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1052B1 -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052B1
KR101271052B1 KR1020110004114A KR20110004114A KR101271052B1 KR 101271052 B1 KR101271052 B1 KR 101271052B1 KR 1020110004114 A KR1020110004114 A KR 1020110004114A KR 20110004114 A KR20110004114 A KR 20110004114A KR 101271052 B1 KR101271052 B1 KR 10127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as
liquefied fuel
storage tank
gas storag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684A (ko
Inventor
장해기
이명건
조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0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저장탱크 운반용 선체에 설치된 제 1 탱크이동모듈과, 상기 제 1 탱크이동모듈에 의해 상승된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쪽으로 수평이동시키도록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설치된 제 2 탱크이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APPARATUS FOR MOVING LNG STORAGE TANK}
본 발명은 선박간 액화연료가스 이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설치되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연료가스 또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의 상태로 LNG 수송선 또는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 저장되어 원거리의 수요처로 운반되거나,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서 연료로 소모될 수 있다.
이러한 LNG는 일종의 액화연료가스로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천연가스를 대략 -163도씨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하여 얻어지고,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게 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고, 친환경 연료로서 선박에서도 사용이 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연료가스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전달되는 경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LNG 운반선이 액화연료가스를 LNG 터미널에 운반하여 하역한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은 LNG 터미널에서 액화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해상을 이동하여 급유가 필요한 액화천연가스 추진 선박에 접근한다. 이후,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읜 그의 저장탱크의 액화연료가스를 액화천연가스 추진 선박의 연료탱크에 전달한다.
액화연료가스 급유선에서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으로 액화연료가스를 전달하는 형태는 주로 병렬 계류(side by side ship to ship)에 의한 액화연료가스 이송 작업에 따라 유연관을 통해 전달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라 유연관을 통해 액화연료가스를 이송할 경우, 액화연료가스가 일부 새어 나갈 수 있고, 액화연료가스가 외부 온도에 노출되어 기화되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누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자체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이동시켜 사용케 함에 따라, 액화연료가스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저장탱크 운반용 선체에 설치된 제 1 탱크이동모듈과, 상기 제 1 탱크이동모듈에 의해 상승된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쪽으로 수평이동시키도록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설치된 제 2 탱크이동모듈을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1 탱크이동모듈은,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용 플랫폼을 저장탱크 전달위치까지 수직 상승시키거나 또는 원위치까지 수직 하강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1 제어부에 의해 조종되어 플랫폼을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저장탱크 전달위치까지 수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리프터부와,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고,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지지하는 충격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프터부는 상기 플랫폼을 상승시키도록 메인 실린더가 설치된 가위형 링크 장치와, 상기 가위형 링크 장치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선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감쇄부는 스프링 댐퍼 또는 유체 댐퍼일 수 있다.
또한, 제 2 탱크이동모듈은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의 팔레트 저면에 형성된 갭(gap)에 삽입되어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하는 한 쌍의 포크와, 상기 포크의 뒤쪽 끝단에 형성된 포크베이스를 갖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의 포크베이스에 연결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고 상기 포크베이스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포크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마스터부와,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포크부가 연결된 이동레일을 고정레일에 기초하여 이동기구장치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부 또는 상기 수평이동부에 대한 외부의 유체작동원(예: 유압)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유체제어회로 및 작동레버와, 상기 이동기구장치에 마련된 모터에 모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제어회로를 구비한 제 2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운반선에 제 1 탱크이동모듈을 장착하고,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제 2 탱크이동모듈을 장착하여,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자체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안전하게 액화연료가스를 보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기존의 선박간 유연관을 이용하여 액화연료가스 공급시 발생 가능한 누출 사고를 원천에 방지함에 따라, 안전하게 액화연료가스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해상에서의 풍파에 의한 선체의 흔들림과 충격을 충격감쇄부로 감쇄시켜서 안전하게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가 설치된 선박들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탱크이동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탱크이동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탱크이동모듈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가 설치된 선박들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는 제 1 탱크이동모듈(100)과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을 포함한다.
