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488B1 - Frame bar device - Google Patents
Frame ba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9488B1 KR101269488B1 KR1020120062595A KR20120062595A KR101269488B1 KR 101269488 B1 KR101269488 B1 KR 101269488B1 KR 1020120062595 A KR1020120062595 A KR 1020120062595A KR 20120062595 A KR20120062595 A KR 20120062595A KR 101269488 B1 KR101269488 B1 KR 1012694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bar
- main body
- fitting
- frame
- fitting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진 메인바디를 구비하고, 메인바디의 상부에 연결부로 연결되는 평판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하여 프레임바를 형성하므로서, 밴딩시 보강부가 메인바디의 강도를 보강해줌에 따라 메인바디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 원하는 모양으로 밴딩이 가능해져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아아치형, 유선형, 직선형의 구조물(비닐하우스, 차양 등)을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바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조립하여 견고한 구조물의 뼈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방범창을 조립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bar device capable of bending a structure skeleton,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main body made of a circular or square tube, and forming a reinforcement part in the form of a plate connected to a connection part on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s the frame bar is formed, the reinforcing part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main body when bending,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bent into a desired shape without being deformed, and the arch bar, streamlined, and straight structure can be used by using the frame bar. , Awnings, etc.), and also to assemble the frame ba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using various types of connecting members to achieve a skeleton of a solid structure, and further to assemble the security window using the frame bar to assemble prefabricated In the framebar device that enables bending of a structure It is abou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진 메인바디를 구비하고, 메인바디의 상부에 연결부로 연결되는 평판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하여 프레임바를 형성하므로서, 밴딩시 보강부가 메인바디의 강도를 보강해줌에 따라 메인바디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 원하는 모양으로 밴딩이 가능해져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아아치형, 유선형, 직선형의 구조물(비닐하우스, 차양 등)을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바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조립하여 견고한 구조물의 뼈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방범창을 조립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bar device capable of bending a structure skeleton,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main body made of a circular or square tube, and forming a reinforcement part in the form of a plate connected to a connection part on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s the frame bar is formed, the reinforcing part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main body when bending,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bent into a desired shape without being deformed, and the arch bar, streamlined, and straight structure can be used by using the frame bar. , Awnings, etc.), and also to assemble the frame ba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using various types of connecting members to achieve a skeleton of a solid structure, and further to assemble the security window using the frame bar to assemble prefabricated In the framebar device that enables bending of a structure .
통상적으로 비닐하우스, 차양과 같은 구조물의 뼈대는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파이프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하고 있다.Typically, the skeleton of a structure, such as a vinyl house, sunshade,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pipe of a circular or square shape to cross in the horizontal, vertical direction.
원형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의 뼈대를 조립할 경우 파이프의 교차부분을 돌출부분 없이 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고, 이로인해 뼈대를 이루는 파이프의 외부에 비닐을 덮어주었을때 비닐이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외관이 미려해지지 못하고, 파이프의 강도가 약하여 겨울철에 눈이 쌓이거나 강풍이 불게되면 쉽게 구조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When assembling the skeleton of a plastic house using a circular pip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pipes could not be combined without the protrusion. Thus, the vinyl partially protruded when the vinyl was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pipe forming the skeleton. Because the appearance is not beautiful, the strength of the pipe is weak, snow piled up in the winter or a strong wind blows the structure was easily broken.
