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159B1 - Frame assembly structure of cabinet for mounting communication devices - Google Patents
Frame assembly structure of cabinet for mounting communication dev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3159B1 KR101273159B1 KR1020110132588A KR20110132588A KR101273159B1 KR 101273159 B1 KR101273159 B1 KR 101273159B1 KR 1020110132588 A KR1020110132588 A KR 1020110132588A KR 20110132588 A KR20110132588 A KR 20110132588A KR 101273159 B1 KR101273159 B1 KR 1012731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vertical
- vertical frame
- horizontal
- cabin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2—Details of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이 지진과 같은 큰 외부 진동에 대해 견디는 내진 또는 내진동 특성을 갖도록 하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10)의 전방 양측 모서리와 후방 양측 모서리에 각각 수직프레임(20)이 직립 설치되고, 가로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수직프레임(20)들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직프레임(20)들을 가로프레임(30)으로 연결하고, 세로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수직프레임(20)들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직프레임(20)들을 세로프레임(40)으로 연결하며, 상기 가로프레임(30)은 상기 베이스판(30)에 접촉하여 체결보울트(36)로 고정되는 바닥판(31)과, 좌우측 선단에서 상기 수직프레임(20)의 내측면과 맞닿아 체결보울트(37)로 고정되는 좌/우측 측벽(32, 33)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프레임(30)의 좌우측 측벽의 내측면과 바닥판(31)의 내측면은 보강판(38a, 38b)으로 굽힘변형에 대하여 보강되고, 상기 가로프레임(30)과 세로프레임(40)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마다 수평보강대(91)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0)과 세로프레임(40)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마다 수직보강대(94)가 결합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assembly of a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cabinet such that the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cabinet has a seismic or vibration-proof characteristic to withstand large external vibrations such as an earthqua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frame 2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ront both sides and rear both corners of the base plate 10, the vertical frame 20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20 facing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Connect the vertical frames 20 to the vertical frames 40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frames 20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horizontal frames 30 a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s 30. Bottom plate 31 fixed to the fastening bolt 36 in contact with the base plate 30 and left and right side walls fixed to the fastening bolt 37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0 at the left and right ends. (32, 33) having an upper ope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horizontal frame 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1 is the reinforcement plate (38a, 38b) for bending deformation Reinforced, the horizontal frame 30 and the vertical frame 40 is standing Each edge portion is bonded and bonding the horizontal rib 91 and will have a vertical rib 94, coupled each edge portion the vertical frame 20 and the vertical frame 40 is bonded to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이 지진과 같은 큰 외부 진동에 대해 견디는 내진 또는 내진동 특성을 갖도록 하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assembly of a cabinet f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assembly of a cabinet f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so that the cabinet f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has a seismic or vibration resistant property against large external vibrations such as an earthquake. It is abou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장비 캐비닛의 각 꼭지점 부분에 제공되는 프레임 조립구조를 형성하고, 통신장비 캐비닛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의 조립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도 보울트와 너트만을 이용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지진과 같은 큰 외부 진동에 대해 견디는 내진 또는 내진동 특성을 갖도록 하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rame assembly structure provided at each vertex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and assembling and using only bolts and nuts while accurately maintai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en assembling the frame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Disclosed is a frame assembly of a cabinet for a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has a seismic or vibration resistant property that withstands large external vibrations such as an earthquake.
이동통신의 중계기, 네트워크장비 등과 같은 각종 전자통신장비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은 앵글, 파이프, 바아(bar) 등으로 제공되는 프레임을 체결하여 뼈대를 형성하고, 패널 및 도어를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캐비닛을 완성하여 그 내부에 각종 통신기기를 수납한다. BACKGROUND ART Cabinets for storing communication equipment for storing and storing various electronic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repeaters and network equipment for mobile communication are known. Such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cabinets form frames by fastening frames provided by angles, pipes, bars, etc., and forming walls by using panels and doors to complete cabinets to store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therein. do.
