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000B1 - Can pane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an panel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4000B1 KR101274000B1 KR1020100085853A KR20100085853A KR101274000B1 KR 101274000 B1 KR101274000 B1 KR 101274000B1 KR 1020100085853 A KR1020100085853 A KR 1020100085853A KR 20100085853 A KR20100085853 A KR 20100085853A KR 101274000 B1 KR101274000 B1 KR 101274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paneling
- rectangular
- mold
- panel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측에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서로 다른 사이즈의 각형 캔용기를 판넬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제1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1판넬링수단, 제2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2판넬링수단 및 제3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3판넬링수단으로 구성되는 판넬링수단과; 상기 테이블에 마련되되, 상기 선택적으로 이송되는 제1각형 캔용기 또는 제2각형 캔용기 또는 제3각형 캔용기를 대응되는 제1판넬링수단 또는 제2판넬링수단 또는 제3판넬링수단의 하측으로 이송시킨 다음, 제1각형 캔용기 또는 제2각형 캔용기 또는 제3각형 캔용기를 제1판넬링수단 또는 제2판넬링수단 또는 제3판넬링수단으로 공급하는 캔용기공급부; 상기 캔용기공급부를 통해, 제1각형 캔용기는 제1판넬링수단에 제2각형 캔용기는 제2판넬링수단에 제3각형 캔용기는 제3판넬링수단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판넬링수단, 제2판넬링수단 및 제3판넬링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The first paneling means,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sequentially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panel different sized rectangular can containers, the first paneling means forming a concave-convex pattern on the side of the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the side of the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means comprising: a second paneling means for forming an uneven pattern in the third paneling means for forming an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third canned container; A lower side of the first paneling means or the second paneling means or the third paneling means provided on the table and correspondingly transporting the first angular can container or the second angular can container or the third angular can container. A can contain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or the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or the third rectangular can container to the first paneling means, the second paneling means, or the third paneling means; Through the can container supply unit, the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is controlled to selectively supply the first paneling means to the second paneling means and the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to the third paneling means.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paneling means, the second paneling means, and the third paneling means to form the uneven pattern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면보강을 위해 요철무늬를 성형하는 판넬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9리터, 15리터, 20리터 등 다양한 사이즈 용기를 모두 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판넬링 작업할 수 있는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not only can facilitate the paneling operation for forming the uneven pattern for surface reinforcement on the sid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as well as a variety of 9 liters, 15 liters, 20 liters, etc.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paneling all size containers in one device.
일반적으로 캔용기는 금속판재를 말아 몸통체를 형성하고, 이 몸통체 상단과 하단을 밀폐하기 위한 각각 상,하판을 댄 후, 상,하판과 몸통체 간의 시밍 작업에 의해 밀봉성을 갖는 캔용기를 제조하게 된다.
In general, the can container is rolled with a metal plate to form a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for seal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respectively, and then the can container having sealing property by seam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body. It will be prepared.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캔용기는 금속판재에 원하는 디자인으로 인쇄하는 인쇄공정과, 인쇄된 주석도금강판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절단된 금속판재를 말아 용접하여 원형동체를 형성하는 동체용접공정과, 원형동체를 각형으로 성형하는 동체성형공정과, 각형동체의 측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판넬링공정과, 각형동체를 시밍하기 위해 상,하단을 3~4mm 벌려주는 후 후렌지공정과, 각형동체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을 결합시키는 시밍공정과, 시밍 완료된 완제품의 누유 또는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air)를 충진하여 새는지(Leak) 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공정과, 적정개수로 묶어 포장하기 위한 포장공정 및 포장된 캔용기를 적재하는 적재공정 등을 통하여 제조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an container is a printing process for printing a desired design on a metal sheet, a cutting process for cutting a printed tin-plated steel sheet to an appropriate size, and rolled the cut metal sheet to form a circular fuselage. Fuselage welding process, fuselage forming process to shape circular body into square shape, paneling process to form a pattern on the side of the rectangular body, and Hurenji process to open upper and lower parts 3 ~ 4mm to seam the square body And a seaming process for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tangular fuselage, and a test process for checking whether the air is leaked by filling air to prevent leakage or leakage of the finished product. And, it is manufactured through a packaging process for binding the appropriate number and packaging, and a loading process for loading the packed can container.
