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88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2886B1 KR101272886B1 KR1020080098990A KR20080098990A KR101272886B1 KR 101272886 B1 KR101272886 B1 KR 101272886B1 KR 1020080098990 A KR1020080098990 A KR 1020080098990A KR 20080098990 A KR20080098990 A KR 20080098990A KR 101272886 B1 KR101272886 B1 KR 1012728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transition
- data bits
- data
- receiv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000649946 Homo sapiens Vacuolar protein sorting-associated protein 29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8290 Vacuolar protein sorting-associated protein 29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5271 2-acylglycerol O-acyltransfer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2210 COX assembly mitochondrial protein 2 homolog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001115709 Homo sapiens 2-acylglycerol O-acyltransferase 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00446 Homo sapiens COX assembly mitochondrial protein 2 homolog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927999 Homo sapiens Diacylglycerol O-acyltransferase 2-like protein 6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465865 Homo sapiens GINS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184671 Homo sapiens MOGAT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461899 Homo sapiens NXT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631695 Homo sapiens Succinate dehydrogenase assembly factor 3, mitochondria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5112 NTF2-related export protein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8996 Succinate dehydrogenase assembly factor 3, mitochondrial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9739 rRNA N6-adenosine-methyltransferase METTL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02—Conversion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using a single bit, e.g. start stop b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록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며 주기적인 천이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데이터 비트들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고 주기적인 천이(periodic transition)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선; 및 상기 데이터 선을 통하여 전달된 상기 송신 신호(이하 수신 신호라 함)의 상기 주기적인 천이로부터 수신 클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클록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복원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data bits and having a periodic transition.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bits,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bits and having a periodic transition; A data line carry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a receiving unit generating a receiving clock signal from the periodic transition of the transmiss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cep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line, and sampling the 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clock signal to restore the data bits. It provides a device having a.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록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며 주기적인 천이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data bits and having a periodic transition.
디스플레이의 타이밍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종래 기술로서, 네셔널 세마이컨덕터사(社)(national semiconductor)에서 발표한 PPDS(point-to-point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이 있다.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of an interface between a timing controller of a display and a data driver, there is a point-to-point differential signaling (PPDS) scheme announced by National Semiconductor.
도 1은 PPDS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PDS 방식은 타이밍 제어부(1)와 각 데이터 구동부(2) 사이에 독립적인 데이터 선(3)이 연결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PPDS 방식은 종래의 RSDS(Reduced Swing Differential Signaling) 및 mini-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anling) 방식에 비하여 EMI가 줄어들고, 전체 신호선의 개수가 줄어든다는 장점을 가진다. 타이밍 제어부(1)와 데이터 구동부들(2) 사이에는 클록 선(4)과 로드 선(5)이 연결된 다. 클록 선(4)과 로드 선(5)은 데이터 구동부들(2)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데이터 신호 및 클록 신호의 전송에는 차동 신호 방식(differential signaling)이 사용되므로, 데이터 선(3) 및 클록 선(4)은 각각은 차동 쌍(differential pair)로 구성된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PDS scheme. Referring to FIG. 1, the PPDS scheme is characterized in that an
상술한 PPDS 방식은 몇 가지 개선될 여지가 있다. The above described PPDS scheme has some room for improvement.
첫째, PPDS 방식에 있어서, 데이터 선과 별도로 클록 선이 요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록 신호가 데이터 신호와 다른 별도의 선을 통하여 타이밍 제어부(1)로부터 데이터 구동부(2)로 전달되므로, 클록 신호의 전송을 위한 클록 선이 요구되며, 이는 배선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디스플레이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First, in the PPDS scheme, a clock line is required separately from the data line. More specifically, since the clock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둘째, PPDS 방식에 있어서, 클록 선을 통하여 전송되는 높은 주파수의 클록 신호는 EMI 성분을 증가시킨다. Second, in the PPDS scheme, the high frequency clock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lock line increases the EMI component.
