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1329B1 - 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 Google Patents

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329B1
KR101271329B1 KR1020120145201A KR20120145201A KR101271329B1 KR 101271329 B1 KR101271329 B1 KR 101271329B1 KR 1020120145201 A KR1020120145201 A KR 1020120145201A KR 20120145201 A KR20120145201 A KR 20120145201A KR 101271329 B1 KR101271329 B1 KR 10127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board
height
lifting
elevating
low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김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재 filed Critical 김성재
Priority to KR102012014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3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32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코어보드 및 승하강 수단으로 크게 구분된 단순 구조를 가져 이동성이 우수한 동시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고, 스코어보드를 소정 높이로 승강시킨 승하강 수단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스코어수단의 급격한 낙하가 방지되어 그 파손 및 파손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미연에 방지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는 전광판 구성의 스코어보드와, 상기 스코어보드를 승하강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높이에서 고정하는 승하강 장치와, 상기 승하강 장치를 통해 상승된 스코어보드를 현재 높이에서 지지하는 급낙하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승하강 장치는 상기 스코어보드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접힘과 펼침을 통해 승하강 작용을 하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휠 장착형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동력 전달축에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에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largely divided into a scoreboard and a lifting means can be installed and dismantl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with excellent mobility, and even if the abnormality occurs in the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scorebo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scoreboard having a height adjustable to prevent a sudden drop of the means and to prevent a risk of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during the breakage and damage process. The movable scoreboard having a height adjus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scoreboard. It comprises a scoreboard of the configuration, the elevating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coreboard at the same time fixed at various heights, and a dropping prevention portion for supporting the scoreboard raised through the elevating device at the current height, and The lifting device is an upper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coreboard And a lift-mounted part which is lifted and lowered by folding and unfolding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a wheel-mounted lower plate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lowered part, and mounted on the lower plate to a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lowered part. A hydraulic cylinder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ydraulic pump mounted to the lower plate to provide power to the hydraulic cylinder.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코어보드 및 승하강 수단으로 크게 구분된 단순 구조를 가져 이동성이 우수한 동시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고, 스코어보드를 소정 높이로 승강시킨 승하강 수단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스코어수단의 급격한 낙하가 방지되어 그 파손 및 파손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미연에 방지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scoreboard that can be height-adjustable, and in particular, having a simple structure largely divided into a scoreboard and a lifting means, which is excellent in mobility and can be installed and dismantl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vating means of the elevating means is related to a movable scoreboard that can be adjusted to prevent the sudden fall of the score means to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damage and breakage.

일반적으로 실내체육관이나 야외 경기장에는 스코어보드가 설치되며, 이러한 스코어보드는 게임 스코어 및 게임 진행 시간 그리고 게임 중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그 표시 정보를 선수와 게임 관계자 및 관중들이 확인할 수 있게 한다.Generally, scoreboards are installed in indoor gymnasiums or outdoor stadiums, and these scoreboards visually display game scores, game durations, and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game so that players, game officials, and the audience can check the display information. do.

그리고 스코어보드는 실내체육관이나 기타 경기장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비교적 대형의 형태가 있는 반면에, 필요에 따라 이동 설치가 가능한 비교적 소형의 형태도 있다.And while the scoreboard is a relatively large form that is fixed to the wall of the indoor gymnasium or other stadiums, there is also a relatively small form that can be installed mobile if necessary.

대형 스코어보드의 경우 통상 실내체육관이나 기타 경기장 벽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선수, 관중, 게임 관계자들은 높게 위치한 스코어보드의 표시 정보를 다른 물체 등에 의한 가림 현상 없이 편안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코어보드의 표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몸을 움직이거나 이동할 필요 없이 제자리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large scoreboard, it is usually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a wall of an indoor gymnasium or other stadiums, so that players, spectators, and game officials can comfortably check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scoreboard which is located high without obstruction by other objects. In other words, you can easily see it in place without having to move or move your body to see the display information on the scoreboard.

이에 비해, 소형 스코어보드의 경우 그 이동성 등을 고려할 때 높은 지지대를 갖는 형태로 제작하기 어렵다. 또한 소형이더라도 그 무게는 꽤 나가는 것이므로 이를 별도의 지지대 등에 걸어 높게 설치하는 것은 용이치 못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스코어보드의 낙하로 인한 파손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한다.In contrast, the small scoreboard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n a form having a high support in consideration of its mobility and the like. In addition, even if it is small, the weight is quite high, so it is not easy to install it on a separate support, etc., as well as the risk of damage and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fall of the scoreboard in the process.

이에 따라, 소형 스코어보드는 통상 성인의 키를 넘지 못하는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고, 이로 인해 어린이를 포함하여 신장이 작은 사람은 앞에 신장이 큰 사람이 있을 경우 스코어보드가 가려 잘 확인할 수 없게 된다.Accordingly, the small scoreboard is usually installed at a height that does not exceed the height of an adult, and thus, a person with a small height, including a child, may not be able to check the scoreboard if there is a person with a large height in front.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한국등록실용 20-173741호(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전광판)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3-85605호(X자형 승강 조절수단을 갖는 광고차량)에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전광판의 구성이 게시되고 있다.For the same reason as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board which can adjust the height in Korean Registered Room No. 20-173741 (movable signboard with adjustable height) an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85605 (advertising vehicle having X-shaped lifting control means) It is being posted.