이러한 통신장비용 캐비닛은 구조적으로 튼튼해야 하고, 각 부재들이 견고히 조립되어야 함은 물론, 내부에 수용된 통신장비들이 수평 및 수직밸런스를 유지해야 한다. 통신장비용 캐비닛은 장시간 운용시에도 조립된 상태, 즉 각각의 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조립시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최근의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의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지진과 같은 큰 외부 진동에 대해 견디는 내진 또는 내진동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The cabinet for such communication equipment must be structurally strong, each member must be firmly assembled,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ccommodated therein must maintain horizontal and vertical balance.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needs to be maintained in the assembled state, that i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ate of each frame even when it is operated for a long time, and the risk of natural disaster such as the recent earthquake is increasing. Given the trend, it is necessary to have seismic or vibration resistant properties that withstand large external vibrations such as earthquakes.
통상, 종래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은 다수개의 가로프레임들과 다수개의 세로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프레임 조립체를 기본 구조로 하고 이러한 프레임 조립체 상에 통신장비를 얹어서 고정하기 위한 선반들이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층으로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 In general, a communication cabinet for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equipment has a frame assembly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to each other, and the shelves for mounting and fixing the communication equipment on the frame assembly include a plurality of shel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ructure is assembled in layers.
즉, 종래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들의 단부를 서로 맞대거나 포개어 보울트 체결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거나 가로프레임의 단부를 세로 프레임에 마련한 결합구멍에 끼워서 결합한 후, 결합부분을 부가적으로 보울트 등의 수단으로 체결하여 조립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은 각 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맞춘 상태에서 보울트를 체결하거나, 리벳팅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각 프레임을 연결하게 되는데, 일일이 수작업으로 각 프레임의 수평, 수직상태를 맞추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체결작업을 하는 도중에 각 프레임의 수평, 수직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That is, the conventional cabinet for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ethod such as bolt fastening or welding by arranging the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o each other or by inserting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nto the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the coupling portion Is additionally assembled by means of bolts or the like. Therefore, the conventional cabinet for storing communication equipment is connected to each frame using a method such as fastening bolts or riveting or welding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ate of each frame is aligned. Therefore, it takes a lot of time to adjust the vertical state, and sometime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ate of each frame cannot be maintained during the fastening operation.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종래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조립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조립된 캐비닛의 수평 및 수직 밸런스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빈발하여 내부에 수납된 통신기기가 오작동 및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Due to these problems, the assembly of a cabinet for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equipment requires a lot of time,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alance of the assembled cabinet is frequently not maintained, causing malfunction and failur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stored therein. Cases often occur.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각 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을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유지하면서 간단하게 골격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게 하는 통신장비 캐비닛 구조를 개발한 바가 있다. 본 발명자가 개발한 통신장비 캐비닛 구조의 예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0194호(2010.01.0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5115호(2010.05.26)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0741호(2011.01.24)에 기술되어 있다. 그럼에도 다른 우수한 기술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통신장비 캐비닛 구조에 대해서도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In view of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structure capable of simply assembling a skeleton frame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of each frame accurately and easily. Example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cabinet structure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s ar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0194 (January 6, 2010),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0-0055115 (2010.05.26)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20-2011-0000741 (2011.01.24). Nevertheless, as with other excellent technologies,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즉, 종래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은 선반에 고정한 통신장비의 하중 등에 의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들의 결합부의 결합력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화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고, 특히 돌발적인 외력, 예컨대 지진 등의 발생에 의해 캐비닛에 진동과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부에서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That is, the conventional cabinet for storing communication equipment has a limitation that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has to be weakened over time due to the load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fixed to the shelf, and in particular,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such as an earthquake When vibration and shock are applied to the cabinet due to the occurrence of such a structure,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that is damaged or deform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이와 같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부의 변형 또는 파손됨에 따라 이들 프레임에 지지된 선반들이 당초 조립위치(수평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내려앉거나 변형됨으로써 그 위에 지지하던 전자 통신장비가 유동하여 작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such, as the joint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deformed or broken, the shelves supported by these frames are partially lowered or deformed at the original assembly position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equipment supported thereon flows and malfunctions.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cau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 구조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통신장비의 하중에도 장시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고 지진과 같은 돌발적인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에도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통신장비 캐비닛의 조립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nventional cabinet structure for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which can maintain long-term coupling force even under load of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s not deformed even by vibration caused by sudden external shock such as earthquake. The object is to provide an assembly structure of a new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that can maintain a stable rigidity.