셋째, PPDS 방식에 있어서, 데이터 선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와 클록 선으로 전송되는 클록 신호 사이에 스큐(skew)가 존재할 경우, 데이터 샘플링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Third, in the PPDS scheme, if a skew exists between a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data line and a clock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lock line, an error may occur in a data sampl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록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클록 선이 요구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ata with the clock information, so that a separate clock line is not require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록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클록 선으로부터 발생하는 EMI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remove the EMI component generated from a separate clock line by transmitting data with the clock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록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스큐나 상대 지터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solve problems such as skew, relative jitter, etc. by transmitting data with the clock informa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데이터 비트들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고 주기적인 천이(periodic transition)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선; 및 상기 데이터 선을 통하여 전달된 상기 송신 신호(이하 수신 신호라 함)의 상기 주기적인 천이로부터 수신 클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클록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복원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bits, the transmitte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bits and having a periodic transition (periodic transition) ; A data line carry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a receiving unit generating a receiving clock signal from the periodic transition of the transmiss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cep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line, and sampling the 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clock signal to restore the data bits. It provides a device having a.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데이터 비트들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에 있어서, 송신 비트들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비트들 사이에 더미 비트-상기 더미 비트는 상기 송신 신호가 주기적인 천이를 가지도록 하는 값을 가짐-를 주기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송신 비트들을 구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송신부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bits, comprising: a driver unit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bits; And a dummy bit interposed between the data bits, the dummy bit having a value that causes the transmission signal to have a periodic transition, thereby obtaining the transmission bits.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고, 주기적인 천이를 가지는 수신 신호로부터 데이터 비트들을 복원하는 수신부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의 상기 주기적인 천이로부터 수신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클록 생성부; 및 상기 수신 클록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복원하는 샘플러를 구비하는 수신부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er corresponding to data bits and restoring data bits from a received signal having a periodic transition includes: a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ceived clock signal from the periodic transition of the received signal; And a sampler configured to recover the data bits by sampling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clock signal.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데이터 비트들을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고 주기적인 천이(periodic transition)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전송된 상기 송신 신호(이하 수신 신호람 함)의 상기 주기적인 천이에 따라 수신 클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 클록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데이터 비트들을 복원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its, comprising: (a)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bits and having a periodic transition; (b)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signal; And (c) generating a received clock signal according to the periodic transition of the transmitted transmissio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ceived signal), and sampling the received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clock signal to restore the data bits. It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제1 입력 신호의 천이-상기 제1 입력 신호의 천이는 상기 제1 입력 신호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포함함- 및 제2 입력 신호-상기 제2 입력 신호의 천이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의 천이 사이의 시간 차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천이 차 없음을 의미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제1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 입력 신호 중 어느 한 입력 신호의 천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2 신호-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1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 입력 신호 중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천이가 발생하였음에 대응하는 신호임- 및 제3 신호-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제1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 입력 신호 중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천이가 발생하였음에 대응하는 신호임- 중에서 상기 어느 한 입력 신호에 천이가 발생하였음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 입력 신호 중 나머지 한 입력 신호의 천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천이 차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A fifth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transition of a first input signal, wherein the transition of the first input signal comprises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of the first input signal, and a second input signal—the transition of the second input signal. A method for detec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ransitions of a second input sig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rising edge and a falling edge, the method comprising: (a) outputting a first signal indicating no transition difference; (b) when a transition of any one of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occurs, a second signal-the second signal is the first of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And a third signal, wherein the third signal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transition from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to the second input signal.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ransitions to any one of the input signals; And (c) outputting the first signal when a transition of the other one of the first input signal and the second input signal occurs.
본 발명에 의한 클록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는 데이터 선과 분리된 별도의 클록 선 없이도 클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with the clo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lock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without a separate clock line separate from the data lin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록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는 별도의 클록 선으로부터 발생하는 EMI 성분이 제거된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with the clo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EMI component generated from a separate clock line is rem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록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는 클록 정보가 데이터와 함께 제공됨으로써 스큐나 상대 지터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gether with the clo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problem such as skew or relative jitter does not occur because the clock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the data.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록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전자 장치, 특히 타이밍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 사이의 인터페이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ogether with the cloc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an interface between a timing controller and a data driv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는 송신부(10), 데이터 선(20) 및 수신부(30)를 구비한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송신부(10)는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고 주기적이 천이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데이터 비트들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비트들은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비트들은 각종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데이터 비트들은 에러 검출 및/또는 에러 보정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인 천이는 일례로 L(L은 2 이 상의 정수) 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삽입된 더미 비트에 의하여 생길 수 있다. The
데이터 선(20)은 송신부(10)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를 수신부(30)로 전달한다. 송신 신호의 전달에는 하나의 선을 이용한 단일 신호 방식(single-ended signalling)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LVDS와 같이 2개의 선을 이용한 차동 신호 방식(differential signalling)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수신부(30)는 데이터 선(20)을 통하여 수신부(30)로 전달된 송신 신호(이하 수신 신호라 함)의 주기적인 천이로부터 수신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수신부는 수신 클록 신호에 따라 수신 신호를 샘플링하여 데이터 비트들을 복원한다. The
도 3은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며, 주기적이 천이를 가지는 송신 신호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데이터 선(20)을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비트들은 2진수로 '10101100100011100'이다. 실제 데이터 선(20)을 통하여 전송되는 송신 신호는 데이터 비트들에 더미 비트들이 부가된 신호이다. 데이터 선(20)이 차동 선(differential pair)인 경우에는 실선으로 표시된 송신 신호 및 점선으로 표시된 송신 신호가 차동 선을 통하여 전송되며, 데이터 선(20)이 단일 선인 경우에는 실선으로 표시된 송신 신호 및 점선으로 표시된 송신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단일 선을 통하여 전송된다.3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data bits and illustrating examples of a transmission signal having a periodic transition. In the drawing, data bits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도 3의 (a)는 8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1개의 더미 비트가 삽입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특히 더미 비트가 더미 비트 직전의 데이터 비트와 다른 값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첫째 더미 비트의 값은 첫째 더미 비트 직전의 데이터 비트의 값인 '1'과 다른 값인 '0'이 된다. 둘째 더미 비트의 값은 둘째 더미 비트 직전의 데이터 비트의 값인 '1'과 다른 값인 '0'이 된다. 셋째 더미 비트의 값은 셋째 더미 비트 직전의 데이터 비트의 값인 '0'과 다른 값인 '1'이 된다. 이와 같이 더미 비트가 삽입되면,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천이가 발생한다. 주기적인 천이가 상승 천이 및 하강 천이 중 어느 것인지는 더미 비트 직전의 데이터 비트에 의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데이터 비트들을 지속적으로 전송하면, 상승 천이들 및 하강 천이들이 발생한다. 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one dummy bit is inserted for every eight data bits. In particular, FIG. 3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dummy bit has a different value from the data bit immediately before the dummy bit. Therefore, the value of the first dummy bit is '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value '1' of the data bit immediately before the first dummy bit. The value of the second dummy bit is '0' which is different from '1' which is the value of the data bit immediately before the second dummy bit. The value of the third dummy bit is '1' which is different from '0' which is the value of the data bit just before the third dummy bit. When the dummy bit is inserted in this way, a periodic transition occurs as shown in the figure. Whether the periodic transition is the rising transition or the falling transition is determined by the data bit immediately before the dummy bit. Thus, continuously transmitting data bits results in rising and falling transitions.
