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6398B1 - 패턴을 갖는 발열층 형성을 위한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패턴을 갖는 발열층 형성을 위한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398B1
KR101276398B1 KR1020100101578A KR20100101578A KR101276398B1 KR 101276398 B1 KR101276398 B1 KR 101276398B1 KR 1020100101578 A KR1020100101578 A KR 1020100101578A KR 20100101578 A KR20100101578 A KR 20100101578A KR 101276398 B1 KR101276398 B1 KR 101276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teering wheel
heating
pattern
pa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054A (ko
Inventor
정용배
예성훈
이민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10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3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3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40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e.g. golf balls, candles, wine c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01Pad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발열체의 전면에서 안정적인 발열 구현을 위한 전도성 발열 도료의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발열 도료의 패드 프린트 방법은 (a) 성형 제품의 표면에 대응하는 패드를 마련하는 단계, (b) 전도성 발열 도료가 패턴을 가지며 처리된 이미지 판에 상기 패드를 접촉시켜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를 상기 패드의 표면에 묻히는 단계 및 (c) 상기 패드의 표면을 상기 성형 제품에 접촉시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턴을 갖는 발열층 형성을 위한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 {PAD PRINT METHOD FOR FORMING HEATING LAYER HAVING PATTERN AND HEATED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패턴을 갖는 발열층 형성을 위한 전도성 발열 도료의 패드 프린트 방법 및 상기 패드 프린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열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드 프린트 방법을 이용하여 전도성 발열 도료를 성형 제품에 인쇄할 때 피인쇄부의 전면에 인쇄를 하는 것이 아닌 패턴을 부여하여 인쇄하는 패드 프린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과 같은 3차원의 굴곡을 갖는 성형 제품의 표면에 발열 특성을 구현하는 경우, 발열이 가능한 코일을 감아서 발열 특성을 구현하거나, 전도성 발열 물질을 인쇄하여 발열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발열 코일을 이용하여 발열 특성을 구현하게 되면 부분적인 온도 제어가 어렵고, 특히 어느 한곳이 단락 되면 발열체 전면이 발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성형 제품 표면에 전도성 발열 물질을 인쇄하여 발열 특성을 구현하는 경우, 기존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발열층을 형성하게 되면 원료의 손실(loss)이 많고 발열이 필요한 부위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의 발열층이 안정적인 발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패드 프린트를 이용하여 전도성 발열 도료를 인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 구현 특성이 우수한 발열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발열도료의 패드 프린트 방법은 (a) 성형 제품의 표면에 대응하는 패드를 마련하는 단계, (b) 전도성 발열 도료가 패턴을 가지며 처리된 이미지 판에 상기 패드를 접촉시켜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를 상기 패드의 표면에 묻히는 단계 및 (c) 상기 패드의 표면을 상기 성형 제품에 접촉시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림(rim)부 형상을 따라 마련된 허브 코어(hub core), 상기 허브 코어를 감싸며 형성되는 합성수지 층, 상기 합성수지 층의 외부면에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패드 프린트 방법으로 전도성 발열 도료가 인쇄된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발열 도료의 패드 프린트 방법은 3차원 굴곡을 갖는 성형 제품에 전도성 발열 도료를 인쇄할 때 패턴을 주어 인쇄함으로써 발열부의 국부 발열을 방지할 수 있고, 원가의 개선 및 원하는 부분의 온도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스티어링 휠은 발열층이 패드 프린트 방법으로 패턴을 가지며 인쇄됨으로써, 림 부 전면에서 안정적인 발열이 일어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 프린트 방법에서 패드와 이미지 판, 패턴을 갖는 전도성 발열 도료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패드와 이미지 판이 접촉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패드를 상승시켜 전도성 발열 도료를 이미지 판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전도성 발열 도료가 묻은 패드와 스티어링 휠의 림 부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패드를 하강시켜 스티어링 휠의 림 부와 접촉시켜 인쇄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패드를 상승시켜 스티어링 휠의 림 부와 