이와 같이 제조되는 사각 캔용기의 구조를 보면, 금속판재를 절곡, 각접기하여 평활한 상태의 강판을 육면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몸체부를 이루고, 커버판으로 되는 상판과 하판을 각각 결합, 시밍하여 기밀성, 밀봉성 및 밀폐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그 상판으로 캔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여 사용하기 위한 토출구 및 중앙으로 캔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사각 캔용기는 9리터, 15리터, 20리터 등 다양한 사이즈로 마련되어 제품화 된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metal plate is bent and folded to form a body of a flat steel sheet made of a hexahedron to form a body portion,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serving as cover plates are respectively sealed and shimmed. To maintain the sealability and hermeticity, the upper plate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for outflow and use of the contents of the can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a handle portion for easy transportation of the can container to the center. In addition, the square can container is produced in a variety of sizes, such as 9 liters, 15 liters, 20 liters.
하지만, 종래의 사각 캔용기는, 제조과정에서 판넬링공정을 작업하는 판넬링장치가 한 사이즈의 각형동체만을 작업에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판넬링장치로는 다양한 사이즈의 사각 캔용기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사각 캔용기 생산에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사이즈의 각형동체에 판넬링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사이즈에 맞는 생산라인을 각각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사각 캔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can contain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aneling device for working the paneling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nly works for the rectangular fuselage of one size. Therefore, since the conventional paneling device cannot produce various sizes of rectangular can contain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efficiency is low in producing rectangular can containers.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the paneling process on the square body of various sizes, each production line for each size has to be equipped with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equipment cost for manufacturing a rectangular can contain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면보강을 위해 요철무늬를 성형하는 판넬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provide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paneling operation for forming the uneven pattern for surface reinforcement on the sid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9리터, 15리터, 20리터 등 다양한 사이즈 용기를 모두 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판넬링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configured to selectively panelling a variety of sizes, such as 9 liters, 15 liters, 20 liters all in one devi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상측에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서로 다른 사이즈의 각형 캔용기를 판넬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제1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1판넬링수단, 제2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2판넬링수단 및 제3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3판넬링수단으로 구성되는 판넬링수단과; 상기 테이블에 마련되되, 상기 선택적으로 이송되는 제1각형 캔용기 또는 제2각형 캔용기 또는 제3각형 캔용기를 대응되는 제1판넬링수단 또는 제2판넬링수단 또는 제3판넬링수단의 하측으로 이송시킨 다음, 제1각형 캔용기 또는 제2각형 캔용기 또는 제3각형 캔용기를 제1판넬링수단 또는 제2판넬링수단 또는 제3판넬링수단으로 공급하는 캔용기공급부; 상기 캔용기공급부를 통해, 제1각형 캔용기는 제1판넬링수단에 제2각형 캔용기는 제2판넬링수단에 제3각형 캔용기는 제3판넬링수단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판넬링수단, 제2판넬링수단 및 제3판넬링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Square can container pane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able; The first paneling means,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sequentially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panel different sized rectangular can containers, the first paneling means forming a concave-convex pattern on the side of the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the side of the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means comprising: a second paneling means for forming an uneven pattern in the third paneling means for forming an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third canned container; A lower side of the first paneling means or the second paneling means or the third paneling means provided on the table and correspondingly transporting the first angular can container or the second angular can container or the third angular can container. A can contain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or the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or the third rectangular can container to the first paneling means, the second paneling means, or the third paneling means; Through the can container supply unit, the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is controlled to selectively supply the first paneling means to the second paneling means and the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to the third paneling means.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the first paneling means, the second paneling means, and the third paneling means to form the uneven pattern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를 이용하여 각형 캔용기를 제조하게 되면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면보강을 위해 요철무늬를 성형하는 판넬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9리터, 15리터, 20리터 등 다양한 사이즈 용기를 모두 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판넬링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manufacturing a canned container by using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facilitate the paneling operation for forming the uneven pattern for the surface reinforcement on the sid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9 liters, Various sizes of containers, such as 15 liters and 20 liters, can be selectively paneled in on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에서 판넬링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에서 판넬링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neling means in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a pla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neling means in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에서 판넬링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에서 판넬링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rectangular c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neling means in the container paneling device, Figure 5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neling means in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는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면보강을 위해 요철무늬를 성형하는 판넬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9리터, 15리터, 20리터 등 다양한 사이즈 용기를 모두 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판넬링 작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테이블(100), 판넬링수단(200), 캔용기공급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paneling operation for forming the uneven pattern for surface reinforcement on the sid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as well as 9 liters, 15 liters The
상기 테이블(100)은 후술하는 판넬링수단(200) 및 캔용기공급부(30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테이블(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형 캔용기를 공급하고, 판넬링 작업된 각형 캔용기를 이송할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B)가 설치된다.