도 3의 (b)는 8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1개의 더미 비트가 삽입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특히 더미 비트가 더미 비트 직후의 데이터 비트와 다른 값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첫째 더미 비트의 값은 첫째 더미 비트 직후의 데이터 비트의 값인 '1'과 다른 값인 '0'이 된다. 둘째 더미 비트의 값은 둘째 더미 비트 직후의 데이터 비트의 값인 '1'과 다른 값인 '0'이 된다. 셋째 더미 비트의 값은 셋째 더미 비트 직후의 데이터 비트의 값인 '0'과 다른 값인 '1'이 된다. 이와 같이 더미 비트가 삽입되면,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천이가 발생한다. 주기적인 천이가 상승 천이 및 하강 천이 중 어느 것인지는 더미 비트 직후의 데이터 비트에 의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데이터 비트들을 지속적으로 전송하면, 상승 천이들 및 하강 천이들이 발생한다.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one dummy bit is inserted for every eight data bits. In particular, FIG. 3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dummy bit has a different value from the data bit immediately after the dummy bit. Therefore, the value of the first dummy bit is '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value '1' of the data bit immediately after the first dummy bit. The value of the second dummy bit is '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value '1' of the data bit immediately after the second dummy bit. The value of the third dummy bit is '1' which is different from '0' which is the value of the data bit immediately after the third dummy bit. When the dummy bit is inserted in this way, a periodic transition occurs as shown in the figure. Whether the periodic transition is the rising transition or the falling transition is determined by the data bits immediately after the dummy bit. Thus, continuously transmitting data bits results in rising and falling transitions.
도 3의 (c)는 8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2개의 더미 비트들이 삽입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삽입되는 2개의 더미 비트들은 소정의 값을 가진다. 이와 같이 더미 비트가 삽입되면,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천이가 발생한다. 주기 적인 천이가 상승 천이 및 하강 천이 중 어느 것인지는 상기 소정의 값에 의하여 정해진다. 만일 소정의 값이 도면과 같이 이진수로 '01'이면 상승 천이들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만일 소정의 값이 도면과 달리 이진수로 '10'이면 하강 천이들만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L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2개의 더미 비트들을 삽입하면, L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1개의 더미 비트를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신부(30) 특히 위상 검출기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을 가지나, 동작 주파수가 증가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FIG.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wo dummy bits are inserted every eight data bits. The two dummy bits to be inserted have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dummy bit is inserted in this way, a periodic transition occurs as shown in the figure. Whether the periodic transition is the rising transition or the falling transition is determined by the predetermined value. If the predetermined value is '01' in binary as shown in the figure, only the rising transitions continuously occur. If the predetermined value is '10' in binary, unlike the figure only falling transitions continuously occur. As such, when two dummy bits are inserted for every L data bits, the structure of the
도 4는 도 2에 표현된 송신부(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송신부는 더미 비트 삽입부(11)와 구동부(12)를 구비한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더미 비트 삽입부(11)는 입력되는 데이터 비트들 사이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일례 2개)의 더미 비트를 주기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송신 비트들을 생성한다.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더미 비트에 의하여 송신 신호는 주기적인 천이를 가진다. The dummy
더미 비트 삽입부(11)는 일례로 인버터(16)와 병렬-직렬 변환부(17)를 구비한다. 인버터(16)는 8 비트들로 구성된 데이터 비트들 중 1개의 데이터 비트(data bits[1])의 값을 반전시킨다. 병렬-직렬 변환부(17)는 총 9개 비트들 즉 8 비트들로 구성된 데이터 비트들(data bits[8:1]) 및 1 비트로 구성된 인버터(16)의 출력 비트를 병렬로 입력받는다. 또한, 병렬-직렬 변환부(17)는 입력받은 9개의 비트들을 1 비트씩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일례로, 데이터 비트들(data bits[8:1])이 이진수로 '01011001'인 경우에, 병렬-직렬 변환부(17)에는 '010110010'가 병렬로 입력 되고, 병렬-직렬 변환부(17)로부터 '0', '1', 0', '1', '1', '0', '0', '1' 및 '0'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더미 비트 삽입부(11)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8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1개의 더미 비트가 삽입되고, 더미 비트가 더미 비트 직전의 데이터 비트와 다른 값을 가지는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8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1개의 더미 비트가 삽입되고, 더미 비트가 더미 비트 직후의 데이터 비트와 다른 값을 가지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면과 달리, 병렬-직렬 변환부는 최상위 데이터 비트(data bits[8])의 반전 및 데이터 비트들(data bits[8:1])을 입력받아, 최상위 데이터 비트(data bits[8])의 반전을 먼저 출력한 후, 데이터 비트들(data bits[8:1])을 최상위 비트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When one dummy bit is inserted for every eight data bits, and a dummy bit is to generate a transmission signal having a value different from that of the data bit immediately after the dummy bit, unlike in the figure, the parallel-to-serial converting unit is the most significant data bit ( The inversion of the data bits [8]) and the data bits [8: 1] are inputted, and the inversion of the most significant data bits [data bits [8] is output first, and then the data bits [data bits [ 8: 1]) in order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8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2개의 