분리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스티어링 휠 림 부 내의 발열층이 패턴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도시된 발열 스티어링 휠 림 부의 A - A'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발열 도료의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발열 도료의 패드 프린트 방법은 (a) 성형 제품의 표면에 대응하는 패드를 마련하는 단계, (b) 전도성 발열 도료가 패턴을 가지며 처리된 이미지 판에 상기 패드를 접촉시켜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를 상기 패드의 표면에 묻히는 단계 및 (c) 상기 패드의 표면을 상기 성형 제품에 접촉시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드 프린트 방법에서 패드(10)와 이미지 판(20), 패턴을 갖는 전도성 발열 도료(21)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패드(10) 및 패드 프린트 장치는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패드(10)는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성 고무 또는 탄성 중합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패드(10)는 경도가 5~45 Duro(Durometer)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10)의 경도가 5 Duro 미만이면 성형 제품의 3차원 굴곡부를 인쇄할 때 패드(10)가 너무 늘어나고, 패턴이 뭉개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10)의 경도가 45 Duro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패드(10)가 피인쇄부(특히, 3차원 형상)를 모두 커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드 프린트는 성형 제품의 외장 장식을 위한 인쇄 기법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패드 프린트 장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당 업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패드(10)는 특유의 재질 및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 단계는 성형 제품의 표면에 대응하는 패드(10)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패드(1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을 포함하여 제작되고 5~45 Duro 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 제품은 3차원의 굴곡을 갖는 성형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b)단계는 전도성 발열 도료가 패턴을 가지며 처리된 이미지 판(20)에 상기 패드(10)를 접촉시켜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21)를 상기 패드(10)의 표면에 묻히는 단계이다.
도시된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판(20) 상에 패턴을 가지며 처리된 전도성 발열 도료(2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미지 판(20)은 음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발열 도료(21)가 상기 음각에 패턴을 가지며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이미지 판(20) 상에 상기 패드(10)를 접촉시키면 전도성 발열 도료(21)가 패드(10)에 묻게 되며 상기 패드(10)를 들어올리면 전도성 발열 도료(21)가 패드(10)의 표면에 묻어서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전이 효과는 패드(10)와 전도성 발열 도료(21)의 표면 성질 차이에 기인한다.
도 1에는 격자무늬를 갖는 패턴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패턴은 다양한 모양 및 선폭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패턴은 선, 마름모, 격자, 원형, 그리드, 2 차원 그리드, 물결무늬 및 사인곡선(Sine wave)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c) 단계는 상기 패드(10)의 표면을 상기 성형 제품에 접촉시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21)를 인쇄하는 단계이다.
도 4는 전도성 발열 도료(21)가 묻은 패드(10)와 스티어링 휠의 림 부(30) 단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패드(10)를 하강시켜 스티어링 휠의 림 부(30)와 접촉시켜 인쇄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6은 패드(10)를 상승시켜 스티어링 휠의 림 부(30)와 분리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5,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드 프린트 방법은 상기 패드(10)를 스티어링 휠의 림 부(30)와 같은 피인쇄체(성형 제품)에 접촉시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를 인쇄한다.
본 발명의 전도성 발열 도료(21)는 페이스트 형태의 발열 도료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21)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발열 도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성 발열 도료(21)에는 카본 블랙, 탄소섬유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소섬유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21)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니켈, 구리, 은 또는 크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스티어링 휠 림 부 내의 발열층이 패턴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도시된 발열 스티어링 휠의 A - A'단면도이다.
