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4798B1 -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798B1
KR101274798B1 KR1020060035586A KR20060035586A KR101274798B1 KR 101274798 B1 KR101274798 B1 KR 101274798B1 KR 1020060035586 A KR1020060035586 A KR 1020060035586A KR 20060035586 A KR20060035586 A KR 20060035586A KR 101274798 B1 KR101274798 B1 KR 101274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diffusion
disposed
diff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806A (ko
Inventor
김민주
성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5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79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7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휘도를 갖고, 광 효율이 향상된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확산부에서 확산된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와, 집광부와 확산부 사이에 배치된 광 보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 파이버(Fiber), 굴절, 반사, 휘도, 광학 부재

Description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OPTICAL MEMBER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광학 부재를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스넬의 법칙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에 포함된 광 파이버에서의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 250, 350 : 광학 부재 151 : 확산 물질
153, 253, 353 : 광 파이버 155 : 프리즘 패턴
200, 3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210, 310 : 광원
230 : 도광판 270, 370 : 반사판
290, 390 : 바텀케이스
본 발명은 광학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균일한 휘도를 갖고, 광 효율이 향상된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light Assembly)를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광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광을 확산 및 집광시키는 광학시트류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시트류는 액정패널의 직하에서 상기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및 보호시트 등 다수의 시트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광학시트류는 확산을 위한 시트 및 집광을 위한 시트, 상기 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서 상기 시트들을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중 어느 하나가 얼라인 위치에서 이탈될 경우 광의 경로가 변경되거나 휘도 불균일 또는 휘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광학시트류가 구비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복수의 시트를 포함하는 상기 광학시트류의 얼라인하는 조립공정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광학시트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광학시트 사이 또는 내부에 광보정 수단을 일체로 형성하여 단가를 절감하고, 휘도 불균형을 방지하고,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광학부재,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는,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 및
상기 집광부와 상기 확산부 사이에 배치된 광 보정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는,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 및
상기 확산부 및 집광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광 보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일측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광원 측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 전면 상에 배치되고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 및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 보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면상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광원;
상기 광원의 배면 상에 배치된 반사판; 및
상기 광원 전면 상에 배치되고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 및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 보정부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광학 부재를 Ⅰ-Ⅰ'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150)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A)와, 상기 확산부(A) 내부에 다수의 광 파이버(153)가 구비된 광 보정부(B)와, 상기 확산부(A) 및 광 보정부(B) 상에 형성된 집광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학 부재(15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투명한 고분자 물질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phthalate;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셀로판,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비닐알콜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분자 물질층은 PET 또는 PMMA 재질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광학 부재(15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집광부(C) 상에 상기 집광부(C)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부(A)는 확산물질(151)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광부(C)는 확산물질(151) 상에 산과 골을 갖는 프리즘 패턴(15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집광부(C)는 프리즘 패턴(155)으로 한정하지 않고, 집광을 위한 피라미드 패턴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광 파이버(153)는 상기 확산부(A) 및 집광부(C)의 사이에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광학 부재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부(A) 또는 집광부(C)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 파이버(153)는 상기 광학 부재(150)의 배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광 파이버(15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서 상기 확산 부(A) 및 집광부(C)와 다른 매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공기와 같은 굴절률이 낮은 기체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광 파이버(153)는 광학 부재(150)의 일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연장되어 규칙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두께와 길이는 상기 광학 부재(150)의 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파이버(153)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학 부재(150) 내에서 랜덤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도시된 광 파이버(153)보다 작은 크기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광 파이버(153)는 상기 확산부(A)의 배면을 기준으로 7도 이상의 경사의 광을 스넬의 법칙에 의해 굴절시켜 상기 집광부(C)의 직하에서 광을 집광시킨다.
반면, 상기 광 파이버(153)는 상기 확산부(A)의 배면을 기준으로 7도 미만의 경사의 광을 스넬의 법칙에 의해 상기 광 파이버(153)와 확산부(A)의 경계면에서 반사시킨다.