The table 100 is a portion in which the paneling means 200 and the can
상기 판넬링수단(200)은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면보강을 위해 요철무늬를 성형하는 수단으로, 상기 테이블(100) 상측에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서로 다른 사이즈의 각형 캔용기를 판넬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각 캔용기는 용도 및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되어 판매되는 데,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 캔용기를 모두 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판넬링 작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는 모든 사이즈 사각 캔용기를 판넬링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지만, 통상 사각 캔용기 사이즈는 9리터, 15리터, 20리터 용기를 주로 사용하므로, 후술하는 제1각형 캔용기는 9리터 사각 캔용기, 제2각형 캔용기는 15리터 사각 캔용기, 제3각형 캔용기는 20리터 사각 캔용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neling means 200 is a means for forming a concave-convex pattern for the surface reinforcement on the sid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is provided sequentially on the table 100 so as to be able to panel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of different sizes. It is composed. That is,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is manufactured and sol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use and cont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nel can be selectively panelized in a variety of cans of various sizes. He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e able to panel all size square can container, since the square can container size is mainly used 9 liter, 15 liter, 20 liter container, the first square can container described later is 9 liter The square can container, the second square can container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15 liter square can container, the third square can container is a 20 liter square can container.
여기서, 상기 판넬링수단(200)은 제1각형 캔용기(C1)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1판넬링수단(210), 제2각형 캔용기(C2)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2판넬링수단(220) 및 제3각형 캔용기(C3)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3판넬링수단(230)으로 구성된다.
Here, the paneling means 20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paneling means 210, the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C2) to form the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first canned container (C1). The second paneling means 220 and the third paneling means 230 for forming a concave-convex pattern on the side of the third canned container (C3).
구체적으로, 상기 제1판넬링수단(210)은 4조각으로 구분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내측금형(211)과, 상기 4조각으로 구분되어 제1내측금형(211)의 외측에 대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외측금형(212)과, 상기 제1내측금형(211) 및 제1외측금형(212)을 대각선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1푸싱부(213)로 구성되어, 공급된 제1각형 캔용기(C1)가 제1내측금형(211)과 제1외측금형(212)에 공급된 상태에서 제1푸싱부(213)를 작동시키면, 제1내측금형(211)은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1외측금형(2122)이 내측으로 모이면서, 제1각형 캔용기(C1)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paneling means 210 is divided into four pieces and the first inner mold 211 is installed so as to mov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divided into four pieces the outer side of the first inner mold 211 The first outer mold 212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first side, and the first inner mold 211 and the first outer mold 212 to the first pushing portion 213 for operating in a diagonal direction When the first pushing portion 213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supplied first square can container C1 is supplied to the first inner mold 211 and the first outer mold 212, the first inner mold 211 is operated. Is spread outward and the first outer mold 2122 is gathered inward, and is configured to form an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first square can container C1.
그리고, 상기 제2판넬링수단(220)은 4조각으로 구분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내측금형(221)과, 상기 4조각으로 구분되어 제2내측금형(221)의 외측에 대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외측금형(222)과, 상기 제2내측금형(221) 및 제2외측금형(222)을 대각선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2푸싱부(223)로 구성되어, 공급된 제2각형 캔용기(C2)가 제2내측금형(221)과 제2외측금형(222)에 공급된 상태에서 제2푸싱부(223)를 작동시키면, 제2내측금형(221)은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2외측금형(222)이 내측으로 모이면서, 제2각형 캔용기(C2)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paneling means 220 is divided into four pieces and the second inner mold 221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divided into four piec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inner mold 221 The second outer mold 222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 second pushing portion 223 for operating the second inner mold 221 and the second outer mold 222 in a diagonal direction, When the second pushing portion 223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supplied second square can container C2 is supplied to the second inner mold 221 and the second outer mold 222, the second inner mold 221 Spread outward and the second outer mold 222 gathers inward, and is configured to form an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second square can container C2.