또한,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가로, 세로 방향으로 조립하여 구조물을 만들때 교차부분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연결부재가 제공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교차부분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용접작업을 실시해야만 하므로 전문 기술자가 아니면 구조물을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member for firmly joining the intersections is not provided when making the structure by assembl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using a round or square pipe, welding must be performed to join the intersections of the pipes. Unless a technician, the problem was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structure.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진 메인바디를 구비하고, 메인바디의 상부에 연결부로 연결되는 평판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하여 프레임바를 형성하므로서, 밴딩시 보강부가 메인바디의 강도를 보강해줌에 따라 메인바디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 원하는 모양으로 밴딩이 가능해져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아아치형, 유선형, 직선형의 구조물(비닐하우스, 차양 등)을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바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조립하여 견고한 구조물의 뼈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방범창을 조립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made of a circular or rectangular tube, and forming a frame bar by forming a reinforcement in the form of a flat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reinforcing part when bending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bend to the desired shape without deforming the main body shape, so that it is possible to assemble arch, streamlined, and straight structures (vinyl house, sunshade, etc.) using the frame bar. Frame bars are assembled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using various types of connecting members to form a skeleton of a solid structure, and furthermore, frame bars capable of bending a frame skeleton forming a structure skeleton to assemble a security window prefabricated using a frame ba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진 메인바디를 구비하고, 메인바디의 상부에 연결부로 연결되는 평판 형태의 보강부를 형성하여 밴딩시 보강부가 메인바디의 강도를 보강해줌에 따라 메인바디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프레임바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consisting of a circular or square tube, the reinforcing portion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main body when forming a reinforcement in the form of a flat plat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n the top of the main body Accordingly, the frame bar is 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main body is not de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밴딩시 보강부가 메인바디의 강도를 보강해줌에 따라 메인바디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 원하는 모양으로 밴딩이 가능해져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아아치형, 유선형, 직선형의 구조물(비닐하우스, 차양 등)을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바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조립하여 견고한 구조물의 뼈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방범창을 조립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inforcing part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main body when bending, it is possible to bend in a desired shape without deforming the shap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arched, streamlined, and straight structures (vinyl house, Awnings, etc.), and also to assemble the frame ba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using various types of connecting members to form a skeleton of a solid structure, and further to assemble the security window using the frame bar as a prefabricated You can expect the effect.
도 1 은 본 발명의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원형단면을 갖는 프레임바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사각단면을 갖는 프레임바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연결부재를 보인 도면.
도 5와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 1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 3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 4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프레임바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구조물 뼈대를 조립한 실시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프레임바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조립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1 과 도 12는 본 발명의 프레임바와 제 5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차양을 조립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3은 아아치형 구조물의 뼈대를 조립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4와 도15는 본 발명의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차량용 차양을 조립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6 은 벽부형 차양을 조립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7 은 본 발명의 프레임바를 이용하여 방범창을 조립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8 은 본 발명 프레임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frame bar device capable of bend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ame bar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bar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ourth connection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ssembling the structure skeleton using the frame bar and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structure using the frame bar and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sunshade formed by the top surface is inclined by using the frame bar and the fifth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ssembling the skeleton of the arch structure.
