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074B1 -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양친성 고분자 복합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양친성 고분자 복합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9074B1 KR101269074B1 KR1020110024419A KR20110024419A KR101269074B1 KR 101269074 B1 KR101269074 B1 KR 101269074B1 KR 1020110024419 A KR1020110024419 A KR 1020110024419A KR 20110024419 A KR20110024419 A KR 20110024419A KR 101269074 B1 KR101269074 B1 KR 1012690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diisocyanate
- amphiphilic polymer
- urethane bond
- reac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A는 소수성 세그먼트와 3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B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하나의 이소시아이트기는 상기 A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C의 히드록시기 또는 아민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 결합이 형성되거나, 상기 D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C는 히드록시기와 알콕시실란기, 또는 아민기와 알콕시실란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히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는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D는 친수성 세그먼트와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된,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레아 결합이 포함된 유기실리카 전구체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유기실리카 전구체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양친성 고분자 복합 나노 입자가 물속에 분산된 사진이다.
물질 | 구조식 | 화학명 |
A |
글리세롤 | |
m=1~50, n=0~50, p=0~50 |
폴리프로필렌 트리올 | |
B |
, |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 ||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
4,4'-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 ||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 | ||
C |
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
히드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 ||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 ||
C |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 |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 ||
D |
폴리에틸렌 글리콜 |
실시예 | 화합물명 | 폴리프로필렌 트리올 분자량 (g/mol) |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g/mol) |
입자 크기(nm) |
실시예 1 | APAS GC-600 | 92.09 | 600 | 189.5 |
실시예 2 | APAS GC-1000 | 92.09 | 1000 | 113.7 |
실시예 3 | APAS GC-1500 | 92.09 | 1500 | 135.9 |
실시예 4 | APAS GC-2000 | 92.09 | 2000 | 78.05 |
실시예 5 | APAS 260-1000 | 260 | 1000 | 93.20 |
실시예 6 | APAS 260-1500 | 260 | 1500 | 88.45 |
실시예 7 | APAS 260-2000 | 260 | 2000 | 80.22 |
실시예 8 | APAS 725-1000 | 725 | 1000 | 102.35 |
실시예 9 | APAS 725-1500 | 725 | 1500 | 105.2 |
화합물명 | APAS:에탄올(무게비) | 암모니아수 농도 | 입자크기 (nm) | |
실시예 6 | APAS 260-1500 | 1:4 | 0.32M | 88.45 |
실시예 10 | APAS 260-1500 | 1:5 | 0.32M | 94.33 |
실시예 11 | APAS 260-1500 | 1:10 | 0.32M | 198.5 |
실시예 12 | APAS 260-1500 | 1:20 | 0.32M | coagulation |
실시예 13 | APAS 260-1500 | 1:40 | 0.32M | 54.69 |
화합물명 | 담지량(wt%) | 담지능(%) | 입자 크기(nm) | |
실시예 14 | APAS GC-1500 | 10 | 98 | 209.5 |
실시예 15 | APAS GC-1500 | 30 | 85 | 183.7 |
실시예 16 | APAS GC-1500 | 50 | 78 | 195.9 |
실시예 17 | APAS 260-1500 | 10 | 99 | 108.05 |
실시예 18 | APAS 260-1500 | 30 | 92 | 193.20 |
실시예 19 | APAS 260-1500 | 50 | 90 | 188.45 |
실시예 20 | APAS 725-1500 | 10 | 100 | 100.22 |
실시예 21 | APAS 725-1500 | 30 | 100 | 111.35 |
실시예 22 | APAS 725-1500 | 50 | 100 | 115.2 |
Claims (9)
-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A는 폴리프로필렌 트리올 또는 글리세롤로서,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B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하나의 이소시아이트기는 상기 A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C의 히드록시기 또는 아민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 결합이 형성되거나, 상기 D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C는 히드록시기와 알콕시실란기, 또는 아민기와 알콕시실란기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히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는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또는 우레아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D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로서, 상기 B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된,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는 디이소시아네이트인,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칠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인,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는 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히드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인,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자량은 600 내지 15,000인 것인,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 질소분위기 하에서, 폴리프로필렌 트리올 또는 글리세롤을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칠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으로 이루어진 디이소시아네이트 그룹에선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과 1:3 반응 몰비로 하여 교반 반응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얻어진 물질에 메톡시(폴리에틸렌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히드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을 1:1 반응 몰비로 더 첨가하여 교반 반응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얻어진 물질에 분자량이 600 ~ 15,000인 폴리에틸렌옥시드를 1:1 반응 몰비로 더 첨가하여 교반 반응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제조 방법.