더미 비트가 삽입된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면과 달리, 병렬-직렬 변환부는 데이터 비트들(data bits[8:1]) 및 소정의 더미 비트들(일례로 이진수로 '01')을 입력받아, 데이터 비트들(data bits[8:1])을 최상위 비트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한 후, 소정의 더미 비트들을 최상위 비트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한다.In the case where it is desired to generate a transmission signal in which two dummy bits are inserted for every eight data bits, unlike in the figure, the parallel-to-serial conversion section includes data bits (data bits [8: 1]) and predetermined dummy bits ( For example, '01' is input as a binary number, and the data bits (data bits [8: 1]) are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and then predetermined dummy bits are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구동부(12)는 송신 비트들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일례 LVDS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부(12)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가 데이터 선(20)에 인가된다. The
도 5는 도 2에 표현된 수신부(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신부(30)는 클록 생성부(31) 및 샘플러(32)를 구비한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클록 생성부(31)는 데이터 선(20)을 통하여 전달된 수신 신호의 주기적인 천이로부터 수신 클록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수신 클록 신호는 수신 신호의 주기적인 천이의 주기에 대응하는 주기를 가진다. 일례로, 수신 클록 신호는 주기적인 천이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를 가지며, 서로 위상을 달리하는 L(L은 연속된 2개의 주기적인 천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데이터 비트들의 개수)개의 클록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샘플러(32)는 L개의 클록을 사용하여 L개의 데이터 비트들을 샘플링한다. 다른 예로 수신 클록 신호는 주기적인 천이의 주파수(주기적인 천이의 주기의 역수)의 정수 배(일례로, L개의 데이터 비트들마다 M개의 더미 비트가 삽입된 경우에, (L+M) 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1개의 클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샘플러(32)는 1개의 클록을 사용하여 L개의 데이터 비트들을 샘플링한다. The
샘플러(32)는 수신 클록 신호에 따라 수신 신호를 샘플링하여 데이터 비트들을 복원한다. The
도 6은 도 5에 표현된 클록 생성부(3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표현된 주요 신호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클록 생성부(31)는 천이 검출 회로(40) 및 발진기(50)를 구비한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천이 검출 회로(40)는 수신 신호의 주기적인 천이 및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천이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하는 신호(DIFF)를 출력한다. 천이 검출 회로(40)는 일례로 천이 검출기(41), 엔에이블 신호 생성부(42) 및 저대역 통과 필터(43)를 구 비한다. The
천이 검출기(41)는 수신 신호의 천이 및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천이 사이의 시간 차에 대응하는 신호(UP, DN)를 출력한다. 천이 검출기(41)가 수신 신호의 천이 및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천이 사이의 시간 차를 구함에 있어서, 수신 신호의 여러 천이들 중에서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는 기간의 천이와 및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여러 천이들 중에서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는 기간의 천이가 사용된다.The
엔에이블 신호 생성부(42)는 천이 검출기(41)가 수신 신호의 여러 천이들 중에서 더미 비트에 의한 주기적인 천이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엔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따라서, 천이 검출기(41)는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는 기간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천이 및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는 기간에 입력되는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천이 사이의 시간 차를 구한다. 또한, 천이 검출기는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지 아니하는 기간에 입력되는 수신 신호의 천이 및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지 아니하는 기간에 입력되는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천이를 고려하지 아니한다. The enable
주기적인 천이가 수행되는 시점을 T, 주기적인 천이의 주기를 P, 상기 P 동안에 수신되는 비트들의 개수를 N(연속된 2개의 주기적인 천이들 사이에 위치한 데이터 비트들의 개수를 L, 연속된 2개의 주기적인 천이들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더미 비트의 개수를 M이라고 하면, N은 L+M임)이라고 가정하면, 바람직하게, 엔에이블 신호의 시작 시점인 T_START 및 엔에이블 신호의 종료 시점인 T_END는 아 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T is the time at which the periodic transition is performed, P is the period of periodic transitions, N is the number of bits received during P (N is the number of data bits located between two consecutive periodic transitions, L is 2 consecutive). If the number of at least one dummy bit located between the two periodic transitions is M, N is L + M). Preferably, T_START, which is a start point of the enable signal, and an end point of the enable signal, T_END satisfies
T < T_END < T + (P/N)T <T_END <T + (P / N)
만일, 시작 시점(T_START)이 [T - (P/N)] 이하이거나, 종료 시점(T_END)이 [T + (P/N)] 이상이면,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는 기간 안에, 주기적인 천이 이외의 수신 신호의 원치 아니하는 천이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시작 시점(T_START)이 T 초과이거나, 종료 시점(T_END)이 T 미만이면,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는 기간 안에, 주기적인 천이가 존재하지 아니하게 된다. 도면에는 시작 시점이 [T - (P/2N)]이고, 종료 시점이 [T + (P/2N)]인 경우의 예가 표현되어 있다. If the start time T_START is less than or equal to [T-(P / N)] or the end time T_END is more than or equal to [T + (P / N)], within the period during which the enable signal EN is applied, There are unwanted transitions in the received signal other than periodic transitions. In addition, when the start time T_START is greater than T or the end time T_END is less than T, there is no periodic transition within the period during which the enable signal EN is applied. In the figure, an example is shown when the start time point is [T-(P / 2N)] and the end time point is [T + (P / 2N)].