14 and 15 show an embodiment of assembling a vehicle awning using the fram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ssembling the wall-mounted sunshade.
1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ssembling a security window using the fram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ame bar.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to 18.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진 메인바디(2)를 구비하고, 메인바디(2)의 상부에 연결부(4)로 연결되는 평판 형태의 보강부(3)를 형성하여 밴딩시 보강부(3)가 메인바디(2)의 강도를 보강해줌에 따라 메인바디(2)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프레임바(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inforcing part (3) provided with a main body (2) consisting of a round or square tube, and the reinforcement part (3)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reinforcement (3)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도 1 에는 메인바디(2)가 원형 단면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도 1 과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 메인바디(2)의 상부에 연결부(4)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보강부(3)를 형성함에 따라 보강부(3)가 메인바디(2)의 강도를 보강해줌으로서, 도 1b와 같이 프레임바(1)를 밴딩할때 메인바디(2)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게된다.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도 2 는 메인바디(2)가 원형 단면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은 메인바디(2)가 사각 단면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메인바디(2)의 내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살(5)을 형성하여 메인바디(2)의 강도를 보강살(5)이 더욱 보강하도록 구성한다.At least one reinforcing
보강살(5)은 도 2b와 같이 메인바디(2)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 2c 또는 도 2d와 같이 '+'자 모양 또는 'X'자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또한, 도 2e와 같이 보강부(3)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수홈(7)을 형성 할 수 있는데, 배수홈(7)은 보강부(3)의 상부면에 차양의 덮개판(71) 이음 부분이 존재할 때 덮개판(71) 사이로 누수된 빗물이 흐르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E, the
또한, 메인바디(2)의 하측에 끼움홈(8)을 형성하여 메인바디(2)의 하측으로 판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 끼움홈(8)은 도 16 과 같이 프레임바(1)를 이용하여 벽부형 차양을 조립할 때 벽부형 차양의 측면판을 상기 끼움홈(8)에 끼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프레임바(1)를 조립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같이 메인바디(2)와 연결부(4)가 연결된 상태의 보강부(3)를 분리 구성하고, 메인바디(2)의 상부에 결합홈(9)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연결부(4)의 하부에는 결합홈(9)에 끼워지는 결합부(10)를 돌출 형성하여 결합홈(9)에 결합부(1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프레임바(1)를 조립식으로 형성한다.And, the frame bar (1) can be configured as a prefabricated, which is separated from the reinforcement part (3) of the main body (2) and the
도 3 에는 도시된 사각 단면을 갖는 프레임바(1)에 대해서는 도 2 의 프레임바(1)와 단면 형상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한편, 프레임바(1)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8의 a,b와 같이 메인바디(2)를 'H'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8c와 같이 보강부(3)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보조보강부(3a)를 더 형성하여 강도 보강 효과가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한편, 도 4 는 본 발명의 프레임바(1)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조립하여 구조물의 뼈대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제 1 내지 제 5 연결부재(20~60)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the first to fifth connecting
도 4a는 프레임바(1)의 양측으로 각각 다른 프레임바(1)를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20)를 도시한 것으로서,FIG. 4A illustrates a first connecting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봉 형상의 제 1 연결몸체(21)를 구비하고, 제 1 연결몸체(21)의 중간부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가 관통되기 위한 제 1 끼움홀(22)을 형성하여 제 1 끼움홀(22)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끼움부(24,25)가 구비되도록 하며, 제 1 끼움홀(22)의 상부에는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23)을 형성하고, 끼움부(24)(25)의 상부에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24a)(25a)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다.A rod-shaped first connecting
제 1 연결부재(20)의 사용은 도 5 와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연결부재(20)의 제 1 끼움홀(22)로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를 끼워서 프레임바(1)의 연결부(4)가 가이드홈(23)에 끼워지도록하여 프레임바(1)에 제 1 연결부재(20)를 끼운 후 제 1 연결부재(20)에 구비된 각각의 끼움부(24,25)에 다른 프레임바(1)를 도 5 와 같이 끼우며, 이때 프레임바의 연결부가 끼움부(24)(25)에 구비된 가이드홈(24a,25a)에 끼워지도록 하여 끼움부(24)(25)에 끼워진 프레임바(1)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The use of the first connecting
제 1 연결부재(20)에 의해 교차하도록 결합된 프레임바(1)는 그 상부면에 구비도니 보강부(3)의 높이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조립된 상태의 구조물 외관이 미려해지고, 보강부(3)의 상부에 비닐이나 덮개판을 덮었을때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된다.The
도 4b는 프레임바(1)로 부터 수평상으로 다른 프레임바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부재(30)를 도시한 것으로서,4b shows a second connecting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봉 형상의 제 2 연결몸체(31)를 구비하고, 제 2 연결몸체(31)의 일단부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가 관통되기 위한 제 2 끼움홀(32)을 형성하여 제 2 끼움홀(32)을 중심으로 일측에 끼움부(34)가 구비되도록 하며, 제 2 끼움홀(32)의 상부에는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3)을 형성하고, 끼움부(34)의 상부에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4a)을 각 형성하여 구성한다.A rod-shaped second connecting
이와같이 구성되는 제 2 연결부재(30)는 제 1 연결부재(20)에 비해 끼움부가 하나인 것이 상이하며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The