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장비 캐비닛의 각 꼭지점 부분에 제공되는 프레임 조립구조를 형성하고, 통신장비 캐비닛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의 조립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도 보울트와 너트만을 이용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지진과 같은 큰 외부 진동에 대해 견디는 내진 또는 내진동 특성을 갖도록 하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rame assembly structure provided at each vertex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and assembling and using only bolts and nuts while accurately maintain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en assembling the frame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assembly of a cabinet for a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is disassembleable and has a seismic or vibration resistant property that withstands large external vibrations such as an earthquak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전방 양측 모서리와 후방 양측 모서리에 각각 수직프레임이 직립 설치되고, 가로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수직프레임들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직프레임들을 가로프레임으로 연결하여 가로방향으로 지지하고, 세로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수직프레임들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직프레임들을 세로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세로방향으로 지지한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upright in each of the front both sides and rear both corners of the base plate,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s in the horizontal frame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frames facing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frame assembly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cabinet which is sup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vertically connected by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s in the vertical frame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frames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가로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판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체결보울트로 고정되는 바닥판과, 좌우측 선단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과 맞대어 체결보울트로 고정되는 좌우측 측벽과, 상기 좌우측 측벽에 서로 대향하면서 연결되는 전후방 측벽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 측벽은 상기 전후방 측벽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연장되어 확장된 접촉면을 가짐으로써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과 맞대어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측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바닥판의 내측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 보강판으로 굽힘변형에 대하여 보강된 구조를 가진다.The horizontal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base plate as wide as possible to the bottom plate is fixed with a fastening bolt,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with the fastening bolt at the left and right ends, and facing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side is open, and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extend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to have an extended contact surface so that they can b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with the largest possible area. It may extend to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plate inclin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horizontal frame has a structure reinforced against the bending deformation by the side reinforcement plat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바닥판은 상기 베이스판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면서 체결보울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of the horizontal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with a fastening bolt while contacting the base plate in the largest possible area.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측 측벽은 확장된 접촉면을 가짐으로써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과 맞닿아 체결보울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horizontal frame has an extended contact surface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to the largest area to be fixed by a fastening bolt. It is done.
이러한 본 발명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 구조들에 의해 가로방향(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도 보울트와 너트만을 이용하여 프레임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지진과 같은 큰 외부 진동에 대해 견디는 내진 또는 내진동 특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frame assembly structures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frame assembly using only bolts and nuts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ccurately, and large outside such as an earthquake. It is possible to provide seismic or vibration resistant properties that withstand vibr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마다 수평보강대가 결합되되, 수평보강대는 한쪽면이 가로프레임의 내측면과 맞닿아 보울트로 체결되고 다른쪽면은 세로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아 보울트로 체결됨으로써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지지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마다 수직보강대가 결합되되, 수직보강대는 한쪽면이 세로프레임의 상면에 맞닿아 보울트로 체결되고, 다른쪽면은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아 보울트로 체결되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each corner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is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other side is abutted with a bowl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is fastened by a bolt to support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each corner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vertical reinforc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fastened to the bowl by abut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is fastened by the bowl.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은 알루미늄재로 압출성형된 4각 바아(bar)로 이루어지고, 측벽에 보울트체결용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조에 특징이 있다. In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composed of a four-bar bar extruded from aluminum, the bolt fastening groove on the side 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the structure formed according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가로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할 때,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판을 끼워넣고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측 측벽에 형성된 구멍 및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통해 보울트를 통과시켜 연결하는 구조와, 상기 수직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할 때,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홈과 상기 세로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판을 끼워넣고 상기 수직보강대에 형성된 구멍 및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통해 보울트를 통과시켜 연결하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frame assembly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cabine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he fixing plate formed with a screw hole form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le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bolt through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fixing plate and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inserting the fixing plate with the screw holes form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and th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And it may further comprise a structure for connecting by passing through the bolt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vertical reinforcement and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fixing plate.
이러한 추가적 구성에 의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 그리고 수직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고 이들 프레임들의 조립 및 분해가 편리해 지는 장점이 있다. This additional configuration can reinforce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the combination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se frames is convenient.