엔에이블 신호 생성부(42)는 일례로 지연 선(51)에서 구해질 수 있는 여러 지연 클록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라 엔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도면에는 엔에이블 신호 생성부(42)가 제1 인버터(I1)에서 출력되는 제1 지연 클록(DC1) 및 제17 인버터(I17)에서 출력되는 제17 지연 클록(DC17)을 입력받는 예가 표현되어 있다. 제1 지연 클록(DC1)은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반전이 (P/2N)만큼 지연된 신호이고, 제17 지연 클록(DC17)은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반전이 -(P/2N)만큼 지연된 신호이다. 제1 지연 클록(DC1) 및 제17 지연 클록(DC17)로부터 엔에이블 신 호(EN)를 생성하기 위하여 엔에이블 신호 생성부(42)는 인버터(INV) 및 논리곱 연산기(AND)를 구비한다. The enable
저대역 통과 필터(43)는 천이 검출기(41)에서 출력되는 천이 차에 대응하는 신호(UP, DN)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 또는 감소시킨 신호(DIFF)를 구한다. 저대역 통과 필터(43)는 일례로 전하 펌프(charge pump)일 수 있다. The
발진기(50)는 천이 검출 회로(40)에서 출력되는 신호(DIFF)에 따라 피드백 클록 신호(FC) 및 수신 클록 신호의 위상을 변경한다. 발진기(50)는 일례로 지연 선(51) 및 피드백 선(52)을 구비한다. The
지연 선(51)의 지연은 천이 검출 회로(40)에서 출력되는 신호(DIFF)에 따라 변경된다. 지연 선(51)은 복수의 인버터(I1 내지 I18)을 구비한다. 복수의 인버터(I1 내지 I18) 각각의 지연은 천이 검출 회로(40)에서 출력되는 신호(DIFF)에 따라 조정된다. 복수의 인버터(I1 내지 I18) 각각은 대략 (P/2N)에 해당하는 지연을 가진다. 제3, 제5, 제7, 제9, 제11, 제13, 제15 및 제17 인버터(I3, I5, I7, I9, I11, I13, I15, I17)에서 각각 출력되는 제3, 제5, 제7, 제9, 제11, 제13, 제15 및 제17 지연 클록(DC3, DC5, DC7, DC9, DC11, DC13, DC15, DC17)이 수신 클록 신호로서 샘플러(32)로 출력된다.The delay of the
피드백 선(52)은 지연 선(51)에서 출력되는 피드백 클록 신호(FC)를 지연 선(51)의 입력으로 피드백한다. The
도 8은 도 6에 표현된 천이 검출부(4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천이 검출부(41)는 제1 내지 제3 D 플립-플랍(FF1, FF2, FF3), 제1 및 제2 논리합 연산기(OR1, OR2), 논리곱 연산기(AND) 및 인버터(INV)를 구비한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제1 플립-플랍(FF1)은 양단 동작(positive edgge triggered) D 플립-플랍이다. 제1 플립-플랍(FF1)의 입력 단(D), 클록 단(CLK) 및 리셋 단(RS)에는 비트 '1'에 대응하는 신호(일례로 전원 전압(VDD)), 수신 신호 및 제2 논리합 연산기(OR2)의 출력이 각각 입력된다. 따라서, 제1 플립-플랍(FF1)은 제2 논리합 연산기(OR2)의 출력이 '1'이 된 이후에는 '0'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1 플립-플랍(FF1)은 제2 논리합 연산기(OR)의 출력이 '0'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상승 에지가 발생한 이후에는 '1'을 출력한다. The first flip-flop FF1 is a positive edgge triggered D flip-flop. The input terminal D, the clock terminal CLK, and the reset terminal RS of the first flip-flop FF1 have a signal corresponding to bit '1' (for example, a power supply voltage VDD), a received signal, and a second signal. The outputs of the OR operator OR2 are input respectively. Therefore, the first flip-flop FF1 outputs '0' after the output of the second logical OR operator OR2 becomes '1'. The first flip-flop FF1 outputs '1' after the rising edge of the received signal occurs in the state where the output of the second logical OR operator is '0'.