그러나,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전광판” 및 “X자형 승강 조절수단을 갖는 광고차량”에 게시된 전광판의 구성에는 유압 승강수단이나 유압실린더의 이상 발생 시 급속히 낙하될 수 있는 전광판의 저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따라서 두 발명 모두 전광판의 설치 후 사용 과정에서 구조적인 안정성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board posted on the "movable signboard with height adjustment" and "advertising vehicle having the X-shaped lifting control means" has a means for blocking the signboard that can be dropped rapidly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of the hydraulic lifting means or hydraulic cylinder. Therefore, both inventions involve structural stability problems in the post-installation use of the display board.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전광판”의 경우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위한 제어반(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구성이라 판단됨)이 높낮이 조절부재 및 승·하강 프레임과 별도로 구성됨에 따라, 전광판 구성의 전체 부피가 비교적 커 이동성 및 설치시의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ovable electronic display plate which can adjust the height”, the control panel for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determined to include a hydraulic pump)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height adjusting member and the lifting frame, so that the total volume of the electronic display panel is increased. It is relatively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ity and workability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전광판” 및 “X자형 승강 조절수단을 갖는 광고차량”의 전광판 구성은 그 게시된 내용만을 가지고 판단할 때, 전광판의 설치 높이 조정 시 사용자가 전광판의 승하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유압 승강수단 또는 유압실린더를 온/오프 조작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광판의 승하강 시 전광판을 계속 주시하면서 유압 승강수단 또는 유압실린더의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board configuration of the "adjustable height display board" and "advertising vehicle having X-shaped lifting control means" is determined based only on the posted content, when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of the display board, By visually confirming, the hydraulic lifting means or the hydraulic cylinder is made by a method of on / off operation. Accordingly, the user has a hassle to operate the on / off switch of the hydraulic lifting means or the hydraulic cylinder while keeping an eye on the display board when the board is lowered.

또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전광판” 및 “X자형 승강 조절수단을 갖는 광고차량”의 전광판 구성은 다양한 크기의 전광판을 호환 적용하면서 매 전광판마다 견고한 고정 구조를 제공하지 못한다.
In addition, the signboard configuration of the "adjustable height display board" and "advertising vehicle having X-shaped lifting control means" does not provide a rigid fixing structure for every signboard while applying interchangeable signboards of various sizes.

한국공개특허 제2003-0085605(2003.11.07),“X자형 승강 조절수단을 갖는 광고차량”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85605 (2003.11.07), “Advertising vehicle with X-shaped lifting control means” 한국등록실용 제0173741호(1999.12.2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전광판”Korean Registered Room No. 0173741 (1999.12.21), “Mobile Display Board with Adjustable Heigh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코어보드를 소정 높이로 승강시킨 승하강 수단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스코어보드는 승강된 높이에 지지되면서 급격한 낙하가 방지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vating means of elevating the scorebo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scoreboard is supported by the elevating height while height adjustment is prevented from falling sharply The purpose is to provide this possible mobile scoreboard.

또한, 본 발명은 스코어보드 및 승하강 수단으로 크게 구분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이동성 및 설치 시의 작업성이 향상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scoreboard that is made of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largely divided into a scoreboard and a lifting means can be adjusted in height and improved workability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work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스코어보드의 승하강 높이를 매 사용시마다 다른 높이로 사전 설정 후 이렇게 사전 설정된 최고 상승 높이 및 최하 상승 높이 사이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코어보드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자동으로 스코어보드의 최고 상승 높이 및 최하 상승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height of the scoreboard or automatically adjusts the height of the scoreboar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between the preset highest and lowest ascent heights after presetting the height of the scoreboard to a different height every us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scoreboard with adjustable height that can be positioned at the highest and lowest climb heights.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폭을 갖는 여러 전광판을 호환 적용하되 매 전광판마다 견고히 고정시킨 상태로 승하강 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scoreboard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that is firmly fixed to every electronic signboard, but apply a variety of electronic signs having a variety of width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는, 전광판 구성의 스코어보드와, 상기 스코어보드를 승하강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높이에서 고정하는 승하강 장치와, 상기 승하강 장치를 통해 상승된 스코어보드를 현재 높이에서 지지하는 급낙하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vable scoreboard having a height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oreboard having a scoreboard configuration, a lifting device which lifts and lowers the scoreboard at various heights, and the lifting de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ll prevention unit for supporting the scoreboard raised through the current height.

