로 발의 볼 부분으로 달리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발의 볼 부분만 응력을 받게 된다. 반면, 장거리 주자는 거의 뒤꿈치로 땅을 딛게 되며 발 전체로 진행하기 된다. 소위 내측 발 주자와 외측 발 주자 사이에도 차이점이 있다. 외측 발 주자는 뒤꿈치의 바깥쪽에서 지면에 닿고, 발의 중간 부분의 바깥쪽 영역으로 진행하며, 바깥쪽 발 볼 영역 또는 새끼 발가락 영역으로 밀어낸다. 이는 내측 발 주자에 대해서는 반대로 작용한다. 또한, 예컨대 발의 바깥쪽에서 지면에 닿고 발의 중간 횡단부로 진행하며 엄지 발가락 영역에서 밀어내는 경우, 또는 반대 경우의 혼합된 형태도 있다. 본 발명의 신발은 수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또한 접선방향으로 변형될 뿐 아니라 앞뒤로 변형될 수 있어, 상이한 응력에 잘 적응할 수 있으며, 또한 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참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밑창을 갖는 운동화의 측면도로서, 도 1a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를, 도 1b는 경사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응력을 받는 상태를, 도 1c는 후방으로 밀어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밑창의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를, 도 2b는 경사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응력을 받는 상태를, 도 2c는 수직으로 응력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중간창 내에 부분적으로 박혀서 고정되어 있는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유사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요소만이 중간창에 박혀 있고, 제2 요소는 중간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유사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를, 도 5b는 응력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며, 제1 요소는 중간창(4)에 매우 깊이 박혀 있어서 추가 부품으로서 제2 요소는 필요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 6a와 도 6b로 추가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요소 및 제2 요소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하는 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를, 도 7b는 경사진 상태로 전방쪽으로 응력을 받는 상태를, 도 7c는 수직으로 응력을 받는 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8a 내지 도 8d로서 개량된 운동화 밑창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9a 내지 도 9e로서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도 7의 층을 추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밑창
2 운동화
3a 제1 요소, 중공 요소
3b 제2 요소, 플랫폼형 요소
4 중간창
4.1 중간창의 표면
4.2 중간창 내의 오목부
5 지면
6 층
6a 층(6)의 제1 요소
6b 층(6)의 제2 요소
P1 발을 내디딜 때의 응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P2 밀어낼 때의 응력을 나타내는 화살표
h1 층(6) 전체의 높이
h2 제2 요소(6b)의 높이
우선, 도 1에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꼭 바람직한 실시예라고는 할 수는 없지만 이 실시예에 의해 개량된 사항이 잘 표현되어 있다.
도 1은 개량된 밑창(1)이 장착된 운동화(2)를 나타내고 있다. 밑창(1)은 WO 03/102430에 이미 개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다수의 제1 요소인 프로파일형 중공 요소(3a)와 다수의 제2 요소인 플랫폼형 요소(3b)로 형성되어 있다. 중공 요소(3a)는 그 높이가 예를 들어 15mm 정도이고, 플랫폼형 요소(3b)의 높이는 예를 들어 10mm 정도이다. 중공 요소(3a) 뿐만 아니라 제2 요소(3b)는 운동화(2)의 폭 전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들 요소는 서로에 대해 나란히 여러 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형 요소(3b)는 적어도 일부가 고리 모양으로 된 각각의 또는 다수의 중공 요소(3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3a, 3b)은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해 운동화(1)의 중간창(4)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중공 요소(3a)는 달리는 중에 발생하는 응력하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된다. 제2 요소(3b) 뿐만 아니라 중간창(4)도 또한 특정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중공 요소(3a)와 비교하여서는 본질적으로 단단하고, 특히 접선방향으로의 변형에 대해 단단하다. 또한 플랫폼형 요소(3b)에 비하여 중공 요소(3a)의 높이는 더 높아서, 아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위에서 제공되는 정의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중공 요소(3a)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에 의한 특정 영역"을 형성한다. 만일 다수의 중공 요소(3a)가 서로에 대해 옆에 배치되면, 이 중공 요소들은 이 영역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플랫폼형 제2 요소(3b)에 대해서도 유사하며, 이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요소에 의한 특정 영역"을 형성한다. 그 결과, 밑창의 길이방향으로, 발바닥의 볼 부분뿐만 아니라 뒤꿈치 영역에서 상이한 영역이 교대로 반복된다. 만일 플랫폼형 제2 요소(3b)가 적어도 일부가 고리모양으로 된 각각의 또는 다수의 중공 요소(3a)를 둘러싸고 있다면, 추가적으로 서로에 대해 그 안에서 혼합된 상이한 영역이 밑창면에 배치된다.