제2 플립-플랍(FF2)은 음단 동작(negative edgge triggered) D 플립-플랍이다. 제2 플립-플랍(FF2)의 입력 단(D), 클록 단(CLK) 및 리셋 단(RS)에는 비트 '1'에 대응하는 신호, 수신 신호 및 제2 논리합 연산기(OR2)의 출력이 각각 입력된다. 따라서, 제2 플립-플랍(FF2)은 제2 논리합 연산기(OR2)의 출력이 '1'이 된 이후에는 '0'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2 플립-플랍(FF2)은 제2 논리합 연산기(OR)의 출력이 '0'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하강 에지가 발생한 이후에는 '1'을 출력한다. The second flip-flop FF2 is a negative edgge triggered D flip-flop. The input terminal D, the clock terminal CLK, and the reset terminal RS of the second flip-flop FF2 each have a signal corresponding to bit '1', an output signal, and an output of the second OR circuit OR2, respectively. Is entered. Therefore, the second flip-flop FF2 outputs '0' after the output of the second logical OR operator OR2 becomes '1'. The second flip-flop FF2 outputs '1' after the falling edge of the received signal occurs while the output of the second logical OR operator is '0'.
제3 플립-플랍(FF3)은 양단 동작(positive edgge triggered) D 플립-플랍이다. 제3 플립-플랍(FF3)의 입력 단(D), 클록 단(CLK) 및 리셋 단(RS)에는 비트 '1'에 대응하는 신호, 피드백 클록 신호(FC) 및 제2 논리합 연산기(OR2)의 출력이 각각 입력된다. 따라서, 제3 플립-플랍(FF3)은 제2 논리합 연산기(OR2)의 출력이 '1'이 된 이후에는 '0'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3 플립-플랍(FF3)은 제2 논리합 연산 기(OR)의 출력이 '0'인 상태에서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상승 에지가 발생한 이후에는 '1'을 출력한다. The third flip-flop FF3 is a positive edgge triggered D flip-flop. The input terminal D, the clock terminal CLK, and the reset terminal RS of the third flip-flop FF3 have a signal corresponding to bit '1', a feedback clock signal FC, and a second logical sum operator OR2. Are respectively inputted. Therefore, the third flip-flop FF3 outputs '0' after the output of the second logical OR operator OR2 becomes '1'. The third flip-flop FF3 outputs '1' after the rising edge of the feedback clock signal FC occurs in the state where the output of the second logical OR operator is '0'.
제1 논리합 연산기(OR1)은 제1 플립-플랍(FF1)의 출력 및 제2 플립-플랍(FF2)의 출력을 입력받는다. 제2 논리합 연산기(OR2)는 인버터(INV)의 출력 및 논리곱 연산기(AND)의 출력을 입력받는다. 논리곱 연산기(AND)는 제1 논리합 연산기(OR1)의 출력 및 제3 플립-플랍(FF3)의 출력을 입력받는다. 인버터(INV)는 엔에이블 신호(EN)를 입력받는다. The first logical OR operator OR1 receives an output of the first flip-flop FF1 and an output of the second flip-flop FF2. The second OR operation OR2 receives an output of the inverter INV and an output of the AND product AND. The AND product AND receives the output of the first AND operator OR1 and the output of the third flip-flop FF3. The inverter INV receives the enable signal EN.
도 8에 표현된 천이 검출부(41)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The
먼저, 엔에이블 신호가 인가되지 아니하는 기간에는 제1 내지 제3 플립-플랍(FF1, FF2, FF3)의 리셋 단(RS)에 '1'이 인가되므로, 제1 내지 제3 플립-플랍(FF1, FF2, FF3)은 '0'을 출력한다. 따라서, 천이 차 신호(UP, DN)는 (0, 0)가 된다. 천이 차 신호(UP, DN)이 (0, 0)임은 천이 차가 없음을 의미한다.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더라도, 수신 신호의 상승 에지, 수신 신호의 하강 에지 및 피드백 클록(FC)의 상승 에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하기 전에는 천이 차 신호(UP, DN)는 (0, 0) 상태를 유지한다. First, '1' is applied to the reset terminals RS of the first to third flip-flops FF1, FF2, and FF3 during the period when the enable signal is not applied, and thus, the first to third flip-flops ( FF1, FF2, and FF3) output '0'. Therefore,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become (0, 0). If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are (0, 0), there is no transition difference. Even when the enable signal EN is applied,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are equal to (0, 0) before at least one of the rising edge of the reception signal, the falling edge of the reception signal, and the rising edge of the feedback clock FC occurs. 0) Maintain state.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고, 천이 차 신호(UP, DN)가 (0, 0)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상승 에지 및 수신 신호의 하강 에지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면, 천이 차 신호(UP, DN)는 (1, 0)가 된다.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고, 천이 차 신호(UP, DN)가 (1, 0)인 상태에서, 피드백 클록(FC)의 상승 에지가 발생하면, 천이 차 신호(UP, DN)는 (0, 0)이 된다. When the enable signal EN is applied and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are (0, 0), when one of the rising edg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falling edge of the received signal occurs,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 ( UP, DN) becomes (1, 0). When the enable signal EN is applied and the rising edge of the feedback clock FC is generated while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are (1, 0),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are ( 0, 0).