또한, 상기 승하강 장치는 상기 스코어보드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최상측 링크의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동시에 다수의 링크가 접철식 다단 X자형의 연결 구조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제1 링크 결합체와 제2 링크 결합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의 최하측 링크의 중앙부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 전달축을 포함하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최하측 링크의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이동용 휠이 장착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동력 전달축에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에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coreboard,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link to the upper plate in a slidable state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links are each formed of a folding multi-stage X-shaped connection structure A lifting unit including a first link assembly and a second link assembly dispos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a power transmission shaft rotatably coupled at both ends to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most link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link of the elevating unit in a slidable state, a lower plate having a wheel for movement, and a hydraulic cylinder mounted to the lower plate so that the tip of the rod is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elevating unit; A hydraulic pump mounted to a lower plate to provide power to the hydraulic cylinder; .

또한, 상기 급낙하 방지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는 상부 포스트 삽입관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가 상향 연장되는 하부 포스트 삽입관과, 상기 상부 포스트 삽입관 및 하부 포스트 삽입관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 가능한 네 쌍의 지지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opping preven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post insertion tube extending downwardly from four bottom corners of the upper plate, a lower post insertion tube extending upwardly from four bottom corners of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ost insertion tube and a lower portion.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post insertion tube and may include four pairs of support posts which can be fixed in a state where they can be adjusted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는, 상기 승하강 장치의 최고 승강높이와 최저 승강높이가 각각 설정되어 상기 스코어보드의 승하강을 설정된 최고 승강높이 및 최저 승강높이 사이에서 제한하는 높이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ight-adjustable movable scor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est lifting height and the lowest lifting height of the elevating device is set respectively to limit the elevating of the scoreboard between the set high and low lifting height. It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unit.

또한, 상기 높이 조정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하방향으로 광신호를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신호가 수신되는 수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광신호가 방출된 후 해당 광신호가 상기 수광소자에 수신되기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연산부와, 상기 거리 연산부를 통해 입력되는 거리값을 사전 설정된 상기 승하강 장치의 최고 승강 높이값 및 최저 승강 높이값과 비교하여 상기 승하강 장치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상기 승하강 장치의 최고 승강 높이값 및 최저 승강 높이값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to emit an optical signal in a downward direction, a light receiving device mounted on the lower plate to receive an optical signal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n optical signal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 distance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measuring a time after the emission of the corresponding optical signal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distance value input through the distance calculato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device in comparison with the highest elevating height value and the lowest elevating height value, and inputting a signal for setting the highest elevating height value and the lowest elevating height value of the elevating device to the control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put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그 상면에 상기 스코어보드의 하부를 삽입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내측에 일단이 돌출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하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의 상기 지지홈 내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축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홈 내 스코어보드의 하부에 밀착 및 밀착 해제되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eight-adjustable movable scor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groove for inse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coreboard, the upper end in a state where one end protrudes inside the support groove The lower side of the scoreboard in the support groove while screwed to the side of the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in the support groove of the moving shaft and the moving shaft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ving shaf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block in close contact with and close contact.

본 발명에 따르면, 스코어보드를 소정 높이로 승강시킨 승하강 수단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스코어보드는 승강된 높이에 지지되면서 급격한 낙하가 방지되어 그 파손 및 파손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미연에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vating means of elevating the scorebo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corresponding scoreboard is supported on the elevated height, preventing a sudden drop,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breakage and the damage process. Is prevented.

또한, 이동형 스코어보드가 스코어보드 및 승하강 수단으로 크게 구분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이동성이 향상되고, 또한 그 설치 시의 작업성이 향상되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bile scoreboard is composed of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divided into a scoreboard and a lifting means, the mobility is improved, and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 relatively short time.

또한, 스코어보드의 승하강 높이를 매 사용시마다 다른 높이로 사전 설정 후 이렇게 사전 설정된 최고 상승 높이 및 최하 상승 높이 사이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코어보드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자동으로 스코어보드의 최고 상승 높이 및 최하 상승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You can also preset the scoreboard's descent height to a different height each time you use it, and then adjust the height of the scoreboard or automatically adjust the scoreboard's highest climb height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deviate between these preset highest and lowest climb heights. And the lowest rising height.

또한, 다양한 폭을 갖는 여러 스코어보드를 승하강수단에 호환 적용하면서 매 스코어보드마다 승하강수단에 견고히 고정 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ile applying various scoreboards having various widths compatible with the lifting means can be used after firmly fixed to the lifting means for every scorebo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의 사용 전 접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의 사용을 위해 펼쳐져 승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에서 상부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scoreboard adjustable h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before use of the adjustable height adjustable score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ed up for use of the adjustable height adjustable score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op plate in the adjustable height adjustable score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adjustable height adjustable score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ovable scoreboard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scoreboard height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100)는 스코어보드(110), 승하강 장치(120), 급낙하 방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movable scoreboard 100 is adjustable h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oreboard 110, elevating device 120, the dropping prevention unit 130.

스코어보드(110)는 전광판의 구성인 것으로서, 즉 스코어보드(110)는 LED(Light Emitted Diode)를 도트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후 특정 LED를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문자, 숫자, 그래픽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형태이다.The scoreboard 110 is configured as an electric signboard, that is, the scoreboard 110 displays LEDs, letters, numbers, graphics, and the like by selectively lighting specific LEDs after arranging LEDs in the form of a dot matrix. Form.

