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1015B1 - Variable hopper system - Google Patents

Variable hopp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015B1
KR101271015B1 KR1020110142293A KR20110142293A KR101271015B1 KR 101271015 B1 KR101271015 B1 KR 101271015B1 KR 1020110142293 A KR1020110142293 A KR 1020110142293A KR 20110142293 A KR20110142293 A KR 20110142293A KR 101271015 B1 KR101271015 B1 KR 101271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coupled
concrete
lower hopper
pis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희수
김지수
이재삼
강창구
김유진
권해원
Original Assignee
(주)렉스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렉스콘 filed Critical (주)렉스콘
Priority to KR102011014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0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01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6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bunkers o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미콘 생산용 콘크리트 호퍼에 관한 것으로서, 호퍼의 하단부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식으로 콘크리트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통상의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포장용 콘크리트의 출하시에도 원활한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를 가로질러 결합된 거더, 상기 거더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된 빔의 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 사이에 차량이 진입하도록 구성된 배치프레임; 상부에서 하부로 수렴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호퍼; 상기 배치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호퍼와 결합된 호퍼고정프레임; 상기 하부호퍼의 하단에 양 측방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외측단 하부에 롤러가 구비된 거치부; 및 상기 배치프레임의 빔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로가 되는 수평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hopper for ready-mixed concrete production,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oncrete outlet in such a way that the lower end of the hopper is slidab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the smoothness of the concrete products having normal fluidity, as well as the low-flowing pavement concrete It relates to a variable hopper system that allows the process to take plac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rangemen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a girder coupled across an upper portion of the post, and a beam coupled across the girder, and configured to enter a vehicle between the posts. ;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converg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concrete hopper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A hopper fixing frame installed on the arrangement frame and coupled to the upper hopper; Is coupled to both sides at the bottom of the lower hopper,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roller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end; And a horizontal rail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of the arrangement frame and serving as a movement path of the roller. It provides a variable hop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가변형 호퍼 시스템{Variable Hopper System}Variable Hopper System

본 발명은 레미콘 생산용 콘크리트 호퍼에 관한 것으로서, 호퍼의 하단부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식으로 콘크리트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통상의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포장용 콘크리트의 출하시에도 원활한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hopper for ready-mixed concrete production,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oncrete outlet in such a way that the lower end of the hopper is slidab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the smoothness of the concrete products having normal fluidity, as well as the low-flowing pavement concrete It relates to a variable hopper system that allows the process to take place.

일반적으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mixed concrete, 이하 '레미콘'이라 함)는 믹서(Mixer)에 자갈, 모래, 시멘트 및 물을 넣은 채 믹싱한 콘크리트를 믹서 하단부에 결합된 콘크리트 호퍼에 투하하여 그 호퍼를 통해 레미콘운반용 믹서트럭에 상차하는 공정을 거쳐 공장에서 출하된다.In general, ready-mixed concre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xed concrete') is mixed with concrete, mixed with gravel, sand, cement and water, and dropped into a concrete hopper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ixer. It is shipped from the factory through the process of loading onto the ready-mixed concrete mixer truck.

통상적인 콘크리트 호퍼는 4각 단면을 갖고 상단부가 확개되게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수렴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는 믹서의 배출구에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그 하단부에는 소정 직경을 갖는 탄성재질의 러버슈트(rubber suits)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러버슈트의 양측에는 2개의 롤이 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러버슈트의 내주면으로 배출되는 콘크리트의 유동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에 의해 러버슈트 양측의 롤을 벌리거나 오므리면, 슈트라바의 내경이 확대되거나 수축하게 되어 콘크리트 호퍼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레미콘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Conventional concrete hopper has a four-sided cross section and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end is widened and converged toward the lower part, the upper end is coupl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mixer, and the rubber of e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t the lower end Rubber suits are combined. In addition, two rolls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ubber chute so as to be movable by a cylinder to control the flow amount of concrete discharg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chute. Therefore, when the rolls on both sides of the rubber chute are opened or retracted by the cylinder,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ut bar is enlarged or retracted, thereby controlling the unit hourly discharge of the ready-mixed concrete discharged from the exit of the concrete hopper.