제 2 연결부재(3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끝단에 위치하는 프레임바(1)의 일측으로 다른 프레임바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As shown in FIG. 8, the second connecting
도 4c는 프레임바(1)로 부터 3방향으로 다른 프레임바를 연결하기 위한 제 3 연결부재(40)를 도시한 것으로서,4c shows a third connecting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고 'T'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3 연결몸체(41)를 구비하고, 제 3 연결몸체(41)의 중앙부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가 관통되기 위한 제 3 끼움홀(42)을 형성하여 제 3 끼움홀(42)을 중심으로 3방향에 끼움부(44,45,46)가 구비되도록 하며, 제 3 끼움홀(42)의 일측에는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43)을 형성하고, 끼움부(44,45,46)의 외주연에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44a,45a,46a)을 각 형성하여 구성한다.A third connecting
제 3 연결부재(40)의 사용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3 연결몸체(41)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 3 끼움홀(42)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를 끼우되, 프레임바(1)의 연결부(4)가 가이드홈(43)에 끼워지도록 결합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끼움부(44,45,46)에 각각 다른 프레임바(1)의 일단을 끼워 결합한다.7, the
이때, 프레임바(1)의 연결부(4)가 끼움부(44,45,46)의 외주연에 형성된 가이드홈(44a,45a,46a)에 끼워지도록 하여 끼움부(44,45,46)와 프레임바(1)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도 4d는 프레임바(1)로 부터 2방향으로 다른 프레임바를 연결하기 위한 제 4 연결부재(50)를 도시한 것으로서, 4d shows a fourth connecting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고 'ㄴ'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4 연결몸체(51)를 구비하고, 제 4 연결몸체(51)의 중앙부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가 관통되기 위한 제 4 끼움홀(52)을 형성하여 제 4 끼움홀(52)을 중심으로 2방향에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끼움부(54,55)가 구비되도록 하며, 제 4 끼움홀(52)의 일측에는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53)을 형성하고, 끼움부(54,55)의 외주연에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54a,54b,55a,55b)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다.A fourth connecting
이와같이 구성되는 제 4 연결부재(50)의 사용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4 연결몸체(51)의 제 4 끼움홀(52)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를 끼워 결합하되, 프레임바(1)의 연결부(4)가 가이드홈(53)에 끼워지도록 하고, 제 4 연결부재(50)에 구비된 2개의 끼움부(54,55)에 다른 프레임바(1)의 끝단을 끼워 결합한다.The use of the fourth connecting
제 4 연결부재(50)의 끼움부(54,55)에는 각각 2개의 가이드홈(54a,54b)(55a,5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가이드홈으로 연결부(4)가 끼워지도록 하여 제 4 연결부재(50)와 프레임바(1)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In the
제 4 연결부재(50)는 구조물의 코너 부분에 사용된다.The fourth connecting
도 4e는 상부에 경사지게 프레임바(1)를 설치하고, 그 경사진 프레임바(1)의 하측에 수평상으로 보강용 프레임바(1)를 더 연결할 때 사용되는 제 5 연결부재(60)를 도시한 것으로서, FIG. 4E shows a fifth connecting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봉형태의 수직부(61)를 구비하고, 수직부(61)의 상부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경사부(62)를 형성하며, 수직부(61)의 중간부에 수평상으로 수평부(63)를 형성하고, 수직부(61) 경사부(62) 수평부(63)의 외주연에 각각 가이드홈(61a,62a,63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A rod-shaped
제 5 연결부재(60)의 사용은 도 11과 도12에 도시된 바와같이 덮개판(71)을 경사지게 설치하고자 하여 상부에 프레임바(1)를 경사지게 조립해야 하는 경우 사용되며, 이를위해 어느 한 쪽에는 수직부(61)의 길이가 좀더 긴 다른 제 5 연결부재(60a)를 사용한다.The use of the
즉, 도면과 같이 제 5 연결부재(60)(60a)의 경사부(62)로 프레임바(1)를 끼우되, 프레임바(1)의 연결부(4)가 가이드홈(62a)에 끼워지도록 하여 프레임바(1)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수직부(61,61a)에 다른 프레임바(1)를 끼워서 지주로서 사용되도록 하며, 제 5 연결부재(60)(60a)의 수평부(63)에 다른 프레임바(1)를 수평상으로 끼워 결합하여 보강용 크로스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그리고,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프레임바(1)의 보강부(3) 상부면에는 'ㄷ'자 단면을 갖는 결합구(73)를 결합하고, 이 결합구(73)에 끼워지도록 덮개판(71)을 끼워서 차양을 완성하게 된다.Then, the
한편, 도 13 은 아아치형 차양의 뼈대를 본 발명의 프레임바(1)와 제 5 연결부재(60)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아아치형으로 밴딩된 프레임바(1)의 양 끝단부에 각각 제 5 연결부재(60)의 경사부(62)를 끼워 결합하고, 수평부(63)와 수직부(61)에 각각 직선형의 프레임바(1)를 결합하여 아아치형 차양의 뼈대를 조립한 것이다.Meanwhile, FIG. 13 illustrates assembling the skeleton of the arch-shaped sunshade using the
도면상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제 1 연결부재(20)를 이용하여 수평상으로 설치된 프레임바(1)에 교차하도록 다른 프레임바(1)를 연결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other
한편, 도 9 와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 1 내지 제 5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의 뼈대를 조립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On the other hand, Figures 9 and 10 illustrate the state of assembling the skeleton of a structure such as a vinyl house using the first to fifth connection member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U자 모양으로 밴딩된 프레임바(1)를 이용하여 메인 뼈대를 이루도록 하고, 그 U자형 프레임바(1)의 중간부분에 제 1 연결부재(2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프레임바(1)를 '+' 모양으로 교차하도록 연결하며, 코너 부분에는 제 4 연결부재(50)를 이용하여 U자 모양 프레임바(1)의 수직부분에 직교하도록 서로 다른 프레임바를 연결하였고, 중간에 위치하는 프레임바(1)에는 제 3 연결부재(40)를 이용하여 3방향으로 프레임바를 연결하였다.The main frame is formed using a frame bar (1) bent in a U shape, and different frame bars (1) are formed by using a first connecting member (20) in the middle of the U-shaped frame bar (1). Connected to cross the '+' shape, and connected to the other frame bars to b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U-shaped frame bar (1) using a fourth connecting
즉, 본 발명의 프레임바(1)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의 뼈대로 매우 용이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That is, using the frame bar (1) and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be installed very easily as a skeleton of a structure such as a plastic house.