만일 운동화 밑창(2)이 예를 들어 도 1b에서 도시된 것처럼 생성되면, 응력 화살표(P1)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전방 쪽으로 경사진 상태로 응력을 받는 스텝이 취해질 때, 처음에는 돌출된 중공 요소(3a)만이 지면(5)과 접촉하게 되고 응력을 탄성적으로 완화시키면서 수직 및 수평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중공 요소(3a)가 제2 요소와 같은 높이로 정렬되자마자 인접하는 플랫폼형 제2 요소(3b)에 의해 제한된다. 이때로부터, 플랫폼형 제2 요소는 응력의 대부분을 받게 되는데, 이미 언급한 것처럼 더 단단하기 때문에, 지면(5)에 대하여 운동화가 접선방향으로 크게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동화를 착용한 사람은 지면에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거리의 손실을 없이 다음 스텝을 수행하기 위해 도 1c의 위치로부터 밀어낼 수 있다. 이는 플랫폼형 제2 요소가 밀어내는 동안 화살표(P2)로 표시된 새로운 응력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변형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도면으로서, 도 2는 도 1의 중공 요소(3a)들 중 하나와 플랫폼형 요소(3b)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a에서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를, 도 2b에서는 접선방향의 응력을 받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c에서는 수직 또는 수직 하방으로의 변형이 도시되어 있고, 이로부터 정확하게 수직으로 응력이 가해질 때 위에서 설명한 안정성 및 거리의 손실없이 밀어내는 동작에 대한 장점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밑창에 있어서, 중공 요소(3a)는 필요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하며, 반면 플랫폼형 요소(3b)는 중공 요소(3a)의 변형 정도를 제한하고 이에 의해 접선방향 변형이 제한된 최대 변형을 넘지 못하도록 밑창에 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두 가지 기능이 상이한 요소들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에 대하여 배치상의 자유도가 더 크게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및 제2 요소에 대해 상이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중공 요소(3a)는 또한 WO 03/102430의 경우에서처럼 하중을 받는 상태에서 더 이상 고정된 마찰 접속을 할 필요가 없고, 일반적으로 응력을 훨씬 덜 받게 된다. 무엇보다도, 중공 요소들은 모든 동하중을 지탱할 필요가 없고, 어느 정도 변형되면 응력이 제2 요소(3b)에 의해 줄어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면에 접촉하게 되는 제2 요소(3b)의 표면이 선택적으로 그 표면의 특징적 성질에 의해 지면에 대해 우수한 접지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공 요소(3a)는 "감쇠 요소"로서의 특징을 가지며 플랫폼형 요소(3b)는 지 지 요소로서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도 1a와 같은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와 도 1b의 상태 사이에 매우 큰 변형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플랫폼형 요소(3b)에 대해 중공 요소(3a)의 수직 돌출부가 20% 이상 또는 심지어 50%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자는 "구름 위에 있는 것처럼" 떠 있을 수 있지만, 흔들거리는 불안정한 느낌은 갖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하여, 제1 요소(3a) 및/또는 제2 요소(3b)는 예를 들어 접선방향의 힘, 즉 전단력 때문에 상당히 높은 교대로 일어나는 부하를 받는다. 접착에 의해 단단히 부착된 경우라도, 상기 요소들은 결국에는 중간창(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중공 요소(3a)와 두 개의 플랫폼형 요소(3b)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박아넣음으로써, 또한 선택적으로 중간창(4) 내에 제1 요소(3a) 및/또는 제2 요소(3b)를 고정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중공 요소(3a)만이 중간창(4)에 박혀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반면에, 두 개의 제2 요소(3b)는 중간창(4)과 일체로 구성되어 중간창에 직접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공 요소(3a)는 열장이음(dovetail)식 연결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중간창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5a에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도 5b에는 응력을 받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공 요소(3a)는 중간창(4)에 매우 깊이 박혀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요소(3b)와 같은 플랫폼형의 돌출된 제2 요소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아니하며 따라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조에서, 중간창(4)의 "일반" 표면(4.1)은 앞에서 설명한 제2 