제 1 탱크이동모듈(100)는 복수개의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를 양하역 하기 위한 크레인(103)을 구비하고 있는 저장탱크 운반용 선체(101)에 탑재되고, 상기 크레인(103) 등이 로딩한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01)는 바지선 형태의 선형을 갖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운반선 및 부유체일 수 있고, 화물을 싣고 나르는 작업선 등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은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연결용 커넥터(202)를 갖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1)에 탑재되고, 승하강된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쪽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202)는 매니폴드 또는 극저온 연결부와 유연관을 갖는 충전 라인 조립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1)의 연료탱크에 연결되도록 배관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모든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에는 상기 커넥터(202)와 체결될 수 있는 커넥터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제 1 탱크이동모듈(100) 및 제 2 탱크이동모듈(2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탱크이동모듈(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는 탱크본체(102a)와, 이런 탱크본체(102a)를 지탱하는 팔렛트(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탱크이동모듈(100)은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용 승강판 형태의 플랫폼(121)을 고소 작업위치 또는 저장탱크 전달위치까지 수직 상승시키거나 또는 원위치까지 수직 하강시키도록 제어를 담당하는 제 1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어부(110)는 제 1 탱크이동모듈(100)의 리프터부(120)의 작동력 발생을 위해 선체(101)에 미리 마련된 유체작동원(예: 유압)을 제어하여 리프터부(120)를 조종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제어부(110)는 리프터부(120)를 조종하기 위한 유체제어회로에 결합된 작업자 조작용 하나 이상의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가 배열되어 있고 작동 온/오프 스위치 및 작동 표시 램프가 마련된 제어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탱크이동모듈(100)은 제 1 제어부(110)에 의해 플랫폼(121)을 선체(101)로부터 저장탱크 전달위치 또는 고소 작업위치까지 수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리프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탱크이동모듈(100)은 플랫폼(121)의 상면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고,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를 지지하는 충격감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감쇄부(130)는 스프링 댐퍼 또는 유체 댐퍼일 수 있다.
또한, 충격감쇄부(130)는 플랫폼(121)의 상면에 각각 돌설되어 있음에 따라, 돌설 높이에 대응하게 플랫폼(121)의 상면과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의 팔렛트(102b)의 저면 사이에 갭(gap)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갭은 하기에 설명할 제 2 탱크이동모듈의 포크부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런 제 1 탱크이동모듈(100)에 따르면,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는 리프터부(120)의 플랫폼(121)의 충격감쇄부(130)에 탑재된 상태에서 리프터부(120)에 의해 승하강 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터부(120)는 플랫폼(121)을 상승시키도록 메인 실린더(122)가 설치된 가위형 링크 장치(123)와, 가위형 링크 장치(123)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 지지프레임(124)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24)은 선체(101)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은 포크부(210), 마스터부(220), 수평이동부(230), 제 2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포크부(210)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의 팔레트 저면에 형성된 갭(gap)에 삽입되어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하는 한 쌍의 포크(211)와, 포크(211)의 뒤쪽 끝단에 형성된 포크베이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부(220)는 포크부(210)의 포크베이스(212)에 연결된 액추에이터(221)와, 액추에이터(221)를 지지하고 포크베이스(212)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부(220)는 액추에이터(221)의 피스톤 로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이탈작동 또는 착지작동을 수행하여 포크베이스(211)를 비롯한 포크부(210) 전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수평이동부(230)는 마스터부(220) 및 포크부(210)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수평이동부(230)는 마스터부(220)의 후방에 연결된 한 쌍의 이동레일(231)과, 이동레일(231)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1)에 고정된 고정레일(232)과, 이동레일(231)과 고정레일(232)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레일(232)을 기초로 이동레일(23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동기구장치(233)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이동기구장치(233)는 수평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장축형 실린더 장치, 볼스크루 조립체, 또는 롤러와 와이어 및 기어모터를 이용한 와이어 이송 장치, 또는 랙과 피니언 및 모터를 이용한 수평 이송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수평이동부(230)가 랙과 피니언 및 모터를 이용하여 구성될 경우, 모터의 회전축에 피니언이 결합된 상태로 모터가 이동레일(231)에 설치되고, 랙은 고정레일(232)에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따라 이동레일(231)이 전진 또는 후진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이동레일(231)은 마스터부(220) 및 포크부(210)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터부(220)와 수평이동부(230)의 사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지게차에서와 같이 틸트 작동 구조 또는 리칭 작동 구조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틸트 작동 구조는 화물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포크부(210)를 수평이동부(230) 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이거나, 원래대로 수평하게 내려놓도록 복귀시키는 틸트 기능을 위한 것이다.
리칭 작동 구조는 포크부(210)를 수평이동시켜 세밀하게 밀착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정도의 스트로크 거리만큼 전진 또는 후진하는 리칭 기능을 위한 것이다.