그리고, 상기 제3판넬링수단(230)은 4조각으로 구분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내측금형(231)과, 상기 4조각으로 구분되어 제3내측금형(231)의 외측에 대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외측금형(232)과, 상기 제3내측금형(231) 및 제3외측금형(232)을 대각선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3푸싱부(233)로 구성되어, 공급된 제3각형 캔용기(C1)가 제3내측금형(231)과 제3외측금형(232)에 공급된 상태에서 제3푸싱부(233)를 작동시키면, 제3내측금형(231)은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3외측금형(232)이 내측으로 모이면서, 제3각형 캔용기(C1)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third paneling means 230 is divided into four pieces and the third inner mold 231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divided into four pieces to the outside of the third inner mold 231 The third outer mold 232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 third pushing portion 233 for operating the third inner mold 231 and the third outer mold 232 in a diagonal direction, When the third pushing portion 233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ied third canned container C1 is supplied to the third inner mold 231 and the third outer mold 232, the third inner mold 231 is operated. Spread outward and the third outer mold 232 is gathered inward, and is configured to form an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third canned container C1.
한편, 상기 제1,2,3푸싱부(213,223,233)는 제1,2,3내측금형(211,221,231)를 작동시키는 제1,2,3내측푸싱부와, 제1,2,3외측금형(212,222,232)을 작동시키는 제1,2,3외측푸싱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내측푸싱부와, 제1,2,3외측푸싱부는 테이블의 상측에 고정된 제1,2,3실린더(214,224,234)를 통해 상하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the first, second and third pushing parts 213, 223 and 233 may inclu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pushing parts for oper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211, 221 and 231,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pushing parts 212, 222 and 232.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pushing part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pushing part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ylinder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ble. And configured to operate up and down via (214, 224, 234).
상기 제1,2,3내측푸싱부는 상기 4조각의 제1,2,3내측금형(211,221,231)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1,2,3실린더(214,224,234)의 실린더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3중앙푸싱봉(213a,223a,233a)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2,3중앙푸싱봉(213a,223a,233a)은 제1,2,3실린더로드(214,224,234)에 일체로 결합되어 제1,2,3실린더의 실린더로드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3중앙푸싱봉(213a,223a,233a) 외면에는 상협하광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2,3경사푸싱코어(213b,223b,233b)가 결합된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pushing parts are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ur pie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211, 221 and 231, and are coupled to the cylinder rods of the first, second and
그리고, 상기 제1,2,3경사푸싱코어(213b,223b,233b)의 외측으로 마련되되, 외측에는 상기 4개의 제1,2,3내측금형(211,221,231)이 각각 결합되고, 내측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2,3내측경사면(213c',223c',233c')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2,3경사푸싱코어(213b,223b,233b)의 상하 작동에 따라 제1,2,3의내측금형(211,221,231)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하거나, 내측방향으로 모이게 작동시키는 제1,2,3내측푸셔(213c,223c,233c)가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3경사푸싱코어(213b,223b,233b)가 상협하광 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1,2,3경사푸싱코어(213b,223b,233b)가 상승하면 제1,2,3내측푸셔(213c,223c,233c)가 밀어 제1,2,3내측금형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작동되고, 상기 제1,2,3경사푸싱코어(213b,223b,233b)가 하강하면 제1,2,3내측푸셔(213c,223c,233c)가 내측방향으로 모아지면서 제1,2,3내측금형이 내측방향으로 모아지게 작동된다.
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clined pushing
그리고, 상기 4조각의 제1,2,3내측금형(211,221,231) 중 각각 마주보는 제1,2,3내측금형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제1,2,3내측스프링(213d,223d,233d)이 설치된다. 즉, 제1,2,3내측스프링(213d,223d,233d)은 상기 제1,2,3경사푸싱코어(213b,223b,233b)가 상승하여 4조각의 제1,2,3내측금형(211,221,231)이 벌어진 상태에서 제1,2,3경사푸싱코어(213b,223b,233b)가 하강하면 복원력에 의해 4조각의 제1,2,3내측금형(211,221,231)이 내측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모아지도록 작동시킨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다음으로, 상기 제1,2,3외측푸싱부는 상기 제1,2,3외측금형(212,222,232)의 외측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2,3실린더(214,224,234)의 실린더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3외측푸싱봉(213a-1,223a-1,233a-1)을 포함한다. 상기 제1,2,3외측푸싱봉(213a-1,223a-1,233a-1)은 각각 4개로 마련되어 각각 제1,2,3실린더(214,224,234)의 실린더로드와 결합되고 실린더로드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3외측푸싱봉(213a-1,223a-1,233a-1)의 외면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2,3키경사면(213b'-1,223b'-1,233b'-1)이 형성되고 제1,2,3키경사면의 중앙 상하방향으로 키돌기(213b'-2,223b'-2,233b'-2)가 형성된 제1,2,3키(213b-1,223b-1,233b-1)가 구성된다.