한편, KS에서는 레미콘을 보통 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 경량 콘크리트, 포장용 콘크리트의 4가지 종류로 명시하고 있으며, 이 중 보통·고강도·경량 콘크리트는 믹서트럭을 사용하여 시공현장까지 이송하는 반면 포장용 콘크리트는 덤프트럭을 사용하여 운반한다. 보통·고강도·경량 콘크리트의 경우는 슬럼프가 80~210㎜이므로 유동성이 좋으나 인장강도 및 휨강도가 요구되는 포장용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0~80㎜이므로 이것을 믹서트럭의 호퍼에 투여하는 경우 그 호퍼의 막힘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덤프트럭을 이용하는 것이다.Meanwhile, KS specifies four types of ready-mixed concrete: concrete, high-strength concrete, lightweight concrete, and paving concrete. Among them, medium, high strength, and light concrete are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using a mixer truck, while dumping concrete for paving. Use truck to transport. In the case of normal, high strength and light concrete, the slump is 80 ~ 210mm, so the fluidity is good, but the slump of paving concrete, which requires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is 0 ~ 80mm. Dump trucks are used because they cannot be avoided.

그러나 믹서를 통해 원재료가 믹싱된 포장용 콘크리트를 덤프트럭에 투하하는 과정에서도 공장 설비 상의 콘크리트 호퍼는 반드시 거쳐나갈 수밖에 없고, 러버슈트를 완전히 열어 주더라도 포장용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호퍼의 넓은 입구에 투하되어서 좁은 출구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지체되거나 심지어 배출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레미콘의 생산성 저하로 인한 매출 감소 및 시공 현장의 공기(工期) 지연에 따른 공사비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However, even in the process of dropping pavement concrete mixed with raw materials to the dump truck through the mixer, the concrete hopper on the factory equipment must pass through, and even if the rubber chute is fully opened, the pavement concrete is dropped into the wide inlet of the concrete hopper, so the narrow exit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into the furnace, a lot of time is delayed or even not discharged,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sales due to reduced productivity of ready-mixed concrete an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due to delays in the construction site.

등록실용신안 제0254469호 "레미콘 저슬럼프제품 생산용 콘크리트호퍼 게이트구조"는 호퍼 하부가 구동실린더 및 힌지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이다(아래의 [참고도 1] 참조).Utility Model Registration No.0254469 "Concrete hopper gate structure for producing ready-mixed concrete low slump products" is configur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is opened and closed by a driving cylinder and a hinge (see [Reference 1] below).

[참고도 1] - 등록실용신안 제0254469호의 첨부도면[Reference Figure 1]-Attached Drawing of Registered Utility Model No.0254469