제 2 제어부(240)는 상기 마스터부(220) 또는 상기 수평이동부(230)에 대한 외부의 유체작동원(예: 유압)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여 상기 마스터부(220) 또는 상기 수평이동부(230)를 조종하기 위한 유체제어회로 및 작동레버와, 이동기구장치에 마련된 모터에 모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의 사용 방법을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탱크이동모듈(100)을 갖는 선체(101)인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운반선이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을 갖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1)에 접근한 후, 상호 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는 크레인(103)에 의해 제 1 탱크이동모듈(100) 쪽에 옮겨져 있을 수 있다.
이후, 제 1 탱크이동모듈(100)에서는 리프터부(120)의 상승작동에 따라 플랫폼(121)과 충격감쇄부(130) 및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가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의 레벨과 대등한 저장탱크 전달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다.
충격감쇄부(130)는 상승 또는 정지 상태에서 해상 풍파에 의한 흔들림 등에 의해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흔들림을 감쇄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를 저장탱크 전달위치까지 상승시킨 이후, 리프터부(12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의 포크부(210)의 레벨과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의 팔렛트(102b) 저면의 갭의 레벨이 상호 일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탱크이동모듈(200)에서는 수평이동부(230)가 수평이동 중 전진작동을 수행함에 따라 마스터부(220) 및 포크부(210)가 전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크부(210)의 포크가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의 팔렛트(102b) 저면의 갭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탱크이동모듈(200)에서는 마스터부(220)의 액추에이터가 작동되어,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의 팔렛트(102b) 저면이 충격감쇄부(1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탈작동이 진행될 수 있다.
이탈작동 이후, 수평이동부(230)의 수평이동 중 후진작동이 진행됨에 따라, 마스터부(220)와 포크부(210) 및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가 후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후진된 마스터부(220)와 포크부(210) 및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1)의 갑판 쪽 안착 위치(203)(도1 참조) 쪽으로 수평이동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제 2 탱크이동모듈(200)에서는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의 마스터부(200)의 액추에이터가 반대로 작동되어 착지작동이 진행됨에 따라,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 및 팔렛트(102b)를 지탱하고 있는 포크부(210)의 포크의 저면은 안착 위치(203)에 안착될 수 있다.
이후,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은 정지 상태에 있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와 커넥터(202)를 연결하여,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의 액화연료가스가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1)의 연료탱크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1)에서 기존의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의 액화연료가스를 다 사용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4)로 교체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8, 도 7, 도 6, 도 5의 수순으로 상기 설명한 과정들이 반대로 진행될 수 있다.
즉, 기존의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에서 커넥터(202)를 분리시킨 후,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의 마스터부(220)가 포크부(210)를 상승시키는 이탈작동이 진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탱크이동모듈(200)에서 수평이동부(230)의 수평이동 중 전진 작동이 이루어져 기존의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가 제 1 탱크이동모듈(100)의 리프터부(120)의 플랫폼(121)의 충격감쇄부(130) 상측 공간에 높이게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탱크이동모듈(200)의 마스터부(220)는 착지작동을 수행하여,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의 팔렛트(102b)를 상기 충격감쇄부(130)에 올려 놓을 수 있다.
이후, 다시 마스터부(220)가 이탈작동을 수행할 경우, 포크부(210)의 포크가 수평이동부(230)에 의해 후진되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201) 쪽으로 원위치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탱크이동모듈(100)에서는 리프터부(120)의 하강작동에 따라 플랫폼(121)과 충격감쇄부(130) 및 기존의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가 저장탱크 전달위치에서 선체(101)의 갑판 위치까지 하강될 수 있다.