그리고, 도 9 와 같이 조립된 뼈대에는 프레임바(1)의 상부에 비닐을 덮을 수도 있고, 도 10 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바(74)와 결합구(73)를 이용하여 덮개판(71)을 덮어 설치할 수도 있다.And, the skeleton assembled as shown in Figure 9 may cover the vinyl on the top of the frame bar (1), as shown in Figure 10 using the
한편, 도 14와 도15는 본 발명의 프레임바(1)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차량용 차양을 조립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On the other hand, Figures 14 and 15 shows an embodiment of assembling a vehicle shade using the
'ㄱ'자 모양으로 밴딩한 복수개의 프레임바(1)를 소정 간격으로 세워 설치하고, 프레임바(1)의 중간부분에 다른 프레임바(1)를 제 1 및 제 2 연결부재(20)(30)를 이용하여 연결하며, 프레임바(1)의 보강부(3) 상면에 결합구(73)를 결합한 후 프레임바(1)의 끝단에 마감캡(75)을 끼우고, 결합구(73)에 덮개판(71)을 끼워 차양을 완성한 것고, 도면부호 72는 제 2 연결부재(30)의 일측 개구단에 끼워지는 마감구 이다.Installed a plurality of frame bars (1) bent in the 'b'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20 (another frame bar 1) in the middle of the frame bar (1) ( 30), the
그리고, 도 16 은 본 발명의 프레임바(1)를 이용하여 벽부형 차양을 조립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밴딩된 프레임바(1)를 별도의 브라켓에 고정시켜 건물 벽면에 설치하고, 프레임바(1)의 상부면에 덮개판(71)을 안착시켜 차양을 완성하였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8)에 측면판(76)을 끼워넣어 측면판이 구비된 벽부형 차양을 조립한 실시예이다.
And, Figure 16 shows an embodiment of assembling the wall-shaped sunshade using the frame bar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bent frame bar (1) to a separate bracket installed on the building wall, the frame The sunshade was completed by seating the
또한, 도 17 은 본 발명의 프레임바(1)와 제 3 연결부재(40) 그리고 제 4 연결부재(50)를 이용하여 방범창을 조립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방범창 역시 프레임바(1)를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간편하게 사용자가 조립할 수 있게된다.In addition, FIG. 17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security window is assembled using the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레임바(1)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합성수지재로서 압출성형할 수도 있다.
The
1: 프레임바, 2: 메인바디,
3: 보강부, 4: 연결부,
5: 보강살, 6: 안내홈,
7: 배수홈, 8: 끼움홈,
9: 결합홈, 10: 결합부,
20: 제 1 연결부재, 30: 제 2 연결부재,
40: 제 3 연결부재, 50: 제 4 연결부재,
60: 제 5 연결부재, 1: frame bar, 2: main body,
3: reinforcement, 4: connection,
5: reinforcement, 6: guide groove,
7: drain groove, 8: fitting groove,
9: coupling groove, 10: coupling portion,
20: first connecting member, 30: second connecting member,
40: third connecting member, 50: fourth connecting member,
60: fifth connecting member,
Claims (12)
메인바디(2)의 하단에 판재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Reinforcing part (3) provided with a main body (2) consisting of a round or square tube, and the reinforcement part (3)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reinforcement (3)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 The frame bar 1 is 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main body 2 is not deformed as the strength of the main body 2 is reinforced.
Frame bar device capable of bending to form a structure skele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 formed a fitting groove (8)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late.