승하강 장치(120)는 스코어보드(110)를 승하강시키는 동시에 이렇게 승하강되는 스코어보드(110)를 다양한 높이에서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elevating device 120 i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scoreboard 110 at the same time to secure the scoreboard 110 to be raised and lowered at various heights.

이와 같은 승하강 장치(120)는 상부 플레이트(121), 승하강부(122), 하부 플레이트(123), 유압실린더(124), 유압펌프(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fting device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plate 121, the lifting unit 122, the lower plate 123, the hydraulic cylinder 124, the hydraulic pump 125.

상부 플레이트(121)는 스코어보드(110)의 하부를 지지한다. 다시 말해 상부 플레이트(121)는 승하강 장치(120)의 최상단에 위치하며,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부에 스코어보드(110)가 지지되어 승하강 장치(120)의 작동 시 상부 플레이트(121)와 연동하여 승하강된다.The upper plate 121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scoreboard 110. In other words, the upper plate 121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elevating device 120, and the scoreboard 110 is supported on the upper plate 121 so that the upper plate 121 is operated when the elevating device 120 is operated. ) And descending in conjunction with.

승하강부(122)는 승하강 장치(120) 중 실제 승하강 작용을 하는 부분으로서, 이와 같은 승하강부(122)는 제1 링크 결합체(122a)와 제2 링크 결합체(122b) 그리고 이러한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의 연결 및 연동을 위한 동력 전달축(12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vating unit 122 is a part of the elevating device 120 that actually performs the elevating action. Such an elevating unit 122 includes the first link assembly 122a and the second link assembly 122b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122b.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shaft 122c for connecting and interlocking the second link assembly (122a, 122b).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 플레이트(121) 및 하부 플레이트(123)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상하부 플레이트(121,123)는 각각 장방향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하부 플레이트(121,123)의 긴 변을 따르는 방향을 길이 방향, 상하부 플레이트(121,123)의 짧은 변을 따르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할 때,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는 상하부 플레이트(121,123)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또한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 각각의 상단과 하단은 상하부 플레이트(121,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122a and 122b have the same structure, and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coupled to the upper plate 121 and the lower plate 123 in a slidable state, respectively. In detail,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1 and 123 each have a longitudinal structure, in which the direction along the long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1 and 123 is longitudinal, and the direction along the shor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1 and 123.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122a and 122b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1 and 123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122a and 122b respectively. The lower end is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1 and 123.

그리고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는 동일한 구성인바, 제1 링크 결합체(122a)를 예로 그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122a and 122b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link assembly 122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링크 결합체(122a)는 한 쌍의 링크가 그 중앙부를 서로 교차하면서 힌지 결합되어 절첩 가능한 X자형 구조를 이루는 동시에 이러한 X자형 링크 결합체가 상측 X자형 링크 결합체의 하단에 하측 X자형 링크 결합체의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형태로 다단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링크 결합체(122a)는 X자형 링크 결합체의 두 링크 간 힌지 결합 부위 및 다단 X자형 링크 간의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절첩이 이루어진다.The first link assembly 122a has a pair of links intersecting their center portions and hinged to form a collapsible X-shaped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X-shaped link assembly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X-shaped link assembly. The upper end is arranged in multiple stages to be hinged. Accordingly, the first link assembly 122a is rotated about the hing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two links of the X-shaped link assembly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multi-stage X-shaped links, and the first link assembly 122a is entirely folded.

그리고 동력 전달축(122c)은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의 최하측 링크의 중앙부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와 같은 동력 전달축(122c)은 유압실린더(124)의 로드(124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로드(124a)의 전후진 동력을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즉, 유압실린더(124)의 로드(124a)로부터 전후진 동력이 동력 전달축(122c)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의 절첩이 이루어지면서 승하강부(122)의 승하강 작용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22c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s of the lowermost link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122a and 122b, respectively, an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22c is the hydraulic cylinder 124.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d 124a of the function to transfer the forward and backward power of the rod 124a to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y (122a, 122b). That is, forward and backward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rod 124a of the hydraulic cylinder 124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22c, and thus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122a and 122b are folded and the lifting unit 122 is made. ) Lifting and lowering action is achieved.

하부 플레이트(123)는 승하강부(122)의 최하측 링크의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제1 링크 결합체(122a)의 최하측 링크의 하단이 하부 플레이트(1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제2 링크 결합체(122b)의 최하측 링크의 하단이 하부 플레이트(1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하부 플레이트(123)에는 승하강 장치(120) 전체의 이동을 위한 휠(123a)이 장착된다.The lower plate 123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link of the lifting unit 122 in a slidable state,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link of the first link assembly 122a is slidable to the lower plate 123. The lower link of the lowermost link of the second link assembly 122b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123. The lower plate 123 is equipped with a wheel 123a for movement of the entire lifting device 120.