요소(3b)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중공 요소(3a)는 "오목하게", 즉 오목부(4.2) 내에서 경사지게 변형될 수 있고, 오목부내에 중공 요소가 배치되며, 중공요소가 중간창의 표면(4.1)과 일렬로 배열될 때까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오목부(4.2)는 충분히 넓게 구성되어야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유형에 대한 변형예를 추가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이 변형예에 대해서 제1 요소(3a)는 또한 중간창에 비교적 깊히 박혀 있고 중간창(4)의 "일반" 표면(4.1)은 앞서 설명한 제2 요소(3b)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의 각각의 변형예는 제1 요소(3a)의 구성만 상이하다. 도 6의 좌측에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최대 변형 상태에서 응력을 받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의 구성에 대해, 예를 들어 경사진 상태로 또는 접선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제1 요소(3a)는 핀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4.2)는 여기에서 예를 들어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a의 하부에 두 개가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둘레 전체에 대해 오목부의 엣지는 핀(3a)과 동일한 거리로 떨어져 있고, 핀은 오목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도 6b의 구성에 대해, 변형가능한 요소(3a)는 작은 튜브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이는 중간창(4)에 수직하는 축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다른 점에서는 구성 및 표현이 도 6a와 동일하다.
도 7a에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물질로 된 층(6)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제1 요소(6a)와 제2 요소(6b)는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번갈아가면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층(6)은 단일품으로 그리고 큰 물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요소(6a)와 제2 요소(6b)가 동일한 순서로 도면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제1 요소가 네 개의 제2 요소에 의해 둘러싸이고, 각각의 제2 요소가 네 개의 제1 요소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가 형성된다. 제1 요소 및 제2 요소는 또한 이미 논의한 것처럼 서로에 대해 다시 혼합된다. 도 8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 이러한 층의 조각들은 접착에 의해 예를 들어 운동화 밑면에 또는 도 1의 운동화(2)의 중간창(4)의 밑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요소(6a)는 끝이 잘린 원뿔형태이며 속이 빈 중공형태이고, 속이 채워져 있고 또한 끝이 잘린 원뿔형태로 된 요소(6b) 보다 약간 더 높다. 앞에서 기술한 제1 요소(3a)와 같이, 제1 요소(6a)는 비교적 부드럽고 접선방향으로 앞뒤로 또한 수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회전 대칭적인 형태 때문에, 제1 요소(6a)는 모든 방향에 대해 동일하게 접선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는 필요한 스테핑 동작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이점이 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2 요소(6b)는 본질적으로 단단하고, 기능적으로 앞서 기술한 제2 요소(3b)에 대응한다. 요소(6a, 6b)는 요소(3a, 3b)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층(6)의 높이(h1), 즉 제1 요소(6a)의 높이는 8 내지 12 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mm일 수 있고, 제2 요소(6b)의 높이(h2)는 4 내지 8 mm, 바람직하게는 6 mm일 수 있다.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의 과도 영역의 층(6)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mm이고, 제1 요소(6a)의 바닥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2 mm 보다 크다. 제1 요소(6a)와 제2 요소(6b)의 중심 사이의 수평거리는 예를 들어 10 내지 20 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mm이다.
도 7b에는, 지면(5)에서 경사지게 하중을 받는 층(6)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요소(6a)는 이 하중하에서 수직으로, 그러나 접선방향 또는 수평으로 변형되어 있고, 또한 제2 요소(6b)에 대해 더 이상 돌출되어 있지 않다. 제1 요소(6a)가 더 변형되는 것은 제2 요소(6b)에 의해 방지된다. 제1 요소와 제2 요소의 거리는 바람직하게 제1 요소(6a)가 도시된 것과 같이 변형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선택된다. 최대 변형 상태에 도달하기 이전의 접선방향의 변형 정도는 수직방향의 변형보다 더 크고, 위에서 주어진 치수에 대해 절대적으로 적어도 5 mm정도는 된다.