메인바디(2)와 연결부(4)가 연결된 상태의 보강부(3)를 분리 구성하고, 메인바디(2)의 상부에 결합홈(9)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연결부(4)의 하부에는 결합홈(9)에 끼워지는 결합부(10)를 돌출 형성하여 결합홈(9)에 결합부(1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프레임바(1)를 조립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2 and the reinforcing part 3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art 4 is connected and separated, the coupling groove 9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part 4 The structure arma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bar (1) formed by prefabricating the engaging portion 10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9) by fitting the coupling portion 10 to the coupling groove (9) in a sliding manner. Frame bar device capable of forming a band.
보강부(3)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보조보강부(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rame bar device capable of bending the fram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reinforcement portion (3) further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ement (3).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봉 형상의 제 1 연결몸체(21)를 구비하고, 제 1 연결몸체(21)의 중간부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가 관통되기 위한 제 1 끼움홀(22)을 형성하여 제 1 끼움홀(22)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끼움부(24,25)가 구비되도록 하며, 제 1 끼움홀(22)의 상부에는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23)을 형성하고, 끼움부(24)(25)의 상부에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24a)(25a)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제 1 연결부재(20)를 더 구성하고, 제 1 연결부재(20)를 이용하여 프레임바(1)를 교차하도록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od-shaped first connecting body 21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 as the main body 2, and the main body 2 of the frame bar 1 penetrates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21. The first fitting hole 22 is formed to have fitting portions 24 and 25 on both sides of the first fitting hole 22,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portion 4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tting hole 22.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0 formed by forming guide grooves 23 into which the grooves are fitted, and forming guide grooves 24a and 25a in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s 4 are fitted, respectively,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tting portions 24 and 25. Further configured, the frame bar device capable of bending the frame forming a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0 is connected to cross the frame bar (1).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봉 형상의 제 2 연결몸체(31)를 구비하고, 제 2 연결몸체(31)의 일단부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가 관통되기 위한 제 2 끼움홀(32)을 형성하여 제 2 끼움홀(32)을 중심으로 일측에 끼움부(34)가 구비되도록 하며, 제 2 끼움홀(32)의 상부에는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3)을 형성하고, 끼움부(34)의 상부에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4a)을 각 형성하여 구성한 제 2 연결부재(30)를 더 구성하고, 제 2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바(1)로 부터 수평상으로 다른 프레임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od-shaped second connecting body 31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 section as the main body 2, and the main body 2 of the frame bar 1 penetrates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31. The second fitting hole 32 is formed to form a fitting portion 34 on one side of the second fitting hole 32, and the connection portion 4 is fit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tting hole 3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ing member 30 formed by forming a guide groove 33, each formed by forming a guide groove 34a for fitting the connecting portion 4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34,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Frame bar device capable of bending the frame skelet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other frame bar horizontally from the frame bar (1) using.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고 'T'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3 연결몸체(41)를 구비하고, 제 3 연결몸체(41)의 중앙부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가 관통되기 위한 제 3 끼움홀(42)을 형성하여 제 3 끼움홀(42)을 중심으로 3방향에 끼움부(44,45,46)가 구비되도록 하며, 제 3 끼움홀(42)의 일측에는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43)을 형성하고, 끼움부(44,45,46)의 외주연에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44a,45a,46a)을 각 형성하여 구성한 제 3 연결부재(40)를 더 구성하고, 제 3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바(1)로 부터 3방향으로 다른 프레임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connecting body 41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s the main body 2 and formed in a 'T' shape, and the main body 2 of the frame bar 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hird connecting body 41. The third fitting hole 42 is formed to be penetrated so that the fitting parts 44, 45, and 46 are provided in three directions about the third fitting hole 42, and at one side of the third fitting hole 42. A guide groove 43 in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4 is fitted is formed, and guide grooves 44a, 45a and 46a in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4 is fitted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tting portions 44, 45 and 46, respectively. Further comprising a third connecting member (40), using the third connecting member frame bar device capable of bending the frame skelet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other frame bar in three directions from the frame bar (1).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고 'ㄴ'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4 연결몸체(51)를 구비하고, 제 4 연결몸체(51)의 중앙부에 프레임바(1)의 메인바디(2)가 관통되기 위한 제 4 끼움홀(52)을 형성하여 제 4 끼움홀(52)을 중심으로 2방향에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끼움부(54,55)가 구비되도록 하며, 제 4 끼움홀(52)의 일측에는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53)을 형성하고, 끼움부(54,55)의 외주연에 연결부(4)가 끼워지는 가이드홈(54a,54b,55a,55b)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제 4 연결부재(50)를 더 구성하고, 제 4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바(1)로 부터 2방향으로 다른 프레임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ourth connecting body 51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s the main body 2 and formed in a 'b' shape, and the main body 2 of the frame bar 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ourth connecting body 51. The fourth fitting hole 52 is formed to be penetrated so that the fitting parts 54 and 55 are provided at an angle of 90 degrees in two directions about the fourth fitting hole 52, and the fourth fitting hole 52 is provided.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53) is form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 is fitted, the guide grooves (54a, 54b, 55a, 55b) are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tting portion (54, 55), respectively A frame bar capable of bending a frame is formed by further comprising a fourth connecting member 50 formed and configured to connect another frame bar in two directions from the frame bar 1 using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Device.