Figure 112011103335742-pat00001
Figure 112011103335742-pat00001

위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0254469호가 구현된다면 포장용 콘크리트를 배출하고자 할 때 콘크리트 호퍼의 배출구 자체를 넓혀주게 되므로 그 배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 제0254469호는 구동실런더가 콘크리트 호퍼의 측방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에 장착되어 있어 그 배치구조가 불안정하고 브라켓에 대각선 방향으로 매달려 있는 상태의 구동실린더가 호퍼의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힘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또한 보통·고강도·경량 콘크리트를 배출하기 위해 러버슈트를 오므린 상태(폐쇄한 상태)이더라도 탄성재질 러버슈트의 세로로 갈라진 틈으로 콘크리트가 세어 나와 러버슈트의 외부가 더럽혀질 우려가 있다. 또한 탄성재질의 러버슈트는 기온변화에 따라 수축·팽창을 하는데 이로 오므린 상태에서도 뒤틀림이 발생하여 세로방향의 분절선을 따라 갭(gap)이 발생할 수 있다.
I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0254469 is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peed up the discharge speed because the outlet of the concrete hopper itself is widened when the pavement concrete is to be discharged. However, this Utility Model No.0254469 has a drive cylinder mounted on a bracket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ncrete hopper,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drive cylinder is unstable and the drive cylinder with the bracket hanging in a diagonal direction opens and closes the outlet of the hopp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right power can be properly delivered. In addition, even when the rubber chute is closed (closed) to discharge normal, high strength, and light concrete, concrete may leak out into the vertical cracks of the elastic rubber chute, which may deteriorate the outside of the rubber chute. In addition, the rubber chute of elastic material shrinks and expand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and thus, distortion occurs in the retracted state, thereby causing a gap along the longitudinal segment lin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호퍼를 상부호퍼와 하부호퍼로 구성하여, 콘크리트의 종류에 따라 하부호퍼가 횡방향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부호퍼와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상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pper is composed of an upper hopper and a lower hopper, and the hopper system can reduce the loading time of concrete by separating or combining with the upper hopper by moving the lower hopper in a lateral sliding manner according to the type of concret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를 가로질러 결합된 거더, 상기 거더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된 빔의 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 사이에 차량이 진입하도록 구성된 배치프레임; 상부에서 하부로 수렴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호퍼; 상기 배치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호퍼와 결합된 호퍼고정프레임; 상기 하부호퍼의 하단에 양 측방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외측단 하부에 롤러가 구비된 거치부; 및 상기 배치프레임의 빔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로가 되는 수평레일;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rangemen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a girder coupled across an upper portion of the post, and a beam coupled across the girder, and configured to enter a vehicle between the posts. ;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converg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concrete hopper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A hopper fixing frame installed on the arrangement frame and coupled to the upper hopper; Is coupled to both sides at the bottom of the lower hopper,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roller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end; And a horizontal rail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of the arrangement frame and serving as a movement path of the roller. It provides a variable hop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호퍼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부호퍼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호퍼의 상단 테두리에는 하부호퍼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호퍼 플랜지와 하부호퍼 플랜지가 서로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opper flange is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upper hopper, the lower hopper flange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hopper, the upper hopper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is coupled And a variable hopper system, wherein the flange and the lower hopper flange ar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호퍼 플랜지의 양 측단에는 ㄷ자형 단면을 갖는 안내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하부호퍼 플랜지의 양 측단이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having a U-shaped cross-section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 ends of the upper hopper flange, when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is coupled to both side ends of the lower hopper flange Together with a variable hop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치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 단부는 상기 하부호퍼의 측방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하부호퍼가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rive cylinder is installed on the arrangement frame; And a piston end of the driving cylinder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a side of the lower hopper, and configured to horizontally move the lower hopper along the horizontal rail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piston. Variable hopper system "is also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drive cylinder; It also provides a "variable hop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순서에 따라 구동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variable hop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e cylinder in a predetermined ord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치프레임의 포스트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을 인지하도록 설치된 카메라;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전송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진입한 차량이 믹서트럭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을 전진제어 하고, 진입한 차량이 덤프트럭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가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을 후진제어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mera installed to recognize the vehicle entering between the post of the arrangement frame;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analyze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and when the entered vehicle is analyzed as a mixer truck, advancing the piston of the drive cylinder so that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are combined. And a hopper system which is configured to reversely control the piston of the drive cylinder so that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are separated when the vehicle to be controlled is analyzed as the dump truc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치프레임의 포스트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에 따라 신호를 발신하는 인식센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센서에서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진입한 차량의 최상부 높이가 설정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을 전진제어 하고, 진입한 차량의 최상부 높이가 설정 높이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가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을 후진제어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을 함께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 recognition sensor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vehicle entering between the post of the arrangement frame;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ignal sent from the recognition sensor, and when the top height of the entered vehicle is greater than the set height, the piston of the drive cylinder to be coupled to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is made. In the forward control, when the top height of the vehicle entered is less than the set height of the variable hop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versely control the piston of the drive cylinder so that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is separated.

이러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에 따라 콘크리트 호퍼의 하부(즉, 하부호퍼)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므로 콘크리트 출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포장용 콘크리트 같은 저슬럼프 레미콘은 상부호퍼에서 곧바로 덤프트럭에 방출되므로 그 출하시간을 4분의 1 미만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일반 콘크리트 호퍼를 통한 출하시 6㎥당 12분 이상 소요, 하부호퍼를 이동시키고 상부호퍼에서 직접 방출되도록 하는 경우 6㎥당 3분 소요).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oncrete shipments because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hopper (that is, the lower hopper) is sl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adjust the size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oncrete. In particular, the low slump ready-mix concrete, such as paving concrete,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hopper directly into the dump truck, which can improve its shipping time to less than a quarter (more than 12 minutes per 6m3 when shipped through the general concrete hopper, 3 minutes per 6m3 if moved and discharged directly from the upper hopper).