도 7c에, 수직 하중을 받는 층(6)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요소(6a)의 탄성은 최대 변형이 약 1 kg 내지 10 kg의 하중에서 발생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 값은 요소의 수와 밑창 표면의 배열상태(국부적인 밀도)와, 필요한 감쇠도와, 달리는 사람의 무게에 따라 달라진다. 사람의 무게(선택적으로는 동적하중)에 의해, 달리는 사람은 적어도 밀어내는 동작을 하는 동안 최대 변형을 초래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개량된 밑창에 대한 있을 수 있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며, 또한 이에 대응하여 요소(3a)의 유형으로 된 요소에도 또한 적용된다. 작은 신발 크기(체중이 가벼운 달리는 사람)과 더 큰 신발 크기(체중이 무거운 달리는 사람)에 대하여, 상이하게 적용되거나 상이하게 제1 요소(3a, 6a)가 선택되어야 한다. 요소(3a) 유형의 제1 요소에 대해, 뒤꿈치와 발의 볼 부분에 분포된 요소의 수는 8 내지 15개면 보통 충분하다. 크기가 더 작기 때문에, 요소(6a) 유형의 제1 요소는 보통 20 개 이상이 필요하다.
도 7의 층(6)의 제1 요소(6a) 및 제2 요소(6b)의 모양 및 서로에 대한 배열상태와 관련하여 구조적으로 허용되는 여유가 더 있다. 예를 들어,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요소(6b)는, 연장된 립(rib),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플랫폼,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이 도면의 평면에 수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심지어 제2 요소(6b)는 밀착된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여기에서 제1 요소(6a)는 도 8d에 도시된 것처럼 분산된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기하학적 구조로 볼 때,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요소(6a)는 제2 요소(6b)와 혼합되어 배치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제2 요소(6b) 사이에 박혀 있고,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높은 마모도를 갖는 과도한 하중에 대해 보호된다. 각각의 스테핑 작용에 따라, 제1 및 제2 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밀접한 간격으로 그리고 순간적인 시퀀스로 응력을 받고, 따라서 밑창의 동작과 달리는 느낌은 항상 두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제1 요소와 제2 요소가 혼합되어 분포되어 있는 것은 발의 앞부분과 뒤꿈치 영역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뒤꿈치와 발의 볼 부분 사이의 중간 영역에는, 제1 요소와 제2 요소가 보통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보통 대부분의 경우 발의 볼과 뒤꿈치 영역에서만 각각의 경우에 층(6)이 별도로 배치되어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그 대신에, 즉 신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단하는 분할부에 더하여, 길이방향 분할부가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네 개의 층(6)을 갖는 길이방향 및 횡단 분할부는 도 8c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표준 요소를 가지고 상이한 신발 크기에 맞추어질 수 있 고, 이들은 간단하게 적절히 배치되며, 특히 서로 더 가깝게 또는 서로 더 멀리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상이한 성질을 갖는 상이한 층들이 상이한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요소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영역들은 제1 요소(6a)와 제2 요소(6b)를 각각 갖는 도 8의 실시예에서 동등하게 취급될 수 있다. 도 8b의 예에서, 횡단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옆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제1 요소(6a)들은 또한 단지 하나의 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거꾸로, 도 8d의 예에서 밀착되어 통일된 표면(6b)은 다수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이 다수의 영역은 제1 요소(6a)에 의해서 또는 이 요소로 형성된 영역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되어 있다.
층(6)에 있어서 있을 수 있는 다른 구조들이 도 9a 내지 도 9e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된다.
층(6)에 대해,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요소(6a)는 도 7의 요소에 대응한다. 제2 요소(6b)에는 직사각형 단면이 제공된다.