메인바디(2)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봉형태의 수직부(61)를 구비하고, 수직부(61)의 상부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경사부(62)를 형성하며, 수직부(61)의 중간부에 수평상으로 수평부(63)를 형성하고, 수직부(61) 경사부(62) 수평부(63)의 외주연에 각각 가이드홈(61a,62a,63a)을 형성하여 제 5 연결부재(60)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rod-shaped vertical portion 61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s the main body 2 is formed, and an inclined portion 62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61, and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61 is provided. The horizontal portion 63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guide grooves 61a, 62a, and 63a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rtical portion 61, the inclined portion 62 and the horizontal portion 63, respectively, to form the fifth connecting member ( 60) A frame bar device capable of bending a frame of th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fur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595A KR101269488B1 (en) | 2012-06-12 | 2012-06-12 | Frame ba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595A KR101269488B1 (en) | 2012-06-12 | 2012-06-12 | Frame bar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9488B1 true KR101269488B1 (en) | 2013-05-31 |
Family
ID=4866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25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9488B1 (en) | 2012-06-12 | 2012-06-12 | Frame bar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948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844B1 (en) | 2013-10-17 | 2015-08-27 | 안혜연 | Prefabricated structures |
KR101587948B1 (en) | 2015-03-11 | 2016-02-02 | 주식회사 두손피씨 | Canopy structure which have advantages of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frame |
-
2012
- 2012-06-12 KR KR1020120062595A patent/KR10126948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844B1 (en) | 2013-10-17 | 2015-08-27 | 안혜연 | Prefabricated structures |
KR101587948B1 (en) | 2015-03-11 | 2016-02-02 | 주식회사 두손피씨 | Canopy structure which have advantages of maintaining and repairing the fr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9909B1 (en) | Exterior structure | |
KR101177916B1 (en) | Dome shape construction | |
KR101287301B1 (en) | Rib frmae for the roof pannels | |
KR101269488B1 (en) | Frame bar device | |
KR101222115B1 (en) | Roof structure | |
KR20130128520A (en) | Adiabatic box combination structure for curtain wall | |
US20140130431A1 (en) | Insulating ICF Window Buck With Integrated Fastening and Anchors | |
KR101805368B1 (en) | Frame for fence | |
KR100968018B1 (en) | Exterior panel fastener for round pipe frame | |
KR101376407B1 (en) | Structure of window integrated precast concrete panel | |
JP2011052485A (en) | Reinforcing beam receiving metal fittings | |
JP6758106B2 (en) | Skeleton material and building using it | |
KR20140011212A (en) | Frame bar combination device | |
JP6189106B2 (en) | End face hiding member and end face hiding structure of cylindrical member | |
KR101188618B1 (en) | A pent roof | |
KR20140120624A (en) | Frame Connection Device | |
KR102594889B1 (en) | Assembly type coupling socket, canopy frame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2463817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and Panel for canopy | |
JP6712140B2 (en) | Simple structure | |
KR102620147B1 (en) | Advanced type assembly pillar | |
JP7419197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rame structure | |
JP3883545B2 (en) | Outdoor floorboard connector, outdoor floor using the same, and outdoor floor construction method | |
KR100577090B1 (en) | Prefab siding | |
KR100581028B1 (en) | Prefabricated Wall Using Panel | |
JP4891141B2 (en) | Floor support structure and torso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8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