아울러 출하되는 콘크리트의 종류에 따라 하부호퍼가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부호퍼와 하부호퍼의 결합/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lower hopper to move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concrete to be shipped can reduce the time and manpower required for coupling / sepa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hopper.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호퍼 시스템 일실시예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3]은 구동실린더에 의해 하부호퍼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유동성이 좋은 콘크리트(보통 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 경량 콘크리트 등)를 믹서트럭에 투하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유동성이 작은 콘크리트(포장용 콘크리트)를 덤프트럭에 투하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are side and plan views of one embodiment of a variable hop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hopper is slid by the drive cylinder.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fluidity concrete (usually concrete, high-strength concrete, lightweight concrete, etc.) is dropped onto the mixer truck.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low fluidity concrete (packing concrete) is dropped onto a dump truck.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프레임(500), 콘크리트 호퍼(100), 호퍼고정프레임(600), 거치부(200) 및 수평레일(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콘크리트 호퍼(100) 하부에는 종래에 콘크리트의 배출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러버슈트(30) 및 롤(4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콘크리트 호퍼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라도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과 함께 병용될 수 있다.
Variable hopper syste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ch frame 500, concrete hopper 100, hopper fixing frame 600, the mounting portion 200 and the horizontal rail as shown in [FIG. 1] and [FIG. 2] And 300. Of course,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hopper 100 may be conventionally equipped with a rubber chute 30 and the roll 40 for adjust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concrete, in addition to any device for assisting the function of the concrete hopper I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variable hopper system it provides.

상기 배치프레임(500)은 다수의 포스트(510), 상기 포스트(510)의 상부를 가로질러 결합된 거더(520), 상기 거더(520)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된 빔(530)의 조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배치프레임(500)은 본 발명만의 특징은 아니며 종래의 레미콘 생산 공장에도 믹서, 호퍼 등의 각종 설비 설치, 차량출입 등을 위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치프레임(500)도 역시 그 하부의 포스트(510) 사이로 차량이 진입하고, 거더(520)와 빔(530)으로 이루어진 상부에 여러 가지 설비가 장착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부에서 하부로 수렴되는 형태로 구성된 콘크리트 호퍼(100)가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로 분리되고, 고정적으로 설치된 상부호퍼(110)로부터 분리된 하부호퍼(120)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호퍼(110)를 고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호퍼고정프레임(600)과 상기 하부호퍼(120)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레일(300)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 호퍼고정프레임(600)은 상기 배치프레임(5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호퍼(110)와 결합되고, 상기 수평레일(300) 역시 상기 배치프레임(500)의 빔(530) 상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호퍼(120)의 하단 양 측방으로는 거치부(20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거치부(200)의 외측단 하부에는 롤러(21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레일(300)은 상기 롤러(210)의 이동로가 된다.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하부호퍼(120)의 하단 측방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호퍼(120)의 하단에 결합된 받침부(220)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arrangement frame 500 is install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osts 510, the girder 520 coupled across the top of the post 510, the beam 530 coupled across the girder 520. do. The arrangement frame 500 is not only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also provided for installation of various equipment such as a mixer, a hopper, and the like in a conventional ready-mixed concrete production plant. In the arrangement fram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enters between the lower posts 510, and various equipments ar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irder 520 and the beams 53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hopper 100 configured to converge from the top to the bottom is separated into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and the lower hopper 120 separated from the fixed upper hopper 110 is fixedly instal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llow sliding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fore, a hopper fixing frame 600 and a horizontal rail 300 for slidingly moving the lower hopper 120 in a horizontal direction are required to fix the upper hopper 110. The hopper fixing frame 6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rangement frame 500 is coupled to the upper hopper 110, the horizontal rail 300 also along the top of the beam 530 of the arrangement frame 500 It is installed.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lower hopper 12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200,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end of the mounting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roller 210, the horizontal rail 300 is the roller It becomes the movement path of 210. The mounting portion 200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hopper 120, but as shown in Figure 1 and the support portion 2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hopper 120 and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combined.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은 수동식 시스템과 자동식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동식 시스템이라 함은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의 분리·결합을 필요에 따라 인력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고, 자동식 시스템이라 함은 설정된 순서 또는 상황인식을 통해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의 분리·결합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말한다.
The variable hopper syste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manual system and an automatic system. Here, the manual system refers to a system configured to perform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as necessary, and the automatic system refers to the upper part through a set sequence or situational awareness. Refers to a system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peration of the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수동식 시스템은 상기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의 체결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인력(人力)으로 상기 하부호퍼(120)를 밀면, 상기 하부호퍼(120)가 상기 수평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는 전술한 하부호퍼(120), 거치부(200) 및 수평레일(300)의 구성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의 결합과 분리를 위해서는 상기 상부호퍼(120)의 하단 테두리에 상부호퍼 플랜지(111)를 형성시키고, 상기 하부호퍼(120)의 상단 테두리에 하부호퍼 플랜지(121)를 형성시켜 상기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호퍼 플랜지(111)와 하부호퍼 플랜지(121)가 서로 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호퍼 플랜지(111)와 하부호퍼 플랜지(121)의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통공을 형성시켜 두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부재가 접한 상태에서 체결구(50)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호퍼 플랜지(111)의 양 측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단면을 갖는 안내부(112)를 대칭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하부호퍼 플랜지(121)의 양 측단이 상기 안내부(112)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e manual system, when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are released from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hopper 120 is pushed by the attraction, the lower hopper 120 is the horizontal rail 300. It is configured to slide along, which is implemen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hopper 120, the mounting portion 200 and the horizontal rail 300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uple and separate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to form an upper hopper flange 111 on the lower edge of the upper hopper 120, the lower hopper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hopper 120 When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is coupled to form a flange 121, the upper hopper flange 111 and the lower hopper flange 121 may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rough-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upper hopper flange 111 and the lower hopper flange 121, and fastened by the fastener 50 in a state where both mem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is can be done. On the other hand, at both side ends of the upper hopper flange 111 to form a guide 112 having a c-shaped cross-section symmetrically,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 May be configured such that both side ends of the lower hopper flange 121 are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112.