유압실린더(124)는 하부 플레이트(123)의 상부에 장착되며, 이와 같은 유압실린더(124)의 로드(124a) 선단이 승하강부(122)의 동력 전달축(122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동력 전달축(122c)의 설명에서 언급한바 있다.The hydraulic cylinder 124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23, and the tip of the rod 124a of the hydraulic cylinder 12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22c of the lifting unit 122. This has been mentioned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22c.

유압펌프(125)는 하부 플레이트(123)의 상부에 장착되며, 이와 같은 유압펌프(125)는 유압실린더(124)에 동력을 제공한다.The hydraulic pump 125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23, and such a hydraulic pump 125 provides power to the hydraulic cylinder 124.

급낙하 방지부(130)는 승하강 장치(120)를 통해 상승된 스코어보드(110)를 현재 높이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급낙하 방지부(130)는 승하강 장치(120)의 동력원인 유입펌프(125) 및 유압실린더(124)의 이상 발생 시 승하강 장치(120) 및 스코어보드(110)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스코어보드(110)의 파손 및 스코어보드(110) 급낙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sudden drop prevention unit 130 functions to support the scoreboard 110 that is raised through the elevating device 120 at the current height. In other words, the sudden drop prevention unit 130 may suddenly drop the elevating device 120 and the scoreboard 110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inflow pump 125 and the hydraulic cylinder 124 which are the power sources of the elevating device 120. At the same time it prevents the accident and damage to the scoreboard 110 and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sudden drop of the scoreboard (110) serves to prevent human injury.

이와 같은 급낙하 방지부(130)는 상부 포스트 삽입관(131), 하부 포스트 삽입관(132), 네 쌍의 지지포스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dden drop prevention unit 13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post insertion tube 131, a lower post insertion tube 132, four pairs of support posts (133).

상부 포스트 삽입관(131)은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The upper post insertion tube 131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1, respectively.

하부 포스트 삽입관(132)은 하부 플레이트(123)의 하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lower post insertion tube 132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four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23, respectively.

네 쌍의 지지포스트(133)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상부 포스트 삽입관(131) 및 하부 포스트 삽입관(132)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와 같은 네 쌍의 지지포스트(133)는 각각 그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지지포스트(133)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지지포스트(133)는 둘 이상의 단위 지지포스트(133a)가 서로 결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해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four pairs of support posts 133 may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upper post insertion tube 131 and the lower post insertion tube 132, respectively. The overall length can be adjusted and at the same time can be fixed in a fixed state. More specifically, based on one support post 133, the support post 133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unit support posts 133a can adjust a coupling position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adjust the overall length thereof.

이때, 단위 지지포스트(133a) 간 결합은 결합볼트(133b)에 의한 결합 구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지지포스트(133a)의 결합 위치 조정을 통해 지지포스트(133)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단위 지지포스트(133a)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133c) 및 이러한 고정홀(133c)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볼트(133b)를 통해 여러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예로 하였다.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unit support post 133a may be a coupling structure by the coupling bolt 133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post 133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unit support post 133a. Various structures can be us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unit support posts 133a may be coupled at various points throug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33c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and coupling bolts 133b screwed to the fixing holes 133c. The structure that can be taken as an exampl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유압펌프(125) 및 유압실린더(124)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 장치(120)가 승강 및 하강되고 이와 연동하여 스코어보드(110)가 승강 및 하강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levating device 120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pump 125 and the hydraulic cylinder 124 and the scoreboard 110 is raised and lowered in conjunction with thi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2는 스코어보드(110)의 사용 전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승하강 장치(120)의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가 접힘 동작됨과 동시에 승하강 장치(120)의 상부 플레이트(121)가 하강되어 이와 연동하는 스코어보드(110)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S. 2 and 3, FIG. 2 illustrates a pre-use state of the scoreboard 11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122a and 122b of the elevating device 120 are folded and operated. The upper plate 121 of the elevating device 120 is lowered to indicate the state in which the scoreboard 110 is lowered.