Next,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pushing parts are instal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molds 212, 222 and 232, respectively, and are coupled to the cylinder rods of the first, second and
그리고, 상기 제1,2,3키(213b-1,223b-1,233b-1)의 내측으로 마련되되, 내측에는 상기 4개의 제1,2,3외측금형(212,222,232)이 각각 결합되고, 외측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2,3외측경사면(213c'-1,223c'-1,233c'-1)을 가지며, 이 제1,2,3외측경사면(213c'-1,223c'-1,233c'-1)의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키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는 제1,2,3안내홈(213c'-2,223c'-2,233c'-2)이 형성된 제1,2,3,외측푸셔(213c-1,223c-1,233c-1)가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3키(213b-1,223b-1,233b-1)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측이 벌어지는 경사면(213b'-1,223b'-1,233b'-1)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1,2,3키가 상승하면 상기 제1,2,3외측경사면(213c'-1,223c'-1,233c'-1)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2,3,외측푸셔(213c-1,223c-1,233c-1)가 내측으로 모아지게 하고, 상기 상기 제1,2,3키가 하강하면 상기 제1,2,3외측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2,3,외측푸셔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작동된다.
The first, second and
그리고, 상기 제1,2,3키(213b-1,223b-1,233b-1)의 외측에는 제1,2,3키를 지지하는 제1,2,3외측지지대(213d-1,223d-1,233d-1)로 밀착 설치된다.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supports 213d-1, 223d-1 and 233d which support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s on the outside of the first, second and
상기 캔용기공급부(300)는 상기 테이블(100)에 마련되되, 상기 선택적으로 이송되는 제1각형 캔용기(C1) 또는 제2각형 캔용기(C2) 또는 제3각형 캔용기(C3)를 대응되는 제1판넬링수단(210) 또는 제2판넬링수단(220) 또는 제3판넬링수단(230)의 하측으로 이송시킨 다음, 제1각형 캔용기(C1) 또는 제2각형 캔용기(C2) 또는 제3각형 캔용기(C3)를 제1판넬링수단(210) 또는 제2판넬링수단(220) 또는 제3판넬링수단(23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The can
구체적으로 상기 캔용기공급부(300)는 사각 캔용기의 외면을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집게홀더(310)와, 상기 집게홀더(310)의 서로 연결하고 집게홀더에 의해 파지된 사각 캔용기를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제1각형 캔용기(C1)는 제1판넬링수단(210)의 하측으로, 제2각형 캔용기(C2)는 제2판넬링수단(220)의 하측으로, 제3각형 캔용기(C3)는 제3판넬링수단(230)의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이송대(320)와, 상기 이송대(320)를 통해 이송된 각형 캔용기를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제1각형 캔용기(C1)는 제1판넬링수단(210)에 제2각형 캔용기(C2)는 제2판넬링수단(220)에 제3각형 캔용기(C3)는 제3판넬링수단(230) 공급하는 제1,2,3푸싱공급부(331,332,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캔용기공급부(300)는 제어부(400)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각형 캔용기(C1,C2,C3)를 각형 캔용기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판넬링수단(210,220,230)으로 공급하는 역활을 수행하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can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캔용기공급부(300)를 통해, 제1각형 캔용기(C1)는 제1판넬링수단(210)에 제2각형 캔용기(C2)는 제2판넬링수단(220)에 제3각형 캔용기(C2)는 제3판넬링수단(23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판넬링수단(210), 제2판넬링수단(220) 및 제3판넬링수단(23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에는 조작부(410)가 마련되어 본 발명에 따른 판넬링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작부(410)는 예시적으로 판넬링장치의 온/오프을 위한 작동버튼(411)을 비롯하여 캔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다이얼(412)과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버튼(412)이 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들의 조작신호는 제어부(400)에서 송신하여 송신된 신호값에 따라 즉시 기능이 선택되거나 또는 설정값이 변경되어 판넬링장치를 운전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Her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는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면보강을 위해 요철무늬를 성형하는 판넬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9리터, 15리터, 20리터 등 다양한 사이즈 용기를 모두 한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판넬링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효율이 월등히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를 각형 캔용기 생산라인에 설치하면 각각의 사각 캔용기 사이즈에 맞는 생산라인을 각각 갖출 필요없이, 모든 사이즈의 사각 캔용기를 한 라인에서 판넬링 작업을 한 후, 각형 캔용기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사각 캔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비가 현저히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facilitate the paneling operation for forming the uneven pattern for reinforcing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as well as 9 liter, 15 liter, 20 liter, etc. Since various sized containers can be selectively paneled in one device,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square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quare can container production line,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 production line for each square can container size, the paneling operation of the square can container of all sizes in one line After this, since the square can container can be manufactu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quipment cost for manufacturing the square can container is significantly reduced.