본 발명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의하면, 통신장비의 하중에도 장시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고 지진과 같은 돌발적인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에도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rame assembly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cabi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onding force for a long time even under the load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o maintain a stable rigidity that is not deformed even by vibration caused by an unexpected external shock such as an earthquake.
특히, 본 발명은 통신장비 캐비닛의 각 꼭지점 부분에 제공되는 프레임 조립구조를 형성하고, 통신장비 캐비닛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의 조립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도 보울트와 너트만을 이용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지진과 같은 큰 외부 진동에 대해 견디는 내진 또는 내진동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rame assembly structure provided at each vertex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and assembles and disassembles using only bolts and nuts while accurately mainta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en assembling the frame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It is possible to provide seismic or vibration resistant properties that withstands large external vibrations such as earthquak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에 대한 내진시험에 이용되는 요구응답스펙트럼(RRS)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binet for storing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illustrating a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shown in FIG.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shown in FIG.
5 is a graph showing a response response spectrum (RRS) used in the seismic test for the cabinet for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only for illustrative purpos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o embody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Hereinafter,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은 도 2에 도시한 방향을 의미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cabinet for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receiving communication equipmen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horizontal direction" and "vertical direction"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eans the direction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100)에는 베이스판(10) 위에 직립 설치된 수직프레임(20)과,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수직프레임(20)에 결합된 가로프레임(30)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수직프레임(20)에 결합된 세로프레임(40)을 포함하는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 조립체에는 선반(60)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선반프레임(50)이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제공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전방/후방 수직프레임(20)에는 각각 전방 도어(70A)와 후방 도어(70B)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100)의 측면은 측편 커버(80A, 80B)로 덮여져 있고,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100)의 저면에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 휠(11)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의 전방 좌우측 모서리와 후방 좌우측 모서리에서 각각 수직프레임(20)이 직립설치된다. 이들 4개의 수직프레임(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측 선단에서 각각 1쌍의 가로프레임(30)들과 1쌍의 세로프레임(40)들에 의해 지지된다. Next, as shown in FIGS. 2 to 4,
상기 수직프레임(20)들은 가로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수직프레임(20)들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가로프레임(30)들에 의해 연결되고, 세로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수직프레임(20)들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세로프레임(40)들에 의해 연결된다(도 3 참조). 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20)과 세로프레임(40)은 알루미늄재로 압출성형된 4각 바아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측벽에 보울트체결용 홈(21, 4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상기 가로프레임(30)은 바닥판(31), 좌측 측벽(32), 우측 측벽(33), 전방 측벽(34), 후방 측벽(35)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프레임(30)은 체결보울트(36)에 의해 베이스판(10)에 단단히 고정되면서 좌/우측 선단, 즉 좌측 측벽(32) 및 우측 측벽(33)이 수직프레임(20)에 연결되어 수직프레임(20)을 직립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30)의 바닥판(31)은 베이스판(10)에 대해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면서 맞대어 체결보울트(36)로 단단히 고정되고, 좌/우측 측벽(32, 33)은 상기 수직프레임(20)의 내측면과 맞대어 체결보울트(37)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30)의 좌/우측 측벽(32, 33)의 내측면과 바닥판(31)의 내측면은 보강판(38a, 38b)으로 굽힘변형에 대하여 보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들에 의해 가로방향(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도 보울트와 너트만을 이용하여 프레임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지진과 같은 큰 외부 진동에 대해 견디는 내진 또는 내진동 특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그리고, 상기 가로프레임(30)과 세로프레임(40)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에는 수평보강대(91)가 결합된다. 