자동식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하부호퍼(12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피스톤(410)의 전진, 후퇴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실린더(400)가 적용된다. 상기 구동실린더(400)는 상기 배치프레임(500) 상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피스톤(410) 단부는 상기 하부호퍼(120)의 측방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410)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하부호퍼(120)가 상기 수평레일(300)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피스톤(410) 단부가 상기 하부호퍼(120)의 측방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피스톤(410)의 단부와 하부호퍼(120) 사이에 별도의 매개부재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어떠한 경우이든 상기 피스톤(410)의 전·후진 구동력이 상기 하부호퍼(120)에 전달될 수 있으면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실린더(400)가 존재하는 의의는 충족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410)이 전진해 있는 상태는 상기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가 결합된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피스톤(410)이 후진한다는 것은 상기 하부호퍼(120)가 상부호퍼(110)로부터 분리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스톤(410)이 후진한 상태에 있다가 다시 전진하면 상기 하부호퍼(120)가 다시 반대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여 상부호퍼(11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구동실린더(400)로는 콤프레셔에 의해 구동되는 공압실린더가 적절할 것으로 보이나, 유압실린더, 전기력 등 기타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실린더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system, a drive cylinder 400 in which the piston 41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s a component for moving the lower hopper 120 in the lateral direction is applied. The drive cylinder 400 is installed on the placement frame 500, the end of the piston 410 of the drive cylinder 40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lower hopper 120, the pisto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410, the lower hopper 120 is configured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horizontal rail (300). That is, the end of the piston 410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lower hopper 120, but may be provided with a variety of separate media member between the end of the piston 410 and the lower hopper 120 will be. In any case, if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force of the piston 410 can be transmitted to the lower hopper 120, the meaning that the driving cylinder 400 exist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atisfied. The state in which the piston 410 is advanced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are coupled, and the piston 410 is backward, so that the lower hopper 120 is in the upper hopper ( It is separated from the 110 means a sliding movement. When the piston 410 is in a backward state and then moves forward again, the lower hopper 120 again slides in reverse to engage the upper hopper 110. Although the pneumatic cylinder driven by the compressor may be suitable as the driving cylinder 400, various types of cylinders driven by other means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and an electric force are not excluded.

또한, 자동식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순서에 따라 구동실린더(4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하하는 콘크리트의 종류를 사전에 입력해 두면 포장용 콘크리트가 출하되는 순번에서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피스톤(410)이 후진하여 하부호퍼(120)가 상부호퍼(110)로부터 분리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배치프레임(500)의 포스트(510)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의 종류를 기준으로 순번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덤프트럭(20)이 진입하는 순번에서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피스톤(410)이 후진하도록 제어한다.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system, a controller (not shown)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cylinder 400 may be further configure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cylinder 400 in a preset order. For example, if the type of concrete to be shipped is input in advance, the piston 410 of the drive cylinder 400 is reversed in the order in which the paving concrete is shipped, and the lower hopper 12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hopper 110 and slides. You can make it move. Of course, a sequence number may be input based on the type of the vehicle entering between the posts 510 of the arrangement frame 500. In this case, the piston of the driving cylinder 400 may be input in the sequence in which the dump truck 20 enters. 410 controls to reverse.