또한,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고, 천이 차 신호(UP, DN)가 (0, 0)인 상태에서, 피드백 클록(FC)의 상승 에지가 발생하면, 천이 차 신호(UP, DN)는 (0, 1)이 된다.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고, 천이 차 신호(UP, DN)가 (0, 1)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의 상승 에지 및 수신 신호의 하강 에지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하면, 천이 차 신호(UP, DN)는 (0, 0)가 된다.Further, when the enable signal EN is applied and the rising edge of the feedback clock FC is generated while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are (0, 0),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are generated. Becomes (0, 1). When the enable signal EN is applied and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are (0, 1), when one of the rising edg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falling edge of the received signal occurs,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 ( UP, DN) becomes (0, 0).
만일, 천이 검출부(41)가 엔에이블 신호(EN)와 무관하게 항상 동작한다면, 도 8에서 인버터(INV) 및 제2 논리합 연산기(OR2)는 생략되고, 논리곱 연산기(AND)의 출력이 바로 제1 내지 제3 플립-플랍(FF1, FF2, FF3)의 리셋 단(RS)에 입력된다. 이 경우, 천이 검출부는 수신 신호의 천이 및 피드백 클록(FC)의 천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여기에서 수신 신호의 천이는 수신 신호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포함하며, 피드백 클록(FC)의 천이는 피드백 클록(FC)의 상승 에지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3 플립-플롭(FF3)을 대신하여, 1개의 양단 동작 D 플립-플랍, 1개의 음단 동작 D 플립 플랍 및 논리합 연산기를 사용하면, 피드백 클록(FC)의 천이가 피드백 클록(FC)의 상승 에지 및 하강 에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천이 차 신호(UP, DN)가 (0, 0)인 상태에서, 수신 신호 및 피드백 클록 신호(FC) 중 어느 한 신호의 천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1, 0) 및 (0, 1)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지는 천이 차 신호(UP, DN)가 출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신호의 천이가 발생한 경우에, (1, 0)의 값을 가지는 천이 차 신호(UP, DN)가 출력되고,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천이가 발생한 경우에, (0, 1)의 값을 가지는 천이 차 신호(UP, DN)가 출력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are (0, 0), when a transition between any on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feedback clock signal FC occurs, (1, 0) and (0, 1)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having any one of the values are output. More specifically, when the transition of the received signal occurs,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having the value of (1, 0) are output, and when the transition of the feedback clock signal FC occurs, (0,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having a value of 1) are output.
그 후, 수신 신호 및 피드백 클록 신호(FC) 중 나머지 한 신호의 천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0, 0)의 값을 가지는 천이 차 신호(UP, DN)가 출력된다. Then, when a transition of the other on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feedback clock signal FC occurs, the transition difference signals UP and DN having a value of (0, 0) are outpu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상승 에지가 엔에이블 신호(EN)가 인가되는 기간 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초기 동기가 필요하다. 피드백 클록 신호(FC)의 초기 동기를 위해서는 송신 신호의 주기적인 천이의 주기에 대응하는 주기(일례로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송신 클록 신호가 송신부(10)로부터 수신부(30)로 전송될 필요가 있다. 송신 클록 신호는 데이터 선(20)과 별도의 선을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으나, 데이터 선(20)을 통하여 전송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기에는 송신부(10)가 송신 클록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송신 클록 신호를 데이터 선(20)을 통하여 수신부(30)로 전송한다. 수신부(30)는 수신된 송신 클록 신호에 따라 피드백 클록 신호(FC) 및 수신 클록 신호의 위상을 조절한다. 수신부(30)가 초기 동기를 획득한 이후에는, 송신부(10)는 데이터 선(20)을 통하여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되고, 주기적인 천이를 가지는 송신 신호를 수신부(30)로 전송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rising edge of the feedback clock signal FC to be located within a period during which the enable signal EN is applied, initial synchronization of the feedback clock signal FC is required. For the initial synchronization of the feedback clock signal FC, a transmission clock signal having a period (for example, the sam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period of periodic transition of the transmission signal needs to be transmitted from the
송신부(10)가 송신 클록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도 4의 데이터 비트들(data bits[8:1])에 소정의 값(일례로 '11110000')을 지속적으로 인가하면 송신 신호의 주기적인 천이와 동일한 주기 및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송신 클록 신호가 생성된다. In order to transmit the transmission clock signal, the
수신부(30)가 수신된 송신 클록 신호로부터 초기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도 6에 표현된 클록 생성부(31)와 도 8에 표현된 천이 검출부(41)가 각각 도 9에 표현된 클록 생성부(31) 및 도 10에 표현된 천이 검출부(41)로 대체되면 된다. In order for the
도 9에 표현된 클록 생성부(31)는 도 6에 표현된 클록 생성부(31)에 비하여, 스위치(53)를 더 구비한다. 스위치(53)는 수신 신호 및 피드백 클록 신호(FC) 중 선택 신호(INI)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한 신호를 지연 선(51)으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53)는 초기 동기를 획득하는 기간에는 수신 신호를 출력하고, 초기 동기를 획득한 이후에는 피드백 클록 신호(FC)를 출력한다. The
도 10에 표현된 천이 검출부(41)는 도 8에 표현된 천이 검출부(41)에 비하여,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를 더 구비한다. 제1 스위치(SW1)는 제2 플립-플랍(FF2)의 출력 및 '0' 중 선택 신호(INI)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한 신호를 제1 논리합 연산기(OR1)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SW1)는 초기 동기를 획득하는 기간에는 '0'을 출력하고, 초기 동기를 획득한 이후에는 제2 플립-플랍(FF2)의 출력을 출력한다. 제2 스위치(SW2)는 엔에이블 신호(EN) 및 '1' 중 선택 신호(INI)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한 신호를 인버터(INV)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치(SW2)는 초기 동기를 획득하는 기간에는 '1'을 출력하고, 초기 동기를 획득한 이후에는 엔에이블 신호(EN)를 출력한다. Th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데이터 통신 방식의 일종인 PPDS를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PDS method which is a type of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통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며, 주기적이 천이를 가지는 송신 신호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data bits and illustrating examples of a transmission signal having a periodic transition.