수평보강대(91)는 삼각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한쪽면이 가로프레임(30)의 내측면과 맞닿아 보울트(92)로 체결되고 다른쪽면은 세로프레임(40)의 내측면에 맞닿아 보울트(93)로 체결됨으로써 가로프레임(30)과 세로프레임(40)의 결합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30)의 좌/우측 측벽(32, 33)과 수직프레임(20)을 체결보울트(37)로 체결할 때, 수직프레임(20)의 홈(21)에 고정판(22)을 끼워넣고 고정판(22)에 형성된 나사구멍(23)에 체결보울트(37)를 체결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조립이 편리해진다. Then, the horizontal reinforcing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과 세로프레임(40)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에는 수직보강대(94)가 결합된다. 수직보강대(94)는 삼각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한쪽면이 세로프레임(40)의 상면에 맞닿아 보울트(95)로 체결되고, 다른쪽면은 수직프레임(20)의 내측면에 맞닿아 보울트(96)로 체결됨으로써 세로프레임(40)과 수직프레임(20)의 결합을 강화한다. In addition, the vertical reinforcing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20)과 세로프레임(40)을 보울트(95, 96)로 체결할 때, 수직프레임(20)의 홈(21)과 세로프레임(40)의 홈(41)에 각각 고정판(22, 42)을 끼워넣고 고정판(22, 42)에 형성된 나사구멍(23, 43)에 보울트(95, 96)를 체결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조립이 편리해진다. Whe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가로프레임(30)은 베이스판(10)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면서 체결보울트(36)로 고정되는 바닥판(31)과, 양측 선단에서 수직프레임(20)의 내측면과 맞닿아 체결보울트(37)로 고정되는 확장된 좌/우측 측벽(32, 33)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프레임(30)의 좌/우측 측벽(32, 33)의 내측면과 바닥판(31)의 내측면은 보강판(38a, 38b)으로 굽힘변형에 대하여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지진과 같은 큰 외부 진동에 대해 견디는 내진 또는 내진동 특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로프레임(30)과 세로프레임(40)은 수평보강대(91)에 의해 추가로 지지되는 동시에 수직프레임(20)과 세로프레임(40)은 수직보강대(94)에 의해 추가로 지지됨으로써 가로프레임, 수직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모서리부 결합강도가 보강되어 전체적인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가 구현된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을 공인시험기관(한국산업기술시험원;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해안로 705)에 의뢰하여 내진시험을 수행하였다.Meanwhile, a seismic test was performed by requesting a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cabinet implementing the frame assembly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uthorized test organization (Korea Testing and Development Institute; 705, Sadong Shore-ro, Sangnok-gu, Ansan-si, Gyeonggi-do). .
내진시험은 3축 동시 램덤(Random Test) 신호로 시험하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요구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시험 주파수범위는 1Hz∼50Hz로 설정하였다. 1회 시험시간은 총 30초로 설정하였고 격심한 운동(Strong Motion) 시간은 20초 이상 유지하였다. 시험을 2회 반복 수행하였으며, 2회의 내진시험 도중 및 시험 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프레임 조립체가 구현된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을 구성하는 구성품의 이탈이나 파손이 없는지를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전파연구소 내진시험방법 공고 제2009-3호 [별표 2]의 기준에 따라 이상유무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The seismic test was conducted with a three-axis simultaneous random test signal, and the test frequency range was set to 1 Hz to 50 Hz using the response spectrum as shown in FIG. 5. One test time was set to a total of 30 seconds and a strong motion time was maintained for more than 20 seconds. The test was repeated twice, and during and after two seismic tes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eparture or damag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in which the frame assembly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mplemented. Abnormality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Seismic Testing Method No. 2009-3 [Annex 2].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상기 표 1의 내진시험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가 구현된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은 내진설계 규격에 적합하고 지진과 같은 돌발적인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에도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seismic test results of Table 1,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implementation of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orms to the seismic design standard and is resistant to vibrations caused by sudden external shocks such as earthquakes. It can be seen that stable stiffness that is not deformed can be maintained.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contempl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100: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
10: 베이스판 11: 캐스터 휠
20: 수직프레임 21: 홈
22: 고정판 30: 가로프레임
31: 바닥판 32: 좌측 측벽
33: 우측 측벽 34: 전방 측벽
35: 후방 측벽 36, 37: 체결보울트
38a, 38b: 보강판 40: 세로프레임
41: 홈 42: 고정판
50: 선반프레임 60: 선반
70A, 70B: 전방 도어, 후방 도어 80A, 80B: 측편 커버
91: 수평보강대 92, 93, 95, 96: 보울트
94: 수직보강대100: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10: base plate 11: caster wheel
20: vertical frame 21: groove
22: fixed plate 30: horizontal frame
31: bottom plate 32: left side wall
33: right side wall 34: front side wall
35:
38a, 38b: gusset 40: vertical frame
41: groove 42: fixed plate
50: shelf frame 60: shelf
70A, 70B: front door,
91:
94: vertical reinforcement
Claims (6)