이후, 선체(101)의 크레인(103)은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은 새로운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4)를 기존의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2)로 교체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이 교체된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10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탱크이동모듈(100)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제 2 탱크이동모듈(200)에 의해 수평이동되어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쪽으로 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선체 100 : 제 1 탱크이동모듈
110 : 제 1 제어부 120 : 리프터부
130 : 충격감쇄부 201 :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210 : 포크부 220 : 마스터부
230 : 수평이동부 240 : 제 2 제어부

Claims (6)

  1.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저장탱크 운반용 선체에 설치된 제 1 탱크이동모듈과,
    상기 제 1 탱크이동모듈에 의해 상승된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쪽으로 수평이동시키도록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설치된 제 2 탱크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탱크이동모듈은,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용 플랫폼을 저장탱크 전달위치까지 수직 상승시키거나 또는 원위치까지 수직 하강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제 1 제어부에 의해 조종되어 플랫폼을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저장탱크 전달위치 또는 원위치까지 수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리프터부와,
    상기 플랫폼의 상면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고,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지지하는 충격감쇄부를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부는,
    상기 플랫폼을 상승시키도록 메인 실린더가 설치된 가위형 링크 장치와,
    상기 가위형 링크 장치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선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쇄부는,
    스프링 댐퍼 또는 유체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5.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저장탱크 운반용 선체에 설치된 제 1 탱크이동모듈과,
    상기 제 1 탱크이동모듈에 의해 상승된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를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 쪽으로 수평이동시키도록 액화연료가스 추진 선박에 설치된 제 2 탱크이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탱크이동모듈은,
    상기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의 팔레트 저면에 형성된 갭(gap)에 삽입되어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하는 한 쌍의 포크와, 상기 포크의 뒤쪽 끝단에 형성된 포크베이스를 갖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의 포크베이스에 연결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고 상기 포크베이스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포크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마스터부와,
    상기 마스터부 및 상기 포크부가 연결된 이동레일을 고정레일에 기초하여 이동기구장치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부 또는 상기 수평이동부에 대한 외부의 유체작동원의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유체제어회로 및 작동레버와, 상기 이동기구장치에 마련된 모터에 모터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제어회로를 구비한 제 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KR1020110004114A 2011-01-14 2011-01-14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KR10127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14A KR101271052B1 (ko) 2011-01-14 2011-01-14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14A KR101271052B1 (ko) 2011-01-14 2011-01-14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684A KR20120082684A (ko) 2012-07-24
KR101271052B1 true KR101271052B1 (ko) 2013-06-04

Family

ID=4671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114A KR101271052B1 (ko) 2011-01-14 2011-01-14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0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809B1 (ko) 2014-03-21 2015-11-05 주식회사 지에스해양 슬라이딩 lng 탱크 시스템
KR101851289B1 (ko) * 2016-10-20 2018-05-15 (주)이건그린텍 파렛트 디스펜서
EP4222048B1 (en) * 2020-09-29 2024-10-23 SH Group A/S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nd securing equipment modules to a 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324B1 (ko) * 2014-02-28 2017-0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선박의 배치 구조
KR101707507B1 (ko) * 2014-05-07 2017-02-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독립형 탱크의 교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4507A (ja) * 1994-08-22 1998-05-06 ファラー,アレクサンダー,ユーニオル 貨物移載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4507A (ja) * 1994-08-22 1998-05-06 ファラー,アレクサンダー,ユーニオル 貨物移載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809B1 (ko) 2014-03-21 2015-11-05 주식회사 지에스해양 슬라이딩 lng 탱크 시스템
KR101851289B1 (ko) * 2016-10-20 2018-05-15 (주)이건그린텍 파렛트 디스펜서
EP4222048B1 (en) * 2020-09-29 2024-10-23 SH Group A/S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nd securing equipment modules to a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684A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052B1 (ko) 액화연료가스 저장탱크 이동 장치
KR101018742B1 (ko) 해상 잭업 플랫폼을 이용한 엘엔지 재기화 설비
KR101348358B1 (ko) 선박의 화물창
US8858149B2 (en) Remote docking port
CN109466718B (zh) 一种起重船舶平衡系统及其工作方法
KR100761037B1 (ko) 적재중량에 따라서 제동력이 조절되는 레일 트랜스포터
KR20170032685A (ko)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KR101276121B1 (ko) 이동식 해상 발전 플랜트 및 그 운용 방법
JP2018515384A (ja) 液化天然ガス分配方法及びデバイス
CN105164463A (zh) 利用lng罐式集装箱的偏远地区天然气供应站以及利用其的天然气供应方法
CN107600339A (zh) 新型水油气多功能优化布置的加注趸船
KR20100110935A (ko) 선박견인용 복합대차
KR101588692B1 (ko) 저장탱크 지지장치
KR20150120727A (ko) Lng 벙커링 선박 및 그 lng 벙커링 선박의 벙커링 방법
CN215177251U (zh) 火箭发射平台
KR101560281B1 (ko) 부유식 lng 저장 터미널
KR20130141163A (ko) 운반작업선
KR102125632B1 (ko) 틸팅 가능한 지게차용 기능성 포크암 어셈블리
KR10188517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JP7648832B1 (ja) 船舶用荷役システム
KR102785844B1 (ko)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박스 설치장치
KR101135462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윈치장치
KR101856773B1 (ko) 육상건조선박 트랜스 이송장치
KR102782394B1 (ko) 단열박스 설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25162B1 (ko) 액체화물 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