도 4는 도 2에 표현된 송신부(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도 5는 도 2에 표현된 수신부(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도 6은 도 5에 표현된 클록 생성부(3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도 7은 도 6에 표현된 주요 신호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ain signals represented in FIG. 6.
도 8은 도 6에 표현된 천이 검출부(4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도 9 및 10은 클록 생성부(31) 및 천이 검출부(41)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9 and 10 are diagrams eac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8990A KR101272886B1 (en) | 2008-10-09 | 2008-10-09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8990A KR101272886B1 (en) | 2008-10-09 | 2008-10-09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5771A Division KR100868299B1 (en) | 2008-03-20 | 2008-03-20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1053A KR20090101053A (en) | 2009-09-24 |
KR101272886B1 true KR101272886B1 (en) | 2013-06-11 |
Family
ID=4135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8990A Active KR101272886B1 (en) | 2008-10-09 | 2008-10-09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288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8234B1 (en) | 2014-07-02 | 2016-10-21 | 주식회사 아나패스 |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ethod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reof |
KR102303914B1 (en) | 2015-03-06 | 2021-09-17 |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 Apparatus and method for trnasmit display signal |
KR101978306B1 (en) * | 2017-02-27 | 2019-05-14 | (주)와이팜 | Crosstalk Noise Suppression Method in Multi-Coupled High-Speed Data Link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9429A (en) * | 1999-07-22 | 2002-04-18 | 칼 하인쯔 호르닝어 | Method of providing error protection for a data bit flow |
JP2004212991A (en) | 2002-12-31 | 2004-07-29 | Boe Hydis Technology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ntegrated amorphous silicon based thin film transistor drive array |
WO2007108574A1 (en) | 2006-03-23 | 2007-09-27 | Anapass Inc. | Display, timing controller and data driver for transmitting serialized multi-level data signal |
-
2008
- 2008-10-09 KR KR1020080098990A patent/KR1012728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9429A (en) * | 1999-07-22 | 2002-04-18 | 칼 하인쯔 호르닝어 | Method of providing error protection for a data bit flow |
JP2004212991A (en) | 2002-12-31 | 2004-07-29 | Boe Hydis Technology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ntegrated amorphous silicon based thin film transistor drive array |
WO2007108574A1 (en) | 2006-03-23 | 2007-09-27 | Anapass Inc. | Display, timing controller and data driver for transmitting serialized multi-level data sig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1053A (en) | 2009-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829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 |
JP506612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lock information and data | |
US7340655B2 (en) | Skew adjustment circuit, skew adjustment method, data synchronization circuit, and data synchronization method | |
US6947493B2 (en) | Dual phase pulse modulation decoder circuit | |
CN105938712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splay signal | |
JP5365132B2 (en) | Serial signal receiver, serial transmission system, serial transmission method, serial signal transmitter | |
US20050078021A1 (en) | Dual phase pulse modulation encoder circuit | |
KR100883778B1 (en) | Display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clock signal in a blank period | |
KR10127288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 |
KR101298567B1 (en) | Method of transferring data, data transfer device and system of transferring and receiving data | |
US6985546B2 (en) | Transmit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rece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 |
KR101443467B1 (en) |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 |
US7283011B2 (en) | Method for performing dual phase pulse modulation | |
KR10089978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with clock information | |
JP7280587B2 (en) |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 |
US9571704B2 (en) | Signal multiplexing apparatus and transmission apparatus | |
US7660364B2 (en) | Method of transmitting serial bit-stream and electronic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erial bit-stream | |
JP2002237853A (en) |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transmission error thereof | |
KR20090101052A (en) | Display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clock signal in a blank period | |
JP4230381B2 (en) | LVDS system, transmission side circuit thereof, and reception side circuit thereof | |
JP5633132B2 (en) |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 |
US6970527B2 (en) | Transmit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rece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 |
US8405440B2 (en) |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 |
US20150146824A1 (en) | Indexed i/o symbol communications | |
JP2005217968A (en) |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0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081009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