그리고 도 3은 도 2와 반대로 승하강 장치(120)의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122a,122b)가 펼쳐지는 동시에 승하강 장치(120)의 상부 플레이트(121)가 상승되어 이와 연동하는 스코어보드(110)가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3 is a sco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ink combinations 122a and 122b of the elevating device 120 are unfolded and the upper plate 121 of the elevating device 120 is raised to interlock with the opposite to FIG. 2. The board 110 is shown in the elevated state.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에서 상부 플레이트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described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upper plate in the height-adjustable movable score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21)는 그 상면에 스코어보드(110)의 하부를 삽입하는 지지홈(221a)이 형성된다.As shown, the upper plate 221 is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221a for inse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coreboard 110 on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이와 같은 상부 플레이트(221)에 이동축(231) 및 지지블록(233)이 결합되어 지지홈(221a) 내에 하부를 삽입하면서 거치되는 서로 다른 두께의 스코어보드(1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상부 플레이트(221)에는 그 지지홈(221a)의 내측에 일단이 돌출되는 상태로 상부 플레이트(221)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하는 이동축(231) 및 이러한 이동축(231)의 지지홈(221a) 내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축(231)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지지홈(221a) 내 스코어보드(110)의 하부에 밀착 및 밀착 해제되는 지지블록(233)이 설치된다. 여기서 이동축(231)과 지지블록(233)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은 통상의 베어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축(231)의 지지홈(221a) 바깥쪽 일단에는 이동축(231)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 조작부(232)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shaft 231 and the support block 233 are coupled to the upper plate 221 to firmly support the scoreboard 110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mounted while inserting the lower portion into the support groove 221a. have. That is, the upper shaft 231 is screwed to the side of the upper plate 221 in a state where one end protrudes inside the support groove 221a,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hereof, and such a movement. I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in the support groove 221a of the shaft 231 to be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coreboard 110 in the support groove 221a while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shaft 231. The support block 233 is installed. Here, the rotatable coupling between the moving shaft 231 and the support block 233 may be made through a conventional bearing. In addition, a rotation manipulation unit 232 for rotating manipulation of the movement shaft 231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groove 221a of the movement shaft 231.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회전 조작부(232)를 통해 이동축(231)을 회전시켜 지지블록(233)이 지지홈(221a) 내 스코어보드(110)의 하면을 밀착 지지케 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스코어보드(110)를 고정하고, 또한 이렇게 스코어보드(110)의 하부가 지지블록(233)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축(23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블록(233)이 지지홈(221a) 내 스코어보드(1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스코어보드(110)를 고정된 상태에서 해제한다.Accordingly, the user rotates the moving shaft 231 through the rotation manipulation unit 232 so that the support block 233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scoreboard 110 in the support groove 221a and at the same time the scoreboard ( Fixing the 110,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scoreboard 110 is fixed through the support block 233, the user rotates the moving shaft 231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upport block 233 is the support groove 221a In this case, the scoreboard 110 is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coreboard 110.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사용자는 상부 플레이트(221)의 지지홈(221a)에 서로 다른 두께의 스코어보드(110)를 호환 적용하면서 해당 스코어보드(110)들을 모두 견고히 지지시켜 사용할 수 있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firmly support all the scoreboards 110 while applying the compatible scoreboards 110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to the support grooves 221a of the upper plate 221.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에 높이 조정부(140)가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 5 describ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movable scoreboard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높이 조정부(140)는 승하강 장치(120)의 최고 승강높이와 최저 승강높이가 각각 설정되어 스코어보드(110)의 승하강을 설정된 최고 승강높이 및 최저 승강높이 사이에서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The height adjusting unit 140 sets the highest lifting height and the lowest lifting height of the elevating device 120, respectively, to limit the lifting of the scoreboard 110 between the set high lifting height and the lowest lifting height.

이와 같은 높이 조정부(140)는 발광소자(141), 수광소자(142), 거리 연산부(143), 제어부(144), 입력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eight adjusting unit 140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141, a light receiving element 142, a distance calculator 143, a control unit 144, the input unit 145.

발광소자(141)는 상부 플레이트(121)에 설치되어 하방향으로 광신호를 방출하며, 수광소자(142)는 하부 플레이트(123)에 설치되어 발광소자(141)에서 방출된 광신호를 수신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41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121 to emit an optical signal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142 is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123 to receive the optical signal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41. .

거리 연산부(143)는 발광소자(141)로부터 광신호가 방출된 후 해당 광신호가 수광소자(142)에 수신되는데 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 후, 이를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121)와 하부 플레이트(123)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여기서 발광신호(141)의 광신호가 수광소자(142)에 수신되기 까지 그 시간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지관용의 기술인바,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143 measures the time it takes for the optical signal to be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42 after the optical signal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141, and then uses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143 between the upper plate 121 and the lower plate 123. Calculate the distance. Here, the technique of measuring the distance using the time until the optical signal of the light emitting signal 141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42 is a technique for the main pipe which is widely used in various technical field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omitted.

제어부(144)는 거리 연산부(143)를 통해 입력되는 거리값을 승하강 장치(120)의 사전 설정된 최고 승강 높이값 및 최저 승강 높이값과 비교하여 승하강 장치(12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44)는 승하강 장치(120)가 사전 설정된 최고 승강 높이값을 초과하는 높이로 상승하지 못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승하강 장치가 사전 설정된 최저 승강 높이값 미만의 높이로 하강하지 못하게 한다.The controller 144 controls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device 120 by comparing the distance value inputted through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143 with a preset maximum elevating height value and minimum elevating height value of the elevating device 120. do.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44 does not allow the elevating device 120 to rise to a height exceeding a preset maximum lifting height valu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lifting device from descending to a height below a predetermined minimum lifting height value. .

입력부(145)는 제어부(144)에 승하강 장치(120)의 최고 승강 높이값 및 최저 승강 높이값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입력부(145)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최고 승강 높이값 및 최저 승강 높이값을 설정한다.The input unit 145 inputs a signal for setting the highest lifting height value and the lowest lifting height value of the elevating device 120 to the control unit 144. In other words, the user inputs a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145 to set the highest lift height value and the lowest lift height value.