이 층에 대해,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요소(6a)는 속이 채워진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이들 제1 요소는 더 가는 목 위에 두꺼운 헤드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모든 방향의 옆방향으로 그리고 접선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대해,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요소(6a)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마디(6aa)로 형성되어 있고, 이 마디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박 막(6ab) 유형에 대해 제2 요소(6b)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수단에 의해, 수직으로 뿐만 아니라 거의 동일한 정도로 수평으로 편향될 수 있다.
변형된 예로서, 도 9e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탄성층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적어도 외부층은 연속적이고 오목부를 제외하고 비교적 평평하다. 오목부는 내부층의 거의 맞은편에 있는 비슷한 돌출부와 함께 제1 요소(6a)를 형성한다. 또한, 버퍼의 형태의 오목부에 의하면, 상이한 제1 요소(6a)가 동시에 상이한 방향으로 접선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2 요소(6b)는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오목부와 플랫폼 또는 립 사이의 외부층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명세서의 범위 내에서, 있을 수 있는 실시예 중 일부만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이 있을 수 있고, 이는 특히 설명한 예들의 혼합된 형태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뒤꿈치 영역 및 볼 영역을 가지는 밑창으로서,
    상기 밑창은, 상기 뒤꿈치 영역 및 볼 영역에서,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요소들 및 제2 영역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길이방향 및 횡단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요소는 상기 제1 요소들이 흩어져 배치되는 하나의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요소들은 상기 면의 오목부에 배치되어 상기 면에 대하여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제1 요소들은 수직방향 및 모든 접선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하중의 작용하에 오목부 내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요소는 상기 제1 요소보다 단단하게 형성되어, 하중의 작용하에 상기 제1 요소들의 변형을 제한하여 최대 변형을 한정하는 강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요소들은 중공형으로 수직 압력에 의해 상기 최대 변형까지 변형 가능하며,
    상기 밑창은 상기 제1 요소들의 변형에 의해 수직방향 및 접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상기 밑창의 변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요소에 의해 상기 최대 변형 이하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는 상기 최대 변형에서 상기 제2 요소와 말단이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소는 상기 제1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최대 변형에 도달하기 전에는 응력을 받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요소는 중간창의 밑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는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 대칭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는 상기 최대 변형에 도달할 때까지 접선방향의 변형 정도가 적어도 수직방향의 변형 정도와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요소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된 층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된 층의 최대 높이인 제1 요소의 높이 h1은 8 내지 12mm이고, 상기 제2 요소의 높이 h2는 4 내지 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운동화용 밑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KR1020077021706A 2005-02-24 2006-02-23 접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밑창 Active KR101276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272005 2005-02-24
CH327/05 2005-02-24
PCT/CH2006/000114 WO2006089448A1 (de) 2005-02-24 2006-02-23 Laufsohle mit tangentialer verformbark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577A KR20070106577A (ko) 2007-11-01
KR101276771B1 true KR101276771B1 (ko) 2013-06-20

Family

ID=3507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706A Active KR101276771B1 (ko) 2005-02-24 2006-02-23 접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밑창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80209766A1 (ko)
EP (1) EP1858358B1 (ko)
JP (1) JP5398144B2 (ko)
KR (1) KR101276771B1 (ko)
CN (2) CN106923439A (ko)
CA (1) CA2597987C (ko)
ES (1) ES2523886T3 (ko)
MX (1) MX2007011043A (ko)
RU (1) RU2385140C2 (ko)
WO (1) WO2006089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3730B1 (en) * 2009-04-02 2018-05-23 NIKE Innovate C.V. Traction elements
KR101131280B1 (ko) * 2009-05-21 2012-03-30 권혁수 O형, x형 다리의 예방 및 체중맞춤형 쿠션신발
US8671589B2 (en) * 2009-12-22 2014-03-18 K-Swiss, Inc. Shoe sole having forwardly and rearwardly facing protrusions
FR2962630B1 (fr) * 2010-07-15 2012-08-17 Salomon Sas Chaussure a semelage ameliore
CH703926A1 (de) * 2010-10-07 2012-04-13 Glide N Lock Gmbh Laufsohle.