한편,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에 카메라(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카메라와 제어부를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는 상기 배치프레임(500)의 포스트(510)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을 인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전송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한 차량이 믹서트럭(10)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피스톤(410)을 전진제어 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한 차량이 덤프트럭(20)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가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피스톤(410)을 후진제어 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a camera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in the variable hopper syste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iving of the driving cylinder 400 may be controlled by interlocking the camera and the controller. That is, the camera recognizes the vehicle entering between the posts 510 of the arrangement frame 500, and the controller analyz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and the vehicle entering as shown in FIG. When it is analyzed that the mixer truck 10, the piston 410 of the drive cylinder 400 to the forward control so that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is made,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entered is analyzed as the dump truck 20,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may be configured to reversely control the piston 410 of the drive cylinder 400. It can be.

마찬가지로 상기 카메라 대신 인식센서(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인식센서가 상기 배치프레임(500)의 포스트(510)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에 따라 신호를 발신토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센서에서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400)를 제어토록 할 수 있다. 믹서트럭(10)은 차체에 장착된 호퍼 때문에 덤프트럭보다 최상부 높이가 높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센서에서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진입한 차량의 최상부 높이가 설정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피스톤(410)을 전진제어 하고, 진입한 차량의 최상부 높이가 설정 높이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가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피스톤(410)을 후진제어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imilarly, a recognition sensor (not shown) is additionally configured in place of the camera, so that the recognition sensor transmits a signal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vehicle entering between the posts 510 of the arrangement frame 500, and the controller detects the recogni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cylinder 400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The mixer truck 10 has a higher height than the dump truck because of the hopper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ccordingly,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and when the uppermost height of the entered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height, the driving cylinder 400 is coupled to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Piston 410 of the forward control, and when the top height of the entered vehicle is less than the set height, the piston 410 of the drive cylinder 400 to separate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is separated. Can be configured to reverse control.

이러한 자동식 시스템의 경우 상부호퍼 플랜지(111)와 하부호퍼 플랜지(121)를 체결하거는 작업과 체결상태를 해체하는 작업의 자동화도 구현할 수 있으나 상기 구동실린더(400)의 피스톤(410)이 전진하여 상부호퍼(110)와 하부호퍼(120)가 하나의 콘크리트 호퍼(100)로 조합된 상태에서 투하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하부호퍼(120)가 흔들리지 않을 정도의 힘을 유지해준다면(상부호퍼는 호퍼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작업은 불필요하게 된다.
In the case of such an automatic system, the operation of fastening the upper hopper flange 111 and the lower hopper flange 121 and dismantling the fastening state can also be implemented. However, the piston 410 of the driving cylinder 400 is advanced. If the upper hopper 110 and the lower hopper 120 maintains the force that the lower hopper 120 is not shaken by the concrete dropped in a state in which one concrete hopper 100 is combined (the upper hopper fixed frame hopper ), No additional fastening is necessary.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 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10 : 믹서트럭 20 : 덤프트럭
30 : 러버슈트 40 : 롤
50 : 체결구
100 : 콘크리트 호퍼 110 : 상부호퍼
111 : 상부호퍼 플랜지 112 : 안내부
120 : 하부호퍼 121 : 하부호퍼 플랜지
200 : 거치부 210 : 롤러
220 : 받침부 300 : 수평레일
400 : 구동실린더 410 : 피스톤
500 : 배치프레임 510 : 포스트
520 : 거더 530 : 빔
600 : 호퍼고정프레임
10: mixer truck 20: dump truck
30: rubber suit 40: roll
50: fastener
100: concrete hopper 110: upper hopper
111: upper hopper flange 112: guide part
120: lower hopper 121: lower hopper flange
200: mounting portion 210: roller
220: support portion 300: horizontal rail
400: driving cylinder 410: piston
500: batch frame 510: post
520: girder 530: beam
600: Hopper fixed frame

Claims (8)