이와 같은 높이 조정부(140)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스코어보드(110)의 상승 시의 높이 및 하강 시의 높이를 사전 설정 후 스코어보드(110)를 승하강시키게 됨으로써, 스코어보드(110)의 승강 및 하강 시 그 높이를 육안으로 계속 확인하면서 조정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14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raises and lowers the scoreboard 110 after presetting the height at the tim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scoreboard 110, thereby reducing the scoreboard 110. Eliminate the hassle of adjusting while raising and lowering with the naked eye.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100)는, 스코어보드(110)의 승하강 장치(120)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스코어보드(110)는 승강된 높이에 지지되면서 급격한 낙하가 방지되어 그 파손 및 파손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시킨다.As can be seen through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5 described above, the height-adjustable movable scoreboar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bnormality in the elevating device 120 of the scoreboard 110. Even if the scoreboard 110 is supported at the elevated height is prevented from falling sharply to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breakage and damage process in advance.

또한, 스코어보드(110) 및 승하강 장치(120)로 크게 구분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이동성이 우수하고, 또한 그 설치 시의 작업성이 향상되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consists of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largely divided into the scoreboard 110 and the elevating device 120, the mobility is excellent, and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install in a relatively short time.

또한, 스코어보드(110)의 승하강 높이를 매 사용시마다 다른 높이로 사전 설정 후 이렇게 사전 설정된 최고 상승 높이 및 최하 상승 높이 사이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코어보드(110)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자동으로 스코어보드(110)의 최고 상승 높이 및 최하 상승 높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coreboard 110 is preset to a different height every use, and then the height of the scoreboard 110 is adjusted or automatically within the range not departing between the preset highest and lowest rising heights. It is possible to locate at the highest and lowest elevated height of the scoreboard 110.

또한, 다양한 폭을 갖는 여러 스코어보드(110)를 승하강 장치(120)에 호환 적용하면서 매 스코어보드(110)마다 승하강 장치(120)에 견고히 고정 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scoreboards 110 having various widths can be used after being firmly fixed to the elevating device 120 for every scoreboard 110 while applying compatible to the elevating device 120.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height-adjustable movable scor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 110 : 스코어보드
120 : 승하강 장치 121,221 : 상부 플레이트
122 : 승하강부 122a: 제1 링크 결합체
122b : 제2 링크 결합체 122c : 동력 전달축
123 : 하부 플레이트 123a : 휠
124 : 유압실린더 124a : 로드
125 : 유압펌프 130 : 급낙하 방지부
131 : 상부 포스트 삽입관 132 : 하부 포스트 삽입관
133 : 지지 포스트 133a : 단위 지지포스트
133b : 결합볼트 133c : 고정홀
140 : 높이 조정부 141 : 발광소자
142 : 수광소자 143 : 거리 연산부
144 : 제어부 145 : 입력부
221a : 지지홈 231 : 이동축
232 : 회전 조작부 233 : 지지블록
100: adjustable height scoreboard 110: scoreboard
120: lifting device 121,221: upper plate
122: elevation unit 122a: first link assembly
122b: second link assembly 122c: power transmission shaft
123: lower plate 123a: wheel
124: hydraulic cylinder 124a: rod
125: hydraulic pump 130: sudden drop prevention unit
131: upper post insertion tube 132: lower post insertion tube
133: support post 133a: unit support post
133b: coupling bolt 133c: fixing hole
140: height adjusting unit 141: light emitting element
142: light receiving element 143: distance calculating unit
144 control unit 145 input unit
221a: support groove 231: moving shaft
232: rotation control unit 233: support block

Claims (6)