100: 테이블 200: 판넬링수단
210: 제1판넬링수단 220: 제2판넬링수단
230: 제3판넬링수단 300: 캔용기공급부
310: 집게홀더 320: 이송대
331,332,333: 제1,2,3푸싱공급부 400: 제어부
410: 조작부100: table 200: paneling means
210: first paneling means 220: second paneling means
230: third paneling means 300: can container supply unit
310: tong holder 320: feeder
331,332,333: first, second and third pushing supply unit 400: control unit
410: control panel
Claims (4)
상기 테이블 상측에 순차적으로 마련되고 서로 다른 사이즈의 각형 캔용기를 판넬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제1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1판넬링수단, 제2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2판넬링수단 및 제3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제3판넬링수단으로 구성되는 판넬링수단;
상기 테이블에 마련되되, 상기 제1각형 캔용기 또는 제2각형 캔용기 또는 제3각형 캔용기를 대응되는 제1판넬링수단 또는 제2판넬링수단 또는 제3판넬링수단의 하측으로 이송시킨 다음, 제1각형 캔용기 또는 제2각형 캔용기 또는 제3각형 캔용기를 제1판넬링수단 또는 제2판넬링수단 또는 제3판넬링수단으로 공급하는 캔용기공급부;
상기 캔용기공급부를 통해, 제1각형 캔용기는 제1판넬링수단에 제2각형 캔용기는 제2판넬링수단에 제3각형 캔용기는 제3판넬링수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판넬링수단, 제2판넬링수단 및 제3판넬링수단을 작동시켜 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판넬링수단은 4조각으로 구분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내측금형과, 상기 4조각으로 구분되어 제1내측금형의 외측에 대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외측금형과, 상기 제1내측금형 및 제1외측금형을 대각선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1푸싱부로 구성되어, 공급된 제1각형 캔용기가 제1내측금형과 제1외측금형에 공급된 상태에서 제1푸싱부를 작동시키면, 제1내측금형은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1외측금형이 내측으로 모이면서, 제1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판넬링수단은 4조각으로 구분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내측금형과, 상기 4조각으로 구분되어 제2내측금형의 외측에 대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외측금형과, 상기 제2내측금형 및 제2외측금형을 대각선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2푸싱부로 구성되어, 공급된 제2각형 캔용기가 제2내측금형과 제2외측금형에 공급된 상태에서 제2푸싱부를 작동시키면, 제2내측금형은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2외측금형이 내측으로 모이면서, 제2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판넬링수단은 4조각으로 구분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내측금형과, 상기 4조각으로 구분되어 제3내측금형의 외측에 대각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외측금형과, 상기 제3내측금형 및 제3외측금형을 대각선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3푸싱부로 구성되어, 공급된 제3각형 캔용기가 제3내측금형과 제3외측금형에 공급된 상태에서 제3푸싱부를 작동시키면, 제3내측금형은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3외측금형이 내측으로 모이면서, 제3각형 캔용기의 측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캔용기공급부는 사각 캔용기의 외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집게홀더와, 상기 집게홀더의 서로 연결하고 집게홀더에 의해 파지된 사각 캔용기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각형 캔용기는 제1판넬링수단의 하측으로, 제2각형 캔용기는 제2판넬링수단의 하측으로, 제3각형 캔용기는 제3판넬링수단의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를 통해 이송된 각형 캔용기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각형 캔용기는 제1판넬링수단에 제2각형 캔용기는 제2판넬링수단에 제3각형 캔용기는 제3판넬링수단 공급하는 제1,2,3푸싱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
table;
The first paneling means,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sequentially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panel different sized rectangular can containers, the first paneling means forming a concave-convex pattern on the side of the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the side of the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means comprising: a second paneling means for forming an uneven pattern in the third paneling means for forming an uneven pattern on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canned container;
Is provided on the table, and the first angular can container or the second angular can container or the third angular can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rresponding first paneling means or second paneling means or third paneling means, A can contain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or a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or a third rectangular can container to a first paneling means, a second paneling means, or a third paneling means;
Through the can container supply unit, the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is controlled to supply the first paneling means to the second paneling means to the second paneling means and the third rectangular can container to the third paneling means.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paneling means, the second paneling means and the third paneling means to operate to form the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The first paneling means may be divided into four pieces and include a first inner mold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first outer mold divided into four pieces and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on an outer side of the first inner mold. A first pushing portion for operating the first inner mold and the first outer mold in a diagonal direction, wherein the supplied first rectangular can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first inner mold and the first outer mold in a first state; When the pushing portion is operated, the first inner mold is spread outward and the first outer mold is gathered inward, so as to form an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first canned container.