RU2493756C2 (ru) * 2011-06-20 2013-09-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заочный институт текстильной и лег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ей обуви
GB2499416A (en) * 2012-02-15 2013-08-21 Healus Ltd Footwear with sole formed from a hard upper section and a lower compressible section
US9629415B2 (en) * 2012-07-24 2017-04-2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388687B1 (ko) * 2012-10-19 2014-04-24 박영설 보행시 아킬레스건의 단련이 가능한 하이힐
US9622540B2 (en) 2013-06-11 2017-04-18 K-Swiss, Inc.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WO2015073645A1 (en) * 2013-11-15 2015-05-21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self-cleaning surface
WO2015073631A1 (en) * 2013-11-15 2015-05-21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having ground surface material accumulation prevention structure
US9775408B2 (en) * 2014-12-09 2017-10-03 Nike, Inc. Footwear with auxetic ground engaging members
US9681703B2 (en) 2014-12-09 2017-06-20 Nike, Inc. Footwear with flexible auxetic sole structure
US9901135B2 (en) 2014-12-09 2018-02-27 Nike, Inc. Footwear with flexible auxetic ground engaging members
FR3029749B1 (fr) * 2014-12-16 2017-07-28 Damart Serviposte Semelle exterieure de chaussure comportant dans la partie avant des plots en saillie et elastiquement deformables
CH711110A2 (de) * 2015-05-20 2016-11-30 On Clouds Gmbh Sohlenkonstruktion für einen flexiblen Schuh.
US10058145B2 (en) * 2016-03-04 2018-08-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sole structure with a central sensory node element
RU2710629C1 (ru) * 2016-03-16 2019-12-30 Аркистар Срл Обувная подошва
DE112018000551T5 (de) * 2017-02-27 2019-10-10 Mizuno Corporation Sohlenstruktur und Schuhe mit einer solchen Sohlenstruktur
US20200128913A1 (en) * 2018-10-31 2020-04-30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with active gripping outsole
USD888391S1 (en) 2018-10-31 2020-06-30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sole
CN109480386B (zh) * 2019-01-03 2024-08-06 李宁(中国)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鞋底组件及鞋
US12102174B2 (en) * 2019-11-05 2024-10-01 Nike, Inc. Foot support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multiple flexible projections at the ground-facing surface
KR102298592B1 (ko) * 2019-12-31 2021-09-06 황혜미 접지력이 향상된 다목적 신발밑창
USD1055484S1 (en) * 2020-12-01 2024-12-31 Qiqi Shi Sole
WO2025078012A1 (de) 2023-10-12 2025-04-17 Hans Georg Braunschweiler Laufsohle mit dämpfungselementen, schuh mit einer laufsohl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aufsoh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6455A2 (en) * 1983-05-19 1984-11-28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emulsion
US4541185A (en) * 1983-09-26 1985-09-17 Chou Jin Jong Game sho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4782A (en) * 1921-07-05 1925-02-03 Woodmilne Ltd Footwear
US2985971A (en) * 1960-08-24 1961-05-30 Steven A Murawski Flexible resilient footwear
US3299544A (en) * 1965-12-20 1967-01-24 Ripple Sole Corp Shoe heel
FR2088626A5 (ko) * 1970-04-20 1972-01-07 Paritzky Ets
CH611140A5 (ko) * 1975-06-09 1979-05-31 Dassler Puma Sportschuh
US4223456A (en) * 1979-01-05 1980-09-23 Jacques Cohen Shoe sole assembly
US4319412A (en) * 1979-10-03 1982-03-16 Pony International, Inc. Shoe having fluid pressure supporting means
SU971240A1 (ru) * 1980-06-10 1982-11-07 Ganshin Nikolaj Обувь
US4547978A (en) * 1982-02-05 1985-10-22 Clarks Limited Footwear
US4670997A (en) * 1984-03-23 1987-06-09 Stanley Beekman Athletic shoe sole
US5313718A (en) * 1988-10-07 1994-05-24 Nike, Inc. Athletic shoe with bendable traction projections
JPH0622481B2 (ja) * 1991-03-08 1994-03-3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 底
US5224279A (en) * 1991-06-17 1993-07-06 James Agnew Athletic shoe sole design and construction
CN2163548Y (zh) * 1993-03-17 1994-05-04 刘宸 薄步行省力鞋底
FR2709929A1 (fr) * 1993-09-13 1995-03-24 Inova France Semelle antidérapante.