전광판 구성의 스코어보드;
상기 스코어보드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최상측 링크의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동시에 다수의 링크가 접철식 다단 X자형의 연결 구조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제1 링크 결합체와 제2 링크 결합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링크 결합체의 최하측 링크의 중앙부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 전달축을 포함하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의 최하측 링크의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이동용 휠이 장착된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동력 전달축에 로드의 선단이 결합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에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여 상기 스코어보드를 승하강시키는 동시에 다양한 높이에서 고정하는 승하강 장치;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는 상부 포스트 삽입관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면 네 모퉁이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는 하부 포스트 삽입관과, 상기 상부 포스트 삽입관 및 하부 포스트 삽입관에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각각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 가능한 네 쌍의 지지포스트를 포함하여 상기 승하강 장치를 통해 상승된 스코어보드를 현재 높이에서 지지하는 급낙하 방지부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
Scoreboard of scoreboard configuration;
The upper plate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scoreboard,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link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in a slidable state,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links are formed in a folding multi-stage X-shaped connecting structure to maintain a space therebetween. A lowering part including a first link assembly and a second link assembly, and a power transmission shaft rotatably coupled at both ends to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most link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assemblies; The lower plate is coupled in a slidable state and the lower plate is equipped with a wheel for movement, the hydraulic cylinder is mounted to the lower plate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od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of the elevating portion, and the lower plate is mounted on the hydraulic Including a hydraulic pump that provides power to the cylinder; Lifting device for fixing at various heights in the city;
An upper post insertion tube extending downwardly from four bottom corners of the upper plate, a lower post insertion tube extending upwardly from four bottom corners of the lower plate, and a length direction of the upper post insertion tube and the lower post insertion tube Each end is detachably inserted and includes four pairs of support posts that can be adjusted in their adjustable length and at the same time. Adjustable scoreboard with adjustable height including par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장치의 최고 승강높이와 최저 승강높이가 각각 설정되어 상기 스코어보드의 승하강을 설정된 최고 승강높이 및 최저 승강높이 사이에서 제한하는 높이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
The method of claim 1,
A movable height adjustable type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ing unit for setting the highest lifting height and the lowest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device, respectively, to limit the lifting of the scoreboard between the set high lifting height and the lowest lifting height. Scoreboar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하방향으로 광신호를 방출하는 발광소자;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신호가 수신되는 수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광신호가 방출된 후 해당 광신호가 상기 수광소자에 수신되기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연산부;
상기 거리 연산부를 통해 입력되는 거리값을 사전 설정된 상기 승하강 장치의 최고 승강 높이값 및 최저 승강 높이값과 비교하여 상기 승하강 장치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상기 승하강 장치의 최고 승강 높이값 및 최저 승강 높이값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to emit an optical signal in a downward direction;
A light receiving element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to receive an optical signal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 distance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measuring a time from when the light signal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receiving the light signal by the light receiv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device by comparing the distance value input through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with a preset maximum elevating height value and minimum elevating height value of the elevating device;
And a height adjusting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a signal for setting a maximum lift height value and a minimum lift height value of the lift device to th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그 상면에 상기 스코어보드의 하부를 삽입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내측에 일단이 돌출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하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의 상기 지지홈 내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축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홈 내 스코어보드의 하부에 밀착 및 밀착 해제되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형 스코어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late is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for inse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coreboard on the upper surface,
It is screwed to the side of the upper plate in a state where one end protrudes inside the support groove, a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in the support groove of the support shaft of the moving shaft an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reof. The movable scoreboard is adjustable h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block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coreboard in the support groove while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jeans.

KR1020120145201A 2012-12-13 2012-12-13 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Expired - Fee Related KR1012713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201A KR101271329B1 (en) 2012-12-13 2012-12-13 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201A KR101271329B1 (en) 2012-12-13 2012-12-13 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329B1 true KR101271329B1 (en) 2013-06-04

Family

ID=4886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2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1329B1 (en) 2012-12-13 2012-12-13 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32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23B1 (en) 2014-04-30 2014-10-31 김성재 Retractable moving scoreboard
KR101633803B1 (en) * 2015-03-26 2016-06-27 권혁호 Jig for tray box of products
CN112774169A (en) * 2020-09-08 2021-05-11 苏州金陵共创体育器材有限公司 Referee table for table tenni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23Y2 (en) * 1989-08-17 1995-02-22 株式会社精工舎 Competition scoreboard
KR100619876B1 (en) * 2005-08-04 2006-09-06 (주)태진이엔지 Electric lifting platfor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23Y2 (en) * 1989-08-17 1995-02-22 株式会社精工舎 Competition scoreboard
KR100619876B1 (en) * 2005-08-04 2006-09-06 (주)태진이엔지 Electric lifting platfor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823B1 (en) 2014-04-30 2014-10-31 김성재 Retractable moving scoreboard
KR101633803B1 (en) * 2015-03-26 2016-06-27 권혁호 Jig for tray box of products
CN112774169A (en) * 2020-09-08 2021-05-11 苏州金陵共创体育器材有限公司 Referee table for table tenn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329B1 (en) 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TW201632227A (en) Treadmill
US20050239607A1 (en) Treadmill with front and rear inclination adjustment unit
KR20200009232A (en) Height-adjustable and easy-to-move kiosk
CN112012531B (en) Stage personnel dropproof safety protection monitored control system
CN108360805B (en) Lifting operation table with self-locking mechanism
CN215974844U (en) Supporting mechanism of crane for decoration
CN110513575A (en) A mobile outdoor propaganda equipment for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CN205235261U (en) Liftable trainer of marking time
TWM505320U (en) Treadmill
CN206233535U (en) Lifting scaffold
CN105536201A (en) Stepping training device capable of rising and falling
CN107854285A (en)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102282965B1 (en) Wheelchair lift for disabled
CN218934296U (en) An outdoor maintenance ladder
CN210944755U (en) Escalator with lifting function
KR101456823B1 (en) Retractable moving scoreboard
CN202744272U (en) Flag-bearer hoisting platform
CN2432971Y (en) Lifting basketball stands
JP2022106431A (en) Height freely-adjustable lifting device for badminton net posts
KR200173741Y1 (en) The height-adjustable moving type electric sign
CN218970774U (en) Safe lifting stage
JP7292933B2 (en) lift device
CN219848162U (en) Visual effect control console with adjustable
CN218406890U (en) Safety device f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