The second paneling means may be divided into four pieces and include a second inner mold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second outer mold divided into four pieces and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on an outside of the second inner mold. And a second pushing portion for operating the second inner mold and the second outer mold in a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supplied second rectangular can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second inner mold and the second outer mold in a second state. When the pushing portion is operated, the second inner mold is opened outward and the second outer mold is gathered inward, and is configured to form an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second square can container.
The third paneling means may be divided into four pieces and have a third inner mold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the third outer mold is divided into four pieces and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diagonal direction on an outside of the third inner mold. A third pushing portion for operating the third inner mold and the third outer mold in a diagonal direction, wherein the supplied third canned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third inner mold and the third outer mold in a third state; When the pushing portion is operated, the third inner mold is spread outward and the third outer mold is gathered inward, and is configured to form an uneven pattern on the side of the third canned container.
The can container suppl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ong holders configured to hold an out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can container, and a rectangular can container connected to each other of the tong holder and gripped by the tong hold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s a lower side of the first paneling means, the second angular can container is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aneling means, and the third angular can container is configured to transfer sequentially to the lower side of the third paneling mea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rectangular canister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er, the first rectangular canister is the first paneling means, the second rectangular canister is the second paneling means, the third rectangular canister is the third paneling Square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second, third pushing supply unit for supplying means.
상기 제1,2,3푸싱부는 제1,2,3내측금형를 작동시키는 제1,2,3내측푸싱부와, 제1,2,3외측금형을 작동시키는 제1,2,3외측푸싱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내측푸싱부와, 제1,2,3외측푸싱부는 테이블의 상측에 고정된 제1,2,3실린더를 통해 상하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2,3내측푸싱부는,
상기 4조각의 제1,2,3내측금형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1,2,3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3중앙푸싱봉과,
상기 제1,2,3중앙푸싱봉 외면에 형성되고 상협하광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2,3경사푸싱코어와,
외측에는 상기 4개의 제1,2,3내측금형이 각각 결합되고, 내측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2,3내측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2,3경사푸싱코어의 상하 작동에 따라 제1,2,3의내측금형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하거나, 내측방향으로 모이게 작동시키는 제1,2,3내측푸셔와,
상기 4조각의 제1,2,3내측금형 중 각각 마주보는 제1,2,3내측금형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어, 제1,2,3경사푸싱코어가 상승하여 4조각의 제1,2,3내측금형이 벌어진 상태에서 제1,2,3경사푸싱코어가 하강하면 복원력에 의해 4조각의 제1,2,3내측금형이 내측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모아지도록 작동시키는 제1,2,3내측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3외측푸싱부는,
상기 제1,2,3외측금형의 외측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3외측푸싱봉과,
상기 제1,2,3외측푸싱봉의 외면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2,3키경사면이 형성되고 제1,2,3키경사면의 중앙 상하방향으로 키돌기가 형성된 제1,2,3키와,
내측에는 상기 4개의 제1,2,3외측금형이 각각 결합되고, 외측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2,3외측경사면을 가지며, 이 제1,2,3외측경사면의 상하방향으로는 상기 키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는 제1,2,3안내홈이 형성된 제1,2,3,외측푸셔와,
상기 제1,2,3키의 외측에 밀착 설치되어 제1,2,3키를 지지하는 제1,2,3외측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캔용기 판넬링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cond and third pushing parts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pushing parts for oper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and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pushing parts for oper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molds.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pushing part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pushing parts are configured to be operated up and down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ylinder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ble.