상기 가로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판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체결보울트로 고정되는 바닥판과, 좌우측 선단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과 맞대어 체결보울트로 고정되는 좌우측 측벽과, 상기 좌우측 측벽에 서로 대향하면서 연결되는 전후방 측벽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 측벽은 상기 전후방 측벽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연장되어 확장된 접촉면을 가짐으로써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면과 맞대어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측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바닥판의 내측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 보강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Vertical frames are installed upright at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base plate, respectively, and are sup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s in horizontal frame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frames facing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vertically supported by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s in the vertical frame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frames facing each other,
The horizontal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base plate as wide as possible to the bottom plate is fixed with a fastening bolt,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with the fastening bolt at the left and right ends, and facing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t consists of an enclosure with an open top with front and rear side walls connected to it,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can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in the widest possible area by having an extended contact surface extending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And a side reinforcing plate extending inclin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of the horizontal frame to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plate and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마다 수평보강대가 결합되되, 수평보강대는 한쪽면이 가로프레임의 내측면과 맞닿아 보울트로 체결되고 다른쪽면은 세로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아 보울트로 체결됨으로써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지지하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마다 수직보강대가 결합되되, 수직보강대는 한쪽면이 세로프레임의 상면에 맞닿아 보울트로 체결되고, 다른쪽면은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아 보울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each corner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has one side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is fastened with the bowl, and the other side touches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with the bowl. By fastening horizontal frame and vertical frame,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each corner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each other,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fastened to the bowl by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상기 수직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은 알루미늄재로 압출성형된 4각 바아(bar)로 이루어지고, 측벽에 보울트체결용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5. The method of claim 4,
The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s composed of a square bar (bar) extruded from aluminum material, the bolt assembly groove on the side wall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가로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할 때,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판을 끼워넣고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측 측벽에 형성된 구멍 및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통해 보울트를 통과시켜 연결하는 구조와,
상기 수직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연결할 때,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홈과 상기 세로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각각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판을 끼워넣고 상기 수직보강대에 형성된 구멍 및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통해 보울트를 통과시켜 연결하는 구조를 더 포함하는 통신장비 수납용 캐비닛의 프레임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5,
When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inserting the fixing plate formed with a screw hole in th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and connecting through the bolt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fixing plate Wow,
When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he fixing plate formed with the screw hole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and th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frame, respectively, and the bolt is form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vertical reinforcing rod and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fixing plate. Frame assembly of the cabinet for communication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a structure for passing throug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588A KR101273159B1 (en) | 2011-12-12 | 2011-12-12 | Frame assembly structure of cabinet for mounting communication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2588A KR101273159B1 (en) | 2011-12-12 | 2011-12-12 | Frame assembly structure of cabinet for mounting communication devic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3159B1 true KR101273159B1 (en) | 2013-06-17 |