도시된 도 7,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림(rim)부 형상을 따라 마련된 허브 코어(hub core) 상기 허브 코어를 감싸며 형성되는 합성수지 층, 상기 합성수지 층의 외부면에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패드 프린트 방법으로 전도성 발열 도료가 인쇄된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은 발열 스티어링 휠의 림 부 6시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에는 전원이 연결되어 발열층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극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점착처리가 되어진 구리(Cu) 박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아크릴계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은 은(Ag) 페이스트가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구리와 은 페이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발열 스티어링 휠의 림 부 단면도를 살펴보면, 허브 코어(1), 합성수지 층(2), 발열층(3)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허브 코어(1)는 스틸(steel)재질의 강을 롤 성형하여 만들거나 또는 마그네슘(Mg)을 사출 성형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허브 코어(1)는 핸들의 림 부의 골격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공지의 차량용 허브 코어라면 제한 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 층(2)은 상기 허브 코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합성수지 층(2)은 차량용 핸들에 있어 허브 코어를 감싸는 공지의 커버 용도의 구성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수지 층(2)은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발포성형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층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가 포함되며 우드 그레인을 갖는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폴리우레탄과 ABS 수지 모두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발열층(3)은 상기 합성수지 층(2)의 외부면 전면에 전도성 발열 도료가 패턴을 가지며 패드 인쇄되어 형성된다. 상기 발열층(3)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전류를 공급받은 발열층(3)은 전류가 흐름으로써 열이 발생되어 스티어링 휠 림 부 전면에 발열을 하게 된다.
도 7은 스티어링 휠 림 부 내의 발열층이 패턴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는 스티어링 휠은 완성품을 나타낸 것이며, 림 부를 확대한 부분은 내부의 발열층이 패턴을 가지며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도 7을 참조하면 발열층이 격자 무늬 패턴을 가지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열층(3)이 패턴을 통해 형성되면, 성형 제품의 전면에 전도성 발열 도료를 인쇄할 필요가 없으므로 원료가 절감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스티어링 휠의 발열층(3)은 공지의 전도성 발열 도료를 본 발명에 따른 패드 프린트 방법으로 인쇄하여 형성된다.
상기 발열층(3)은 카본 블랙, 탄소 섬유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이나 탄소섬유를 포함하고, 바인더와 첨가제, 용제 등을 조성으로 한 페이스트를 제작하여 발열층(3)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섬유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수 내지 수 백 나노미터(㎚)의 직경과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의 길이를 가진 비등방성의 소재로서, 튜브의 직경이 보통 1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정도로 작기 때문에 나노 튜브라 불린다.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전기전도 특성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발열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여 발열층을 형성하는 페이스트를 제작하는 경우, 금속 등이 도핑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고, 탄소나노튜브와 금속분말을 함께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제작하여 발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층(3)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니켈, 구리, 은 또는 크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들은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금속을 포함한 발열층(3)은 보다 우수한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1 : 허브 코어
2 : 합성수지 층
3 : 발열층
10 : 패드
20 : 이미지 판
21 : 전도성 발열 도료
30 : 스티어링 휠 림 부 단면

Claims (12)

  1. (a)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표면에 대응하는 패드로서, 실리콘을 포함하고, 경도가 5 ~ 45 duro인 패드를 마련하는 단계;
    (b) 전도성 발열 도료가 선, 마름모, 격자, 원형, 그리드, 2 차원 그리드, 물결무늬 및 사인곡선(Sine wave)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된 패턴을 가지며 처리된 이미지 판에 상기 패드를 접촉시켜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를 상기 패드의 표면에 묻히는 단계; 및
    (c) 상기 패드의 표면을 상기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접촉시켜 상기 전도성 발열 도료를 패턴을 주어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발열 도료의 패드 프린트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림(rim)부 형상을 따라 마련된 허브 코어(hub core);
    상기 허브 코어를 감싸며 형성되는 합성수지 층;
    상기 합성수지 층의 외부면에 형성되며 제1항의 방법으로 전도성 발열 도료가 패턴을 가지면서 인쇄된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발열 스티어링 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은(Ag) 페이스트, 구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티어링 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층은
    폴리우레탄, ABS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티어링 휠.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카본 블랙, 탄소섬유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티어링 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티어링 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티어링 휠.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니켈, 구리, 은 또는 크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티어링 휠.