상기 광학 부재(150)에 광 파이버(153)가 형성된 것은 상기 확산부(A) 및 집광부(C)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확산부(A) 및 집광부(C)의 측면으로 진행되어 손실되는 광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광 손실은 확산부(A)를 통과하는 광의 경로가 상기 확산부(A) 배면을 기준으로 7도 미만의 각을 갖는 광이 상기 광학 부재(150)의 측면으로 손실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7도 미만의 각을 갖는 광은 굴절률이 다른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발생 하는 광의 굴절 원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반사시킴시킴으로써, 상기 광학 부재(150)의 측면으로 진행되는 광손실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150)는 확산부(A) 및 집광부(C)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단가를 절감 시킬 수 있고, 상기 확산부(A) 및 집광부(C) 사이에 다수의 광 파이버(153)가 구비되어 상기 일체형 광학 부재(150)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광 손실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스넬의 법칙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에 포함된 광 파이버에서의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광 파이버(153)의 내부에는 고분자 물질보다 굴절률이 낮은 공기 등의 기체(157)가 함유되어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광 파이버(153)를 통과하는 광(→)은 광 파이버(153)의 접선 방향(H1)에 대해 임의의 입사각(θ1)을 갖는다.
상기 입사각(θ1)은 접선 방향(H1)을 기준으로 7도 미만의 각을 갖는다.
상기 입사각(θ1)을 광은 스넬의 법칙에 의해 굴절률이 다른 매질인 광 파이버()의 경계면에서 상기 입사각(θ1)과 동일한 반사각(θ2)으로 반사된다.
반면,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광 파이버(153)를 통과하는 광(→)은 광 파이버(153)의 접선 방향(H2)에 대해 수직한 법선(l1)으로부터 임의의 입사각(θ3)을 갖는 다.
상기 입사각(θ3)은 접선 방향(H2)을 기준으로 7도 이상의 각을 갖는다.
상기 입사각(θ3)을 갖는 광은 굴절률이 낮은 광 파이버(153) 내부의 공기를 통과하면서 스넬의 법칙에 의해 상기 입사각(θ3)보다 큰 임의의 제 1 굴절각(θ4)으로 굴절된다.
상기 굴절된 광은 접선 방향(H2)에 대해 수직한 법선(l2)으로부터 임의의 출사각(θ5)을 갖고, 상기 광 파이버(153)를 통과하면서 스넬의 법칙에 의해 상기 출사각(θ5)보다 큰 임의의 제 2 굴적각(θ6)으로 굴절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바텀 케이스(290)와 상기 바텀케이스(290)의 일측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는 광원(210)과, 상기 광원(210)의 일측면 상에 배치된 도광판(230)과, 상기 도광판(230)의 배면 상에 배치된 반사판(270)과, 상기 도광판(230)의 전면 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2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광원(210)은 냉음극 형광램프(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및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250)는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을 확산시키는 확 산부와,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부재(250)는 상기 집광부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부재(250) 내에는 광 손실을 방지하는 다수의 광 파이버(25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 파이버(253)는 상기 확산부와 상기 집광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확산부 또는 집광부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광 파이버(25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서 상기 확산부 및 집광부와 다른 매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공기와 같은 굴절률이 낮은 기체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광 파이버(253)는 상기 확산부의 배면을 기준으로 7도 이상의 경사의 광을 스넬의 법칙에 의해 굴절시켜 상기 집광부의 직하에서 광을 집광시킨다.
반면, 상기 광 파이버(253)는 상기 확산부의 배면을 기준으로 7도 미만의 경사의 광을 스넬의 법칙에 의해 상기 광 파이버(253)와 확산부의 경계면에서 반사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에 적용되는 광학 부재(250)는 확산부 및 집광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단가를 절감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부재(250)는 내부에 다수의 광 파이버(253)가 구비되어 일체형 광학 부재(250)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측면으로 손실되는 광을 집광 및 반사함으로서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0)는 바텀케이스(390)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광원(310)과, 상기 광원(310)의 배면 상에 배치된 반사판(370)과, 상기 광원(310)의 전면 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텀케이스(39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바텀케이스(390)의 내면에 상기 반사판(37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광원(310)은 상기 바텀케이스(39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바텀케이스(39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광원(310)은 냉음극 형광램프(C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및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350)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부재(350)는 광 손실을 방지하는 다수의 광 파이버(35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 파이버(353)는 상기 확산부와 상기 집광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확산부 또는 집광부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광 파이버(35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서 상기 확산부 및 집광부와 다른 매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공기와 같은 굴절률이 낮은 기체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광 파이버(353)는 상기 광학 부재(350)의 배면을 기준으로 7도 이상의 경사의 광을 스넬의 법칙에 의해 굴절시켜 광을 집광시킨다.
반면, 상기 광 파이버(353)는 상기 광학 부재(350) 배면을 기준으로 7도 미만의 경사의 광을 스넬의 법칙에 의해 상기 광 파이버(353)의 경계면에서 반사시킨다.