GB2285569A (en) * 1994-01-13 1995-07-19 Moss Hayes Richard Vere Twin grip trainer soles
US6266897B1 (en) * 1994-10-21 2001-07-31 Adidas International B.V. Ground-contacting systems having 3D deformation elements for use in footwear
IT1275516B (it) * 1995-07-12 1997-08-07 Vibram Spa Suola sportiva a stabilita' maggiorata in un sol pezzo
IT1287224B1 (it) * 1996-03-29 1998-08-04 D B A S R L Suola per calzature
US5761832A (en) * 1996-04-18 1998-06-09 George; Gary F. Athletic shoe having radially extending ribs
JPH09285308A (ja) * 1996-04-19 1997-11-04 ▲広▼居 喬 耐滑性を有するゴム製構造物
IT1291138B1 (it) * 1997-04-11 1998-12-29 Onifares Elpidio Squadroni Suola antiurto autopulente per calzature aerate
JPH11137305A (ja) * 1997-11-11 1999-05-25 Bridgestone Sports Co Ltd スポーツシューズ
DE29818243U1 (de) * 1998-10-13 1999-01-28 Krüger, Peter-Christian, Dr., 22527 Hamburg Schuhlaufwerk
US6041522A (en) * 1999-05-26 2000-03-28 E.S. Originals, Inc. Shoe structure with midsole channel between metatarsal and heel bulges
JP2002282008A (ja) * 2001-03-28 2002-10-02 Sumitomo Rubber Ind Ltd アウトソ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靴
JP2002300902A (ja) * 2001-04-04 2002-10-15 Sumitomo Rubber Ind Ltd アウトソ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靴
JP3831686B2 (ja) * 2001-06-07 2006-10-11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シューズのソール組立体
CN1658773B (zh) * 2002-06-06 2010-09-08 格莱登制锁有限公司 外底
US7181866B2 (en) * 2002-06-06 2007-02-27 Glide'n Lock Gmbh Outso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6455A2 (en) * 1983-05-19 1984-11-28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emulsion
US4541185A (en) * 1983-09-26 1985-09-17 Chou Jin Jong Game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7011043A (es) 2007-11-22
JP2008531092A (ja) 2008-08-14
EP1858358A1 (de) 2007-11-28
KR20070106577A (ko) 2007-11-01
JP5398144B2 (ja) 2014-01-29
CA2597987A1 (en) 2006-08-31
US20120167412A1 (en) 2012-07-05
US20080209766A1 (en) 2008-09-04
ES2523886T3 (es) 2014-12-02
RU2007135172A (ru) 2009-03-27
CN106923439A (zh) 2017-07-07
CA2597987C (en) 2011-11-15
WO2006089448A1 (de) 2006-08-31
CN101128131A (zh) 2008-02-20
RU2385140C2 (ru) 2010-03-27
EP1858358B1 (de)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771B1 (ko) 접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밑창
CA2488274C (en) Outsole
FI71866C (fi) Sulkonstruktion foer sportsko.
US7181866B2 (en) Outsole
CA2810449C (en) Outsole
US4890397A (en) Shoe for sports involving running
EP3412255B1 (en)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with plural cushioning members
US8074377B2 (en) Shoe sol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CN102083335B (zh) 具有形成离散凸块的沟槽的外底
US7886460B2 (en) Shoe
JPS649002B2 (ko)
US20140053429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Elongated Shock Absorbing Heel System
US20100307028A1 (en) Shoe
US20110289799A1 (en) Shoe outsole having tubes
JPS5990502A (ja) 運動靴の外底と運動靴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KR101298196B1 (ko)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JPS63311903A (ja) 靴底
KR100518307B1 (ko) 신발
KR200444068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100763138B1 (ko) 미끄럼에 대응하는 호형신발창
KR101162721B1 (ko) 아웃솔
KR20100000471U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JP3030291U (ja) ゴルフシューズの靴底
KR19980015070U (ko) 운동화의 완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