KR1020100101578A 2010-10-18 2010-10-18 패턴을 갖는 발열층 형성을 위한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 Expired - Fee Related KR101276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578A KR101276398B1 (ko) 2010-10-18 2010-10-18 패턴을 갖는 발열층 형성을 위한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578A KR101276398B1 (ko) 2010-10-18 2010-10-18 패턴을 갖는 발열층 형성을 위한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054A KR20120040054A (ko) 2012-04-26
KR101276398B1 true KR101276398B1 (ko) 2013-06-19

Family

ID=4614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5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6398B1 (ko) 2010-10-18 2010-10-18 패턴을 갖는 발열층 형성을 위한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046A (ko) 2018-10-31 2020-05-11 주식회사 서연이화 레이저 반응층을 포함한 자동차용 내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0037A (zh) * 2014-12-10 2016-07-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平面图案的制取方法、钢板图案的加工方法和钢板
WO2020218641A1 (ko) * 2019-04-25 2020-10-29 (주)티엔케이 3d 형상을 갖는 탄소섬유 플렉서블 발열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997A (ko) * 1999-05-04 2000-12-05 김경태 자동차용 고급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방법
JP2007021941A (ja) * 2005-07-19 2007-02-01 Nissan Motor Co Ltd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品
JP2009195708A (ja) * 2008-02-21 2009-09-03 Bridgestone Sports Co Ltd 球状物に印刷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パッド
KR20100090621A (ko) * 2009-02-06 2010-08-16 (주)엘지하우시스 탄소나노튜브-금속입자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 조향핸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997A (ko) * 1999-05-04 2000-12-05 김경태 자동차용 고급 스티어링 휠 및 그 제조방법
JP2007021941A (ja) * 2005-07-19 2007-02-01 Nissan Motor Co Ltd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品
JP2009195708A (ja) * 2008-02-21 2009-09-03 Bridgestone Sports Co Ltd 球状物に印刷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パッド
KR20100090621A (ko) * 2009-02-06 2010-08-16 (주)엘지하우시스 탄소나노튜브-금속입자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 조향핸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046A (ko) 2018-10-31 2020-05-11 주식회사 서연이화 레이저 반응층을 포함한 자동차용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054A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7940A (zh) 在方向盘加热和/或感测中使用的平面柔性载体
Layani et al. Transparent conductors composed of nanomaterials
KR101276398B1 (ko) 패턴을 갖는 발열층 형성을 위한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
JP2011514647A5 (ko)
CN107439053B (zh) 用于弯曲表面的加热装置
DE102015200272A1 (de) Innenraum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nnenraumelements
US9119228B2 (en) Steering wheel including heating element
KR101048814B1 (ko) 가열요소를 가지는 스티어링휠
CN101987555A (zh) 一种用于模压镭射图案的无缝母版的制作方法
KR101249123B1 (ko) 균일한 발열을 위한 전도성 발열 도료의 패드 프린트 방법 및 발열 스티어링 휠
CN102582334B (zh) 装饰性基板及其制造方法
JP5603939B2 (ja) 炭素ナノチューブ−金属粒子複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発熱操向ハンドル
CN106550548B (zh) 一种柔性电路的激光打印成型方法
US8056381B2 (en) Device for producing patterns
KR102032332B1 (ko) 대면적 플렉시블 히팅 텍스타일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대면적 플렉시블 히팅 텍스타일
KR101128335B1 (ko)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20237723A1 (en) Film member, film molded product, film member producing method, and film molded product producing method
KR101273061B1 (ko) 균일한 발열이 일어나는 발열 핸들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4664B1 (ko) 형상기억 발열 기판
JP5339736B2 (ja) 成形用型の作製方法および成形用型
JP2005244965A5 (ko)
KR20140033481A (ko) 우드부와 피혁부에 균일한 발열이 가능한 발열 스티어링 휠 및 이의 제조방법
DE112020003946T5 (de) Hybride aufgedruckte Heizung mit optionalem PTC-Effekt
CN108995366A (zh) 用于生产具有图案的触控薄膜的系统及相应的生产方法
CN212676471U (zh) 一种pvc打印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0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