다수의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를 가로질러 결합된 거더, 상기 거더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된 빔의 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 사이에 차량이 진입하도록 구성된 배치프레임;
상부에서 하부로 수렴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호퍼;
상기 배치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호퍼와 결합된 호퍼고정프레임;
상기 하부호퍼의 하단에 양 측방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외측단 하부에 롤러가 구비된 거치부;
상기 배치프레임의 빔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로가 되는 수평레일;
상기 배치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치프레임의 포스트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을 인지하도록 설치된 카메라;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 단부는 상기 하부호퍼의 측방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하부호퍼가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전송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진입한 차량이 믹서트럭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을 전진제어 하고, 진입한 차량이 덤프트럭인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가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을 후진제어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
An arrangement frame installed i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osts, girders coupled across the top of the posts, and beams coupled across the girders, the arrangement frame configured to allow a vehicle to enter between the posts;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converg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concrete hopper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A hopper fixing frame installed on the arrangement frame and coupled to the upper hopper;
Is coupled to both sides at the bottom of the lower hopper,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roller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end;
A horizontal rail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of the arrangement frame and serving as a movement path of the roller;
A drive cylinder installed on the placement frame;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cylinder; And
A camera installed to recognize a vehicle entering between the posts of the arrangement frame; And,
The piston end of the drive cylinder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lower hopper, the lower hopper is configured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horizontal rail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piston,
The controller analyz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and when the entered vehicle is analyzed to be a mixer truck, the controller controls forward control of the piston of the driving cylinder so that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reverse hopper system configured to reversely control the piston of the drive cylinder so that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are separated when the dump truck is analyzed.
제1항에서,
상기 상부호퍼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부호퍼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호퍼의 상단 테두리에는 하부호퍼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호퍼 플랜지와 하부호퍼 플랜지가 서로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
In claim 1,
An upper hopper flange is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upper hopper,
The lower hopper flange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hopper,
And the upper and lower hopp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upper and lower hopp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2항에서,
상기 상부호퍼 플랜지의 양 측단에는 ㄷ자형 단면을 갖는 안내부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하부호퍼 플랜지의 양 측단이 상기 안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Guide portions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are symmetrically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upper hopper flange,
When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is coupled, both side ends of the lower hopper flange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수의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를 가로질러 결합된 거더, 상기 거더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된 빔의 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 사이에 차량이 진입하도록 구성된 배치프레임;
상부에서 하부로 수렴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호퍼;
상기 배치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호퍼와 결합된 호퍼고정프레임;
상기 하부호퍼의 하단에 양 측방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외측단 하부에 롤러가 구비된 거치부;
상기 배치프레임의 빔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로가 되는 수평레일;
상기 배치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치프레임의 포스트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에 따라 신호를 발신하는 인식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 단부는 상기 하부호퍼의 측방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하부호퍼가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센서에서 발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진입한 차량의 최상부 높이가 설정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을 전진제어 하고, 진입한 차량의 최상부 높이가 설정 높이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호퍼와 하부호퍼가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을 후진제어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호퍼 시스템.
An arrangement frame installed i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osts, girders coupled across the top of the posts, and beams coupled across the girders, the arrangement frame configured to allow a vehicle to enter between the posts;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converg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concrete hopper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A hopper fixing frame installed on the arrangement frame and coupled to the upper hopper;
Is coupled to both sides at the bottom of the lower hopper,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roller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end;
A horizontal rail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eam of the arrangement frame and serving as a movement path of the roller;
A drive cylinder installed on the placement frame;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cylinder; And
Recognition sensor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vehicle entering between the post of the arrangement frame; And,
The piston end of the drive cylinder is directly or indirect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lower hopper, the lower hopper is configured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horizontal rail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pisto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ognition sensor, and when the uppermost height of the entered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controller advances and controls the piston of the driving cylinder so that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are coupled. If the top height of the less than the set height of the variable hopper syste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versely control the piston of the drive cylinder so that the upper hopper and the lower hopper is separated.
KR1020110142293A 2011-12-26 2011-12-26 Variable hopper system Expired - Fee Related KR1012710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293A KR101271015B1 (en) 2011-12-26 2011-12-26 Variable hopp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293A KR101271015B1 (en) 2011-12-26 2011-12-26 Variable hopp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015B1 true KR101271015B1 (en) 2013-06-04