The first, second, third inner pushing portion,
First, second and third central pushing rods install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four pie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and coupled to the cylinder ro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ylinders to be movable up and down;
First, second and third inclined pushing cor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entral pushing rods and provided in an upper and lower light shape;
The four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is configured to hav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inclined surfaces that become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pushers for open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outwardly or collecting inwardly according to the vertical operation of the pushing core;
Each of the four pie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are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clined pushing cores are raised to Wh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clined pushing cores are lowered while the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are open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molds of four pieces are automatically collected in the inward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It consists of 3 inner springs,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pushing portion,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pushing rods respectively instal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molds and coupled to the cylinder rods of the cylinders to be movable up and down;
It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econd, third outer pushing rod, the first, second, third key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s formed in the center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first, second, third key inclined surface First, second, and third keys formed with key protrusions,
The four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mol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has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inclined surfaces that become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reof. First and second outer and third pushers having first, second and third guide grooves in which the key protrusions are inserted and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 rectangular can container pan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cond, second outer support tha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first, second, third key to support the first, second, third ke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5853A KR101274000B1 (en) | 2010-09-02 | 2010-09-02 | Can panel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5853A KR101274000B1 (en) | 2010-09-02 | 2010-09-02 | Can panel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2341A KR20120022341A (en) | 2012-03-12 |
KR101274000B1 true KR101274000B1 (en) | 2013-06-12 |
Family
ID=4613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5853A Active KR101274000B1 (en) | 2010-09-02 | 2010-09-02 | Can panel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400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350Y1 (en) * | 2013-07-16 | 2014-02-14 | 주정복 | Apparatus for paneling ca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61129A (en) * | 1989-11-21 | 1991-07-11 | Maeda Seisakusho:Kk | Can having intermittent bead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intermittent bead |
JPH11197770A (en) * | 1998-01-19 | 1999-07-27 | Sako Seisakusho:Kk | Working apparatus of can lid member |
JP2006320915A (en) * | 2005-05-17 | 2006-11-30 | Toyo Seikan Kaisha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bead molding of square can |
JP2008044013A (en) * | 2006-08-09 | 2008-02-28 | Frattini Spa Costruzioni Meccaniche | Apparatus for forming metal container |
-
2010
- 2010-09-02 KR KR1020100085853A patent/KR1012740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61129A (en) * | 1989-11-21 | 1991-07-11 | Maeda Seisakusho:Kk | Can having intermittent bead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intermittent bead |
JPH11197770A (en) * | 1998-01-19 | 1999-07-27 | Sako Seisakusho:Kk | Working apparatus of can lid member |
JP2006320915A (en) * | 2005-05-17 | 2006-11-30 | Toyo Seikan Kaisha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bead molding of square can |
JP2008044013A (en) * | 2006-08-09 | 2008-02-28 | Frattini Spa Costruzioni Meccaniche | Apparatus for forming metal contai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350Y1 (en) * | 2013-07-16 | 2014-02-14 | 주정복 | Apparatus for paneling ca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2341A (en) | 2012-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582877B (en) | Box packing machine with upward opening cover | |
CN103434678A (en) | Automatic box inserting machine for soft glove packaging box | |
JP2793683B2 (en) | Mold molding method and molding machine | |
CN105000210A (en) | Automatic ceramic tile packaging device | |
KR101274000B1 (en) | Can paneling apparatus | |
CN106081230B (en) | One kind is for the vanning process transfer matic design of ballast packing box | |
US20070059152A1 (en) | Methosand device for handling rod-shaped objects | |
CN211492058U (en) | Semi-automatic ceramic blank pressing machine | |
KR20170142444A (en) | Box packing apparatus for panel | |
CN203461189U (en) | Automatic box insertion machine for soft glove packaging box | |
IT900352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STACKS OF SHEET MATERIAL INTO A EQUIPMENT FOR FEEDING PACKAGING MACHINES. | |
CN204957001U (en) | Ceramic tile automatic packaging apparatus | |
CN202985274U (en) | Automatic feeding mechanism | |
CN102514933A (en) | System for automatically putting away and laying down metal substrates | |
CN207292556U (en) | A kind of full-automatic laminating machine | |
CN202379189U (en) | Multifunctional containing tool for quickly dumping turnover objects | |
CN202358683U (en) | Plate automatically releasing and retracting system for metal base plate | |
CN204640903U (en) | The upper plate mechanism of carton forming machine | |
CN108163251A (en) | Ceramic tile automatic packaging method | |
CN210761511U (en) | Full-automatic packing machine is used in mobile phone film production | |
CN212458145U (en) | An electronic detonator assembly production unit line | |
US11731286B2 (en) | Method for applying liners inside containers | |
CN114435975A (en) | Intelligent production line for filling heat-preservation cotton in sintered hollow bricks | |
CN106697446A (en) | Bottle dividing method, mold and automatic clapboard inserting machine | |
CN210913093U (en) | Automatic stacking device for storage box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