-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용액에 담지하고자 하는 소수성 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암모니아수를 적하하여 반응시키는 졸-겔 반응단계를 포함하는,
소수성 물질이 담지된 실리카/양친성 고분자 복합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419A KR101269074B1 (ko) | 2011-03-18 | 2011-03-18 |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양친성 고분자 복합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4419A KR101269074B1 (ko) | 2011-03-18 | 2011-03-18 |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양친성 고분자 복합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6357A KR20120106357A (ko) | 2012-09-26 |
KR101269074B1 true KR101269074B1 (ko) | 2013-05-29 |
Family
ID=4711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4419A Active KR101269074B1 (ko) | 2011-03-18 | 2011-03-18 |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양친성 고분자 복합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907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7455B1 (ko) * | 2014-04-10 | 2016-04-01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를 이용한 수분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수용성 절삭유제 |
EP3321309A4 (en) * | 2015-07-10 | 2018-07-04 | LG Chem, Ltd. | Compoun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2359B1 (ko) * | 2012-05-16 | 2014-08-20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소수성 항균물질이 담지된 반응성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항균 필름 제조 방법 |
KR101897159B1 (ko) * | 2016-03-31 | 2018-09-12 |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수성 및 친수성 오염물질에 대한 동시 흡착능을 가지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입자 |
KR102035909B1 (ko) * | 2017-12-22 | 2019-10-24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를 이용한 가스 배리어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가스 배리어 필름 |
KR102766672B1 (ko) * | 2018-12-07 | 2025-02-13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 실리카 전구체를 이용한 불소 함유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발수 코팅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185573B1 (ko) * | 2019-02-08 | 2020-12-02 | 국방과학연구소 | 폴리우레탄 반응 속도 조절이 가능한 촉매 담지 유-무기 하이브리드 복합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CN115806674B (zh) * | 2021-09-15 | 2023-09-08 |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 一种聚丙二醇键合改性的纳米SiO2及其制备方法和应用 |
KR20230048870A (ko) | 2021-10-05 | 2023-04-12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접착증진제 조성물 |
KR102755281B1 (ko) | 2022-12-05 | 2025-01-15 |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착증진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용 주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2액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0908B1 (ko) | 2006-11-03 | 2007-07-19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양친매성 하이브리드폴리머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0788848B1 (ko) | 2007-01-12 | 2007-12-2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소수성 오염물질 제거용 고분자 나노입자가 도입된 새로운미셀 강화 한외여과 공정 |
-
2011
- 2011-03-18 KR KR1020110024419A patent/KR10126907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0908B1 (ko) | 2006-11-03 | 2007-07-19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양친매성 하이브리드폴리머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0788848B1 (ko) | 2007-01-12 | 2007-12-2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소수성 오염물질 제거용 고분자 나노입자가 도입된 새로운미셀 강화 한외여과 공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7455B1 (ko) * | 2014-04-10 | 2016-04-01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를 이용한 수분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수용성 절삭유제 |
EP3321309A4 (en) * | 2015-07-10 | 2018-07-04 | LG Chem, Ltd. | Compound |
US10851268B2 (en) | 2015-07-10 | 2020-12-01 | Lg Chem, Ltd. | Compound |
US10883019B2 (en) | 2015-07-10 | 2021-01-05 | Lg Chem, Ltd. | Cross-linkable composition |
US10883020B2 (en) | 2015-07-10 | 2021-01-05 | Lg Chem, Ltd. |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
US10889735B2 (en) | 2015-07-10 | 2021-01-12 | Lg Chem, Ltd. | Cross-linkable composi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6357A (ko) | 2012-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9074B1 (ko) | 양친성 고분자 사슬을 가지는 다리걸친 유기실리카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한 실리카/양친성 고분자 복합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Yeh et al. |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amino-terminated anionic waterborne-polyurethane–silica hybrid materials through a sol–gel process in the absence of an external catalyst | |
TWI397557B (zh) | 連續生產矽烷化樹脂之方法 | |
TWI427049B (zh) | 氣體滲透性減少之密封劑組成物 | |
Meera et al. | The influence of applied silica nanoparticles on a bio-renewable castor oil based polyurethane nanocomposite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
EP2496340B1 (en) | Silica dispersion | |
JP2008174722A (ja) | ナノ粒子修飾ポリイソシアネート | |
EP1928948A2 (en) | Metallized nanostructured chemicals as cure promoters | |
KR101117175B1 (ko) | 폴리우레아 다공질체 및 그 제조방법 | |
US20120231194A1 (en) | Polymers containing borane or carborane cage compounds and related applications | |
Gao et al.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well-dispersed polyurethane/CaCO3 nanocomposites | |
CA2876607C (en) | Use of polyurea nanoparticles as performance modifiers in polyurethane materials | |
Huang et al.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stainable polyurethane based on epoxy soybean oil and modified by double-decker silsesquioxane | |
TW201321425A (zh) | 製備具有反應性官能基之水性聚胺酯及其奈米複合材料之方法 | |
KR20140006090A (ko) | 폴리하이드록시우레탄 미립자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3124755A (zh) | 降低湿固化聚氨酯组合物内具有异氰酸酯基团的单体的比例 | |
US20210079146A1 (en) | Polyolefin derivative and composite material | |
JP2011168769A (ja) | 硬化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
JP5559151B2 (ja) | ナノ粒子を含む安定なポリイソシアネート | |
CN115612120A (zh) | 一种基于Pickering乳液法制备新型水性聚氨酯的方法 | |
KR101915797B1 (ko) | 중공유리구체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88720B1 (ko) | 나노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나노 복합 필름 | |
JP2004182934A (ja) | 揺変性硬化性組成物及びシーリング材組成物 | |
JP3964813B2 (ja) | 揺変性常温硬化性組成物 | |
KR101787964B1 (ko) |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수분산 우레탄 바인더를 함유하는 친환경 도막형 바닥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011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