Family
ID=4886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2588A Active KR101273159B1 (en) | 2011-12-12 | 2011-12-12 | Frame assembly structure of cabinet for mounting communication devi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315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3244B1 (en) | 2013-11-28 | 2014-07-25 | (주)대흥시스템 | Assembly type closet |
CN108650841A (en) * | 2018-07-06 | 2018-10-12 | 江苏通鼎宽带有限公司 | Assemble frame, communication cabinet and communication cabinet group |
KR102118503B1 (en) * | 2019-04-24 | 2020-06-03 | 장근환 | Frame connection structure of earthquake-proof rack |
KR102522816B1 (en) * | 2022-09-14 | 2023-04-19 | 고윤찬 | display panel fram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0819A (en) * | 2001-03-01 | 2002-09-11 |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Frame of cabinet for containing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s and joining construction thereof |
JP2002319778A (en) * | 2001-04-20 | 2002-10-31 | Nitto Electric Works Ltd |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cabinet frame |
KR20100055115A (en) * | 2008-11-17 | 2010-05-26 | 황정식 | Bracket for cabinet |
KR20100061128A (en) * | 2008-11-28 | 2010-06-07 | 이종호 | A mounting structure of fabricated frame |
KR100964171B1 (en) * | 2009-11-24 | 2010-06-17 | 이호근 | Rack for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earthquake-proof construction |
JP4502560B2 (en) * | 1999-05-31 | 2010-07-14 | 富士通株式会社 | Communication device and plug unit |
JP2010267855A (en) * | 2009-05-15 | 2010-11-25 | Nitto Electric Works Ltd | Frame cabinet |
KR20110000741U (en) * | 2009-07-16 | 2011-01-24 | 황정식 | Mounting bracket for cabinet |
-
2011
- 2011-12-12 KR KR1020110132588A patent/KR1012731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02560B2 (en) * | 1999-05-31 | 2010-07-14 | 富士通株式会社 | Communication device and plug unit |
KR20020070819A (en) * | 2001-03-01 | 2002-09-11 |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Frame of cabinet for containing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s and joining construction thereof |
JP2002319778A (en) * | 2001-04-20 | 2002-10-31 | Nitto Electric Works Ltd |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cabinet frame |
KR20100055115A (en) * | 2008-11-17 | 2010-05-26 | 황정식 | Bracket for cabinet |
KR20100061128A (en) * | 2008-11-28 | 2010-06-07 | 이종호 | A mounting structure of fabricated frame |
JP2010267855A (en) * | 2009-05-15 | 2010-11-25 | Nitto Electric Works Ltd | Frame cabinet |
KR20110000741U (en) * | 2009-07-16 | 2011-01-24 | 황정식 | Mounting bracket for cabinet |
KR100964171B1 (en) * | 2009-11-24 | 2010-06-17 | 이호근 | Rack for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earthquake-proof constructio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3244B1 (en) | 2013-11-28 | 2014-07-25 | (주)대흥시스템 | Assembly type closet |
CN108650841A (en) * | 2018-07-06 | 2018-10-12 | 江苏通鼎宽带有限公司 | Assemble frame, communication cabinet and communication cabinet group |
KR102118503B1 (en) * | 2019-04-24 | 2020-06-03 | 장근환 | Frame connection structure of earthquake-proof rack |
KR102522816B1 (en) * | 2022-09-14 | 2023-04-19 | 고윤찬 | display panel fr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3159B1 (en) | Frame assembly structure of cabinet for mounting communication devices | |
JP3679417B2 (en) | Switchboard cabinet with frame | |
JP6209785B2 (en) | Anti-vibration stopper structure and anti-vibration stand having the anti-vibration stopper structure | |
KR100942598B1 (en) | Folding prefabricated container | |
CN101888762B (en) | Frame type housing | |
JP2008177189A (en) | Seismic structure of cabinet rack | |
KR101306720B1 (en) | Assembly Type Cabinet | |
KR101783213B1 (en) | The frame structure of racks with enhanced mobility and aseismicity | |
KR101970404B1 (en) | Module assembly type prefabricated house | |
KR100733540B1 (en) | Soundproof Plate Crimping Device | |
JP2010267843A (en) | Frame cabinet | |
KR101751651B1 (en) | Earthquake-Resistant Swichboard with Enclosure Applied Triaxis Corner Piece of Double and Symmetric Structure | |
TWM527425U (en) | Cabinet for supporting and placing panel | |
KR101977794B1 (en) | loading facilities on reinforcement to earthquake | |
JP3826821B2 (en) |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rack and method of assembling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rack | |
KR101383149B1 (en) | Laboratory table with assembly | |
KR101006865B1 (en) | Brackets for Cabinets | |
JP5670236B2 (en) | Cabinet connection structure | |
JP6767670B2 (en) | How to install the kitchen equipment | |
CN112839471B (en) | Light frame structure meeting impact resistance and shock resistance | |
JP2003093170A (en) | cabinet | |
JP7118855B2 (en) | rack | |
CN213962488U (en) | TV bench convenient to dismouting | |
JP2002368460A (en) | Flexible rack for apparatus | |
CN110636732B (en) | Electric control cabi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