Family

ID=4886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2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1015B1 (en) 2011-12-26 2011-12-26 Variable hopp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015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50B1 (en) 2013-12-17 2014-03-21 성원이앤지 주식회사 Soil cultivation plant
KR101713943B1 (en) * 2015-12-22 2017-03-08 김동명 regenerated fuel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805685B1 (en) * 2017-08-23 2017-12-06 (주)청운자원 Recycling can packaging equipment
CN107500201A (en) * 2017-08-24 2017-12-22 广西力源宝科技有限公司 A kind of vertical-lift material distributing machine of belt track
CN110053990A (en) * 2019-06-03 2019-07-26 山东方大清洁能源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have the block-proof type coal dust high speed entrucking blanking device for stopping dress function automatically
CN110421705A (en) * 2019-09-02 2019-11-08 山东三英建筑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ll-sealed double door concrete material conveyer hopper
KR102045799B1 (en) * 2019-09-19 2019-11-19 주식회사 성부팩 Movable hopper mounted on stick pouch manufacturing equipment
CN111283880A (en) * 2020-04-27 2020-06-16 中电建(洛阳)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A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a concrete mixing station
CN113620074A (en) * 2021-06-30 2021-11-09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material receiving of truck
CN115816658A (en) * 2022-12-08 2023-03-21 民航机场建设工程有限公司 Concrete mixing station blanking method and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612A (en) 2001-08-02 2003-02-12 주식회사 곰레미콘 lemicon low slump manufactured goods production concretehopper gate structure
JP2007045021A (en) 2005-08-10 2007-02-22 Oru Japan Kk Concrete hopper discharge gate
KR100928989B1 (en) 2002-12-17 2009-11-26 주식회사 포스코 Gate device of lower chute to control the amount of cu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612A (en) 2001-08-02 2003-02-12 주식회사 곰레미콘 lemicon low slump manufactured goods production concretehopper gate structure
KR100928989B1 (en) 2002-12-17 2009-11-26 주식회사 포스코 Gate device of lower chute to control the amount of cut
JP2007045021A (en) 2005-08-10 2007-02-22 Oru Japan Kk Concrete hopper discharge gat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50B1 (en) 2013-12-17 2014-03-21 성원이앤지 주식회사 Soil cultivation plant
KR101713943B1 (en) * 2015-12-22 2017-03-08 김동명 regenerated fuel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805685B1 (en) * 2017-08-23 2017-12-06 (주)청운자원 Recycling can packaging equipment
CN107500201A (en) * 2017-08-24 2017-12-22 广西力源宝科技有限公司 A kind of vertical-lift material distributing machine of belt track
CN107500201B (en) * 2017-08-24 2024-04-09 广西力源宝科技有限公司 Vertical lifting cloth machine with track
CN110053990A (en) * 2019-06-03 2019-07-26 山东方大清洁能源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have the block-proof type coal dust high speed entrucking blanking device for stopping dress function automatically
CN110421705A (en) * 2019-09-02 2019-11-08 山东三英建筑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ll-sealed double door concrete material conveyer hopper
KR102045799B1 (en) * 2019-09-19 2019-11-19 주식회사 성부팩 Movable hopper mounted on stick pouch manufacturing equipment
CN111283880A (en) * 2020-04-27 2020-06-16 中电建(洛阳)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A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a concrete mixing station
CN113620074A (en) * 2021-06-30 2021-11-09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material receiving of truck
CN115816658A (en) * 2022-12-08 2023-03-21 民航机场建设工程有限公司 Concrete mixing station blanking method and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015B1 (en) Variable hopper system
CN103144196B (en) Concrete stirring st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discharging method thereof
US201603483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creting railway slab track
CN209408814U (en) A kind of PC track beam form system
KR102093669B1 (en) Mortar supplying equipment for fast-hardening track for improving ballast track
CN102825664A (en) Double-bin-type aggregate holding hopper for concrete mixing station
CN201777682U (en) Material discharge funnel for head part of belt type conveyor
CN207172395U (en) Tubular pile concrete blanking machine
CN209063290U (en) Highway prefabricated case beam production packaged type beam making bench
CN202130852U (en) Material falling device for material falling of weighing hopper
CN103587935B (en) There is the Double-sided plough type unloader of sub-material function
CN206140704U (en) Remove discharging device and stirring station
CN204955092U (en) Production line of partition plate
CN107288662A (en) A kind of long inclined shaft narrow-bore tunnel concrete transportation of heavy grade and lining construction method
CN217915972U (en) Prefabricated production line of high strength concrete lining section of jurisdiction
CN106077452A (en) A kind of resin sand layering quicksand device and the method for automatic sand adding thereof
CN214658979U (en) Sintering combination wallboard plastering manipulator
CN104801462A (en) Full-automatic pouring head device
CN212859869U (en) Concrete pouring equipment
CN209794043U (en) Vibrating prefabricated part processing equipment
CN109322492A (en) A kind of concreting blanking device
CN220547275U (en) Concrete vibrating screening device
CN202429638U (en) Material loading machine
CN112923730A (en) Automatic filling and tamping device for crucible lining
CN206426256U (en) Highway, bridge precast beam concrete distributing automatic travelling distribu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