상기와 같은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0)에 적용되는 광학 부재(350)는 확산부 및 집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갖는 광학 부재(350)의 내부에는 다수의 광 파이버(353)를 구비하여 확산부 및 집광부가 일체로 형성된 광학 부재(350)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측면으로 손실되는 광을 집광 및 반사하여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광학 부재는 광 파이버로 이루어져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확산부 및 집광부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광학 부재(150, 250, 350)가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광 손실을 방지하는 광보정 수단으로 광 파이버를 포함하고, 확산부 및 집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확산 및 집광시키는 용도를 필요로 하는 어떠한 제품이나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확산부 및 집광부가 일체로 형성된 광학 부재 내부에 다수의 광 파이버를 구비함으로써, 일체형 광학 부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측면의 광 손실을 방지하여 광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산부 및 집광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경우에 조립이 용이하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7)

  1.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 및
    상기 집광부와 상기 확산부 사이에 배치된 광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보정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확산부 및 상기 집광부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매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광 파이버 및
    상기 광 파이버의 내부에 있는 기체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 및 상기 집광부는 상기 기체의 굴절률보다 높은 광학 부재.
  2.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 및
    상기 확산부 및 집광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광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보정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확산부 및 상기 집광부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매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광 파이버 및
    상기 광 파이버의 내부에 있는 기체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 및 상기 집광부는 상기 기체의 굴절률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 집광부 및 광 보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광 파이버는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랜덤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7. 삭제
  8. 삭제
  9. 일측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광원 측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 전면 상에 배치되고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 및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보정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확산부 및 상기 집광부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매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광 파이버 및
    상기 광 파이버의 내부에 있는 기체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 및 상기 집광부는 상기 기체의 굴절률보다 높은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면상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광원;
    상기 광원의 배면 상에 배치된 반사판; 및
    상기 광원 전면 상에 배치되고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부 및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보정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확산부 및 상기 집광부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매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광 파이버 및
    상기 광 파이버의 내부에 있는 기체를 포함하며,
    상기 확산부 및 상기 집광부는 상기 기체의 굴절률보다 높은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 집광부 및 광 보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보정부는 상기 확산부 및 상기 집광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보정부는 상기 확산부와 상기 집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삭제
  15.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광 파이버는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랜덤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6. 삭제
  17. 삭제
KR1020060035586A 2006-04-20 2006-04-20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Active KR101274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86A KR101274798B1 (ko) 2006-04-20 2006-04-20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86A KR101274798B1 (ko) 2006-04-20 2006-04-20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806A KR20070103806A (ko) 2007-10-25
KR101274798B1 true KR101274798B1 (ko) 2013-06-13

Family

ID=3881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586A Active KR101274798B1 (ko) 2006-04-20 2006-04-20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90B1 (ko) * 2011-05-06 2012-04-18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044A (ja) * 1995-06-07 1996-12-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面光源及び表示装置
JPH10246805A (ja) * 1997-03-06 1998-09-14 Dainippon Printing Co Ltd 拡散光制御用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9990087367A (ko) * 1996-02-29 1999-12-27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광학 필름을 함유하는 광 고정체
KR20050099996A (ko) * 2003-02-10 2005-10-1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발광 시스템 및 편광 수단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044A (ja) * 1995-06-07 1996-12-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面光源及び表示装置
KR19990087367A (ko) * 1996-02-29 1999-12-27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광학 필름을 함유하는 광 고정체
JPH10246805A (ja) * 1997-03-06 1998-09-14 Dainippon Printing Co Ltd 拡散光制御用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50099996A (ko) * 2003-02-10 2005-10-1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발광 시스템 및 편광 수단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806A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2279B1 (en) Prism sheet and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same
TW575722B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8432527B2 (en) Light guide device
KR101621013B1 (ko) 표시 장치
US8184235B2 (en) Optical prism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174773B1 (ko) 프리즘 시트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및 프리즘시트의 제조방법
US7914179B2 (en) Optical plate with V-shaped protrusions on both sides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CN101487945B (zh) 光学片和具有该光学片的显示装置
US20080266902A1 (en) Backlight module
KR20080063815A (ko) 선형적으로 감소된 발산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KR101268960B1 (ko) 백라이트 유닛
US7758199B2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US20070064440A1 (en) Light guide devic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20090323308A1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20070121345A1 (en) Bottom-lighting type backlight module
US7854540B2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KR101274798B1 (ko) 광학 부재,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TWI312047B (ko)
KR10129831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090316387A1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KR20030008270A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US20090323309A1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4448555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410840B2 (ja) 光学調整部材、並びに、それを備える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RU23649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дней подсвет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4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